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찰리더십 연구동향 분석 연구

        정준선(Jeong, Jun Seon) 경찰대학 경찰학연구편집위원회 2019 경찰학연구 Vol.19 No.4

        경찰은 시민사회의 중심에서 수많은 상황에 직면하지만, 이를 현장에서 이끌어가는 리더에 대한 교육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에 체계적인 경찰리더십 연구와 현장 중심 교육을 수행하기 위하여 2018년 5월에 ‘경찰대학 리더십센터’를 설립하였다. 본 연구는 ‘경찰대학 리더십센터’의 연구 · 교육 방향을 모색하고, 경찰리더십 연구을 위한 발전적인 방향을 제시하기 위하여 ‘경찰’ 및 ‘리더십’을 키워드로 검색된 289편의 학위 · 학술논문 가운데 109편을 선정하여 일반적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다시 중복문헌을 배제한 94편을 대상으로 리더십이론, 연구대상, 연구방법 등 내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찰리더십 연구는 일반적인 리더십 연구 동향과 유사한 흐름으로 행정학 · 정책학 관점에서 경찰리더십에 접근하였으며, 리더십 관점에서 접근한 연구는 없었고, 다수 연구가 단발성으로 이루어졌다. 둘째, 경찰리더십 연구는 통합적 접근방식에 따라 일대일 관계를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셋째, 연구대상은 경찰공무원 또는 경찰 업무 전체를 대상으로 중간관리자 또는 최고관리자의 리더십의 부하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넷째, 연구방법은 양적 연구에 편중되었다. Police face many situations at the heart of civil society. However, the education of the leaders who lead the situation in the field is not properly performed. For this reason, the ‘Korean National Police University Leadership Center’ was established in May 2018 to conduct systematic police leadership research and field-based trai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research and education of the Korean National Police University Leadership Center and to suggest a developmental direction for the study of police leadership. For research purposes, 109 of 289 degrees and academic papers searched under keywords for ‘police’ and ‘leadership’ were selected and general characteristics analyzed. Next, internal characteristics such as leadership theory, research subjects, and research methods were analyzed for 94 books that excluded duplicate text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police leadership research tended to be similar to general leadership research, and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academic papers approaching police leadership from an administrative and policy perspective. No research has been approached from a leadership perspective, and a number of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 a single fashion. Second, the study of police leadership was focused on the one-to-one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integrated approach. Third, the research target was focused on the impact on the performance of the leadership of the mid-level or top-level managers on the overall performance of police officers and police affairs. Fourth, the research method was concentrated on quantitative research.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research and education directions of the “Korean National Police University Leadership Center” we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basic research on the definition and concept of police leadership should precede. Second, qualitative and longitudinal research that reflects the police officer’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n leadership is necessary. Third, research on competency models for police leadership education and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programs based on field cases are necessary.

      • KCI등재

        Organizational Correlates of Police Officers’ Attitudes toward Use of Excessive Force

        김정림(Jeong Lim Kim),이훈(Lee, Hoon),william wells,James J. Vardalis 경찰대학 경찰학연구편집위원회 2015 경찰학연구 Vol.15 No.3

        지난 반세기 동안 경찰 물리력 행사는 학계, 정책결정자를 막론하고 중요한 사회문제의 하나로 자리매김하여 왔다. 경찰 물리력 사용과 관련 연구는 경찰관 개인의 특성중심에서 사회 생태학적 요소의 영향으로 차츰 그 초점이 옮겨가다 최근 들어 경찰 조직의 영향에까지 확장되었다. 이러한 조직적 영향에는 물리력 사용과 관련된 경찰관서의 정책, 교육 및 훈련 정도, 과다 물리력 사용과 관련된 문책과 징계 정도, 감독자의성향, 경찰조직의 하위문화 등이 주로 거론되고 있으나 아쉽게도 이러한 조직적 요소들에 대한 실증적 연구는 아직까지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경찰관서의 중간관리자들이 필요 이상의 물리력을 행사하는 부하직원을 징계하는 정도와 경찰관서 내부의 비위경찰관을 보호하려는 하위문화의 일부에 해당하는 소위 “경찰침묵 코드”의 강도가 실제 일선 경찰관들이 갖는 과다 물리력 행사에 대한 의식과의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미국 30개 경찰서 소속 경찰관 약 3,000여명의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위계적 선형모형을 활용한 본 연구 결과 감독자의 과다 물리력 사용 경찰관에대한 징계 수준이 낮을수록 그리고 경찰관서 내의 “침묵 코드”의 강도가 높을수록 일선 경찰관들의 과다 물리력 행사를 용인하는 수준도 높아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 결과에 따른 정책적 대안과 후속 연구와 관련된 제안을 제시하였다. Police use of force continues to occupy the interests of researchers and policymakers. Over the past decades, the focus of research on police use of excessive force has changed from emphasizing individual perspectives to emphasizing socioecological and organizational perspectives. Given that organizational factors affect police use of excessive force, researchers have looked toward formal and informal aspects of organizations to gain a better understanding of what influences use of force. In the current study, supervisory willingness to discipline as well as the “Code of Silence” were hypothesized to affect officers’ attitudes toward police use of excessive force. Using Klockars’ survey data collected from 3,232 officers in 30 police agencies, the current study tested two hypotheses by estimating the impact of supervisory willingness to discipline and the “Code of Silence.” Using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the current study discovers the “Code of Silence” has greater influence on officers’ attitudes toward use of excessive force than supervisory willingness to discipline. Polic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한국형 대화경찰 제도의 효과성 인식 및 그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홍세은(Hong, Se Eun),정제용(Jung, Je Yong),김학경(Kim, Hak Kyong) 경찰대학 경찰학연구편집위원회 2021 경찰학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2018년 10월부터 한국 경찰에 도입된 ‘대화경찰’ 제도의 효과성에 대한 인식과 이에 대한 영향요인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먼저 경찰관과 집회참가자 대상의 설문조사를 통해 대화경찰 활동에 대한 평가, 질서유지 및 집회 자유보장 측면에서의 효과성, 그리고 대화경찰 활동에 대한 만족도 등, 제도의 효과성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집회참가자들이 인식하는 대화경찰 제도에 대한 효과성이 경찰관의 인식보다 더 긍정적임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외부보다 경찰 내부에서 대화경찰 제도에 대한 회의적 시각이 더 강한 실정임을 보여준다. 이어서 대화경찰 제도에 대한 효과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경찰관의 효과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근속연수, 대화경찰 업무수행 횟수 등이었으며, 반면에 집회참가자가 인식하는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대화경찰과의 직접적인 소통 경험 유무, 경찰에 대한 평소 신뢰도 등이었다. 또한 경찰관과 집회참가자 모두 공통적으로, 집회현장에 배치되는 대화경찰이 적다고 인식할수록 효과성을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집회시위 자유 보장에 대한 당위성을 높게 인식할수록 대화경찰 제도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자들은 대화경찰의 적극적인 활동을 촉구하고 집회시위 자유 보장 역할을 강조하는 등, 대화경찰 제도에 대한 인식개선 방안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perception and its influencing factors of the effectiveness of the "Korean Dialogue Police" system introduced to the Korean national police since October 2018. First, each survey on police officers and protest participants attempted to confirm the perception of the effectiveness of the system, such as evaluation of dialogue police activities, effectiveness in maintaining order, effectiveness in ensuring freedom of demonstrations, and satisfaction with dialogue police activitie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effectiveness of the dialogue police system perceived by the protest participants was more positive than that of the police officers, and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skepticism about the dialogue police system was stronger inside the police than outside. The study then identified factors that influence the perception of effectiveness in the dialogue police system.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police officer"s perception of effectiveness were the number of years on service and the number of times they performed as dialogue police. In contrast, the factors that affect the effectiveness of the rally participants were the experience of direct communication with the dialogue police. In addition, both police officers and participants were found to have higher perception of effectiveness if fewer dialogue police officers were deployed to protest sites. It was also found that the higher the legitimacy of the demonstration they perceive, the more positive they were toward the dialogue police system. Based on these results, the authors discussed the ways to improve awareness of the dialogue police system, such as encouraging active activities of the dialogue police and emphasizing the role of ensuring freedom of demonstrations.

      • KCI등재

        우리나라 외근경찰관 휴대무기 체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이훈(Lee, HOON),김동률(Kim Dong Lyoul) 경찰대학 경찰학연구편집위원회 2016 경찰학연구 Vol.16 No.2

        미국 내 대부분의 경찰관서에는 시민의 저항수준에 따른 적절한 경찰 물리력을 설정함으로써 합리적인 경찰 물리력 사용을 담보하기 위한 경찰 물리력 사용 지침으로 활용되는 ‘경찰 물리력 사용 연속체(police use of force continuum)’를 도입, 운영하고 있다. 대부분의 미국 경찰관은 이러한 ‘경찰 물리력 사용 연속체’에 입각하여 살상 무기인 총기뿐만 아니라 테이저건, 호신용 OC 최루액 분사기, 경찰봉 등 일련의 총기대체장비도 근무 중 항상 휴대하고 있다. 반면 우리나라 지구대 파출소의 외근경찰관은 2인1조 근무원칙에 의거 총기, 테이저건(또는 가스분사기)은 분리 휴대, 삼단봉은 선택적으로 휴대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 외근경찰의 2인1조 근무원칙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는 경우에는 심각한 경찰 물리력 공백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며 이로 인하여 시민 또는 경찰관의 생명에 중대한 위험이 초래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외근경찰관의 휴대무기 체계의 문제점을 미국 및 우리나라의 판례와 실제 경찰관 물리력 사용 사례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지구대 파출소 외근경찰관 개인별로 ‘권총-테이저건-삼단봉-호신용 OC 최루액 분사기’ 등 일련의 경찰장비를 휴대하여 할 필요성, 권총 실탄사격 위주의 훈련에서 탈피, 종합적인 경찰 물리력 사용 훈련 프로그램의 도입 그리고 사용된 모든 신체적 물리력에 대한 보고서 작성 제도의 도입을 정책적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A growing number of police departments in the United States have adopted police use of force continuum as a management tool in an effort to instruct their officers regarding adequate use of force, ordering appropriate police force relative to citizen resistance levels. The majority of police officers in the Unites States are equipped with not only deadly weapon but also a series of non-lethal force including taser guns, OC sprays and batons, which is a result of the decisions of the United States Supreme Court as in Tennessee v. Garner (1985) and Graham v. Connor (1989). Nevertheless, patrol officers in the Korean National Police Agency carry only a handgun or a taser, not both. Furthermore, Korean patrol officers are not mandated to carry a baton while on duty. As a result, it is likely that patrol officers experience the lack of adequate police force options during their encounters with citizen resistance, which may lead to police use of excessive force as well as officer injury or death. Based on court decisions and real cases both in the United States and Korea regarding the incidents related with flaws in police use of force continuum,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reveal the problematic issues resulting from the inadequacy in the current weapon carrying system in the Korean Police Agency. Finally,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each individual patrol officer should carry a series of weapons, including a handgun, a taser, a baton, and OC spray. The suggested new police weapon carrying system must be followed by comprehensive use of police force training as well as mandatory use-of-force reporting systems.

      • KCI등재

        무질서 인식이 범죄 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경찰 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임하늘(Yim, Ha Neul) 경찰대학 경찰학연구편집위원회 2022 경찰학연구 Vol.22 No.2

        이 연구는 무질서 인식과 범죄 두려움의 관계를 경찰 신뢰가 매개하는지 검증하는 것이 목표이다. 무질서 인식이 범죄 두려움에 미치는 영향은 주로 깨진 유리창 이론에서 제시한 모형을 통해 설명되었다. 깨진 유리창 이론은 무질서 인식은 범죄 두려움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미치기보다는 지역사회 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사회적 통제 능력이 부재한다는 메시지를 전달함으로써 범죄 두려움을 유발한다고 보았다. 그런데도 선행연구는 무질서 인식과 범죄 두려움의 직접적인 관계만을 검증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공백을 메우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2018 전국범죄피해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사회적 통제 요소인 경찰활동에 대한 신뢰가 물리적·사회적 무질서 인식과 폭력피해·재산피해 두려움 사이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분석하였다. 매개분석 결과, 물리적·사회적 무질서 인식과 폭력피해·재산피해 두려움 사이의 관계에 대한 경찰 신뢰의 매개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연구 결과는 깨진 유리창 이론에서 제시한 모형은 타당하다 볼 수 있으며 무질서 인식이 유발하는 범죄 두려움을 감소하는데 있어 경찰의 역할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is aimed at examining the mediating impact of confidence in the police on the disorder fear of crime relationship.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disorder and fear of crime is grounded on broken windows theory. Broken windows theory suggests that the impact of perceived disorder on fear of crime is not direct. Rather, disorder is hypothesized to signal a lack of social control, which sparks fear of crime. However, prior studies have focused on the direct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disorder and fear of crime. To fill this gap, using 2018 Korean Crime Victimization Survey, the current study explored whether confidence in the police as a measure of perceived formal social control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nd physical disorder and fear of violent and property crime. The results found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confidence in the poli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nd social disorder and fear of violent and property crim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findings not only confirm a proposition of broken windows theory but also the role of police in dealing with fear of crime caused by perceived disorder.

      • KCI등재

        경찰관 진로희망 고등학생의 목표내용과 삶의 의미 간 관계: 사회공헌목표의 매개효과

        박수원(Park, Soo Won),최병호(Choi, Boung Ho) 경찰대학 경찰학연구편집위원회 2020 경찰학연구 Vol.20 No.1

        경찰관 진로를 희망하는 청소년이 어떠한 목표내용을 추구하는지, 그리고 이러한 목표내용이 삶의 의미와 어떠한 관계를 가지는지 확인하는 것은 미래경찰 인력의 특성에 대한 청사진을 그리게 해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임경찰관 교육에서 어떤 교육적 철학과 목표를 세워야 하는지에 대한 실마리를 제공해줄 수 있다. 본 연구는 경찰관으로의 진로를 희망하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다른 직업(교사, 군인, 공무원, 회사원, 의사, 법관) 진로를 추구하는 고등학생에 비해 목표내용(부, 명예, 사회공헌)에 있어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확인하였다. 또한 경찰관 진로희망 청소년이 추구하는 사회공헌목표내용이 삶의 의미와 어떤 연관을 가지는지를 종단적으로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경찰관 진로희망 고등학생들은 부목표나 명예목표에 있어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사회공헌목표에 있어서는 다른 진로희망(교사, 공무원, 회사원) 고등학생에 비해 사회공헌목표를 높게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공헌목표는 진로희망과 삶의 의미 추구 및 삶의 의미 확인 간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경찰관 진로를 희망하는 것이 사회공헌목표와 밀접한 연관을 가지고 사회공헌 인식이 높아야 삶의 의미증진을 이끌 수 있음을 시사한다. 나아가, 경찰 양성의 과정에서 사회공헌목표를 추구하고 실현할 수 있는 사회적 분위기와 체제를 형성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Examining goal contents and its relationships with meaning of life among high school students who have desired career as a police officer would not only serve to shed light on the blueprint of future human resources of police officers, but also suggest the direction of what is needed to develop educational environment for developing their professions. The current study examined if there is any differences between steudents who have desired carrer as police officer and who pursue different careers (police officer, teacher, soldier, public official, corporate staff, doctor, judge), in terms of goal contents (wealth, fame, social concern). In addition,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oncern goals and life meaning of adolescents desiring a career as a police officer was examined. High school students have desired career as a police officer pursued socially concerned goals, more so than those of other careers (teacher, public official, corporate staff). Also, social concern goals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ursuing a career as a police officer and the meaning of life (search and presence). These results exhibited that pursuing a career as a police officer is closely related to social concerns goals, which is also related with life meaning. Establishing social environment and educational systems for pursuing socially concerned goals is needed in the development process for future police officers.

      • KCI등재

        경찰의 정신질환 위기대처방안에 대한 연구 - 미국의 위기개입팀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안재경(Ahn, Jae Kyung),최이문(Choi, Yi Moon) 경찰대학 경찰학연구편집위원회 2019 경찰학연구 Vol.19 No.2

        정신질환자의 위기상황에 가장 처음 대처해야 하는 법집행기관은 경찰관이다. 경찰이 대면하는 정신질환자는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정신질환 범죄자의 수 또한 증가하고 있지만 우리나라 경찰은 정신건강과 관련된 훈련이나 교육을 충분히 받지 못하고 있다. 현존하는 매뉴얼도 현장의 경찰관에게 필요한 도움을 충분히 주지 못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경찰관이 정신질환자를 대처하는 방법과 기술에 관한 모델인 위기개입팀(Crisis Intervention Team)이 존재하는데, 실무적으로나 경제적으로나 효과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에서 개발되고 활용되는 위기개입팀의 내용과 사용모델을 개관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내 경찰관들의 교육과 훈련에 주는 시사점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더불어 본 연구의 의의, 시사점, 그리고 후속 연구 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Police officers are often the first law enforcement responders to incidents involving people with mental illness. In Korea, encounters between police and people with mental illnesses are common, and the prevalence of mentally disordered offenders has been increasing. Even though the police are responsible for maintain public order and defuse volatile situations involving persons who are mentally ill, they often feel inadequately equipped or supported to deal with the crises involving person with mental illness. In the U.S, the use of police response model, such as the Crisis Intervention Team (CIT model) was developed and adopted for police departments nationally, as the CIT model intervene more effectively and humanely in situations involving troubled individuals. CIT can be thought of as a method for reducing the risk of injury to police officers and mentally ill persons, diverting persons to mental health treatment instead of jail. The legal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nd future directions for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Organizational Stressor Associated with Six Aspects of Police Officer Stress in South Korea

        Jeong Lim Kim(김정림),Hyung Jin Lim(임형진) 경찰대학 경찰학연구편집위원회 2016 경찰학연구 Vol.16 No.1

        공공생활, 자유, 그리고 재산에 막강한 영향을 가진 필수불가결한 사회 제도로써 경찰업무는 효율적이고 효과적이고, 적정하고, 합법적이어야 한다. 조직 행위를 연구할 때 지난 50여년 동안 관리에 있어 행동주의 학파는 개인의 스트레스가 개인의 업무성과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발견해 왔다. 본 연구는 관료수준 평가 및 업무진단조사(JSD)에 의해 평가된 경찰관들의 조직적 업무 환경에 대한 인식과 간략한 증상 목록 (BSI)에 의해 측정된 경찰관들의 곤란증상들과의 상관관계를 검사하였다. 본 연구는 512명의 남녀 경찰관을 상대로 진행된 한국경찰 설문조사 내용에 다층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인구학적 특성과 경찰-지역사회 관계를 통제할 때, 관료제 수준에 대한 개인의 인식은 경찰업무특성보다 경찰관들의 곤란증상에 대한 개인의 인식에 더 큰 영향을 끼쳤다. 연구결과가 의미하는 시사점과 본 연구의 한계가 논의된다. Policing is an inevitable social institution and has a grave impact on public life, liberty, and property. Therefore, it should be efficient, effective, appropriate, and legitimate. While studying organizational behavior, during the last five decades, behavioral school of management has found that personal stress has a great impact on individual job performance.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correlations between police officers’ perceptions of organizational job environment assessed by the Job Diagnostic Survey (JDS) along with the Bureaucracy Level Assessment and perceptions of distress symptoms measured by Brief Symptom Inventory (BSI). Survey data from the Korean National Police Agency including 512 male and female police officers were used in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suggested that, while controlli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police-community relationships, individual perceptions of bureaucracy level have a more significant impact than police job characteristics on individual perceptions of distress symptom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are suggested.

      • KCI등재

        Police “Code of Silence” and Municipal Liability Risks: A Review of U.S. Federal Case Law

        Lee Hoon(이훈),mohael S. Vaughn,Kim Dong Lyoul(김동률) 경찰대학 경찰학연구편집위원회 2015 경찰학연구 Vol.15 No.1

        폐쇄적인 경찰 조직의 특성 및 근무 환경으로 인해 경찰 내 소위 “침묵 코드”(Codeof Silence)가 발달하게 되며, 이러한 “침묵 코드”로 인해 조직 구성원이 다른 경찰관의불법행위를 인지하더라도 내부고발을 주저할 수밖에 없는 상황으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경찰조직 내에 “침묵 코드”가 만연한 경우에는 경찰조직 내부에 대한 외부의감시 또는 처벌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다는 위험한 경찰하위문화를 조성할 수 있다. 미국 1871년 민권법은 경찰조직 내의 위헌적 정책 또는 관습으로 인해 미국 국민의 헌법적 권한이 침해된 경우 경찰에 대한 민사배상청구권을 폭넓게 인정하고 있는 바, 경찰조직 내에 팽배한 “침묵 코드”로 인한 경찰관 불법행위 옹호행태에 대해서도 일정 부분 경찰의 민사배상책임을 인정하고 있다. 본 연구는 미국 경찰의 “침묵 코드”로 인한미국 1871년 민권법 민사배상책임에 관한 연방하급심 판례 분석을 통해 경찰조직의 비리행위 은폐 실태와 조직운영 책임 사이의 인과관계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LexisNexis에 수록된 경찰 “침묵 코드”와 관련된 총 539건의 미국 연방 민사소송 사건 일체에 대한 분석 결과, 도합 59건에서 경찰의 민사책임이 인정되었으며,경찰 중간 관리자 및 지도부에 의한 조직 구성원의 불법행위에 대한 조직적 무시, 제역할을 수행하지 못하는 내부감찰활동 및 비리경찰관에 대한 면책 등 경찰조직 내의의도적 인식회피로 시민의 헌법적 권한이 침해되고 있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또한 조직 구성원을 보호하기 위해 법정에서의 허위 증언도 종용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는 경찰 “침묵 코드”에 동조하지 않는 양심적인 경찰관에 대해 조직적인 괴롭힘, 징계, 배척, 배반자라는 낙인, 감찰조사 등을 통한 보복을 자행함으로써 경찰 “침묵코드”를 유지하려는 행태도 발견하였다. 따라서 시민의 인권보장 및 건전한 경찰 조직문화 형성을 위한 바람직한 경찰조직 운영 및 조직문화 형성의 중요성 인식이 필요하며 경찰 “침묵 코드” 척결에 대한 반성이 요구된다 할 수 있다.

      • KCI등재

        우리나라 지구대 파출소 외근경찰 휴대무기 체계 개선 필요성에 관한 일선 경찰관 인식 연구

        이훈(Lee, Hoon) 경찰대학 경찰학연구편집위원회 2017 경찰학연구 Vol.17 No.4

        현행 우리나라 지구대 파출소 외근경찰관 휴대무기 체계는 2인 1조 근무원칙에 따라 필수휴대장비인 ‘권총-테이저건(또는 가스분사기)’은 분리휴대, 삼단봉은 선택휴대 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최근 이러한 경찰 휴대무기 체계의 흠결로 인한 일선 외근경찰관의 물리력 과부족 현상과 시민뿐만 아니라 경찰관의 신체적 위해 사이의 상관관계 가능성을 제시한 귀납적 연구가 등장하였다. 이 연구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실제 일선 지구대 파출소 외근경찰관 설문조사를 통하여 현행 휴대무기 체계의 흠결과 휴대무기체계 개선 필요성 사이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역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특히, 이 연구는 외근경찰관이 파트너가 부재인 상태에서 시민 또는 피의자를 단독으로 대면한 경험과 휴대한 경찰장비 이외의 장비가 필요한 시민 또는 피의자 대면 상황 경험과 ‘경찰 물리력 사용 연속체’에 기반을 둔 외근경찰관 1인 기준 ‘권총-테이저건-호신용 최루액 분사기-삼단봉’ 일체 휴대 필요성 사이의 상관관계를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단독근무 및 물리력 부족 경험과 휴대무기 체계 개선 필요성 간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설문응답자의 물리력 사용 경험 변수를 통제한 상태에서 나타났기 때문에 일선 경찰관들은 실제 경찰 물리력 사용 빈도와 상관없이 현행 휴대무기 체계 개선 필요성에 공감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 연구는 분석결과에 따른 경찰청의 향후 휴대무기 체계 개선 노력 필요성과 후속 연구의 방향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Currently, Korean uniformed police officers in the line of duty are required to carry either a .38 caliber revolver or a taser gun while they opt to carry a baton. A recent deductive research study proposed a hypothesis that the present weapon carrying system of the Korean Police Agency might cause situations where officers cannot adequately respond to citizen resistance, which, in turn, causes citizens’ and officers’ injuries or deaths. In this regard, the current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fects in the weapon carrying system in Korean Police Agency and officers’ perception toward the necessity to revise the system, utilizing the survey results of Korean police officers. Particularly, the present study focused on the issues of (1) whether police officers had an experience of encountering citizens without a partner officer, (2) whether they needed other weapons that they did not carry during encounters with citizens, (3) whether they agree to a new police weapon systems of “handgun-taser-OC spray-baton.” The result shows that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two variables and officers’ perceptions toward revising the current weapon carrying systems. The present study discuses policy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