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지역사회 정신사회 재활프로그램이 만성정신질환자의 증상에 미치는 영향

        김이영(Yi-young Kim),배성우(Sung-Woo Bae)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09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Vol.2 No.2

        연구목적 : 우리나라에서 지역사회 정신보건법이 시행된 지 10여년이 지났지만 지역사회의 정신재활 프로그램이 어떠한 효과를 지니고 있는지를 장기적으로 검증하고자 하는 연구는 매우 미미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약 3년에 걸쳐 제공된 지역사회 정신재활 프로그램이 만성정신질환자의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 대구지역 1개 사회복귀시설에 등록한 만성정신질환자 31명(대상집단 18명, 비교집단 13명)을 대상으로 2002년 5월부터 2007년 8월에 걸쳐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는 대상집단의 경우에는 시설에 신규로 등록을 한 후,초기측정을 실시하였고,1년 간격으로 총 3회(초기 측정치 포함, 총 4회)에 걸쳐 반복측정을 실시하였으며, 비교집단은 정신재활프로그램을 이용하지 않는 집단을 대상으로 동일한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조사도구는 황태연 등(2000)이 개발한 한국판 정신사회적 기능-증상 평가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자료분석 은 반복측정 분산분석 기법을 활용하였다. 결과 : 1) 증상의 총점과 충동 및 탐닉행동에서 대상집단의 증상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 우울 및 불안 증상과 정신병적 증상에서는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전반적으로 대상집단의 증상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3) 증상총점과 하위영역의 분석에서 나타난 대상집단의 공통적인 변화의 형태는 최초 1년간은 기능이 가파르게 감소하지만,2년차 및 3년차에는 그 감소세가 하락하거나 유지되는 형태를 보이면서 변화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었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사회복귀시설에서 제공하는 정신재활 프로그램은 만성정신질환자의 증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그 영향력이 장기간에 걸쳐 지속되고 있음을 검증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Objectives : It has been more than 10 years since the community mental health law was enforced in Korea. However, little efforts have been made to examine the long-term effect of the community psychiatric rehabilitation program.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and report the long-term effectiveness of a communityㅡbased psychiatric rehabilitation program on the symptom levels of the severely mentally ill. Method : Data were collected from a total of 31(18 for the study group and 13 for the comparison group) patients who were enrolled at a psychosocial rehabilitation center in Daegu metropolitan area in between May 2002 and August 2007. For the study group, the newly enrolled patients were contacted and baseline data were collected within 6 months after their enrollment. Then, they were followed up every 12 months for 3 years. The comparison group consisted of patients who did not receive services from the agency. The data for the comparison group were collected using the same procedures mentioned above. We employed the Korean version of psychosocial function and symptom evaluation scale developed by Hwang et al. (2002) in order to measure psychiatric symptoms. The main data analysis was conducted employing the repeated measure of ANOVA. Results : 1) It was revealed that the study group"s symptom level decreased significantly over time in the domains of overall symptoms and impulse & indulgence behavior. 2) In the analyses of depression & anxiety domain and psychotic symptom domain, it was found that the study group"s symptoms tended to decrease over time although they did not reach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3) The study group"s common longitudinal change pattern over time was as follows. The level of symptoms decreased very rapidly in the first year period. Then, the decrease rate was either diminished very much over time or remained unchanged after one tear period. Conclusion : Taken together, the overall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psychosocial rehabilitation program provided by a community-based psychosocial rehabilitation center influenced positively in reducing patients" psychiatric symptoms. It can be also concluded that the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program"s positive impact tended to last over time.

      • 농촌노인의 사회적 배제와 경제적 불평등의 실증분석

        최민정(Choi, Min-jeong),권정호(Kwon, Jeong-ho)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4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Vol.7 No.1

        본 연구는 노인 집단을 ‘농촌노인’과 ‘도시노인’으로 구분하여 거주지역에 따른 경제적 불평등 및 사회적 배제 실태를 비교하고, 사회적 배제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것이다. 분석 결과 첫째, 농촌노인과 도시노인은 소득과 자산 등 전반적인 경제적 측면에서 차이가 나는 집단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시노인은 총소득과 근로소득, 사적ㆍ공적 이전소득이 높아 공적연금의 혜택을 비교적 많이 받고 있는 반면, 농촌노인은 정부보조금과 같은 잔여적인 소득급여 의존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득불평등을 분석한 결과 농촌노인의 소득불평등에 가장 크게 기여하는 것은 사업 및 부업소득과 근로소득이었다. 이러한 사업 및 부업소득과 재산소득, 공적이전소득은 총소득보다 더 불평등하게 분배되었으며, 반대로 근로소득과 사적이전소득은 비교적 평등하게 분배되어있다. 셋째, 농촌노인은 도시노인에 비해 경제, 고용, 건강, 사회참여, 가족관계영역에서 더 높은 수준의 사회적 배제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이러한 차이를 발생시키는 요인은 농촌노인의 경우 성별과 혼인상태, 저소득 여부였으며, 도시노인은 성별과 연령, 교육수준과 가구원 수, 저소득 여부와 취업여부가 사회적 배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우리나라 농촌노인은 인구사회학적 특성, 경제활동특성, 지역적 특성으로 인해 도시노인 보다 경제적 불평등과 사회적 배제를 더 많이 경험하고 있었으며, 노후생활수준에서도 전반적으로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경제적 불평등과 사회적 배제를 겪고 있는 농촌노인에 대한 지원방안으로 사회보장제도의 확충과 소득지원망의 확보가 필요함을 말해 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social exclusion and income inequality of the rural elderly population using the seven wave data of the 2012 Korea Welfare Panel Study. This study considered the elderly in rural and urban areas separately.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in five points. First, there were striking differences in economic welfare levels between the rural and urban groups. The urban elderly population had larger total incomes, earnings, and private-public pension incomes than the rural elderly population, which had fewer subsidies from the government and public organizations. Second, gross self-employment income were somewhat increased for the rural elderly when considering income inequality. Third, the Gini coefficient decomposition by income source showed that sideline businesses, properties, and public pension incomes contributed more to income inequality than did gross income. However, the earnings and private pension incomes of the rural elderly were more equally distributed than gross income. Fourth, social exclusion of the elderly in rural area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from urban areas. Fifth, it was found that gender, marital status, and low-income type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one’s social exclusion level.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found that poverty levels of the elderly population in Korea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individual career characteristics and area of residence.

      • KCI등재

        눈치, 부적응적 자기초점화주의, 사회부과 완벽주의 그리고 사회불안의 관계

        허재홍,박세준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0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Vol.13 No.2

        A previous study suggested that nunchi could reduce social anxiety by the decrease of self focused attention(SFA) and the correction of the distorted cognition(Socially prediscribed perfectionism(SPP).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at nunchi could reduce social anxiety in the mediation of SFA and SPP. Data was collected from the 338 college students(male: 144, female: 194) and analyzed. The hypothesis was tested by the path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acceptance, one of the subscale of nunchi scale decreased the social anxiety directly, and also in the medication of SFA and SPP. However, it did not reduced the social anxiety in the mediation of SPP. second, the commitment, the other subscale of nunchi scale, did not reduce the social anxiety.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nuchi could reduce the social anxiety not by the correction of the distorted cognition such as SPP, but by intervening the cognitive process such as SFA. Results were discussed. 사회불안 치료모형에서 각광받고 있는 사회불안의 인지적 접근에서는 사회불안의 발생과 유지에 부적응적 자기초점화주의와 사회부과 완벽주의를 중요한 기제로 보고 있다. 그런데 부적응적 자기초점화주의는 외부 상황 정보를 이용하지 못하고 오로지 자신의 내부 정보만을 이용하는 특징이 있고, 사회부과 완벽주의는 타인의 실제 기준과 상관없이 자신이 임의로 판단하는 특징이 있다. 이런 점을 고려하여 이 연구에서는 눈치가 부적응적 자기초점화주의와 사회부과 완벽주의를 감소시켜 사회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338명(남, 144명, 여, 194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결과를 보면 눈치의 하위 요인 가운데 파악 요인은 사회불안을 직접 감소시키기도 하고 부적응적 자기초점화주의를 감소시켜 사회불안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회부과 완벽주의를 감소시키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눈치의 또 다른 하위 요인인 행동 요인은 사회불안을 감소시키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에 대해 논의하였다.

      • 다산(茶山)사상을 통해서 본 사회민주주의적 경향 연구

        정재요(Jung, Jae Yo)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5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Vol.8 No.1

        본 연구는 다산(茶山) 정약용 선생의 사상을 통해, ‘우리이념 속에서의 사회민주주의적 맹아’를 발견하려는 목적을 지닌다. 이를 위해 먼저 서구에서 사민주의가 발현된 것과 유사한 조선후기의 역사적인 맥락을 고찰한 후, 사민주의 정치이념이 지니는 핵심가치와 지향과제를 살펴본다. 그 다음은 사민주의의 핵심가치인 자유?평등?연대?민주주의와, 지향과제인 국가의 경제개입?사회정의적 권리보장? 소득의 공정분배 등이 다산의 사유가 집적되어 있는 『經世遺表』, 『牧民心書』, 『大學公議』, 「原牧」, 「原政」, 「湯論」, 「田論」 등의 저서 속에서 어떻게 드러나고 있는지를 고찰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본 연구는 결론적으로 다산 정약용 선생의 사상 속에서 사회민주주의적 경향을 발견할 수 있음을 옹호하고자 한다. This study has the aim to discover the social democratic sprout of Korean political theories through the Dasan Jeong Yak-Yong’s thought. To do this, first of all looking at the social democracy appeared in Western that similar historical context of late Chosun Dynasty. after look at the core values of social democracy and oriented projects. looking at the core values of social democracy, that is liberty, equality, solidarity, democracy and oriented projects of social democracy, that is intervention of the national economy, ensuring social rights, fair wealth distribution. This will be examine How they are being represented in Dasan’s book such as ‘Kyungseyupyo(經世遺表)’, ‘Mockminsimseo(牧民心書)’, ‘Taehakkong?i(大學公議)’etc. Through the work described above, This study will argue that can be found in the social democratic tendencies in Dasan Jeong Yak-Yong’s thought.

      • 사회적 경제의 실천 조건과 정책을 통해 본 사회적 협동조합의 과제

        신창환(Chang Hwan Shin)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5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Vol.8 No.2

        신자유주의로 인한 다양한 사회적 문제가 발생하고 이에 대한 대안으로 사회적 경제에 대한 관심이 확대됨에 따라 정부에서는 협동조합기본법을 제정하고 사회서비스를 제공하는 사회적협동조합의 확대를 적극 추진하고 있다. 일자리 창출과 복지서비스 제공이라는 목적을 위한 사회적협동조합이 향후 증가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적협동조합이 활성화되기 위해서 필요한 조건을 살펴보고, 정부의 사회적 협동조합 정책을 분석하였다. 사회적 경제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조직들의 자생적인 발전과 적정 수준의 자율성이 보장되어야 하지만, 정부의 사회적 경제 정책 방향은 자율성보다는 규제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사회적협동조합의 자생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협동조합의 내적 역량의 강화, 지역사회 기반의 지원체계 확보, 협동조합 간의 네트워크 활성화가 요구된다. With interest of social economy as an alternative to various social problem caused by neo-liberalism, the Korean governments are now proceeding with enactment of cooperatives basic law. The increasing of many social cooperatives for creation of social job and provision of social services is expected forward. So this study has analysed practical conditions for activation of social cooperatives and government policy of social cooperatives. To activate social cooperatives, indigenous development of social economy organization and appropriate level of autonomy must be guaranteed. But the government policy on social cooperatives focuses on regulation rather than autonomy and independence. In order to ensure self-reliance of social cooperatives, it is required that organizational competence, establishing of supporting system on local community, increasing network capacities.

      • KCI등재후보

        『주역』 수풍정 괘의 사회정책적 함의

        양정하(Yang, Jung-Ha)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6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Vol.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전통사상 중의 하나인 유교사상의 가장 형이상학적 내용 내지 철학적 내용을 담고 있는 『주역』 수풍정 괘의 사회정책적 함의를 확인하는데 두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주역의 의리파적 해석에 기초하고 최근의 연구결과를 참작하여 개발된 연구틀이 활용되었다. 그리고 본 연구의 방법으로 기존 문헌을 통한 기술적 연구가 주로 사용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사회정책적 함의를 확인하였다. 그 정책함의로는 보편주의 사회정책의 추진을 위한 사회지도층 간의 견해 차이의 완화 내지 해소, 사회정책 목표를 달성하려는 지방정부의 확고한 실천, 중앙정부의 보편주의 사회정책의 수립과 추진 그리고 일관성 있는 사회정책의 추진 등을 들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는 바람직한 사회정책을 모색・추진하는데 있어 도움이 될 만한 정책적 함의를 확인해낼 수 있었다. 이렇듯 주역은 우리사회에서 긍정적인 측면에서 활용될 수 있는 충분한 소지를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산수몽 괘를 포함하는 주역은 사회정책 분야에서 새롭게 조명되어야 하고 활용되어야 할 인류의 유산인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seek the implications of the Jing Hexagram from the metaphysical or philosophical Book of Change and highlights the core of traditional Korean thought adopted from Confucianism from the point of view of social policy. For the purpose, this study develops and uses a framework based on the moral and ethical interpretation of the Book of Change and refers to recent relevant research results. This study incorporates descriptive research methods utilizing existing literature. Implications of the Jing Hexagram regarding social policy are identified as follows: easing or resolving the differences of viewpoint relative to achieving universal social policy among the social leaders, enforcing manifestly to accomplish the goal of social policy by local government, establishing and enforcing universal social policy by central government and enforcing consistently social policy. Such implications will contribute to seeking a desirable social policy. The Book of Change provides sufficient clues which can be positively utilized in our society. The Book of Change, which contains the Jing Hexagram, represents an important aspect of our human heritage which we need to highlight and actively utilize in developing social policies.

      • KCI등재

        초국주의, 초국화 그리고 21세기 초국적 가족

        최대희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2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Vol.15 No.1

        21세기 이민자의 사회적 삶은 이제 더 이상 국민국가적 경계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민자들은 자신의 사회적 삶을 고국에 남겨 놓은 가족 및 친인척을 포함하여 다장소적인 특징을 가진 초국적 사회 공간에서 조직하고 있다. 오늘날의 이주와 과거 국제이주를 구분하는 시각을 갖기 위해서는 오늘날의 초국적 이민자와 그 가족들이 초국적 사회 공간에 배태되어 있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첫째 근대 국민국가와 이주의 관계를 살펴보면서, 오늘날까지도 이주연구의 기본 분석틀로 기능하는 ‘방법론적 국가주의’ 관점을 비판하고자 한다. 둘째, 쉴러(Nina Glick Schiller)의 ‘초국주의’와 프리스(Ludger Pries)의 ‘초국화’ 구상을 설명하면서, 이민자의 사회적 관계, 사회적 네트워크, 사회적 영역을 포착하기 위한 이런 구상들이 어떤 역사적 또는 이론적 맥락에서 형성되었는지를 탐색한다. 이때 ‘문화적 흐름’으로서의 초국주의, 지구화, 세계시민주의 등 관련 구상들과의 대비를 통해 초국주의 및 초국화 구상의 특징과 그 지향을 드러내고자 한다. 셋째, 사람들 사이의 사회적 관계에 주목하는 이러한 구상들과 연결하여, 이민자들이 구축하는 초국적 사회 영역과 그들의 정체화의 문제를 논의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그간 이주연구의 근본토대로 작동해 온 방법론적 국가주의, 이민자의 사회적 영역과 삶에 주목하는 초국주의 및 초국화 구상 그리고 다장소적 특성을 가지고 있는 21세기 초국적 가족을 둘러싼 논의를 활성화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부모은중경』의 사회복지적 함의

        양정하(Yang, Jung-Ha)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7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Vol.1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를 포함하는 사회과학의 이해를 바탕으로 모색된 연구틀에 입각하여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역사적・문화전통이라고 할 수 있는 불교사상의 보고인 불교경전 중 부모은중경의 내용을 재구성하고, 그 경전의 사회복지적 함의를 파악하는데 두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부모은중경의 내용을 고려하여, 아동복지와 노인복지를 아우를 수 있는 이른바 ‘사회복지적’ 내지 ‘가족복지적’ 관점을 채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사회복지적 함의를 파악하였다. 그 함의로는 인간발달내지 가족주기를 고려한 가족복지의 강조, 우리나라의 바람직한 가족복지 방향설정의 시사점 제공, 인간다운 생활의 보장을 위한 통합적 접근의 필요성 그리고 사회복지의 가치의 부분적인 공유 등을 들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는 바람직한 부모-자녀관계의 형성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현실에 부합되는 가족복지의 방향을 모색하는데 있어 기여할 수 있는 사회복지적 함의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렇듯 부모은중경을 포함하는 다양한 불교경전은 “사회복지에 수용될 수 있는 불교사상”의 토대를 마련하고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한국적 사회복지 모델을 모색하기 위해서 다각적으로 규명되어야 하고 활용되어야 할 보고인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seek the implications of the Sutra of Filial Piety from the standpoint of the social welfare by using the framework which has devised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social science including social welfare. The framework has adopted the perspective of social welfare or family welfare. The Sutra of Filial Piety is one of Buddhist scriptures. The scriptures are regarded as the precious source of Buddhism which has been recognized as one of the representative historical and cultural traditions in our country, By considering the mentioned above thing, the Sutra of Filial Piety has been reconstructed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Implications of the Sutra of Filial Piety regarding social welfare are identified as follows: emphasizing family welfare considered by human developmental stage or family cycle, suggesting desirable direction of family welfare in our country, using the integrated approach in order to achieve the aims of social welfare, and partially sharing the values of social welfare. Such implications will contribute to forming a desirable relation between parent and child as well as establishing the direction of family welfare suitable for current situation in our country. Therefore various Buddhist scriptures including the Sutra of Filial Piety are the precious source which we need to identify and utilize variously.

      • 사회복지 현상에 대한 통합적 개념틀의 가능성 탐색

        김동국(Kim, Dong-Kook)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1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Vol.4 No.1

        어언 반세기를 넘는 연륜임에도, 한국 사회복지학은 사회복지문제의 해결이라는 현실 사회의 요구에 적절히 대응치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한국 사회복지학의 위기’라는 인식 하에서, 그 위기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통합적 개념틀을 탐색하는 데 있다. 20세기 이후의 과학철학은, 모든 현상이 이중성을 띠고 있음을 확인했다. 그 결과 지구촌의 과학철학은 분석적 패러다임에서 통합적 패러다임으로 극적인 전환을 기하였다. 그러나 여전히 사회복지학의 지배적인 패러다임은 분석적이었기에 사회복지 현상의 이중성을 확인할 수 없었다. 그리하여 먼저 몇 가지 차원에서 장애 현상을 중심으로 사회복지 현상의 이중성을 확인해 보았다. 그리고 그 이중적인 성격을 갖는 개별 현상의 구성 요소들이 갖는 관계는 상보적(변증법적) 관계임을 천명하는 통합적 개념틀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장애는 생리적 장애, 심리적 장애, 제도적 장애 및 문화적 장애 등으로 나눌 수 있었다. This Paper will be pointed out that Korean Social Welfare irrelevantly correspond to social welfare problems in reality, prescrieved that it"s situation are "the crisis of Korean Social Welfare and finally suggested as it"s provisions a quarterly-analysis framework. All social welfare pheonomena are consisted dual polarity. For example, in the theoritical version, attribute theory/context theory; in the nature of social welfare service, need-centerd service/human right-centerd service; in the ideological basis of that services, idealism/ materialism; in the nature of social welare problems, environmental(external) problem/it"s inner problem; in the practice model, individual model/social model etc. Thus, to understand these polarity innocently, we should explored welfare phenomenon integrational version. not an analytic version. Such polarity cannot be conceived of apart from one another ; they are two sides of the same coin. But, up to the present, dominant views of our profession have rejected that such polarity can be viewed as a duality, but rather sees them as a dualism. That is, those polarity can and should be seperated. In distinguishing them, we can better able to analyze their relationship to one another. But to my viewpoint, all social welfare phenomena are, without exception, either micro or macro and also either objective or subjective. Thus the relationship of those polarity must be conceived a dialetical relationship, not a exclusive one. Thus, the most steadfast and important intention guiding my work has been to overcome the opposition between objectivism and subjectivism, micro and macro. Focusing on the dialetical relationship between basic phenomenon in sicial welfare, I would finally suggest the quarterly-analysis framework as follow: first, individual(micro) vs. society(macro) in the horizontal level, next, objectivism vs. subjectivism in the vertical level.

      • KCI등재

        지역사회조직화 교육의 개선방안

        이마리아(Lee, Maria),이경은(Lee, Keung-Eun)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8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Vol.11 No.1

        본 연구는 지역사회조직가를 대상으로 지역사회조직화 교육에 대한 인식을 실증적으로 연구하였다. 설문조사결과 첫째 지역사회복지론의 일부로 수강하였으며 직접적인 실천을 하지 않아 실제 지역사회조직화를 수행할 때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조직가로서의 정체성 혼란, 구성원 모집을 위한 주민만남과 주민조직 운영 및 갈등관리에서의 어려움, 기관의 지원 부족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셋째, 사회복지사들이 선호하는 지역사회조직화 교육은 현장성이 나타는 실천가의 특강, 실습과 같은 형태를 제시하였다. 면접조사결과는 교육방법에 대해 직접 실천해볼 수 있는 과제제시와 학생들이 토론을 중심으로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방법과 충분한 시간확보를 제시하고 교육내용으로는 지역사회와 주민에 대한 이해와 지역사회조직화의 철학 및 이론이 보강되기를 희망하였다. This study is an empirical study of community organizer’s perception of community-oriented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survey showed that the first part of the study was taken as part of the social welfare theory, and that it was not considered helpful when carrying out actual community organizing because it was not done directly. Second, the organization was suffering from confusion in its identity as an organizer, difficulties in meeting residents to recruit members, managing resident organization and conflict management, and insufficient support from institutions. Third, social workers’ preferred form of communal organizing education was presented in the form of practical lectures and practices by practitioners whose status revealed to be different. The results of the interview showed how to present tasks that can be implemented directly on the educational method and how students can actively participate in discussions, and how to secure sufficient time for strengthening the social struc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