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관광객의 지역 관광이미지 형성이 관광 만족에 미치는 영향 - 전라북도 2개 시군을 중심으로 -

        박용순 ( Park Yongsoon ),강덕제 ( Kang Duk-je ) 경기대학교 관광종합연구소 2021 여가관광연구 Vol.35 No.-

        본 연구는 전북지역의 2개 시ㆍ군을 방문한 관광객을 대상으로 지역 관광이미지와 관광 만족 간의 영향관계를 탐구하고 있으며, 지역별로 구분한 집단 간의 차이를 규명하고 있다. 본 연구의 데이터 수집은 전문 리서치 기관의 도움을 받아 온라인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각 지자체별로 160부씩 총 320부를 수집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2개 집단에서 공히 지역 관광이미지를 구성하고 있는 2개요인(정서적, 인지적)은 관광 만족을 구성하고 있는 2개요인(서비스, 시설)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관계를 나타내고 있고, 집단 간의 차이를 검토한 결과 고창군에서는 지역 관광이미지가 시설 만족에, 그리고 임실군에서는 서비스 만족을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서 알 수 있는 것은 지역을 방문하는 관광객은 지역의 관광이미지로 공히 정서적 관광이미지를 중요하게 고려하고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로서 중요한 의의는 해당 지역을 방문하는 관광객이 기대하는 정서적 측면을 간과하지 말아야 하며, 지역의 관광활성화를 위해서는 지역별 특성에 맞게 물리적 측면과 소프트웨어적인 측면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지역관광활성화를 도모하려는 다수의 지자체 관광정책에 유용하 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local tourism image and tourism satisfaction for tourists who have visited two local county in the Jeollabuk-do, and identifies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Data collection of this study,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the help of a specialized research institute, and a total of 320 copies, 160 copies for each local County, were collected and used for analysis..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analyzed that in both groups, two factors of local tourism image(affective, cognitiv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two factors of tourism satisfaction(service, facility). In addition,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it was confirmed that Gochang County perceived the local tourismimage more positively on the facility satisfaction, and Imsil County more positively on the service satisfaction. The major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confirming that the emotional aspect expected by tourists visiting a specific local county should not be overlooked, and In order to revitalize tourism in the region, the physical and software aspects should be strengthen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unty.

      • KCI등재후보

        세계문화유산 화성행궁 내 관광안내판 보완 수단으로써 이동식 안내판 적용

        김주연 ( Ju Yeon Kim ),홍성주 ( Sung Ju Hong ) 경기대학교 관광종합연구소 2016 여가관광연구 Vol.25 No.-

        관광자원해설은 관광지가 가지고 있는 가치를 다양한 매체를 통하여 관광객에게 알려주는 것이다. 따라서 관광객은 관광자원해설을 통하여 지식 및 정보를 습득하고 관광자원에 대한 가치를 이해하고 태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정보 및 지식을 습득하는 과정을 통하여 태도를 변화하기 위해서 관여도는 필수적인 요소이다. 정교화 가능성 모델에 따르면 관여도가 낮은 관광객의 경우 핵심경로보다는 주변경로를 통하여 정보를 습득하는 경향이 있다. 화성행궁을 방문하는 관광객은 역사 교육 목적의 방문객 보다는 나들이식의 관광목적으로 방문하는 관광객이 많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역사교육에 관심이 없는 관광객들에게 정보를 전달함에 있어서 핵심경로가 아닌 주변경로를 통하여 정보를 전달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화성행궁의 안내판은 이동 동선을 고려하지 않고 정보중심의 콘텐츠로 구성되어 있어 효율적이지 못하다. 따라서 이동식 안내판을 대안책으로 사용하여 고정식 안내판과 동시에 사용 되었을 때 관광객에게 지식을 효율적으로 전달하고 안내판의 이용률을 높일수 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고정식 안내판을 이용하였을 때보다, 고정식 안내판과, 이동식 안내판을 동시에 사용 하였을 때 관광객이 이해도와 이용률이 높아졌다. 따라서, 세계문화유산 관광지에서 정보를 전달함에 있어 고정식 안내판과 더불어 이동식 안내판을 사용한다면 효율적인 정보 전달로 인하여 관광객이 대상지에 가지고 있는 태도를 변화하는데 사용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important role of interpretation is to deliver precious value of tourist destination to visitors by using various methods. Thus, the interpretation can change tourist`s attitude about tourist destination. The involvement is an essential factor, in order to change tourist`s attitude through the process acquiring information. In light of Elaboration Likelihood Model(ELM), the person who is low-involved is likely to gain the information through peripheral route, on the other hand, the person who is high-involved is likely to get the information through centre route. There are many tourists for Hwaseong Haenggung who have a low involvement. Their main purpose is not to understand cultural heritage, but to go on a picnic.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se peripheral route in order to provide information. In Hwaseong Haenggung, however, location and expression of tourist sings is not appropriate, in that their disposition is apart from tourist`s route. For this reason, tourist can use tourist signs without any problems when portable tourist signs are used together. According to the result, tourists can understand information of Hwaseong Haenggung more efficiently with portable tourist signs. In conclusion, portable tourist signs can play an important role on providing them with proper knowledge and information and changing traveler`s attitude.

      • KCI등재후보

        노자 도덕경에 나타난 관계의 관광적 의미 고찰

        강덕제 ( Kang Deog-je ) 경기대학교 관광종합연구소 2018 여가관광연구 Vol.30 No.-

        본 연구에서 관광은 주로 개발도상국과 지방 자치 단체가 관광의 산업적, 경제적 가치에 초점을 맞추어 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채택되어왔다. 이러한 경향은 그대로 유지되고 있으나 관광지 개발을 통한 다양한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노력은 주거 지역으로 확대되고 있다. 노자 도덕경의 문헌 연구에 기초한 질적 연구방법으로 진행한 관광 현상을 접근하고자 한 본 연구는 노자 철학이 관광에서 일어나는 상호관계, 관광 동기, 그리고 관광 활동의 다양한 현상의 상호 관련성을 설명할 수 있는지에 대한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한 시도였다. 이 연구는 심층적인 연구 접근법이 소비자와 관광기업 또는 종업원으로서의 관광객과 지역주민과 관광기업 사이의 다양한 상호작용 그리고 이러한 상호작용과 관광 활동에 의해 발생하는 관광 현상을 조사하는 데 타 학문의 시각에서 관광 현상을 고찰하는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Tourism has been adopted as a means to promote economy mainly in developing countries and local governments since they focus the industrial and economical value of tourism. Such trend is maintained at present but the attempts to develop tourism sites satisfying various needs are expanding towards residential areas.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complex tourism phenomena from the view of related study in order to explain the phenomena in depth. It approaches tourism based on Tao Te Ching of Lao Tzu,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e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whether Lao Tzu's philosophy is able to explain the interrelationship in tourism, the motivation of tourism, and diverse phenomena in tourism activitie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in-depth research approach is more beneficial in examining diverse interactions between tourists as consumer and tourism enterprises or employees, and between local residents and tourism enterprises, and the tourism phenomena occurred by those interactions and tourism activities in depth.

      • KCI등재후보

        관광스토리텔링이 방문자의 매력지각과 행동의사에 미치는 영향 : 군산 시간여행마을을 대상으로

        천민경 ( Cheon Min-kyoung ) 경기대학교 관광종합연구소 2019 여가관광연구 Vol.31 No.-

        본 연구는 군산 시간여행마을을 방문한 관광객을 대상으로 관광스토리텔링과 방문자의 관광목적지에 대한 매력지각, 관광객 행동의사간의 영향관계에 알아보고자 하였다. 현대사회가 빠르게 변화하면서 관광객의 가치관은 변화하고 욕구는 다양해지고 있다. 급변하는 유행에 따라 인기를 얻은 관광지의 모방이 늘어나면서 관광목적지의 차별화가 중요해지고 있다. 따라서 관광지만이 가지고 있는 고유성 즉, 스토리텔링이 점차 중요해지고 있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2018년 10월 13일에서 10월 14일에 걸쳐 군산 시간여행마을을 방문한 관광객 120명으로부터 설문지를 받았다. 설문조사 결과 관광스토리텔링의 구성요인인 흥미성과 교육성이 관광지 매력지각의 신기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광스토리텔링과 행동의사의 영향관계 분석 결과 스토리텔링의 흥미성과 교육성요인은 행동의사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관광지 매력지각과 행동의사의 영향관계분석 결과 매력지각은 관광객의 행동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tri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ourist storytelling, visitor attraction awareness and tourist behavior among tourists who visited Gunsan time travel village. With the rapid change of modern society, tourists' values are changing and their desires are diversifying. Differentiation of tourist destinations is becoming important as imitation of tourist attractions that have gained popularity due to rapidly changing trends. Therefore, the uniqueness of tourism alone, or storytelling,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For this study, we received a questionnaire from 120 tourists who visited Gunsan's time travel village from October 13 to October 14, 2018. The survey found that the interesting and educational nature, a component of tourism storytelling, affects the novelty of tourist attraction perception. Analysis of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tourism storytelling and behavioral history showed that the interest and educational factors of storytelling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behavioral events. Finally, the analysis of the impact relationship between tourist attraction perception and behavioral history shows that attraction awareness affects the behavior of tourists.

      • KCI등재후보

        진정성 관광경험이 만족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임일 ( Im Il ),김정헌 ( Kim Jung Hun ) 경기대학교 관광종합연구소 2016 여가관광연구 Vol.26 No.-

        본 연구는 제주도 방문 관광객을 대상으로 진정성 관광경험이 관광만족과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탐구하고 있다. 분석은 SPSS를 활용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데이터 수집은 제주도내에 있는 2곳의 관광지에서 직접 일대일 심층면접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169부를 수집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진정성 관광경험을 구성하고 있는 3개의 요인 중에서 관광만족에는 객관적 진정성과 구성적 진정성 요인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추천의도에는 관광만족만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관광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2개의 진정성 관광경험 중 구성적 진정성 요인이 상대적으로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을 확인하고 있다. 이러한 진정성 관광경험과 관광만족, 추천의도와의 구조적 관계에서 진정성 관광경험은 관광만족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추천의도에는 관광만족을 통한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측해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서 알 수 있었던 것은 제주도 방문 관광객은 그들이 관람하고 경험하는 관광대상에 대해서 원형성을 인식하고 있으며(객관적 진정성), 관광자 자신의 관점에서 관광대상을 상대적으로 이해하고 있지만(구성적 진정성), 관광대상에 대해서 의미를 부여하고 주관적으로 해석하는 것(실존적 진정성)은 다소 미흡한 것으로 추측해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진정성 관광경험의 구성요인 중에 어떠한 요인이 관광만족과 추천의도에 가장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는가를 확인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으며, 향후 진정성 관광과 관련하여 관광목적지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설정하는데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entic tourism experience and tourism satisfac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for tourist in Jeju island. Analysis was performed by using SPSS for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data collection of this study was conducted by directly conducting face to face in-depth interview questionnaires at two tourist destinations in Jeju Island. A total of 169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used for analysis. As a result of analysis, it was analyzed that objective authentic and constructive authentic factor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ourism satisfaction among three factors authentic tourism experience. On the other hand, tourism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recommendation intention. In addition, it is confirmed that constructive authentic factors have a greater influence on tourism satisfaction among two authentic tourism experiences.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authentic tourism experience, tourism satisfac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authentic tourism experience directly affects tourism satisfaction, but it can be assumed that recommendation intention indirectly influences through tourism satisfaction.

      • KCI등재후보

        관광해설 유형별 시티투어이용객 만족도 비교 -고양시티투어 이용객을 중심으로-

        송금희 ( Geun Hee Song ),한범수 ( Beom Soo Han ) 경기대학교 관광종합연구소 2015 여가관광연구 Vol.24 No.-

        본 연구는 다양한 해설 유형이 시티투어 이용객에게 미치는 만족도의 차이를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동시에 시티투어에 대한 만족과 해설 유형에 따른 만족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시티투어 이용객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해설의 유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그유형의 내용이 해설의 구성요소 중 어느 부분을 강조했을 때 가장 큰 만족을 줄 수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조사와 실증조사를 통해 시티투어이용객의 해설 유형별 만족에 관한 측정척도를 구성하였다. 고양시문화관광해설사를 대상으로 관광해설 유형에 대한 정확한 자문과 검증을 통해 초등학교 교과과정을 재구성한 후 교육적인면을 강조한 A형 해설과 정보적인 면만을 강조한 B형 해설 두 가지로 분류하였다. 두 가지 해설유형에 대한 설문조사는 2012년 고양시티투어를 이용하는 이용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유형별 만족도 차이와 대상별 만족도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관광해설 이용객이 지각하는 시티투어 만족이 A, B 해설 유형에 따라 유의하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설이 재미가 있으면 해설사에 대해 매우 긍정적으로 평가가되며 재미가 없으면 해설사의 기본적인 태도와 상관없이 부정적인 평가가 내려진다고 할 수 있다. 상대적으로 이해하기 쉽게 구성된 A형은 시티투어 이용객의 흥미, 관심과 집중도를 높여 ‘해설사 태도’의 긍정적인 만족도를 이끌어 냈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전문가적인 지식을 전달하려는 해설방법으로써 객관적이고 규격화된 해설을 통해 진행했던 B형의 경우는 지루함과 이해도의 저하, 진부함 등의 효과가 나타나 해설사에 대해 불만족(2.49)하다는 응답 결과가 나타난 것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관광에서 해설은 없어서는 안 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기존 연구사례를 통해 알수 있듯이 해설의 유무에 따라 관광자원을 느끼는 만족도는 큰 차이가 있으며 향후 많은 연구가 필요한 분야이기도 하다. 그 중 해설의 내용은 교육적인 면과 정보전달의 기능도 중요하지만 관광객의 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쉽고 재미있는 내용이 중요하다. 관광객들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해설하는 자의 태도개선 및 지속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이러한 지속적인 교육을 통해 다양한 방법의 해설을 숙지하고 이를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가 관광통역안내사를 비롯하여 관광해설사들에 대한 교육프로그램의 자료로서 활용되고 관광해설 내용의 변화 및 발전에 기여하기를 바란다. This study intended to compare the difference in satisfaction that various explanation type has on users of city tour. At the same time it tried to look into what is the interpretation type that can raise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city tour users by analyzing correlation between satisfaction about city tour and satisfaction that can be different depending on interpretation type. Interpretation type was classified into two types. One is the educational and easy to understand and the other one is the one which emphasizes information conveyance, and targeting the tourists aboard ‘Goyang city tour’ the difference of by-type satisfaction and the difference of by-subject satisfaction were analyzed.

      • KCI등재후보

        관광지에서의 음식서비스 경험이 관광자만족에 미치는 영향

        최식원 ( Shick Won Choi ),박석희 ( Suk Hee Park ) 경기대학교 관광종합연구소 2012 여가관광연구 Vol.19 No.-

        한국의 국가 이미지에 대한 조사 결과 조사 대상의 절반이 넘는 52.4%가 ‘한국 하면 독특한 문화가 떠오른다’고 대답했고, 문화 관련 항목 중에서는 음식(51.8%)이 가장 강한 이미지로 나타났다(성균관대학교 국가브랜드 경영연구소, 2003: 38, 53). 이는 음식의 문화관광자원으로서의 가치를 시사하고 있으며, 외식업의 한 부분으로서의 음식이 아니라 관광활동, 더 나아가서는 문 화생활 등 폭 넓은 관심이 필요하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음식에 대한 관심 과 중요도가 커짐에 따라 관광활동에서의 음식에 대한 불만 또한 증가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고, 관광활동에서 음식과 관광전반만족에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 조사하였다. 경주를 방문 관광 객을 대상으로 실증분석 결과, 음식서비스에 대한 만족은 관광만족과 방문객 충 성도에 긍정적 인 영향을 미치고 그 중 음식가치 요인이 가장 큰 영향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According to "Survey on National Image" conducted by National Brand Management Institute at Sungkyungwan Univ, half of respondents mentioned "culture" as one of Korea`s representing images. Among them, Korean food and beverage were taken account of 51.8%. This shows the potential of food and beverage as tourism resource and activity. In this regar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relations between food service and overall tourist satisfaction. Data were collected by conducting the survey to 398 available visitors in Gyeongju where one of the best tourist destination in Kore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food and beverage was one of big determinants of overall satisfaction. Secondly, the satisfaction on food and beverage made positive effect on visitors royalty. Thirdly, longer stayers was more affected by food and beverage service. This implies that there needs continuing study on the relations between tourist satisfaction and food service, so we can reach a general model on the role of food service. And also there needs ongoing evaluation and concern on food service so we can apply the result through different management technique to the practice.

      • KCI등재후보

        관광광고를 통한 한국과 중국의 관광특성 비교 연구

        유로 ( Lu Liu ),정오현 ( Oh Huyn Jung ),고동완 ( Dong Wan Ko ) 경기대학교 관광종합연구소 2012 여가관광연구 Vol.19 No.-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관광광고를 비교분석을 통해 양 국가 간의 관광광고에서 나타나는 관광자원, 관광형태, 광고소구의 특징과 차이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2011년 1월부터 6월까지 중국의 각 성(省) 별로 22개 성(省)의 관광 웹 사이트와 4개 직할시(直轄市) 그리고 5개 자치구 (自治區)의 관광 웹 사이트의 관광광고와 한국의 16개 광역자치단체 지역관광 웹 사이트의 관 광광고를 선정하였다. 표본으로 선정된 한국 관광광고는 12편, 중국 관광광고는 17편으로 총 29 편이다. 연구의 분석은 먼저 내용분석법(content analysis)을 사용하여 한국과 중국 관광광고의 관광자원, 관광형태, 관광소구 부분에 대한 분석하였고 결과에 대한 빈도분석과 광고에서 나타나는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χ 2-검정과 t-Test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한국과 중국의 관광광고에서 나타나는 관광자원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 관광광고 와 중국 관광광고에서 나타나는 관광형태의 다양성에 대해 분석한 결과 양국 간의 유의한 차이 는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한국과 중국 관광광고의 소구표현방식에서는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The study gives some directions for improving the tourism advertisement by compa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rrelation and the difference of these advertisements between Korea and China. The samples of the advertising films in the study were selected from the official tourism web sites of both Korea and China. There were total 29 advertising films were studied, 12 films were selected from Korea and 17 films were selected from China. The analyzing procedures can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three steps. First, the tourism resource, tourism typology and the advertising appeal of the tourism advertisement are analyzed by using of content analysis method. Second, do a frequency analysis of the result of the content analysis. Last, identify the difference of these three aspects by using of Chi-Square test and t-Test. The findings of study are as following: Frist, The percentage of appearance of the tourism resource in the tourism advertisement is different between Korea and China. Second, There is no difference of the multiplicity analysis of the tourism typology between Korea and China`s tourism advertisement. Third, There is no apparent difference on the advertising appeal too.

      • KCI등재후보

        관광해설이 관광객의 마음챙김과 장소애착에 미치는 영향

        임석 ( Lim Seok ),김정헌 ( Kim Jung Hun ) 경기대학교 관광종합연구소 2021 여가관광연구 Vol.34 No.-

        본 연구는 문화관광해설사의 해설을 제공받는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마음챙김과 장소애착의 영향관계를 파악하여, 향후 관광해설이 관광객과 해설사, 나아가 지역사회와 상생협력을 어떻게 진행해야 하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려는 목적에서 출발하였다. 조사는 2018년 3월 1일부터 4월 30일까지 강진군일대에서 진행, 총240건의 설문지를 회수 하여, 분석에는 총 224건이 사용되었으며, 연구가설 검증을 위하여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관광해설은 마음챙김(H1), 마음챙김은 장소애착(H2), 관광해설은 장소애착(H3)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을 설정하여 검증하였으며 분석결과에 따르면 관광해설은 마음챙김, 마음챙김은 장소애착, 관광해설은 장소애착 모두 유의수준 내에서 정(+)의 영향을 미친다고 나타났다. 이를 종합하면 지역을 찾은 관광객을 대상으로 문화관광해설사의 관련 해설 서비스를 제공하면 선행연구 등을 통한 알려진 것처럼 장소에 대한 애착이 높아지는 것 외에 그 해설을 통하여 관광객들의 지역에 관한 관심 및 궁금증 등을 유발할 수 있는 마음챙김에 영향을 미치며, 관광해설을 통한 마음챙김의 변화는 장소애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mindfulness and place-attachment for tourists who were provided with interpretation of the destination’s culture and resources. The survey was conducted at Gangjin-gun area from March 1 to April 30, 2018. a total of 240 questionnaires were retrieved but a total of 224 were used for the analysis. As a results, the tourism explanation was verified by setting up and verifying the hypothesis that the tourism explanation has a positive influence on mindfulness (H1), the place attachment (H2), and the tourism interpretation (H3).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ourism interpretation have a positive effect within a significant level.

      • KCI등재후보

        관광지 이미지가 관광만족에 미치는 영향

        김현기 ( Kim Hyun-ki ),박용순 ( Park Yong-soon ) 경기대학교 관광종합연구소 2019 여가관광연구 Vol.31 No.-

        본 연구는 특정한 관광지를 방문하는 관광객의 지각의 정도에 따른 관광지 이미지와 관광만족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성별에 따라서 집단을 구분하고 있으며, 집단 간 차이분석을 통해서 관광지 이미지가 관광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규명하고 있다. 본 연구의 데이터 수집은 총 8일간 고씨동굴 관광지를 1회 이상 방문한 경험이 있는 전국 만19세 이상 60세 미만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온라인 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250명의 표본 수를 추출하였다. 분석결과, 남성 집단에 비해 여성 집단에서 관광지 이미지와 관광만족 간에 긍ㆍ부정적인 영향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관광지가 가지고 있는 고유한 자원적 특성과 같은 인지적 이미지는 관광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반면에 관광객이 지각하는 정서적 이미지는 관광만족에 부정적인 영향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서 도출할 수 있는 의의로는 관광지 이미지와 관광만족과의 영향관계를 지각하는 정도가 집단에 따라 다르다는 것을 확인하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ourism destination image and tourism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degree of perception of tourists visiting a particular tourist destination, especially Go-Si cave. In this study, the group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gender,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ourism destination image and tourism satisfaction is analyzed through analysis of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The data collection of this study conducted an online survey for men and women aged between 19 and 60 years old, who have visited more than one visit to the Go-Si cave. A total of 250 samples were extracted from online surveys conducted over a total of 8 day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re is positive and negative influence relation between tourism destination image and tourist satisfaction in female group compared to male group. In particular, the cognitive image, such as the unique resource characteristics of tourism destination, positively affects tourism satisfaction, while the emotional image perceived by tourists has a negative effect on tourism satisfaction. The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at the degree of perception of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tourism destination image and tourism satisfaction differs from group to grou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