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방정환의 번역동화 「호수의 여왕」에 대한 고찰

        이정현 ( Jung Hyun Yi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구 건국대학교 중원인문연구소) 2007 동화와 번역 Vol.13 No.-

        방정환은 1921년에 오스카 와일드의 동화 「행복한 왕자」를 번역, 발표한 이후 계속해서 동화를 번역하여 발표하게 된다. 1922년 7월에는 『사랑의 선물』을 간행함과 동시에 『개벽』 7월호와 9월호에 2회에 걸쳐 아나톨 프랑스의 작품 「호수의 여왕」을 번역하여 발표했다. 아나톨 프랑스의 작품 중에는 「호수의 여왕」이라는 제목의 작품이 존재하지 않지만, 이 제목과 동일한 제목의 작품이 아나톨 프랑스의 창작 동화로써 『세카이도우와호교쿠슈(世界童話寶玉集)』에 쿠스야마 마사오(楠山正雄)의 번역으로 실려 있다. 필자는 졸론 「방정환의 번역동화와 『모한가테이분코(模範家庭文庫)』에서 『사랑의 선물』의 다섯 번 째 동화 「한네레의 죽음」이 『세카이도우와호교쿠슈(世界童話寶玉集)』에 실려 있는 미즈타니 마사루(水谷勝)역 「한네레노 쇼우텐(ハンネレの昇天)」을 저본으로 해서 번역한 것에 대해 논했다. 방정환은 「호수의 여왕」에도 「한네레의 죽음」과 같이 일본어 저본에 실려 있는 3점의 삽화를 그대로 활용하고 있어, 「한네레의 죽음」의 번역에 연이어 「호수의 여왕」을 번역해 개벽에 실은 것으로 추측된다. 이 삽화는 모두 오카모토 키이치(岡本歸一)의 그림으로 졸론 「방정환의 번역동화와『킨노후네』」에서 논한 바 있으므로 본 논문에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본 논문은 쿠스야마역과 방정환역의 삽화의 비교 및 내용의 비교분석을 함으로써 쿠스야마역 「湖水の女王」을 방정환역의 저본임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이 작업을 통해서 근대 한국에의 아나톨 프랑스의 수용에 있어서의 근대 일본의 아동문학의 영향에 대해서 고찰함과 동시에 방정환의 번역의 특징에 대해서도 고찰하고자 했다. 이상의 목적으로 고찰한 결과, 방정환의 번역동화 「호수의 여왕」의 저본에 있어서 삽화의 일치, 그리고 내용 면에서도 완역에 가깝게 충실히 번역되어 있는 것 등의 근거로 쿠스야마 마사오역 「湖水の女王」가 그 저본으로 사용되었음을 확인했다. 그리고 필자는 쿠스야마가 사용한 저본이 아나톨 프랑스의 원작 "Abeille"가 아닌 앤드류 랑의 "The Story of Little King Loc"임도 확인했다. 방정환은 다만 쿠스야마가 제목까지 바꾸어 번역해 놓은 일본어역을 저본으로 번역을 했을 뿐이다. 내용면에서는 방정환이 1921년에 번역한 「왕자와 제비」를 결말 부분을 재화한 것과 1923년에 번역한 「성냥팔이 소녀」를 번역할 때 한국의 당시 상황을 고려해 번안한 것에 비해 등장 인물인 소인의 성격을 조금 바꾸어 묘사한 것을 제외하면 거의 완역에 가깝다. 그리고 문체의 면에서는 어린이를 생각하여 어린이들이 읽기 쉽게 전문을 한글로 표기하여 한자는 괄호 안에 넣어서 표기하는 등의 배려가 보인다. 이러한 특징은 이 작품 뿐 아니라 방정환의 동화에 전반적으로 보이는 특징으로 보이지만 이 작품에서도 그러한 특징이 눈에 띈다. 마지막으로 1920년대 초에 한국에 아나톨 프랑스의 이름과 그의 동화를 소개한 것에는 큰 의의가 있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After Bang Jung-hwan translated and announced Oscar Wilde`s fairy tale "The Happy Prince" in 1921, he started to translate more fairy tales frequently. Bang Jung-hwan published Gift of Love on July, 1922, translated and announced Anatole France`s work "Queen of the Lake" over two times in Gebyuk, July issue and September issue at once. Among Anatole France`s work, title that is "Queen of the Lake" does not exist. But this title has created by Kusuyama in Sekaidowahogyokusyu which is a translation of Anatole France`s original fairy tale. The writer discussed that Bang Jung-hwan`s translation of a fairy tale and the 5th story of "Gift of Love" in Mohankayeibunko` were the origin of Mizutani Masaru a part of "Hannere`s Ascension". It is conjectured that Bang Jung-hwan used the same three illustrations in "Queen of the Lake" as same as "Hannere`s death" which are from original Japanese work, After translation of "Hannere`s death" he translated "Queen of the Lake" then announced in Gebyuk. All these illustrations created by Okamoto Kiichi, and it have mentioned already in Bang Jung-hwan`s translation of a fairy tale and Kinnohune, so it`s not mention in main contents. Also, I wished to investigate about that investigate about Anatole France`s effect of modern age Japanese juvenile literature in accommodation to modern age Korea through this work and at the same time Bang Jung-hwan`s characteristic of translation. Results investigating by purpose of singularity, queen of Bang Jung-hwan`s translation of a fairy tale "Queen of the Lake" that was translated nearly faithfully into complete version, and contents of illustration by Kusuyama Masao "Queen of the Lake" is an origin of Bang Jung-hwan`s translation. And the writer confirmed Bang Jung-hwan used Andrew Lang`s "The Story of Little King Loc" as an origin not from Anatole France`s original work "Abeille". Bang Jung-hwan used original work for the translation, instead of using direct Japanese translation which Kusuyama translated. It is almost complete translation except the end part of "The Happy Prince" that Bang Jung-hwan translated in 1921 and "The Little Match Girl" that translated in 1923 which is considered the circumstance at that time of Korea and changed the personality of the part in that story. Also, used full text in Hangul readably and put all the Chinese characters inside of parenthesis for the children. Commonly these characteristics are seen by visible characteristics in Bang Jung-hwan`s animation as well as this work. Finally, we can evaluate that it was large sense to introduce Anatole France`s name and his fairy tales in Korea in early 1920s.

      • KCI등재

        『오지랖씨』(Mr. Nosey) 번역에 따른 문화적 어려움

        윤소영 ( So Young Yoon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구 건국대학교 중원인문연구소) 2006 동화와 번역 Vol.11 No.-

        아동문학은 다른 나라의 문화를 쉽게 접할 수 있는 하나의 통로이다. 특히 아동문학의 특성, 아이들에게 사회적 교훈과 규범을 작품을 통해 노출시킴으로써 사회적 존재로서의 아이들에게 도덕성, 문화적 규범을 인지하도록 유도한다는 것은 아동문학의 한 목적이기도 하다. 그러한 사회 문화적 요소를 긍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는 아동문학 작품의 내용에 대한 고찰이 요구된다. 한편 다른 사회에서 읽히는 아동문학 작품을 번역하여 또 다른 사회의 아동에게 읽히게 하는 데에는 여러 가지 어려운 점이 존재한다. 즉 아동문학 번역에 있어 생길 수 있는 문제점은 언어적 측면뿐 아니라 특히 사회, 문화적 차이에서 기인한 것이 많다. 아동 문학 작품을 번역하는데 있어 발생하는 여러 가지 어려운 점이 많겠지만 특히 문화적 차이에서 발생하는 어려움이 번역가에게 있어 가장 큰 어려움이라 하겠다. 번역가의 번역언어와 원전언어의 차이는 물론 언어학적 다름에서 빚어지는 다양한 현상을 보여준다. 문법적으로 다른 어순, 요소 등에서부터 문화적으로 다르게 나타나는 차이까지 짧은 아동문학서 한 권으로 다룰 수 있는 내용은 구체적이고 다양하다. 『미스터 맨』(Mr. Men)시리즈는 영국에서는 아이들에게 많이 읽히는 동화이다. 길이가 짧고, 다양한 인물 군상을 소개하여 아이들에게 교훈적인 내용을 설파하고 있는 대표적인 동화라 할 수 있다. 각 인물의 이름을 제목으로 취하고 있는 이 시리즈물은 그 제목의 번역에서부터 번역가의 세심한 노력이 요구된다. 각 권의 제목은 인물의 이름을 나타내면서 동시에 문화적 특성을 담고 있다. 제목은 각 권의 내용을 결정할 정도로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 다루게 되는 작품은 그 중 『오지랖씨』로, 작품의 그림에서 보이는 이 인물에 대한 모든 것에 착안하여, 번역을 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문화적, 언어적 차이, 어려움을 다루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우선 2장에서는 Mr. Nosey의 성격에 기초한 문화적 특성에 대해 분석을 할 것이고, 3장에서는 언어학적 차이에서 빚어지는 어려움을 논할 것이고, 4장에서는 번역전략상 취하게 되는 손실(loss)과 보충(compensation)의 문제를 다루고자 한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도출해 내고자 하는 바는 번역가의 해독능력의 중요성과 번역가 정신이다. 이는 번역물이 하나의 문화이식이 아닌 다른 문화에 대한 이해로 이어질 수 있도록 다리역할을 해야 한다는 점을 부각시키면서 동시에 번역가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함이다.

      • KCI등재

        ≪미공개 『어린이』≫에 실린 아동서사의 갈래구분과 서사학적 분석

        최미선 ( Choi¸ Misun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구 건국대학교 중원인문연구소) 2020 동화와 번역 Vol.40 No.-

        이 논문은 ≪미공개 『어린이』≫에 수록된 서사 작품의 갈래를 구분하고 서사 구성을 분석하면서 작품 가치와 의의를 규명하고자 한다. 2015년에 발행된 ≪미공개 『어린이』≫는 보성사 영인본 『어린이』에 누락된 자료가 실려 있다. ≪미공개 『어린이』≫는 총 28권의 책으로 동화, 소년소설 등 180여 편이 서사 작품이 실려 있어서 『어린이』 매체 연구에 새로운 전기가 마련되었다. 황순원의 「졸업일」이나 박태원의 「오남매」, 최청곡의 「가두예술가」 등 다수의 작품들은 그동안 연구에서 제외되었으나 이번에 서사 전모를 파악하게 됨으로 1920년대 말부터 1930년대 초기의 작품을 발굴하게 되었다. 1930년대 초기에는 소년소설, 소녀소설, 입지소설, 어촌소설 등 다양한 갈래 명칭이 사용되었고, 판타지 동화를 신동화(新童話)로 표기하기도 했다. 신동화 「가두예술가」에서 구현된 판타지 세계는 토도로프가 제시한 1차 세계(Primary World)와 2차 세계(Secondary World)로 정확히 표현되었다. 황순원의 소년소설 「졸업일」은 소년 시기의 불안정한 경계에 위치한 소년의식을 보여주었고, 박태원의 「오남매」는 어린이의 평범한 일상의 서사를 과장됨이 없이 진솔하게 표현해 냄으로 아동문학의 본질을 완수하는 성과를 보여주었다. 특히 8인의 유명 작가가 공동으로 집필한 연작 소설 「五人동무」는 협력은 개인의 힘보다 더 큰 위력을 가질 수 있다는 메시지를 구체적으로 보여주었다. ≪미공개 『어린이』≫에서 180여 편을 상회하는 서사 작품을 발굴함으로 한국아동문학의 토대를 확장했을 뿐만 아니라 『어린이』라는 매체가 추구했던 독자와 소통 우선의 정신을 확인함으로 잡지가 표방하는 정신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ttempts to classify and investigate narratives in Undisclosed Children and analyze their values and significances. Undisclosed Children, published in 2015, is meaningful in that it established the base for studies on children's literature and contains missing parts of photoprint version of the original Children published by Boseongsa. Undisclosed Children is comprised of a total of 28 books, featuring about 180 literary narratives, such as fairy tales and boys’ novels. It also contains the works of Korean literary men from the late 1920s to early 1930s including Hwang Soon-won’s “Graduation Day,” Park Tae-won’s “Five Siblings,” and Choi Chung-gok’s “Street Artist.” In fact, diverse categories used during the early 1930s were found in the narratives of the Undisclosed Children. Also, a new category titled “New Children’s Story” was found. The fantasy world described in the New Children’s Story ‘Street Artist’ was mentioned as Tzvetan Todorov’s primary and secondary worlds. Hwang Soon-won’s “Graduation Day” described boys’ consciousness situated on the unstable border during a pubertal stage while Park Tae-won’s “Five Siblings” described the narratives of children’s daily routine in a frank and honest fashion, completing the essence of children’s literature. In particular, “Five Fellows,” a serial novel co-written by 8 famous writers, revealed the power of ‘collaboration’. In other words, it specifically delivered a message that collaboration could have a greater effect than an individual on children. This study has discovered the unknown data and expanded the base for Korean children’s literature. In addition, it has reconfirmed the spirit of ‘communication with readers first’, which was pursued by Children. As a result, this study found that such an attitude was the spirit of Children

      • KCI등재

        세규르 백작 부인의 아동 소설『모범 소녀들』에 나타난 여성 교육의 지향

        박임전 ( Im Jeon Park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구 건국대학교 중원인문연구소) 2010 동화와 번역 Vol.19 No.-

        모범 소녀들??은 세규르 백작 부인의 아동 문학 소설 ??소피의 불행??, ??휴가??와 함께 3부작 중에 두 번째 작품이다. 이 작품은 1858년에 쓰여 졌으며 발표 당시 대단한 성공을 거두었다. 이 소설을 쓰기 위하여 러시아 출신의 이 작가는 그녀의 어린 시절에 각인된 인상들을 퍼 올렸다. 그녀는 특히 소녀들의 교육에 헌신하는 어머니들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이 작품에서 그녀는 아버지가 전적으로 부재하는 일종의 ‘결손 가정’인 3종류의 가정을 제시한다. 이런 의미에서 작가는 소녀들에게 주어지는 이상적인 교육의 필요성을 설득시키기 위하여 독자들의 마음과 정신을 어떻게 고취시킬 수 있을까? 무엇보다도, 부모를 잃고 계모에게 입양된 소피는 대부분의 요정 동화에서처럼, 계모로부터 부당한 대우와 교육을 받았다. 그리고, 소피는 남편 없이 어린 딸과 살고 있는 로즈부르그 부인과 함께 저택에 살고 있는 플레르 부인의 의해 양녀로써 그 가정에 받아들여졌다. 소피는 즉각적으로 ‘모범적인 모델’과 같은 그 부인의 두 딸들의 보살핌을 받으며 함께 양육된다. 소피는 자신의 잘못을 고쳐주면서 훌륭한 모범을 보여주는 소녀들과 함께 살면서 플레르 부인의 이상적인 여성 교육의 지향으로 실질적인 교육의 은혜를 받게 된다. 그녀들로부터 선량함, 연민, 아량, 올바름, 등의 지혜를 터득하게 되며 삶의 행복을 느끼며 가족 사랑의 결핍을 보상받는다. 이런 지혜의 개념들은 종교의 필요성에 근거를 두고 있으며, 특히 그리스도교의 이상의 반향인 것이다. 결론적으로, 세규르 백작 부인에게 소녀들의 모범 교육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 작가는 소녀들의 교육에서 어머니의 역할에 그 중요성을 주지하지만, 또한 종교적 이데올로기를 강조하기도 한다. 그것은 이 소녀들이 자신들의 사회적 계층, 다르게 말하면 그들의 귀족적인 위치를 실제 삶에서 유지할 수 있도록, 작가 자신의 영성적 체험에서 얻어진 지혜를 지향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Les petites filles modeles est le deuxieme roman d’une trilogie ecrite par la Comtesse de Segur. Il fut publie en 1858 et eut un grand succes lors de sa parution. Pour ecrire ce roman, la Comtesse de Segur, d’origine russe, a puise dans les impressions gardees de son enfance. Elle insiste sur l’importance, surtout par des meres devouees, de l’education des filles. Pour ce faire, elle presente trois familles ou il n’y a pas de peres; il y a en quelque sorte “un defaut de famille”. Dans ce contexte, comment cette femme auteur peut-elle subjuger l’esprit et le coeur des lecteurs pour que ces derniers soient convaincus de la necessite de donner une education ideale, surtout aux filles? Tout d’abord, dans la famille de la mere adoptive, Sophie, comme dans la plupart des contes de fees, a ete mal eduquee par une mara?tre. Ensuite, Sophie est recue par Madame de Fleurville. Elle est accueillie dans cette famille comme une fille-adoptive. Elle est immediatement entouree par les deux filles de Madame de Fleurville qui la conduiront vers un ‘modele exemplaire’. Elles essayent de la rendre heureuse dans la vie, de combler le manque d’amour familial en lui donnant de bons exemples, en corrigeant ses defauts afin qu‘elle puisse acquerir la sagesse grace a la bonte, la pitie, la generosite et le sens de la justice. Ces notions sont basees sur les exigences de la religion et renvoient surtout a l’ideologie du christianisme. En conclusion, on peut dire que pour la Comtesse de Segur, l’education par l’exemple est tres importante. Dans l’education des filles, elle donne beaucoup d’importance a la mere, mais aussi a l’ideologie religieuse. La Comtesse puise dans sa propre experience de la vie religieuse pour eduquer ses petites filles, afin qu‘elles puissent garder, dans la vie reelle, leur rang social, autrement dit leur situation d’aristocrate

      • KCI등재

        방정환의 초기 번역소설과 동화 연구 -새로 찾은 필명 작품을 중심으로_

        염희경 ( Hee Kyung Yeom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구 건국대학교 중원인문연구소) 2008 동화와 번역 Vol.15 No.-

        There has been a pen name known as ‘Poyeong(泡影)’, which appears in the novel Dong-myeong(東明), and a name ‘Seomong(曙夢)’, which seems to have been the pen name of a person who announced adapted nursery stories through the magazine Gaebyeok(開闢). In this article, both pen names are presumed to have belonged to Bang Jeong Hwan. It is this writer’s intention to secure bases that would support that presumption. Bang Jeong Hwan is known to have used more than 20 pen names, and names like ‘Seomong’ and ‘Poyeong’ do seem to be like terms that might have originated from the same context from which Bang’s other pen names such as ‘Payeong(波影)’ or ‘Mongjungin(夢中人)’ would have been created. Also, considering the nature of Bang’s overall works, the magazines through which he announced his novels and stories, and also his other activities of the time which have remained unknown until recently, it is highly probable and possible that these two names were indeed pen names used by Bang Jeong Hwan himself. Hopefully, the task of determining Bang’s previously unknown pen names(like these two), and also searching for activities of his that have not been discovered yet, would contribute to the overall studies of literary history dealing with the Korean modern era. Also examined in this article, Bang Jeong Hwan’s years of translation efforts were not unrelated to the process of the Koreans’ accepting and embracing Socialism, which was considered as one of the modern philosophies at that time. By determining such quality harbored by Bang’s own efforts, it would become possible to view the ‘translation’ efforts of the time as a turning point which enabled the Koreans’ acceptance of Socialism and subsequent modification of it in a certain fashion that would have suited and benefited to the Korean situation

      • KCI등재

        세계의 신데렐라유형 이야기군 속에서의 <콩쥐팥쥐 이야기> 고찰

        오윤선 ( Yoon Sun Oh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구 건국대학교 중원인문연구소) 2006 동화와 번역 Vol.11 No.-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Kongjwi Patjwi Story`s meaning -Korean Cinderella Story- and its status through a comparison of other versions of Cinderella outside of Korea. Until now, the Kongjwi Patjwi Story has remained relatively untouched by scholars outside of Korea. Some Korean Cinderella stories have been introduced to the international academic world. However, those deviate from the original story. Unlike the 510A type Cinderella in Aarne and Thompson`s Types of the Folktale, the Kongjwi Patjwi Story has subsequent events after the heroine`s marriage. Accordingly, in the Kongjwi Patjwi Story, we cannot apply the `Cinderella Complex` which means marriage is the solution to all the heroine`s troubles. The heroine in the Korean version has an active woman`s character. The woman does not count on the man and tries to overcome her situation by herself. She meets Prince Charming but he does not bring her happiness. After marriage, the stepfamily`s conspiracy against her continues which eventually leads her to death. Although the narrative shows that Kongjwi`s transformation and resurrection is achieved with the help of another character, she exacts her revenge through her own ability and thus attains happiness. Therefore, unlike the 510A type Cinderella in Aarne and Thompson`s Types of the Folktale, stepmother`s story should be given more weight than wedding story in the Kongjwi Patjwi Story. There are several Korean Cinderella Stories without wedding story. That fact supports that Korean Cinderella Story centered on the stepmother`s story. Similar to that of the Korean narrative, the Chinese, Japanese and African Cinderella Stories, also include that the enmity between the stepfamily and the heroine reaches a climax after marriage. The hostility in the stepfamily is accentuated in the severity of events (murder and cannibalism) following the heroine`s marriage. The narratives reflect the culture. Traditionally, in Korea, China, Japan and Africa, polygamy was common. Therefore, the family members` relationships were complicated and feuds were also common. Accordingly, this kind of feud is dramatically reflected in stepmother stories. And also the cruel ending shows that the story has a folk tale`s character. However fairy tales end the wedding. As seen above, the Kongjwi Patjwi Story has many similarities to the 510A type Cinderella in Aarne and Thompson`s Types of the Folktale. Yet, the story differs from its other Cinderella Stories is that it includes subsequent events after the heroine`s marriage and the realization of an active woman. Because the Kongjwi Patjwi Story possesses both universality and uniqueness, it can be said that this is a precious work that deserves scholarly attention. Korean researchers have a responsibility to stimulate the interest of scholars outside of Korea about Korean Cinderella Story.

      • KCI등재
      • KCI등재

        동화의 탄생조건과 정체성 연구 - 페로의 『콩트들Contes』을 중심으로 -

        김정란 ( Jeong Lan Kim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구 건국대학교 중원인문연구소) 2007 동화와 번역 Vol.14 No.-

        Les Contes de Perrault, ce titre a priori d`une simplicite souleve cependant de nombreuses interrogations concernant sa, ou bien plutot ses definitions. Pour le grand public, cet expression constitue un terme generique, designant selon les cas un conte populaire, un conte de fee, ou bien encore un conte pour enfants. Le conte de fee dit ≪litteraire≫ a fait son apparition avec les Contes de Perrault a la fin du 17eme siecle. Pourtant jusqu`a aujourd`hui les etudes scientifiques concernant l`identite propre de chacun d`entre eux, leur classification exacte en genre specifique restent peu nombreuses. L`objet de notre etude est donc de decrire et d`analyser les principaux traits distinctifs des termes generiques traditionnellement employes: conte populaire, conte de fee, conte du temps passe mais aussi l`enigmatique appellation Histoire ou Conte du Temps Passe, specifique a Perrault. Pour mener a bien cette etude, nous nous sommes appuyee essentiellement sur deux references theoriques: l`une empruntee aux theories structuralistes du langage, et l`autre, a l`analyse du texte proprement dite. Afin de degager au mieux les traits distinctifs des definitions a etablir, nous nous sommes tout d`abord penchee sur les conditions d`emergence du conte de fee ≪litteraire≫ via l`etude des Contes de Perrault, mais egalement sur les conditions de vie et d`ecriture de l`auteur dans son temps: sa jeunesse au sein d`une famille unie, ses amities, ses opinions politiques, le statut en construction et inconfortable de la bourgeoisie de l`epoque enfin, le gout pour le burlesque et l`interet de Perrault pour les fables qui seront des elements fondateurs de ses premiers ecrits et qui se retrouveront tout au long de son oeuvre. Concernant les traits distinctifs de differents types de recits etudie, nous les avons tries comme suit, et en avons compare les element suivants: les traces de presence du fantastique, ainsi que leur degre les differents renvois mythologiques, et media. Nous nous sommes egalement employee a suivre la presence du narrateur dans le texte, ainsi que les procedes de focalisation employes par l`auteur, traits specifiques aussi bien de son ecriture que de ses ≪recits≫. Pour terminer, nous avons organise une tentative de classification des differents recits selon les traits prealablement distingues. Il serait envisageable d`appliquer une approche similaire a celle construite au fil de la presente etude (en etablissant au prealable une etude des specifites linguisitiques propres a chaque langue et a chaque epoque), a de nombreux autres Contes, par-dela les frontieres geographiques et temporelles.

      • KCI등재

        동화콘텐츠의 기독교적 정체성 연구 -루이스의 『나니아』와 페로동화의 연계성을 중심으로-

        김정란 ( Jeong Lan Kim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구 건국대학교 중원인문연구소) 2011 동화와 번역 Vol.21 No.-

        유럽 문화의 바탕에는 적어도 두문화, 즉 히브리-기독교 전통과 헬라-로마전통이 공존하고 있다. 본 연구는 그동안의 동화콘텐츠 연구에서 소외되었던 기독교문화로 동화의 정체성을 찾아본 연구이다. 페로동화를 대표자료로 전래동화와 기독교적 전통이 상대적으로 잘 드러나 있는 판타지동화 『나니아』의 공유성을 기독문화의 관점으로 동화학이라는 자율학문 영역을 타진하기 위함이었다. 페로와 루이스가 관심을 표명한 <프시케>신화에서 두 작가 모두 신과의 대면문제에서 기독교적 해석을 하고 있었다. 그리스 신화는 신과 마주하면 벌을 받고 불행해지는 이야기이나 페로와 루이스는 신과 마주하는 자리가 인간이 참 행복을 누리는 제자리임을 이야기하고 있었다. 텍스트 내용해석방법으로 『나니아』를 읽은 결과 동화나라의 특징은 존재하나 보이지 않는 다른 세계, 즉 천국과 창조주를 상상의 그림자나라와 사자 아슬란으로 보여주는 이야기로 정의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페로동화나 『나니아』를 맛보는 것은 문학과 역사를 탐구하는 것보다는 천국의 참맛을 상상하고 감동하는 상상문화의 영역이 되어야 할 것이다. 모든 문학이 다 상상문화일 수 있지만 동화는 상상의 영역이 천국이라는 점에서 일반문학과 분리되는 기독상상문화에서 자율학문의 영역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작중인물들은 참아슬란과 대면하는 천국의 제자리를 찾아 영원한 행복을 누리는 인물들과 딴자리로 간 인물들로 나눌 수 있었다. 기독교적 유추가 상대적으로 더 직접적인 『나니아』의 주인공들은 아슬란이 초대하고 훈련을 받은 인물들로 승천하신 참아슬란과 함께 천국의 아침을 맞이하는 인물들이다. 반면 딴 자리에 간인물들은 아슬란을 부인하거나 상관없다 생각하는 인물로 전쟁과 사망과 폐허를 택한 인물이다. <옛날 옛적에>는 천국에 대해 두 동화가 공유한 표현으로 시공을 초월한 다른세계로 들어가는 지표가 되는 표현이었다. <그리고 행복하게 살았다>라는 표현을 페로동화와 『나니아』에서는 직접 사용하지 않았는데 그 이유는 두 동화왕국은 시작과 끝이 있어 잠시 머무르는 천국의 모형 또는 그림자나라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결국은 이 세계의 끝에서 맞이하는 영원한 참왕국의 아침잔치에서 동화저자가 할 수 있는 표현이 있다면 그것은 “그곳에서 그들은 영원히 행복하였다” 일뿐임을 밝혀주고 있다. 결론적으로 페로동화와 루이스의 『나니아』는 300년이라는 시간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옛이야기 맛을 살리며 천국을 보여준 기독교 상상문화에 속하는 작품이라는 공통성을 보여주고 있었다. 성경이라는 밥을 소화할 수 없는 사람들에게 어려서 즐겨마시던 부드러운 옛이야기라는 음식으로 내어놓은 동화는 진리를 옛이야기맛으로 동경하는 것으로도 성경과 같은 생명력을 보장받을 것이다. 또한 끝이 있기에 소망을 가질 수 있는 동화왕국은 누구나 참왕국으로 향하는 과정에서 한 때머물렀던 그 기억만으로도 제자리 본향인 참왕국으로 기쁘게 향할 수 있는 세계관을 심어주는 귀하면서도 값진 문학과 신학의 중간지대 문화의 영역이 될 것이다. 페로동화와 『나니아』는 어느 매체에 그 콘텐츠를 담던 기독교문화로서의 진리와 기쁜 잔치집의 재미가 나란히 가야 할 것이다. son monde et choisissent la guerre, la mort et la destruction selon les desirs de la sorciere. L`examen des diverses manieres d`exprimer la notion de paradis mises en œuvre par Lewis et Perrault permet de reperer en particulier l`expression suivante: ≪il etait une fois≫. Elle indique une transcendance du temps et de l`espace vers un autre monde. Par contre, l`expression ≪et ils vecurent heureux pour toujours≫ n`est reprise ni par Lewis, ni par Perrault. En effet, les royaumes decrits dans leurs œuvres n`ont pas d`ancrage dans le temps ni dans l`espace. Cependant, en definitive, les seules expressions utilisees par les deux auteurs pour decrire le veritable royaume de l`eternite implique la notion de ≪vivre heureux pour toujours≫. En conclusion, le Narnia de Lewis et les Contes de Perrault, bien que publies de 300 ans d`intervalle, donnent une vision commune du paradis a travers leurs references aux contes de fees, reprenant ainsi l`imagerie traditionnelle de la culture chretienne. Les auteurs offrent leur verite sous la forme adoucie d`une histoire qui peut etre facilement appreciee et integree par un public qui aurait ete par ailleurs plus refractaire aux histoires extraites de la Bible. De plus, le royaume des contes de fees qui offre un but represente une zone transitoire entre la litterature et la theologie. De meme, c`est une zone transitoire qui donne une nouvelle dimension au monde et prepare a accomplir joyeusement le pas vers le royaume reel. La verite et la joie, en tant qu`aspects de la culture chretienne, devraient s`accorder avec le contenu des Contes de Perrault et du Narnia de Lewis, quelque soit l`image propagee par les medias. Dans la culture europeenne, coexistent au moins deux traditions: judeo-chretienne et greco-romane. Toutefois, peu d`etudes de contes de fees ont ete realisees dans une perspective chretienne. La presente etude a principalement pour but de mettre en evidence les caracteristiques communes entre les Contes de Perrault et The Chronicles of Narnia de C.S. Lewis. sous l`angle de la perspective chretienne. Etant donne l`interet partage de Perrault et de Lewis pour le mythe de Psyche, la relation des hommes au divin est interpretee dans une perspective chretienne et non pas selon la tradition greco-romaine. Alors que la mythologie greco-romaine souligne les risques de la confrontation au divin, Perrault et Lewis choisissent d`interpreter le lieu de cette confrontation comme un endroit ou les etres humains doivent retourner pour satisfaire leur quete du bonheur. D`apres notre interpretation methodique des deux textes, Lewis et Perrault se referent a un ``Shadowlands`` lorsqu`ils evoquent le royaume du paradis celeste. Dans Narnia, certains personnages retournent a leur territoire propre du veritable bonheur tandis que les autres vont ailleurs. A l`oppose, les autres personnages de Narnia, ceux qui aboutissent a ≪d`autres endroits≫, sont ceux qui ont rejete Aslan ou bien sont indifferents a

      • KCI등재

        러시아 동물 동화 연구

        정막래 ( Mak Lae Jeong ),최윤희 ( Yun Hee Choi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구 건국대학교 중원인문연구소) 2006 동화와 번역 Vol.12 No.-

        The following article investigates the Russian folk stories features. Up until now in Russia there are no distinctive criteria to point out stories for children. There is no general opinion on this problem among the researchers. The first publication on stories for children belongs to E.A. Avdeeva. The first volume considering the age of children was compiled by A.N. Afanasiev. He thoroughly used the language and content being the first to introduce the genuine folk story in a book for children. According to the content the stories are divided into: 34 stories about animals, 24 fairy tales, the rest are mainly every day life stories: 8 out of which are the stories about thieves, bandits and cheaters, 4 of them are about foolish people. There are some folk anecdotes as well. A folk story comprises several genres. Normally, Russian folk stories are divided into the following genres: animals, fairy tales and every day life (anecdotes and novels). The origin of folk stories and its genres has different historical time line. The oldest are the stories about animals, magical and anecdotes appeared later, and much later novels came to its existence. The unity of different genres was seen in the unity of expression, where the same poetic postulates were valid. Folk genres differ in the nature of plot, protagonists and the motives being used. The stories about animals are for younger children, these stories appeal to the younger due to anthropomorphic features inherent in animals. These kinds of stories talk about negative qualities of animals, that is a certain moral, conclusion expressing an idea. Some social relationships can be seen in the stories about animals where ideas of truth, mutual aid, friendship and such are praised as opposed to those which are bad. The stories about animals help children to explore the environment, relationships among characters, other links and relationships involv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