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産業神經症

        崔炫 가톨릭대학산업의학센타 산업의학연구소 1963 韓國의 産業醫學 Vol.2 No.7

        산업신경증이라함은 산업에 의하여 생기는 신경증을 말하는 것이지만, 신경증이라는 것은 어떤 현실적인 원인으로서만 이러나는 것이 아니고 생활전체의 부적응내지 과거의 정신체험의 오유에서부터 녹유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산업자체가 원인이된 산업신경증이라는 것이 있을 수 있는 것인가가 의문인 것이다. 신경증은 현실신경증과 정신신경증의 이군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실제문제로서 전자, 즉, 과거의 오유를 가진 정신체험과는 관계없이 다만 현재의 원인에 의하여 생기는 현실신경증은 극히 emamnf고 후자, 즉 과거의 정신체험에 근거를 가지고 있으면서 그것이 현재의 어떠한 동기에 의해서 유발되는 정신신경증이 대부분이다. 결국 정신경증이 전부이고 이것을 과거의 정신체험을 함유하는 요소가 많은가 혹은 현실의 동기요소가 많은가의 차이를 말한다고 생각되며 후자가 많은 것에 현실신경증이라는 이름을 부친 것이다. 그러므로 산업신경증이라는 개념은 산업상 혹은 산업상의 가해를 동기로해서 생기는 심인성장애인만치, 산업계에서는 현실의 환경조건, 녿ㅇ조건을 분석함과 동시에 그 개개인의 성격, 정신반응을 고려에 넣어서 해결하여야 한다.

      • 中小企業의 産業保健을 위한 組織 : 제네바에서 開催된 世界保健機構 産業保健專門委員會 會議參加報告

        曺圭常 가톨릭대학산업의학센타 산업의학연구소 1975 韓國의 産業醫學 Vol.14 No.4

        본 보고서는 1975년 7월 22일부터 28일까지 제네바의 세계보건기구 본부에서「중소기업의 산업보건을 위한 조직」이라는 의제를 가지고 개최되었던 전문위원회의의 보고이다. 본 회의는 세계보건기구의 산업보건국장인 Dr. M.A. El Batawi가 준비한 것으로서 동국의 Dr. B. Gelzer(Brazil)와 Dr. G. Lambert(서독)가 이를 도왔고 국제노동기구 산업안전보건국장 Dr. E. Mastromatteo(Canada)의 협조를 받았다. 본 회의는 영국의 산업보건의 권위자인 Dr. Robert Murray 불국의 Dr. N. Pardon, Dr. J. Cornuau가 참가하였고 공산권에서는 Czechoslovakia의 Dr. Milos Noa′sl 교수가 그리고 아프리카에서는 Dr. Yousif Osman(Sudan)과 Dr. R. J. Beresford-Cole, 아세아에서는 Dr. Pin Kee Chew (Singapore)와 본인인 참석하였다. 본 회의에서는 다음의 사항이 주요의제로서 논의되었다. 1. 중소기업노동자들의 건강에 대한 역학적인 고찰. 특히 산업재해와 직업병, 연소노동자와 부녀노동자들의 노동조건. 2. 개발국과 개발도상국에 있어서의 현실가능한 중소기업을 위한 산업보건 사업. 3. 중소기업에 있어서의 노동자들의 건강보호를 위한 법적 개념과 산업보건 사항을 추진하는데 있어서의 장애. 4. 장래 본 과제 해결을 위한 세계보건기구와 회원국에서의 건의.

      • 工場安全點檢時의 着眼點

        鄭奎澈 가톨릭대학산업의학센타 산업의학연구소 1962 韓國의 産業醫學 Vol.1 No.1

        1. 새로이 창설된 가톨릭 산업의학연구소는 「연구소안내」와 월간「한국의 산업의학」지 제1호를 발행하여 200명이상 되는 전국기업체와 관계각기관에 배포하였습니다. 2. 가톨릭 산업의학연구소는 각기업체에서 일어나는 산업의학에 관한 문제와 조사의뢰를 환영하고 있습니다. 3. 국립보건원에서는 노동국 주최로 전국안전관리자에 대한 강습회가 9월24일부터 29일까지 개최됩니다. 4. 금년도 제1회보건관리자 및 보건관리요원의 훈련은 10월25일부터 8주간에 거쳐 국립보건원에서 개최될 예정입니다.

      • 韓國勤勞者들의 健康診斷結果와 事業場의 保健實態에 關한 綜合報告書

        가톨릭産業醫學硏究所 가톨릭대학산업의학센타 산업의학연구소 1964 韓國의 産業醫學 Vol.3 No.3

        The management of manpower is one of the fundamental factors of productivity control in modern industry. The periodic health examination is an important aspect of industrial health that manage manpower: it not only singles out the inadequate laborers but also discovers occupatuonal diseases peculiar to a particular industry in early stage thereby enabling the management to take action against hazardous environment to improve the conditions in order to secure healthy labor force. Should certain occupational diseases be discovered in a plant, the management can take preventive measures against them: they can also plan to secure workers with adequate working aptitude from the time of employment. In the Past, health examination has been generally left up to the hands of the dispensary of the plant or the designated clinic and/or hospital on temporary basis. Being kept busy all the time with the routine capacity of their duty, they never had enough time and facilities to administer health examination to all workers at one time. Naturally, the health examinations of the past tended to be nominal, and anything like the discovery of occupational diseases was very rare. According to the Article 71 of the Labor Standard Act a nationwide health examination for plant-workers was administered in 1963 in order to know the existing conditions of the workers systematically under the auspices of the Ministry of Health and Social Affairs. The examinations were made by mobile teams of physicians and technicians who were specially trained in occupational diseases. They visited each plants taking particular care to harmful environments and working processes. Since workers were not sent to distant medical facilities, it minimized the time loss for each plant concerned, and the whole project was completed in a relatively short period as well since the entire members of plant could be examined at one time. Every finding was listed in the individual health examination card; and collected, these cards served to analyse and evaluate the health condition of the entire plant after a due statistical process. Cases requiring actions were notified to plants concerned, and this no doubt eliminated the pitfall of the past health examinations-the errors due to inadequate statistics. It was planned originally to administer health examinations to 255,217 workers of 2,286 plants as shown in Table 1. but there have since been some changes in the number-some plants switched, some laid off, and some refused to cooperate. The present report covers the result of health examinations administered from April to November of 1963 to 148,358 workers who were then working in 1,773 plants in Korea that had over 30 workers. The annual total number of examinees for the past five years ranged from 100,000 to 150,000 workers. But this year, our Institute alone handled 150,000 workers; if we add 10,000 mine workers examined under the sponsorship of Korea Coal Mining Corporation and 40,000 workers examined by many independent plants, the total number of health examinees for the year is well over 200,000. We sampled 198 plants out of these plants in order to determine the harmful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conditions of their management and control.

      • 구미 각국의 산업의(産業醫) 제도

        정치경,구정완 가톨릭대학산업의학센타 산업의학연구소 1995 韓國의 産業醫學 Vol.34 No.4

        핀란드의 산업보건제도의 특징은 서비스 보급도가 고용 노동자의 94%(1986년)에 달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 숫자는 세계적으로도 경이적인 것으로 산업보건을 원활히 운영하는 체제가 고도로 성숙되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그 이유는 무엇보다도 산업보건 서비스는 지역 의료서비스와 밀접히 결부되어 제공되고 있는 것일 것이다. 이와 같은 체제가 중소기업 노동자까지 용이하게 해당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것을 가능케 하였다. 또한 노동자 보호사상이 관민 동시에 발달하였다는 것도 큰 이유일 것이다. 국제노동기관 등의 권고 그 중에서도 1959년의 직업위생기관 권고에 의거하여 국내의 법제도를 정비하여 가능한 한 이상적인 체제를 만들어 낸 것, 사업주에게 산업보건 서비스 제공의 의무를 부과하며, 산업의 독립성을 보증한 것은 노동자의 직장에서 안전과 건강을 유지하는데 극히 효과적이었다고 추측된다. 더욱이 국민은 서양적 합리정신으로 지탱되며, 적은 인적자원을 유효하게 활용하기 위하여 고도의 전문 교육훈련제도를 확립하였다는 것도 산업 보건 발전에 중요한 것이다. 일본의 산업보건 제도에 있어서도 핀란드의 제도는 상당히 참고된다. 특히 중소기업 노동자에 대한 산업보건 서비스의 제공은 지역보건(의료)서비스와의 제휴가 상당히 중요하다는 것을 말해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