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대학수월성 교육의 활성화 방안 연구

        노들(Ro, Dul) 순천향대학교 특수아동교육연구소 2014 특수·영재교육저널 Vol.1 No.1

        본고는 대학에서의 수월성 교육의 문제점과 필요성 및 활성화 방안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이에 따른 대학에서의 수월성 교육의 문제점은 크게 두 가지로, 고등학교에서의 대학으로의 연계성이 매우 낮다는 점과 이공계 이외의 부분에 대한 논의가 미비하다는 점이다. 따라서 대학에서의 수월성 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활성화하여야 한다. 대두된 활성화 방안으로는 AP 제도 등을 더욱 활성화 하는 방안과 지속적이고 심화된 연구를 지원하는 시스템, 학ㆍ석사 통합과정 등의 방안들이 제시되어 왔다. 또한 이러한 대학에서의 수월성 교육은 지방대학의 재도약을 위해 꼭 해야 하는 부분임에 틀림없으며 현실적으로 가장 조속한 도입이 가능한 입학 전 프로그램 및 입학 후 가중치 과목의 운영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This paper has studied the problems of excellence education in university and necessity and activation. It has two main problems. One is the connectivity is very low that from the high school to the university. Another is the lack of discuss about except for natural science and engineering. Therefore, the necessity about the excellence education in the university has to be realized and to activate. The activation plan was suggested. It is further activating the system, such as AP, UP, bachelorㆍmaster degree system. Excellence education in the university is positively necessary for development of local university. And needed to operation of before and after entranced into school programs as possible as.

      • KCI등재

        지역사회에서의 이주배경 아동에 대한 멘토링 수업 진단과 개선 방안 연구 : 순천향대학교 교양과목 운영 사례 분석

        박동성(Park, Dongseong)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1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40 No.2

        이 연구에서는 순천향대학교에서 지역사회의 이주배경 아동(다문화가정 자녀, 중도입국 자녀 등)을 대상으로 진행하는 다문화 멘토링 수업 <다문화행복나눔프로젝트>의 진행과정을 분석하고 수업 개선 방안을 도출했다. 수강생 모집, 멘토-멘티 매칭, 물품 구입과 현장 활동을 위한 예산 집행 등 멘토링 수업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업무량이 상당히 많다. 이를 위해서는 담당교수 뿐 아니라 전담 인원의 지원이 필요하다. 멘토링 진행 과정에는 민원 처리, 멘토링 수행 상황 확인 등 지속적인 체크가 필요하다. 이주배경 아동에게 대학생 멘토는 학습 도우미이며 인생 선배로서의 의미를 가진다. 멘토에 대한 충분한 교육과 훈련, 책임의식과 사명감을 가지게 하는 것은 다문화 멘토링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중요한 요인이다. 또한 좋은 멘토링 결과를 만들기 위해서는 학점 부여 이외에 우수 활동자에 대한 보상을 하는 등 적절한 상벌체계가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rogress of the multicultural mentoring class <Multicultural Happiness Sharing Project> for children with an immigrant background(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immigrant children, etc.) in the community and draw up ways to improve classes. The workload is quite high to conduct mentoring classes such as recruiting students, matching the mentors and executing budgets for purchasing goods and field activities. This requires support from dedicated personnel to assist the professors in charge. The mentoring process requires continuous checks, such as handling complaints and checking the condition of mentoring. For migrant background children, a college student mentor is very important as a learning assistant and a senior in life. Having sufficient education, training, sense of responsibility and mission for mentors is an important factor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multicultural mentoring. In addition, in order to produce good mentoring results, an appropriate reward and punishment system is needed, such as rewarding outstanding activists in addition to granting credits.

      • KCI등재

        대학생 문장 쓰기 실태와 지도 방안

        김수진(Kim Su Jin)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8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37 No.2

        문장은 글을 구성하는 핵심 단위이다. 주제 분석, 내용 생성 및 정리, 개요 작성 등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도 문장을 제대로 쓰지 않으면 글쓴이가 가진 생각을 독자에게 제대로 전달할 수 없다. 이 논문은 대학생들이 작성한 글에서 빈번하게 나타나는 문장 오류의 양상을 파악하여 이를 바탕으로 실질적인 지도 방안을 모색한 것이다. 이 과정에서 순천향대학교 ‘사고와 표현’의 교재이자 지침(guideline)인 􋺷사고와 표현􋺸의 문장 관련지도 내용(‘단어’, ‘문장’)을 검토하였다. 순천향대학교 학생들이 작성한 글을 분석ㆍ검토한 결과, ‘띄어쓰기, 호응, 문법 요소(조사, 어미) 오용, 문장 성분 생략, 피동ㆍ사동 표현, 같거나 비슷한 어휘 중복, 구어체 표현, 표기’ 등의 오류 양상이 빈번하게 나타났다. 이 논문은 문장 오류 양상을 확인하고, 문장 쓰기 교육의 필요성ㆍ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구체적인 지도 방안까지 제안한 것으로 대학생 문장쓰기 관련 연구 자료 또는 글쓰기 강의 보조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s sentence error patterns that frequently appear in university students’ writing and, based on this exploration, provides practical guidance. In this course, I reviewed the contents (“words” and “sentences”) related to sentence instruction in Thought and Expression, a textbook of Soonchunhyang University. After analyzing and reviewing the text written by Soonchunhyang University students, it was found that errors such as the following frequently appeared in students’ writing: spacing, response, grammatical elements(postposition, ending), omitted sentence components, passive and causative expressions, overlapping of same or similar vocabulary, colloquial expressions, and notations. This study not only emphasizes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sentence writing education; but also suggests a concrete instruction plan, which can be used as a study material for sentence writing by university students or for developing supplementary lecture materials.

      • 이순신의 리더십 분석을 통한 대학생 리더십 교육프로그램 개발방안

        이웅규(Lee Woong Kyu),이영관(Lee Young Kwan)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04 이순신연구논총 Vol.- No.3

        21세기는 변화의 시대다. 그 변화는 민주적이고 도덕적이며 미래 지향적 모델을 담고 있다. 그것은 21세기 우리의 과제이기도 하다. 그러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우리 교육은 새로운 시대의 요구와 우리 문화에 알맞게 교육정책, 교육프로그램, 학교 운영방식, 구조, 과업, 조직의 구성원 등이 점진적으로 모두 변해야 된다. 이러한 시대의 흐름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먼저 교육행정가의 의식, 가치관 그리고 행위가 획기적으로 변해야 한다. 그리고 이에 따라 교육프로그램도 바뀌어야 한다. 그러나 우리나라 대학교육의 현실은 어떠한가? 대학은 사회가 급속히 변화함에 따라 교육 수요자의 기대와 요구의 증가, 교육 민주화로 인한 자율성 증대 등으로 보다 효과적이고 도덕적인 학교를 추구하며, 미래에 대한 교육적 비전을 제시해야 하는 막중한 위치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체 대학생을 대상으로 그들의 교육적 신념이나 가치를 변화시키기보다는 사무적이며 관행적으로 사회에 내보내는 일에 치중하는 경향이 높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대학 교육프로그램의 질과 내용은 대학생 교육의 성패를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제 대학은 전통적 교육프로그램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고, 이 시대의 변화에 도전할 수 있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리더십을 발휘해야 하는 중요한 시기에 와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시대적 변화에 부응하기 위해 본 연구는 오랫동안 우리 민족의 정신적, 실제적 세계에 중대한 영향을 끼쳐 온 위대한 충무공 이순신의 가르침이 어떤 리더십의 특성을 강조하고 있는지를 고찰하여 우리나라 대학생의 리더십 교육프로그램 연구의 새 이론적․실제적 패러다임을 제시함으로서 이순신 연구를 교육프로그램과 연계하는 문제를 새롭게 조명해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런데 지금까지의 리더십 연구는 정치․경제․사회․문화적으로 성공하거나 높은 위치에 있는 사람들의 리더십 유형이나 특성에 대한 연구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즉 리더십을 단지 다른 사람들을 이끌어가고 지도하는 사람에게만 있는 것으로 간주하는 경향이 있어 이러한 결과를 초래하였다고 할 수 있다. 실제 그런 사람들이 리더로서의 많은 장점들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여기서 제시하는 이순신 리더십은 누구나 잠재력을 가지고 있고, 누구나 교육과 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함으로써 획득할 수 있는 것이다. 인간에게 있어 리더십 발달의 가장 결정적인 시기는 청소년기이다. 특히 대학생이 된 청소년기에 리더십을 발달시키지 못하면 위험행동에 빠지게 되며, 성공적인 성인기로의 진입이 어려워진다. 따라서 청소년 리더십과 아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는 상황이론, 즉 누구나 리더십의 잠재력을 가지고 있고 개발할 수 있다는 사실에 기인하여 본 연구의 대학생 리더십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중요성을 부각시킬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리더로서 청소년들의 리더십의 잠재력을 일깨울만한 리더십을 발휘하고 자신의 역량을 보여준 이순신 리더십에 대한 연구를 고찰함으로써 대학생 리더십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이해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서구 중심의 리더연구에서 우리나라의 상황에 가장 잘 어울리는 리더 연구뿐만 아니라 리더십의 특성 이해로서, 자라나는 청소년들의 역사체험 및 교육적 차원의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하는 계기마련을 위해서, 또한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의 리더십 체험의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대학교육과 관련하여 학교교육을 통한 지방대학 인력의 적극적 양성과 평생교육지원, 진로지도강화 등의 차원에서 대학생의 학습주기(educational life-cycle)에 맞게 자신들에게 부족한 권력화(empowerment), 경험화 교육과 네트워크 형성교육을 강화하여 경쟁력 있는 인적자원을 만들기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청소년이 가장 존경하는 인물로 선정된 이순신이 갖고 있는 리더십의 특성을 알아보고, 변화하는 시대환경 패러다임에 맞는 리더십 역할 모델을 선정함으로써 대학생 스스로 리더로써 갖추어야 할 능력과 팀워크의 형성능력을 배양시키고자 한다. The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developments to activate Educational Leadership Program through General LeeSunShin in Korea. It is necessary to make various efforts to develop for Educational Leadership Programs through General LeeSunShin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leadership revealed in General LeeSunShin s life that has exerted a significant influence upon the substance of the spiritual and practical worlds, and to give Korean Educational Program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paradigms of ideal leadership shown through General LeeSunShin. In 21st century of borderless business era, the circumstances around companies change very rapidly. Therefore, it is required for the leadership, which is responsible to lead participants effort and direction, to be presented to a new direction which is suitable for new paradigm.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searcher examined this study through Descriptive Content analysis Method. Before discussing this research, the researcher simply illustrated the concept of leadership and various studies of General LeeSunShin s leadership based on theoretical background. Then, the researcher analyzed the leadership revealed in General LeeSunShin s life. This study not only supplies the explanation about the phenomenon of leadership but also makes it possible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General LeeSunShin s leadership. Furthermore, this study intends to contribute to increase the leadership of youth through effective management of a university undergraduate.

      • KCI등재

        지방대학 신입생들의 학업중단 영향요인간 구조적 관계 분석

        남민우(Nam, Min-Woo),이해듬(Lee, Hae-Deum),백은주(Baik, Eun-Joo)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6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35 No.4

        이 연구는 지방대학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학업중단 영향요인간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하여 학업중단에 영향을 미치는 내생변인으로 대학 만족도, 대학생활 적응도를 설정하였고, 가정생활ㆍ경제수준, 학 업적 자기효능감, 전공 적성 및 진로 부합도, 교수와의 상호작용성, 전공의 취업전망도를 외생변인으로 하는 연구 모델을 설정하였다. 지방소재 대학의 신입생 627명을 대상으로 설문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연구 모델에 포함된 요인들의 상관 관계 매트릭스를 LISREL에 삽입하여 구조방정식 모델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에서 제시된 구조방정식 모델의 전반적 적합도 검증 결과는 RMSEA=.058, RMR=.048, GFI=.894, AGFI=.868, CFI=.927, IFI=.927, CN=244.91 등으로 분석되어 모델의 적합도는 양호하였다. 둘째, 구조방정식 모델에서 관계성을 분석한 결과 지방대학 신입생들의 학업중단 의도에 대해 대학 만족도, 대학생활 적응도, 전공 적성 및 진로 부합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교수와의 상호작용성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 만족도에는 전공 적성 및 진로 부합도, 교수와의 상호작용성이, 대학생활 적응도에는 대학 만족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교수와의 상호작용성이 유의미한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국 모델의 변인 간 직접ㆍ간접효과와 경로 관계를 분석한 결과 대학 만족도, 대학생활 적응도, 전공 적성 및 진로부합도, 교수와의 상호작용성이 학업중단의 영향요인 간 관계에서 핵심변인으로분석되었다. The study purpose was to identify what factors affect academic dropout intention of local university freshmen. A sample of 627 university freshmen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According to the goodness-of-fit test results (RMSEA=.058, RMR=.048, GFI=.894, AGFI=.868, CFI=.927, IFI=.927, CN=244.91), the model turned out to be good enough to conduct the research. It was identified that university satisfaction, adaptability to university life, academic self-efficacy, major fitness/career relation, and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academic dropout intention. In terms of direct effect result, university satisfaction, academic self-efficacy and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had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adaptability to university life. The study result also confirmed that university satisfaction was influenced by major fitness/career relation,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Finally, university satisfaction, adaptability to university life, major fitness/career relation, and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were identified as key variable through their direct and indirect effect on academic dropout intention of local university freshmen.

      • KCI등재

        대학장학생이 경험한 대학2학년:‘불안한 긍정’의 현재진행

        이지혜(Lee, Jihye),윤형주(Yoon, Hyungjoo)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34 No.3

        이 연구는 저소득층 가정배경에서도 우수한 개인역량으로 자신의 삶을 성공적으로 이끌어온 장학생이 경험한 대학생활에 관한 사례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S장학재단의 대학장학생 가운데 2학년생 14명을 선정하여, 각 2회에 걸친 심층면담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여기에서는 전공과정에 처음 진입하여 본격적인 대학생활을 시작하는 대학 2학년으로 시기를 한정하였다. 분석결과, 연구참여자 들은 이 시기에 전공 진입과 군입대라는 주요생애사건을 경험하며, 이 과정에서 빈곤으로 인한 학교밖 학습기회, 학업시간, 그리고 미래 선택지의 제약을 겪는다. 그러나, 중고시절부터 여러 어려움을 극복하며 단련한 결과로 자신에게 주어진 구조적 여건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모습을 보인다. 상황에 대한 긍정적 해석, 목표의 단기세분화, 당면과업의 집중몰입 등이 이들이 긍정화기제로 사용하는 전략이다. 사회적 압력이 점차 높아지는 가운데 장학재단의 미시적 지원과 개인의 능동적 대응으로 적응해가는 이들의 모습은 아직까지는 ‘불안한 긍정’의 현재진행형이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sophomore year experiences of college students who received a merit-based scholarship. A case study design is used to gain an in-depth understanding of experiences of college students from low-income families. The participants are selected among the scholarship students of the S Scholarship Foundation from 2013. Semi-structured interviews of fifteen students were conducted twice for the data collection. As the results, the participants have had two life events in the sophomore year: to enter their own major course and to get recruited for military service. They have been suffering the constraints of time, money and future choices because of their low-income family background. And yet, they have developed their own positive living strategies to deal with the difficult situation: to do a positive spin on their situation, to break the goals down and to focus on the pending tasks.

      • KCI등재

        대학 및 학과 추천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연구: 비수도권 중ㆍ소규모 대학을 중심으로

        정주영 ( Jung Joo-young )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구 순천향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38 No.1

        본 연구는 비수도권에 위치한 중ㆍ소규모 대학 재학생들의 대학 및 학과 추천 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2015년 한국교육개발원의 「대학의 교수학습 질 제고 전략 탐색 연구조사(NASEL)」데이터를 활용하여 전공강의 질, 교양강의 질, 교수와의 상호작용, 학내 구성원 간의 관계, 대학의 학생지원서비스, 학교의 강조점을 독립변인으로 투입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비수도권의 중ㆍ소규모에 재학 중인 대학생들의 대학 추천 의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교에서 제공하는 사회, 문화행사에의 만족도였고, 장학금지원 프로그램, 선배 및 동료 학생과의 관계 만족도, 흥미롭고 지적 호기심을 자극하는 전공수업의 순이었다. 다음으로 학과 추천의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요인은 선배 및 동료 학생과의 관계 만족도였고, 흥미롭고 지적 호기심을 자극하는 전공수업, 진로 관련 교수와의 면담의 순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비수도권 중ㆍ소규모 대학의 발전방향과 대학교육의 질 관리에 대해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University and Department Recommendations. In this stud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by inputting the quality of major lecture, quality of general lecture, interaction with professor, relations among members in the school, student support service of college, school emphasis as independent variables. Utilizing the data of Non-metropolitan area small and medium-sized university students extracted from NASEL data set collected in 2015 by the KEDI.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The factors influencing college students’ recommendation to college were satisfaction with the social and cultural events provided by the school, satisfaction with the scholarship support program, satisfaction with senior and fellow students, and exciting and interesting curriculum. Second, the factors affecting the recommendation physician were satisfaction with the senior and fellow students, exciting major classes, and interviews with career professo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non―metropolitan small and medium sized universities and quality management of university education were suggested.

      • 순천향대학교 사회과학대 학생의 진로인식 및 진로지도개선에 관한 연구

        심영수,차석빈,김용하,최한준 순천향대학교사회과학연구소 2003 순천향 사회과학연구 Vol.9 No.1

        This study conducted an empirical research to find ways to guide the career of college students in the social science at Soonchunhyang university.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1) About 42%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did job-seeking efforts. 2) With regard to job preparing efforts, students spent their time on improving their English ability, major classes, computer ability, and license obtaining. 3) Job-related information sources in the school were not fully utilized by the students. 4) In the future, students hope that our school strengthen its PR efforts, open more English-related classes, improve its school image as a local university, and provide more job-related information The study concludes with implications of the study results and suggestions for career guidance of students.

      • KCI등재

        대학 신입생 가정의 학업지지와 공동체 의식 간 관계에 미치는 대학특성과 학생특성의 직렬매개효과

        안선영(Ahn, Sunyoung)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1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4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신입생의 공동체 의식 역량에 가정에서의 학업지지가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들의 관계를 매개하는 두 요인인 대학특성과 학생특성이 어떠한 간접효과가 있는지 탐색하는데 있다. 간접효과의 확인은 SPSS를 이용한 Baron과 Kenny(1986)의 단순 및 위계적 회귀분석과 Mplus를 이용한 직렬적 다중매개모형의 두 방법으로 하였고, 대학 신입생 150명의 응답 자료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가정의 학업지지는 대학 신입생의 공동체 의식역량에 직접적인 영향이 있었다. 그러나 매개변수를 투입했을 때에는 직접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가정의 학업지지와 공동체 의식 간 관계는 학생특성에 의해 완전히 매개되었다. 또 대학특성은 학생특성에는 영향을 주었지만, 공동체 의식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가정의 학업지지는 대학특성, 학생특성 모두에 영향을 주었다. 따라서 대학특성과 학생특성을 각각 투입했을 때는 학생특성만이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내었고, 두 매개변수를 모두 투입했을 때에도 가정의 학업지지에서 대학특성, 학생특성을 거쳐 공동체 의식에 영향을 주는 간접효과 즉, 완전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 신입생에게 대학특성의 영향이 유의하지 않았던 결과를 바탕으로 검사 시기, 비교과 프로그램과 교양 교육, 장학지원 등 신입생의 공동체 의식 강화를 위해 대학특성이 긍정적으로 향상되도록 고려해 볼 방안들을 논의하고 후속 연구를 위한 보완점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amily’s academic support that affects the sense of community of university freshmen. It is also aimed to explore the indirect effects of university and student traits as mediators. For this, two types of analysis about indirect effect were implicated for 150 response data of freshmen: First, the simple linear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ere carried out with Baron & Kenny(1986) procedures. Second, a serial multiple mediation model with Mplus 8.5 was applied. As a result, family’s academic support had a direct effect on the sense of community of university freshmen. However, when the mediators were put in the model, direct effect was disappeared. The relation on family’s academic support and the sense of community was fully mediated by student traits. Family’s academic support influenced both traits of university and student. university traits had an effect on student traits though, it did not influence on the sense of community. Finally only student traits showed a full mediated effect when university and student traits were input. Even both mediators were input simultaneously, the full mediated effect on sense of community through university and student trait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a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discussed that some considerations are needed for freshmen such as appropriate diagnosis timing, developing the support programs with scholarships, extracurricular and general education. Then some complementary points were suggested for the future study.

      • 충청남도 서북부지역 고교생들의 유치방안에 관한 연구

        문재우,장호순,이영관,이덕희 순천향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1 순천향 사회과학연구 Vol.7 No.1

        Students applying for Soonchunhyang University are mainly from Seoul City, Kyeonggi Province, and Choongnam Province. Attracting high school students from Seoul and Kyeonggi areas getting more competitive among colleges, and thus require more time and money. Meanwhile, recruiting high school students form local area become more economic and effective for Soonchunhyang University due to its location.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factors that influence students and their parents in the northwestern Choongnam Provice in applying for university admission. The survey of students and their parents in Chonan, Asan, Yesan, Dangjin, Seosan, Taean and Hongsung reveals that they prefer colleges located in Seoul and Daejeon to those in Asan and Chonan. They responded that notoriety, facilities and student welfare service as important factors in selecting colleges. They also showed high interest in whether the colleges offer new field of major, cultural environments, atmosphere for hard study, employment opportunity after graduation, and scholarship and financial aid. They obtained information of prospective colleges less from mass media such as newspapers and TV than internet, admission guidebooks by colleges, and publications from private institutions for college admis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