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특별기고 : 『해운물류 연구』의 연구동향 분석 -학회지 제61호부터 제70호까지를 중심으로-
김길수 ( Gil Soo Kim ) 한국해운물류학회(구 한국해운학회) 2012 해운물류연구 Vol.28 No.1
본 연구에서는 『해운물류연구』 제61호에서 제70호를 대상으로 게재 논문의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항만관리와 해운법/관습 및 물류관리/운영 분야의 논문이 가장 많았고, 연구자 중에서는 교수의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2인 공동연구가 가장 많았다. 채택된 연구방법으로는 수리/계량 분석이 가장 선호되었으며 설문분석은 줄어드는 반면 계량분석은 증가하고 있다. 아울러 참고문헌의 평균인용수는 29.9편으로 지난 번 연구에 비해 증가하였다. 『해운물류연구』의 피 인용건수는 평균 2.9편으로 제 51호부터 제 60회까지의 평균인 1.3편에 비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analyzed tendency of research of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Shipping and Logistics from Vol. 61 to Volume 70.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subjects mainly researched in shipping and in logistics are port economics/management and shipping law or shipping practice which shows 25.3% and 21.8%, respectively. Second, university professors carry out research more actively than other research groups. Third, quantitative analyses are more often used than qualitative analyses for research method. Finally, Korean literatures and English literatures are used at the same rate for reference. In conclus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Journal of Shipping and Logistics, the subjects should be diversified, systematic collaboration between educational and industrial circles is required. and cooperation with foreign academies should be continued.
SNA를 이용한 한진해운 파산 이후 해운물류분야 연구 동향 분석에 관한 연구
김재철 ( Kim Jae-cheol ),박성훈 ( Park Sung-hoon ),최영서 ( Choi Young-seo ),여기태 ( Yeo Gi-tae ) 한국해운물류학회(구 한국해운학회) 2021 해운물류연구 Vol.37 No.2
한진해운 파산 후 해운물류 분야 연구에 변화가 감지됨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관련 연구가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2017년 한진해운 파산 이후 이루어진 전반적인 해운물류 분야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연구 키워드 간의 구조파악에 용이한 SNA(Social Network Analysis) 방법을 도입하였다. 연결 중심성 분석결과, Governing law 키워드를 중심으로, 한진해운 파산에 따른 준거법 적용 등에 대한 연구들이 많이 나타났으며, shipping company 키워드를 중심으로 자본과 재무에 대한 연구들이 다수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었다. 매개 중심성 분석에서는 AHP, DEA, SSA 등의 연구 방법론 키워드가 높은 순위로 도출되었다. 또한, 근접 중심성에서는 AHP, Shipping company, China 등의 키워드가 높은 순위를 보였다. 해운물류 분야의 연구는 한진해운의 파산 이후에 선사의 자본과 재무들에 대한 연구들이 급격히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해운 선사의 철저한 관리와 경영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re are some changes in the maritime transport logistics in Korea after the bankruptcy of Hanjin Shipping, Although, there are limited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maritime transport trend in Korea. This study aims to analyse the overall trend in the maritime transport logistics that occurred after the bankruptcy of Hanjin Shipping in 2017. For the study method, social network analysis (SNA), which was convenient to identify the structure between research keywords, was adopted. The analysis result using degree centrality revealed that there were many studies on the application of governing laws due to the bankruptcy of Hanjin Shipping around the governing law keyword, and many studies on capital and finance around the shipping company keyword. The analysis result using betweenness centrality exhibited that the study methodology keywords such as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data envelopment analysis, and SNA were derived as the highest ranks. In the closeness centrality, keywords such as AHP, shipping company, and China showed the highest ranks. This study on maritime transport logistics implies that many studies on the capital and finance of shipping companies have been suddenly conducted after the bankruptcy of Hanjin Shipping and thorough control and business of shipping companies are needed.
박홍균 ( Hong Gyun Park ),추봉성 ( Bong Sung Chu ) 한국해운물류학회(구 한국해운학회) 2013 해운물류연구 Vol.29 No.3
미래의 물류정책은 규모의 경제와 범위의 경제적 특성으로 대형물류기업 정책에서 중견물류기업을 위한 정책으로 그리고 동반 성장하는 동기가 필요하다. FTA로 국제 물류네워크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현실에서 물류서비스업의 구조조정은 불가피하다. 물류기업은 중견 및 대기업 모두 글로벌화 되어 있는 산업이며 글로벌화는 중요한 핵심 경쟁요소이다. 글로벌 물류시장은 대형물류기업과 중견물류기업의 시장이 일정부분 분리되어있다. 물류산업은 각각 특성화된 역할을 분담하고 있는 분사구조의 컨소시엄 형태 산업이다. 그리고 중견물류기업은 글로벌 물류환경 구조에서 물류 서비스를 핵심역량으로 강화한다. 따라서 중견물류기업 운영에 관한 효율성과 생산성에 관한 연구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DEA/WINDOW, Malmquist분석으로 안정성과 생산성 변화를 검증하였다. WINDOW 분석결과는 ㈜천경이 0.008로 나타나 가장 안정적이다. Malmquist 분석결과는 DMU별로는 2007-2008년도 1.196에서 2008-2009년도 0.904로 생산성이 악화 되었다. 2009-2010년도에 회복세를 보이다가 2010-2011년 다소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경영의 효율성은 장금상선, 한익스프레스, 한국파렛트풀, 천경해운㈜, 선진해운항공, ㈜동진이다. Frontier 분석 결과는 한국로지스풀의 평균값이 1 미만으로 기술진보가 미비하였다. Globalization has been discussed as an important market environment in various territories. Maritime industry is also closely associated with globalization. Together with globalization, faster, more reliable, and cheaper maritime transport services have facilitated the expansion of global trade. With the development of emerging economies, the maritime industry had increased dramatically. The rise of China as the world manufacturing center was a key driver of this growth. Since 2008, however, there have been some declines because of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t is not easy for container ports to have a sufficient container cargo volumes including transshipment. Therefore, container ports in individual countries require effective strategies for generating sufficient container traffic. Through a country-level analysis, this paper is designed to empirically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globalization on individual container ports` internal capabilities and transshipment traffic volumes.
안우철 ( Woo Chul Ahn ) 한국해운물류학회(구 한국해운학회) 2013 해운물류연구 Vol.29 No.-
한국의 국가물류체계에서 타 운송수단 못지않게 연안화물운송의 기능과 역할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국가물류의 효율화와 활성화 차원에서 연안해운의 역할과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연안해운체계 구축과 실현에는 많은 문제점이 제기되어왔다. 이에 지난 10년간 정부와 학계, 업계를 중심으로 연안해운의 활성화 방안들이 제시되고 실행되어 왔지만 지금까지 연안해운은 활성화 되지 못하고 있으며, 오히려 사업자의 이탈, 기존 항로의 폐쇄 등 여전히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현 시점에서의 획기적인 방안이 도출되지 않거나 정부의 명확한 의지가 없는 한 더 이상의 활성화 방안 제시는 큰 의미가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같이 연안해운 활성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일본의 연안해운 활성화를 위한 최근 정책과 아이디어를 검토하고 한국의 정책과 비교 제시하였다. 또한 제시된 활성화 정책들의 근본적인 문제에 대해 생각하고 국가물류체계의 효율성과 친환경 녹색물류체계 구축측면에서 연안해운의 활성화를 위해 과연 정부가 반드시 실천해야 할 근본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coastal shipping play an important role in Korean Logistics System as much as other transport modes. Despite the role and importance of coastal shipping in efficient of national logistics, there has been many problems for constructing coastal shipping system. Although there have been proposed activation plan coastal shipping by government and the academic, the industrial for the last 10 years, coastal shipping has not been activated until now on. Rather coastal shipping is steadly worsening such as leaving coastal shipper, closing existing route. Therefore, it is useless to proposes activation plans any more at this time. This study conducted comparative study on coastal shipping policies and ideas between Korea and Japan which is in trouble recent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root causes of activation plan proposed and propose fundamental improvement that government has to act for revitalizing efficiency of national logistics and establishment of green logistics system.
조혁수 ( Hyuk Soo Cho ),김장훈 ( Jang Hoon Kim ) 한국해운물류학회(구 한국해운학회) 2015 해운물류연구 Vol.31 No.4
해운물류산업은 개별국가의 경제성장에 중요한 기반이 되고 있다. 다양한 분야에서 논의되고 있는 ``안전(safety)`` 이슈는 해운물류산업에서도 중요한 주제이다.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해운물류산업 안전과 관련한 체계적인 선행 연구가 진행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안전 성과가 컨테이너항을 포함한 해운물류산업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해운물류산업 관련 다양한 유형 혹은 무형 자원과 안전 성과와의 관계를 국가 수준의 자료를 활용해 분석하고 있다. 선행연구 및 실증분석 결과 개별국가의 인프라 수준과 정보통신기술 역량이 해운물류산업 관련 안전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해운물류산업 네트워크의 중요성도 도출할 수 있었다. 하지만 해운물류산업 효율성과 안전 성과와의 상관관계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향후 국가 수준이 아닌 관련 업계 참여자 대상 설문조사(survey)를 병행하는 것이 본 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할 수 있는 합리적인 연구 과제로 판단되고 있다. Globalization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maritime industry. A growing competition in marine transportation and seaports has been leaded by the increasing globalization. In particular, globalization of markets or production has led to a rapid increase in vessel movements in many seaports. Many conglomerates are trying to extend enterprises far beyond their home countries via global Supply Chain Management (SCM). It is important for them to compete and survive in the global marketplace. However, on the other hand, the activity to overcome the severe competition may put marine transportation and seaports at risk. The maritime industry has witnessed several accidents worldwide. These disasters have raised the awareness of both researchers and policy makers about the importance of risk assessment and safety in marine transportation and seaport operation. There have been various accidents in marine transportation such as ship collisions, oil spills, ship sinks, etc. In Korea, the sinking of a domestic cruise (the MV Sewol) occurred in 2014. This disaster has raised the awareness of both researchers and policy makers about risk assessment and safety in marine transportation and seaport operation. ``Safety`` has been a key issue in many areas including the maritime industry.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there are two different approaches to analyze maritime risk, although there is a considerable overlap (and often confusion) between them. Maritime risk is associated with marine transportation and seaport operation.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safety performance can be an important factor determining competitiveness of the maritime industry. Nevertheless, there are limited studies emphasizing it. Historic safety performance of vessels sailing under particular flags and passenger ferry safety were the core subjects in the previous studies. Some of them assessed the safety of individual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Additionally, probabilistic risk assessment in the maritime domain has been discussed. However,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about risk management in the maritime industry across countries. This study is thus designed to undertake maritime risk and performance in seaport operation with a cross-country empirical analysi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safety performance to the competitiveness of maritime industry. Various tangible and intangible resources regarding the safety performance and competitiveness are empirically examined with secondary data. This study uses several databases regarding safety performance, infrastructure, ICT capability, efficiency, and network of maritime industry, which contain country-level data. Based on them, this study found that maritime infrastructure and ICT capability can play an important role to improve safety performance of individual countries. This study tested hypotheses with country-level data. We suggest to combine country-level and firm-level data for future research. It can be an alternative to overcome some limitations of this study.
논문 : 중국진출 한국 기업의 물류 아웃소싱 성과에 관한 실증연구
유창권 ( Chang Kwon Yoo ) 한국해운물류학회(구 한국해운학회) 2011 해운물류연구 Vol.27 No.3
본 연구는 한국의 최대 투자국으로 부상하고 있는 중국에 진출한 한국의 화주기업을 대상으로 제3자 물류서비스 활용성과를 화주특성과 물류서비스 공급업체와의 파트너십 특성을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규모면에서는 대기업이, 업종면에서는 유통업이, 진출지역 면에서는 산동성, 북경시, 하북성, 동북3성 지역이, 진출형태 면에서는 단독투자 방식이, 파트너십 유형면에서는 전략적 아웃소싱 형태가 물류성과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중국 진출 한국기업의 물류성과 제고방안을 제시하였다. in 2000 has been displaying enormous market potential with intense economic growth and open market promotion. Following such outcome, leading corporate around the world are seeking to secure their opportunity in the market through expansion in China. Korea also has intensified their investments in China and has become the country to invest the most. On the other side, number of Korean companies that have invested in China resulted in lack of achievements or failure. A Number of reasons have been brought up such as unique commercial practice in China, base legislation in socialism, limited distribution and collectivism. These factors have provided with uncertainty and have limited our market approach. To overcome the distribution difficulties, decent number of companies have selected to source the products directly from China. This study will examine the distribution strategy selected directly from China and its achievements through empirical research to provide strategical data for the companies considering their expansion in China.
해외경험의 깊이와 폭이 한국물류기업의 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
양영수 ( Young Soo Yang ),이재은 ( Jae Eun Lee ) 한국해운물류학회(구 한국해운학회) 2014 해운물류연구 Vol.30 No.2
본 연구는 한국 물류기업을 대상으로 해외경험의 깊이와 폭이 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고 있다. 해외경험과 성과 간의 관계에 대한 많은 선행연구들은 일관된 실증분석 결과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그 이유를 해외경험을 단일차원으로 고려했기 때문으로 보고, 조직학습이론에 따라 기업의 해외경험을 깊이(depth)와 폭(breadth) 등 두 가지 차원으로 구분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해외경험의 깊이를 ‘기업이 최초로 특정 해외시장에 진출한 이후부터 현재까지 축적해온 해외사업 지식 및 경험의 정도’로, 해외경험의 폭을 ‘기업이 둘 이상의 다양한 해외시장에 진출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해외사업 지식 및 경험의 정도’로 정의하고 이들이 물류기업의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 하였다. 한국 상장기업들 중 수상 및 육상, 운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19개 물류기업들을 대상으로 1980년부터 2006년까지의 기간 동안의 패널자료(494개의 기업-연도 관찰치)를 구축하여 실증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해외경험의 깊이는 물류기업의 재무적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해외경험의 폭 역시 물류기업의 재무적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증 분석결과는 선행연구의 결과들과 일관되게 해외경험의 깊이가 외국인 기업으로서의 불리함(예컨대, 외국인 비용)을 감소시키며, 현지시장에서 필요로 되는 유용한 지식의 습득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성과향상에 기여하며, 해외경험의 폭 역시 새로운 해외시장으로 진출하는 기업에게 현재의 상황에서 발생될 수 있는 복잡성을 줄여주고 프로세스를 단순화시켜줄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함으로서 성과향상에 기여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This paper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types of internationalization experience and financial performance of Korean logistics firms. Specifically, this research examines the types of international experience such as the depth of international experience and the breadth of international experience of Korean logistics firms. The depth of international experience is measured as the number of years since the focal firm’s first foreign expansion through foreign direct investment and it represents the years that took the firm to reach its current international expansion. The breadth of international experience is measured as the number of subsidiaries in which a firm established subsidiaries during its international expansion. Thus, we attempt to explain the types of international experience in terms of learning acquired in the course of past international activities and its impact on performance of the firms. Based on organizational learning theory, we presents two hypotheses. Hypothesis 1 suggests that a higher depth of accumulated experience in international markets will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financial performance of Korean logistics firms. Hypothesis 2 anticipates that Korean logistics firm``s the diversity of international market experience is positively related to the financial performance of Korean Logistics Firms. Based on the sample of port logistics, land logistics, transportation service firms listed on the Korean Stock Exchange (KSE) for the period of 1980-2006,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ypes of international experience of Korean logistics firms are positively related to financial performance of logistic firms. This paper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pth of breadth of international experience based on organizational learning theory. The results of our longitudinal study suggest that the types of international experience promotes the organizational learning by exposing the firm to rich and diverse experiences, and consequently have positive impact on firm``s performance.
나정호 ( Jung Ho Na ),김광원 ( Kwang Won Kim ),방희석 ( Hee Seok Bang ) 한국해운물류학회(구 한국해운학회) 2015 해운물류연구 Vol.3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해운기업의 위험관리 요인을 분석하고, 기업특성에 따른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해운기업의 위험관리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국내외 해운산업의 현황, 국내 해운기업의 위험관리 현황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토대로 요인을 도출하고 이에 대하여 AHP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해운기업의 위험관리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국내 해운기업의 위험관리에 대한 인식제고가 필요하다. 둘째, 국내 해운기업의 위험 전문 관리팀 개설이 필요하다. 셋째, 정부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 넷째, 유동성 위험을 대비할 수 있는 체계마련이 필요하다. 다섯째, 전사적 의견조율을 통해 위험관리 기법에 대한 아이디어 도출과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장을 마련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Korean shipping company``s risk management strategies, examine the risk factors for domestic shipping companies and to determine by a priority based system the companies characteristics. To this end, we executed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analysis on the basis of the relevant factors which were based on status of the global shipping industry, risk management, domestic shipping companies status and literature reviews. We suggest the following risk management strategies based on analysis of the results. Firstly, Korean shipping companies need to raise awareness about shipping risk management. Secondly, shipping companies need to set up internal risk management teams. Thirdly,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support to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Fourthly, large companies are required for the liquidity risk management system. Fifthly, shipping companies coordinate and manage complex risk management activities and strategies among their departments.
팬데믹 시기 한국 해운업 미래 전략 도출 연구- 전문가 인터뷰를 기반으로
안영균,박상원 한국해운물류학회 2022 해운물류연구 Vol.38 No.2
코로나 19가 초래한 경제 위기는 인류 역사상 최대 규모라고 평가된다. 금융에서 비롯된 2008년 리먼 쇼크와 달리 이번에는 감염이라는 전 세계에서 펼쳐지는 보이지 않는 적, 바이러스를 상대로 전 세계 주요국들은 경제 활동의 제한을 강요당하고 있다. 뉴딜 정책은 코로나 19가 야기한 시장 불균형을 타개하려는 정부 주도 정책으로 큰 정부를 위시해 전례 없는 위기를 극복하려는 정책인데, 한국을 포함한 주요 해운국은 미래 전략 수립·시행을 통한 경기회복과 부흥을 도모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해운산업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판 미래 전략 추진 동향을 조사하고 해운 스마트화 기술 측면에서의 발전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산·학·연·정에 포진한 해운업 전문가를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수행하는 FGI (Focus Group Interview) 기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해운 스마트화는 미래 신규 부가가치 창출이 기대되는 분야인데 고위험, 고수익 구조로 민간 투자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므로, 정부 주도 또는 민·관 협력하의 개발 촉진이 긴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제현 ( Je Hyun Lee ),이용운 ( Yong Un Lee ) 한국해운물류학회(구 한국해운학회) 2015 해운물류연구 Vol.31 No.2
본 연구는 물류공동화에 참여한 기업들 간에 물류협력을 형성시키는 요인이 무엇인지 규명하고 물류협력 형성이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가설을 확인적 요인분석으로 검정한 결과 물류협력을 형성하는 요인의 세부요인들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형성요인들이 물류협력을 결정하는데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특성 요인과 의사소통 요인, 물류정보시스템특성 요인은 물류협력 결정요인의 일부 혹은 전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운영특성 요인은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류협력 형성요인, 결정요인 및 성과간의 인과관계에 대한 분석결과, 형성요인은 결정요인에 영향력이 높지 않지만 결정요인은 성과에 모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Increasing logistics costs affects profits of firms engaged in manufacturing, distribution, logistics. In this regard, the Governments have carried out, as a method of cost savings, various supporting policies in order to activate logistics public facilities. This, however, comes out not successful due mainly to conflict of participating firms in different business lines, resulting in obstacles of operations. The success of public logistics facilities depends on cooperation among the participating firms. The logistic partnership of physical distribution cooperation is critical to efficient and effective logistical operations. In order to improve logistic performance, it may be necessary for forms participated in logistic partnership of physical distribution cooperation to form closer cooperation Unfortunately, there are few studies examining the nuance and outcomes of the logistic partnership of physical distribution cooperation And therefore this study identifies elements which form logistics cooperation and analyse whether these elements contribute to performance of logistics and lastly suggests alternatives as to the participating firms`` moving toward trust and devotion together with the government support in different respect. This study drew, through precedent studies and relevant theories about logistics cooperation, several elements relating to logistics cooperation and operational characteristics and communicational characteristics, logistics information systems. This study adapted concepts of trust and devotion as a factor for logistics cooperation. And the logistics cooperation was measured by logistics performance and logistics non-performance, This study verified research hypotheses by use of AMOS 4.0 programme as a model for structural equation. Survey was circulated to 851 public logistics participating firms which are located in Daejon 1,2,3,4 Industrial Complex, Cheongju 1,2,3,4 Industrial Complex, Oksan Industrial Complex, Ochang Science Industrial Complex, Daejon Noeun Agri Fishery Market. Among the 851, 238 (which is 27.9%) questionaries were answered and further 211 (24.7%) were selected as meaningful and used for empirical analysis. The analysis tested the hypotheses as follows. First, firms characteristics and communicational characteristics, logistics information systems characteristics affected confidence. Second, only logistics information systems characteristics affected devotion. Third, confidence affected devotion. Lastly confidence and devotion, respectively, affected performance positively. This hypotheses test leaves the following points : First, confidence is a prime element to form a devotion. And therefore a system shall be developed to make the firms trust each other. Second, cooperation for the public logistics affects the performance. And therefore the firms participating in the public logistics shall be recognized as horizontal partners not vertical. Third, the participating firms are required to understand other firms`` corporate cultures along with operational features of public logistics, work standardization, fair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