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리교육의 연구 동향과 연구영역별 성과 분석 -대한지리학회지 논문을 중심으로-

        심광택 ( Kwang Taek Sim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5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3 No.3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한지리학회지에 발표된 지리교육논문 102편을 중심으로 지리교육의 연구 동향 및 연구영역별 성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영역별 비중을 살펴보면, 대한지리학회지 지리교육논문(1963-2015년, 102편)은 교육과정, 학습자 특성, 교재분석개발, 교실수업론, 교사전문성, 평가분석 영역 순이지만,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지리교육논문(1993-2015년, 406편)은 교재분석개발, 교육과정, 학습자 특성, 교실수업론, 평가분석, 교사전문성 영역 순이다. 한국지리교육의 균형적 발전을 위해서는 지리교사의 교실수업 설계, 분석 및 학생평가전문성 연구에 대한 적극적 관심이 요청되고 있다. 영역별 연구주제를 범주화하여 연구 동향 및 연구성과를 분석한 결과는 표 5와 같다. 한국의 지리교육학자가 교육과정연구 영역에서 비판지리교육, 도덕지리교육, 지속가능발전 교육 및 세계시민교육 연구에 도전하고, 교재분석 및 개발연구 영역에서 세계시민교육의 시선으로 교과서를 비판적으로 성찰한 노력은 유네스코가 지향하는 학교지리의 역할에 조응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s and synthesize the outcomes of geography education research reported by 102 articles published by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The geography education research reported in the selected journal articles includes in turn curriculum studies, empirical research with learners, analysis and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theories of instructional design, teachers’ professional accountability, and the analysis of assessment. During a similar period, there were 406 geography education articles published by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The latter articles include in turn analysis and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curriculum studies, learners’ characteristic, theories of classrooms organization, analysis of assessment, and teachers’ professional accountability. Future attention calls for further research on instructional design, classroom dynamics and analysis,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the assessment of students. Figure 5 shows the trends and categories of research themes based on each domain of research represented in the articles reviewed. The review of geography education research suggests a movement towards critical geography, moral geography,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ttention to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was evident in the analysis and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complements the role of geography education in attaining UNESCO goals.

      • KCI등재

        2015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한국지리, 세계지리, 여행지리 교수 · 학습자료 개발 과정에 대한 논의

        전보애 ( Bo Ae Chun ),길현주 ( Hyun Joo Ghil ),김민숙 ( Minsuk Kim ),김인철 ( Incheol Kim ),범영우 ( Yeongwoo Beom ),서지연 ( Jiyeon Seo ),성정원 ( Jeongwon Seong ),오태훈 ( Tae-hun Oh ),이윤구 ( Yungu Lee ),채나미 ( Nami Chae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8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6 No.2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사회과 교수·학습자료 『한국지리, 세계지리, 여행지리』의 개발 및 검토 과정을 분석하였다. 『한국지리, 세계지리, 여행지리』는 2015 개정 지리 교육과정의 학교 현장 안착을 위한 교수·학습자료의 사례를 제시하려는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따라서 개발 및 검토 과정의 분석은 『한국지리, 세계지리, 여행지리』가 교수·학습자료로서 갖는 의미와 가능성에 대한 이해를 제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궁극적으로는 지리교육 분야의 교수·학습자료 개발 및 운영과 관련된 의미있는 논의를 제공하리라고 기대된다. 개발과정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중점 사항이자 특징이기도 한 교과역량 및 기능의 교육적 실천, 교수·학습과정과 연계된 과정중심 평가, 학생 참여에 토대한 활동 중심의 교수·학습 등을 위한 자료를 구성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그리고 현장적합성 제고를 위해 현장적합성 검토, 교실 수업 적용 등과 같은 검토를 거쳤다. 검토결과 『한국지리, 세계지리, 여행지리』는 성취기준과 교과역량에 대한 분명한 안내를 토대로 활동 중심의 수업 실천, 과정 중심의 평가 등을 가능케 하여 궁극적으로는 교실 수업의 발전적 변화에 기여할 가능성을 가지는 교수·학습자료라고 평가받았다. 이와 더불어 활동량이나 수업 시수 조정, 지리 현상과 관련된 다양한 인문지리적·자연지리적 요인들 간의 관련성에 대한 고찰의 필요성 등과 같은 지적사항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같은 결과는 교육과정 교수·학습자료 개발 및 활용과 관련된 의미있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교수·학습자료는 교수활동이나 학습활동에 활용되는 자료 뿐만 아니라 평가를 위한 자료까지도 아울러야 한다는 인식을 분명하게 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육과정 교수·학습자료상에는 자료 자체는 물론 그것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에 대한 안내도 충분히 제시되어야 한다. 셋째, 역량중심 교육과정 교수·학습자료가 적절히 개발 및 활용되려면 교과역량 및 기능에 대한 충분한 분석과 검토가 선행되어야 한다. 넷째, 지리 교수·학습자료는 복잡다양한 인문지리적·자연지리적 요인과 맥락에 대한 충분한 검토를 바탕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한국지리, 세계지리, 여행지리』는 예시적인 자료집의 성격을 갖는만큼, 2015 개정 지리 교육과정의 보다 효과적인 학교 현장 안착 및 개선을 위해서 교육과정 교수·학습자료의 개발 및 활용에 관한 후속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필요성을 제안해 본다. This study analyzed the development, revision, and supplemental processes involved in the creation of curriculum materials for the high school social studies of the 2015 National Revised Curriculum, Korea Geography, World Geography, and Travel Geography. Korea Geography, World Geography, and Travel Geography was created to provide the examples of curriculum materials necessary for the successful practice of the 2015 National Revised Curriculum.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possibly provide meaningful discussions about the development and use of geography curriculum materials as well as the potential of Korea Geography, World Geography, and Travel Geography. The characteristics of the 2015 National Revised Curriculum, including the adoption of the concept of competence, student-centered learning,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assessment improvements, were emphasized in the development process. Several revisions and supplemental processes were followed to refine and enhance the quality of educational materials. These processes suggested that Korea Geography, World Geography, and Travel Geography has meaningful possibilities for contribution to the effective enhancement of South Korean geography education. Further ideas, such as considerations for optimizing the volume of contents/ activities and diverse geographic contexts, were also proposed. These results show several meaningful discussions toward the development and use of curriculum materials as follows: First, curriculum developers and teachers should recognize that the concept of curriculum and educational materials are not limited to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but encompass assessment processes. Second, curriculum materials ought to provide guidance as to their use in class. Third,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the competencies should be deeply analyzed and understood before the development and use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materials. Fourth, consideration of diverse geographic factors and contexts are essential for creating geography educational materials. Additionally, Korea Geography, World Geography, and Travel Geography is a collection of geography curriculum materials for the 2015 National Revised Curriculum. Follow-up researches on the development and use of geography curriculum materials can meaningfully contribute to the successful development of the 2015 National Revised Curriculum.

      • KCI등재

        시민성 교육 관점에서 한국·중국·일본·호주의 중학교 지리 교육과정, 교과서 살펴보기

        심광택 ( Kwang Taek Sim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2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0 No.2

        학교 지리의 위상은 한국, 중국, 일본, 호주의 중학교 교육과정 가운데 특히, 한국 사회과에서 평가절하 되고 있다. 하지만, 학교 지리는 시민성 교육과 관련하여 여러 나라에서 필수 교과로서 강조된다. 21세기 학교 지리의 역할은 민주 시민성, 다중 시민성, 생태 시민성 수준을 넘어 생태적 다중시민성 교육의 중핵으로 진화하고 있다. 4개 국가의 지리 교육과정과 교과서 분석 결과, ``미래 교육````지속가능발전 교육````일상생활지리````생태적 다중시민성``관점에서 학습 내용(위치, 기후, 지형, 자원, 산업, 문화, 도시, 환경, 지역)과 학습 활동(지구의, 지리부도, 기후그래프, 사진, 주제도, 그래프, 인터넷, 지도·통계 자료, 사례 탐구)이 교과서에 다양한 스펙트럼으로 재현되고 있다. 시민성 교육으로서 학교 지리의 유용성을 담보하기 위해, 첫째, 학습자가 인간과 환경 간의 바람직한 관계를 모색하는 학습 기회를 갖도록 하고, 둘째, 개개인의 삶과 인류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해 학습자가 다규모적 장소감과 정체성을 인식하고, 공간적 불평등과 환경 부정의에 도전하면서 생태적 다중시민성을 기르도록하고, 셋째, 지리 교과서의 학습 내용 및 활동은 학습의 실용성을 전제로 간결성, 교육성, 효율성 측면에서 비판적으로 검토되어 다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osition of school geography is especially underestimated in Korean social studies among Korean, Chinese, Japanese, and Australian curriculums for middle school. But, school geography related with a citizenship education is emphasized as a mandatory subject in many countries. The role of school geography for the 21st century has evolved into the core of educating ecological multiple citizenships from each level of democratic, multiple, and ecological citizenship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4 countries ``geography curriculums and textbooks analyses, learning contents (location, climate, landform, resources, industry, culture, city, environment, region) and activities (globe, atlas, climograph, photos, thematic maps, graphs, internet, maps and statistics, sample study) are represented with various spectra in the textbooks from the view of education for the futur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geography of everyday life and ecological multiple citizenships. In order to guarantee the value of school geography as a citizenship education should follow next proposals. First, it needs to provide students with the opportunities to think of preferable relationships between human and nature. Second, it helps students to develop their ecological multiple citizenships for individual lives and sustainable future of mankind, which make them recognize multi-scalar sense of place and identities and challenge to solve spatial inequality and environmental injustice. Third, learning contents and activities in geography textbooks shall be dealt with critical examination in view of simplicity, educational value, and efficiency based on practicality of learning.

      • KCI등재

        세계시민교육에서 지리교육의 역할과 기여 - 호주 초등 지리교육과정 분석을 중심으로 -

        김다원 ( Kim Da-won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6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4 No.4

        본 연구는 오늘날 관심받고 있는 세계시민교육에서 지리교육의 역할과 기여를 찾아보고 지리교육의 현장 적용성을 제고하기 위해 호주지리교육의 역할과 기여를 분석하였다. 그간 지리교육은 세계시민교육의 핵심교과로 인정받아 왔다. 특히, 호주 지리교육은 세계시민교육의 내용적 측면과 방법적 측면에서 역할과 기여면 에서 특별함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분석한 호주 지리교육의 세계시민교육에서의 역할과 기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내용 면에서 자연환경과 인간의 삶을 결부한 장소성, 장소 간의 연결, 세계의 복잡성과 다양성, 그리고 상호 연결망, 글로벌 이슈 등을 통해 세계시민교육의 내용을 학습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둘째, 방법 면에서 관찰, 분석, 현장답사 등의 탐구학습과 GIS, GPS, 구글어스 등 지리정보와 ICT 활용을 통해 글로벌 관점과 지리적 상상력으로 세계에 대한 통찰력을 형성하는 데 도움을 주고 있다. 셋째, 인간과 환경과의 상호작용 관점에서 `환경`에의 접근 교육이다. 호주에서는 지리교육을 통해 환경에 대한 교육과 환경을 위한 교육을 위해 인간과 환경과의 상호작용적 관점으로 교육에 접근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현재 우리교육에서 세계시민교육과 지리교육과의 관계를 고려해볼 필요를 시사한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role and contribution of geography education f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Australia in order to enhance the applicability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Geography education has been recognized as a core subject f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particular, Australian geography education has played a special role and contribution in educating content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methodological aspects of the education. The role and contribution of Australian geography education analyzed from the point of view of world citizenship education are as follows: First, in contents, places, connections between places, global diversity, complexity and the interconnection between places, global issues are included in geography education. Second, in methodological aspects, inquiry learning including observation, analysis and fieldwork and using of geographic information such as GIS, GPS, Google Earth and maps help to foster an insight into the global with a global perspective and geographical imagination. Third, in terms of the interaction between people and the environment `environment` is learned to the students. It is the access to education for environmental education on the environ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we consider the relationship between global citizenship and geography education in primary school.

      • 한국 지리교육과정의 개선 방향 설정에 관한 연구

        류재명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02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10 No.1

        본 논문은 한국 지리교육과정의 개선방향을 어떻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인가에 대하여 논의한 것이다. 기본적으로 국가의 교육과정은 다양한 교과서 개발과 각급 학교에서의 다양한 수업 운영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되, 달성해야 할 주요 목표가 무엇인지를 분명히 하는 방향으로 나아갈 필요가 있다. 그리고 지리교육과정에서는 각 학교급별로 학습지역의 스케일 및 학습내용의 분화 정도를 조절하는 방법 개발이 무엇보다도 시급히 요청되는 일이다. 중학교 과정까지에는 향토지리, 한국지리, 세계 지리 등으로 내용을 지역별로 세분화시키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등학교에서는 한국지리, 여행지리, 환경지리 등으로 과목을 세분화하는 방안이 하나의 예이다.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학생들이 능동적으로 쉽게 참여할 수 있는 학습 활동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조직하는 일이며,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학습 활동 개발이 앞으로의 주요 과제라고 하겠다. 주요어 This paper discusses how to set up the direction of improving the geography curriculum in Korea. A new approach to control the geographical scale and organizing the sequential contents according to student’s level should be developed to reduce the current problems in geography education. If geography curriculum contains many spatial information over all geographical scale, such as home, Korea, continent, and world, students will have many difficulties to deal with many geographical facts, and lose the opportunity to think geographically with main theoretical ideas. So students had better learn world geography with home geography until secondary school. But the High school students need to have the opportunity to chose the subject that they want to learn among Korea geography, tourism geography, environmental geography.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o develop the learning activities, and to organize curriculum with them to bring about the interest of students.

      • KCI등재

        지리학의 대중적 인식을 높이기 위한 노력: 내셔널지오그래픽의 지리교육 캠페인을 중심으로

        이종원 ( Jong Won Lee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07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15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지리학의 대중적 인식을 높이려는 다양한 사례들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 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들을 모색해 보는 것이다. 이 연구에 포함된 사례들은 내셔널지오그래픽의 지리교육 캠페인과 지리 지식관련 설문조사, 영국의 GGiP 캠페인, 전국지리교사모임의 설문조사, 미국 지리학회에서 수행중인 커리어 가이드 프로젝트, 한국고용정보원의 한국직업정보시스템, 지리올림피아드 등이다. 본문의 분석을 토대로 결론에서는 지리학 전공 관련 직업에 대한 조사, 중·고등학교 학생들을 위한 지리 관련 직업 홍보 자료의 개발, 성공적이라고 평가되는 지리 관련 사업들(지리올림피아드 및 전국지리교사모임의 기초적 지리 지식에 대한 설문조사)의 유지·발전, 그리고 각 분야에서 지리라는 명칭을 사용하도록 하는 노력 등을 제안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a variety of efforts to increas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geography in terms of mass media utilization, geography-related jobs and their advertisement, political perspectives, and constant events. Specific examples discussed include National Geographic-led geographic literacy campaign and geographic literacy survey, Give Geography its Place (GGiP) campaign in UK, geographic knowledge survey administered by the Association of Korean Geography Teachers, Association of American Geographers` Career Guide project, geography-related occupation information by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Geography Olympiad, etc. It was suggested that we gather and manage geography-related job information systematically and also make them accessible for secondary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It was also suggested that we keep up the good examples such as Geography Olympiad and geographic knowledge survey by the Association of Korean Geography Teachers. Lastly, we need to redouble our efforts to break the neglect of geography by name everywhere.

      • KCI등재

        김정은 시대 북한 지리교과서의 변화 방향과 내용구성 특징

        이상균 ( Saangkyun Yi ),권정화 ( Jung-hwa Kwon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7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5 No.3

        이 연구의 목적은 2013년에 개정된 북한 지리교육과정의 변화 방향과 내용구성 특징을 파악하는 것이다. 북한의 지리교육에 관한 연구는 90년대 초부터 꾸준하게 이루어졌는데, 최근에는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김정은 정권에 접어들어 북한에서는 학제개편, 교육과정 개정 등 대대적인 교육개혁이 이루어졌다. 2013년부터 2015년까지는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새로운 교과서가 개발·보급되었는데, 새로 개발된 교과서가 국내에 들어 온 것은 아주 최근의 일이다. 본 연구는 초급중학교 3년, 고급중학교 3년 등 총 6년간 배우는 교과서 중 고급중학교 2학년 교과서를 제외한 5개 교과서를 사례로 최근 북한 지리교육의 변화 양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교과서의 집필진이 대폭 보강되었으며, 머리말에는 지리학습의 방법과 절차에 관한 안내가 새롭게 포함되었다. 북한의 지리교과서는 대학교재 형식의 기존의 틀을 벗어나 천연색의 다양한 시각자료의 비중이 크게 증가하는 등 학습자 중심의 교육을 지향하고 있다. 학습내용은 전반적으로 계통지리의 형식으로 구성되었으며, 향토지리가 처음으로 도입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mprehend the direction of change and characteristic of content composition of geography curriculum in North Korea revised in 2013. Researches on geography education in North Korea were performed consistently since beginning of 1990s but it shows decreasing trend recently. After entering to the government of Jung-Eun Kim, broadscale education reform was made in North Korea including reorganization of school system, revision of school curriculum. From 2013 to 2015, new textbooks were developed and supplied according to revised school curriculum, and it is very latest work to bring newly developed textbook in the country. In this research, I would like to comprehend the change status of geography education in North Korea with the cases of 5 textbooks for total 6 years, junior middle school 3 years and high middle school 3 years, and except for textbook for the 2nd grade of high middle school. From the result of research, the writing staffs of textbook were drastically reinforced and, in the preface, guidance on the method and procedure of learning geography was newly included. Getting out of the frame of existing textbook in university textbook form, it aims the education focusing on learners such as increasing the ratio of natural color pictorial and various visual materials. Learning contents consist of Systematic geography overall, and Homeland geography was induced for the first time.

      • KCI등재

        캘리포니아 주 초등 사회과 지리영역 교육과정의 특성 및 변화 분석

        이간용 ( Khan Yong Lee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0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18 No.3

        본 연구는 미국 캘리포니아 주의 초등 사회과 지리영역 교육과정에 대한 특성과 최근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한 것이다. 주요 분석 자료는 사회과 교육과정 문서인 ``역사-사회과학 틀(2000, 2005, 2009)``이다. 캘리포니아 주의 초등 사회과 지리영역 교육과정 상에 나타나는 특징으로는 전체적으로 역사와 지리를 두 중심 축으로 삼는 통합적 사회과를 지향하고 있지만, 내용표준의 측면에서 볼 때 특히 초등 중·저학년에서는 체계적으로 지리 고유의 내용표준들이 독립적인 항목으로 제시되고 있어 그 독자적 영역을 명확히 확보하고 있다. 내용 조직의 측면에서는 전통적인 환경 확대 방식이 적용되고 있다. 이어 학년별 핵심 주제의 측면에서 보면, 저학년에서는 위치 개념 학습, 중학년에서는 지역의 자연 및 인문 특성, 고학년에서는 자연환경과 인간활동 간의 관계에 기초한 역사지리 등이 강조되고 있다. 한편, 초등 2학년 과정에 지도 기능 학습이 집중되어 있고, 독립성과 통합성 면에서 사회과 초등 지리 학습은 4학년 과정에서 가장 완성된 모습을 보인다. 캘리포니아 주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나타난 최근의 변화는 각 학년별 교과 내용 체계가 영역별로 세분화 및 전문화를 중시하는 방향으로 재구성되어 가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최소한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의 경우, 기존의 역사영역 중심의 통합성 추구로부터 분과성, 혹은 영역 독립성을 지향하는 미묘한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This paper aims at illuminating the features and changes in the elementary geography curriculum of California. The features run as follows; it orients to integrate geography with history, especially in the higher grades. But it has the domain-independence in the lower and middle grades. It adopts a expanding environment approach as a sequence principle. Also this curriculum suggests ``location`` in lower grades, ``regional characteristics`` in middle grades, ``Man-environment relationships`` in higher grades as the main concepts of geography. And map skills are relatively concentrated on 2nd grade, and from the viewpoint of content standards the elementary geography curriculum of California reaches completion in 4th grade. Meanwhile recently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history-science framework) of California attempts to reconstruct a content framework each grades. At least the elementary curriculum appears a subtle changes in the direction toward the subdivision and specialization of a content domain from a existing history-focus curriculum.

      • KCI등재

        고등학교 「경제지리」 과목의 역사적 기원과 의미

        안종욱 ( Chong Uk Ahn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2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0 No.3

        현재까지 알려진 것과는 달리 고등학교 ‘경제지리’는 해방 직후 교수요목기에 이미 교과서가 발간되었으며, 문교부의 인정심의를 받아 학교 현장에서도 사용되었다. 또한, ‘경제지리’ 내용은 1950년대에는 대학입학 검정고시, 고등고시 행정과 등 각종 시험에서도 출제가 되어 사회적으로도 그 중요성을 인정받고 있었다. 교수요목기 이후, 1950년대 중반 제1차 교육과정기에 들어서면서 고등학교 지리과목은 ‘인문지리(일반계 사회과)’, ‘지학(일반계 과학과)’, ‘경제지리(실업계)’로 재배치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 가운데 ‘지학’은 계획 단계에서의 과목명이 ‘자연지리’였음에도 불구하고, 제1차 교육과정기를 거치면서 완전히 과학과 과목으로 정체성이 변하게 되었다. 그리고 실업계에 배치된 ‘경제지리’는 10여 년을 제외하고는 해방 이후부터 2012년 현재까지 학교 현장에서 교수되던 과목이었음에도, 그동안 교육과정 편제 및 지리교육과정 논의에서 제대로 다루어지지 않았다. 현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경제지리’가 퇴출된 여러 이유 가운데, 제1차 교육과정기 이후 일반계 고등학교 과목이 아니었기 때문에 교육과정 주류에서 배제되어 왔다는 점은 중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교육과정 및 지리교육과정의 변화와 관련 논의를 실업계 과목까지 확대할 필요가 있으며, ‘경제지리’ 교과서의 체계 및 내용 변화에 대해서도 보다 치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Economic Geography’ textbook was published right after National Liberation - the Period of Syllabus -, authorized and used in school. Also, in 1950’s, the contents of Economic Geography was recognized its value and importance as it appeared in the highly regarded exam such as university qualification exam and Public Administration exam. In the mid 1950’s, after the Period of Syllabus, subject ‘Geography’ was divided and rearranged into ‘Human Geography (a social science subject in academic high school)’, ‘Earth Science (a science subject in academic high school)’ and ‘Economic Geography(a subject in vocational high school)’. Although, the name ‘Earth Science’ was actually ‘Physical Geography’ at the first place, it turned its identity into one of Science subjects. Moreover, ‘Economic Geography’ which has been taught in vocational high school for more than 50 years, was not considered enough to be involved and issued when Geography Curriculum was developed and revised. Among the number of reasons that why Economic Geography is excluded from National Curriculum, one of the important reasons is Economic Geography was not the academic high school subject since the 1st National Curriculum. Considering this aspect, it needs to extend the issues of Geography curriculum up to vocational school subject, and also related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for ‘Economic Geography’ textbook structure and its contents.

      • KCI등재

        디지털 전환의 시대에 대응하는 교육과정의 개발 - 한국지리 탐구 과목을 사례로 -

        이종원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23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31 No.1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digital transformation of the newly revised ‘Korean Geography’ subject through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nd to propose tasks. For the digital transformation of the subject curriculum, the subject matter must be transformed into a digitalized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 It must also be possible to cultivate future digital capabilities when learning with the curriculum. Korean Geography has the advantage of sufficient digital resources that can be used in class, such as geospatial web service, open & big data, smart devices for fieldwork, and digital statistical data. In the case of Korean Geography, the type of data and geospaital technologies used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hemes, and digital transformation was also emphasized in terms of content. For the successful settlement of Korean Geography in the classroom,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share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and to prepare an alternative textbook platform that can support them. 본 연구의 목적은 2022 개정 교육과정을 통해 새롭게 개정된 ‘한국지리 탐구’ 과목을 대상으로 교육과정의 디지털 전환을평가하고 과제를 제안하는 것이다. 교육과정의 디지털 전환을 위해 교육과정은 디지털화 된 교수학습 환경에서 가르칠 수 있는성격으로 변환해야 하고, 교육과정으로 학습했을 때 디지털 미래역량을 함양할 수 있어야 한다. 한국지리 탐구 과목은 공간정보웹서비스, 공공 빅 데이터,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야외조사, 디지털 통계자료 등 수업에서 사용할 수 있는 디지털 데이터의 양이풍부한 장점이 있다. 한국지리 탐구 과목의 경우 주제에 따라 활용되는 데이터 및 공간정보기술의 유형이 달라졌으며, 내용 측면에서도 디지털 전환을 강조하는 특징을 보인다. 한국지리 탐구의 성공적인 안착을 위해 다양한 교수학습 자료가 개발, 공유되고,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대안적인 교과서 플랫폼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