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벤처기업 육성을 통한 부산지역 경제발전 방안

        김태혁,이갑수,이재득 釜山大學校 經營 經濟 硏究所 1998 經營 經濟 硏究 Vol.17 No.1

        1980년대 이후 부산지역경제의 전국비중은 급격히 감소되어 왔다. 본 연구는 날로 침체되어가고 있는 부산경제에 활력소를 제공하고 지역경제구조를 보다 고부가가치화, 고도화시키는 촉매제 기능을 담당할 지역 벤처기업의 육성전략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벤처기업의 육성은 중소제조업이 중심이 되어 지역경제를 구성하고 있는 부산지역 산업구조를 개선하는데 있어 선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부산지역에서는 경제적 의미에 부합되는 벤처기업은 극소수에 불과하고 기존사업 형태를 유지하면서 법률적인 요건을 충족시킨 기업들이 그 주류를 이루고 있다. 부산지역에서 벤처기업이 육성되기 위해서는 첫째, 고부가가치 신기술을 개발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닌 고급인력에게 기술개발에서 창업, 사업화에 이르는 종합적인 창업보육지원이 필요하며, 둘째, 지역민간 벤처캐피탈, 정책금융, 부산시 자금 등으로 분리되어있는 벤처기업 관련자금을 체계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금융지원시스템이 확립되어야 하며, 셋째, 벤처기업의 신기술개발 및 혁신, 디자인개발, 공정관리에 필요한 인적.물적지원시스템이 대학을 중심으로 구축되어야 하며, 넷째, 개발된 기술의 상품화를 위한 경제성분석, 수요개발, 광고, 물적유통 등에 대한 외부전문가들의 사업화지원시스템이 필요하며, 다섯째, 벤처기업이 대기업으로 성장하는 단계별로 금융, 기술, 사업화 등을 지속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종합적인 지원센터가 필요하다.

      • 國立大學 敎職員의 報酬體系에 관한 硏究 : 釜山大學校 敎授 및 敎職員의 相對的 給與水準을 中心으로

        최종서 釜山大學校 經營 經濟 硏究所 1998 經營 經濟 硏究 Vol.17 No.1

        본 연구는 국립대학교 교직원들의 보수수준에 상당한 차이가 존재한다는 의혹을 해소하기 위하여 국내의 7개 국립대학에 재직중인 교수, 일반직 직원, 기능직 직원들의 1997년도 1년간의 보수지급액에 대한 자료를 설문조사의 방법으로 수집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대학간에는 보수수준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을 나타났고, 특히 부산대학교 교수의 평균보수수준은 비교대상이 된 7개 국립대학 중에서 최저수준인 것으로 드러났다. 우리나라 교육공무원의 보수체계가 단일호봉제를 근간으로 하고 있고 국공립대학의 교육공무원에 적용되는 보수규정은 일부 기성회계규정의 임의적 적용의 여지를 제외하고는 사실상 대동소이함을 감안할 때 본 연구의 결과는 부산대의 보수지급기준에 상당한 문제가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따라서 향후 부산대 교직원의 보수지급체계에 현저한 개선의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대학의 CRM 도입에 관한 연구 : P대학 행정서비스 중심의 정성적 연구

        신종국,공혜경,박민숙 부산대학교 경영경제연구소 2004 經營 經濟 硏究 Vol.23 No.1

        대학 입학 수요의 감소와 대학 교육시장 개방, 디지털 사화에서의 교육에 대한 욕구 변화 등 사회적·문화적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으로 많은 대학들이 고객만족을 추구하며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을 도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대학은 모든 고객이 공평하게 개인에 맞는 행정서비스를 제공하며, 고객만족 통한 고객확보 및 차별화된 경쟁우위를 창출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P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대학의 CRM도입의 배경 및 도입단계에서의 연구를 실시하였다. 대학 행정서비스특성에 따른 CRM 도입의 특성에 관한 문헌고찰을 토대로 환경분석과 고객분석 및 행정서비스 실태에 대한 정성적 조사를 실시한 결과, CRM 도입을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행정서비스 직원들의 고객에 대한 마인드 확립이 선행되어야 하며, 이를 기반으로 행정서비스의 개선 및 홍보, 고객정보의 데이터베이스화 등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 中國 內部監査制度에 관한 硏究

        김확열 釜山大學校 經營ㆍ經濟硏究所 1997 經營 經濟 硏究 Vol.1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세계적인 추세인 감사의 국제적 조화와 차이가 발생하는 사회주의 시장경제에서의 중국 내부감사제도의 특이성을 연구하는 데 있으며, 구체적으로 보면 중국 내부감사제도의 이론적 구조와 그 특질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중국 내부감사제도의 법률체계는 최상위법인 <감사법>과 그 세부규정인 <내부감사업무에 관한 감사서 규정> 및 기업자체의 내부규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종래의 계획경제와는 달리 시장경제하에서는 독립성을 어느 정도 유지하고 있다. 중국 내부감사의 절차는 다른 감사와 마찬가지로 4단계 즉, 준비단계, 실시단계, 종결단계 및 감사후속검사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현재 중국의 내부감사도 선진화된 국제감사기준의 영향을 흡수하여 피감사단위의 내부통제구조의 평가를 중요시 하고 있다. 중국 내부감사제도의 특질은 감사주체의 사명, 감사목적, 감사의 법적근거 및 감사의 중점차이로 인하여 다른 자본주의 국가와 차이가 발생하고 있으며, 그 근본원인으로서는 사회제도에 있다.

      • Globalization, Imperialism and Global Economy

        Jung, Dong-Hyeon 부산대학교 경영경제연구소 2005 經營 經濟 硏究 Vol.24 No.1

        오늘날 세계화현상을 두고 서로 상반되는 견해가 대립하고 있다. 즉 세계화는 선진국과 후진국 모두에게 경제적 도움을 준다는 견해와, 세계화는 강대국에 의한 약소국의 착취를 합리화하는 체계라면서 세계화로 인해 빈국들은 더욱 가난해 질뿐이라는 두 견해가 맞서고 있는 것이다. 이중 후자의 견해는 종종 세계화를 제국주의 실현의 현실적 국면이라고 이해하고 이에 대해서 격렬한 반대와 비판을 가하고 있다. 먼저 제국주의의 정의를 보면, ‘한 국가나 민족에 의한 다른 비슷한 집단들에 대한 직접적이거나 간접적인 정치적 경제적 지배나 통제’ 혹은 ‘그러한 통제를 확립하려는 충동이나 노력 성향’으로 이해되고 있다. 반면에 오늘날의 세계화는 서로의 경제적 필요에 의해서 매우 정교하게 얽혀 있는 현상으로서 쌍방의 경제적 이익에 입각하여 관계가 형성되거나 단절된다. 서방기업들의 인도 등 개발도상국에 대한 아웃소싱이 그 하나의 사례에 해당할 것이다. 서방 기업은 해외 발주(off-shore outsourcing)를 통해 비용을 절약함으로써 서방국가들의 소비자잉여를 확대하고 외국기업과의 경쟁력을 강화하며 이는 결과적으로 경기하락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한편 인도 등 개발도상국 측에서는 이를 통해 새로운 고용이 창출되고 수출이 증대되며 또 선진 기술과 노하우 그리고 선진적인 제도의 도입이 촉진되는 등 경제성장에 직, 간접적 도움을 받는다. 이러한 상황의 전개에 따라 미국의 일자리가 인도로 이전하게 되는 현상이 광범하게 일어나자, 선진국인 미국에서 세계화에 대한 부정적 여론이 일어나기도 한다. 미국과 중국의 관계를 보면 이러한 상호의존관계는 더욱 두드러진다. 미국은 중국에 자본, 기술, 시장을 제공한다. 반면 중국은 미국시장에서 막대한 무역흑자를 올리며, 그 흑자의 여분으로 미국 재무성증권으로 구입하여, 미국의 쌍둥이 적자를 지탱시키는 한편 값싼 소비재를 수출함으로써 미국의 물가안정에 한 몫을 하고 있다. 그리고 중국의 거대한 잠재실업 규모는 세계노동시장의 노임 인상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이처럼 상호 긴밀하게 얽혀 있는 관계 속에는 어느 한 국가에 의한 다른 국가의 일방적 지배와 예속 또는 통제는 찾아보기 힘들다. 즉 세계화와 제국주의는 결코 동의어가 아닌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세계화의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모습을 분석하여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그리고 중진국 사이의 관계를 밝힘으로써 이것이 제국주의와 어떻게 다른가를 규명한다.

      • 地域特化産業 分析 및 選定에 관한 硏究 : 釜山地域 製造業을 中心으로

        박재운 釜山大學校 經營ㆍ經濟硏究所 1997 經營 經濟 硏究 Vol.16 No.1

        그동안 부산지역의 산업구조 및 특화산업 분석에 관해 행해진 몇몇 연구들은 한두가지의 분석기법을 통하여 부산지역의 특화산업을 도출해내고 있으며, 유망산업의 선정에 있어서도 정량적 분석보다는 정성적 분석에 주로 의존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 연구는 부분적인 분석일 뿐만아니라 한두가지 특성만을 분석함으로서 각 분석기법들이 가지고 있는 한계를 극복하지 못하고 있으며, 연구자의 자의성 또한 배제돼지 않고 있다는 점이 지적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지역특화산업을 선정하는데 있어서 적용된 각 분석기법들의 장단점을 살펴보고, 이들 연구에서 빠뜨린 분석기법을 추가하여 비교ㆍ검토함으로서 각 분석기법이 내포하고 있는 장단점을 감안한 종합적인 분석을 통하여 부산지역 특화 및 장래유망산업을 선정해보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분석방법으로는 立地商 분석(Location Quotient Analysis) 및 변화-할당 분석(Shift-Share Analysis), 지역성장율시차분석(Regional Growth Rate Differential Analysis), 지역간 투입-산출모형(Regional Input-Output Model) 등을 주로 이용하였다. 분석결과를 종합적으로 평가할 때, 부산광역시의 특화산업으로는 섬유제품, 조립금속제품, 기타 전기기계, 출판 및 인쇄산업 등이 나타나고 있다. 한편, 입지우위성이 높아 장래 특화유망산업이 될 수 있는 것으로는 음식료품, 목재 및 나무제품, 출판 및 인쇄, 고무 및 플라스틱, 기타 기계 및 장비, 재생재료 가공처리업 등을 선정할 수 있다. 산업경쟁력이 높은 장래 특화유망산업으로는 목재 및 나무제품, 비금속광물제품, 의료ㆍ정밀ㆍ광학기기, 자동차 및 트레일러를 들 수 있다. 소득 창출효과가 높은 고부가치산업으로서의 특화유망산업 비금속광물, 기타 전기기계, 의료ㆍ정밀ㆍ광학기기, 자동차 및 트레일러 등을 선정할 수 있다. 이상을 종합하여 부산시 장래 유망특화산업을 선정하면, 의료ㆍ정밀ㆍ광학기기, 자동차 및 트레일러, 목재 및 나무제품, 재생재료 가공처리업 등이다.

      • 생산의 지구화와 국제적 과점체제에 관한 연구

        조준현 釜山大學校 經營ㆍ經濟硏究所 1997 經營 經濟 硏究 Vol.16 No.1

        최근 世界經濟는 자본의 무제한적인 이동과 국경을 초월한 무한경쟁화 등 매우 급격한 변화의 와중에 놓여 있다. 이 변화의 動因은 흔히 地球化(globalization)로 요약되는데, 물론 그것은 貿易, 金融, 移民 등 경제활동의 모든 분야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그 중에서도 특히 生産의 地球化, 즉 전지구적 범위에서의 생산체제의 구축이 새로운 변화를 이끌어가는 가장 중요한 動因임은 말할 것도 없다. 그런데 生産의 地球化는 기존의 세계경제구조 내지는 세계시장질서와는 근본적으로 구분되는 새로운 세계경제질서를 형성하고 있다. 지금까지 주류경제학은 세계시장에서는 일반적으로 完全競爭만이 존재한다고 가정해 왔다. 그러나 이러한 가정은 우리가 목격하고 있는 현실과는 전혀 부합하지 않는다. 특히 生産의 地球化는 거의 모든 주요한 산업 부문들에서 國際的 寡占을 형성하고 확대시키고 있으며, 그것은 이미 세계경제 전체의 지배적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生産의 地球化라는 개념으로써 80년대 이후 현저하게 나타나고 있는 세계경제의 변화를 분석한 다음, 그것이 현대 자본주의 사회의 제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生産地球化의 필연적인 경제적 귀결이 國際的 寡占體制와 國際的 金融寡頭制의 형성임을 설명함으로써, 세계시장의 完全競爭性 전제로 하는 主流經濟學체계에 대해 근본적인 발상의 전환을 촉구하고자 한다.

      • 중소기업의 글로벌 마케팅 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김광수,박주식,안진우 부산대학교 경영경제연구소 2005 經營 經濟 硏究 Vol.24 No.1

        최근 치열한 글로벌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개별 기업들은 각고의 노력을 하고 있으며 개별 기업의 역량만으로는 한계가 있어 보이는 중소기업에게는 정부가 정책적으로 지원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일선 중소기업의 관리자들의 관점에서 이러한 지원책들이 얼마나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지의 여부나 지원과정에서 경험하는 애로사항들에 대한 구체적이고도 실증적인 연구들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부산지역에 소재한 중소기업들을 대상으로 글로벌 시장진출 과정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문제점과 기존의 정보 및 지원기관에 대한 평가 등에 대해 실증분석을 하였으며, 이러한 분석결과를 통해 중소기업을 위한 효과적인 지원방안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를 간단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소기업이 글로벌 마케팅활동을 원활하게 수행해 나가기 위해서는 무역관련 지원기관의 보다 적극적인 지원과 이에 대한 홍보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아직 수출활동을 하고 있지 않은 중소기업들은 무역지원에 관련된 어떤 지원기관들이 있으며, 이러한 기관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어떠한 도움을 얻을 수 있는지를 제대로 알고 있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둘째, 중소기업이 해외시장 진출에 있어 가장 큰 어려움으로 지각하고 있는 것이 해외시장에 대한 정보부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정보부족이 많은 기업에게 진출 기회조차도 포착하지 못하게 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이는 실제로 많은 기관에서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활용하지 못하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조사결과에서도 나타난 바와 같이 이들 기관에서 제공하는 많은 정보가 실제로 활용하기 힘든 낡은 자료들인 경우가 많다는 데서도 기인된다. 셋째, 무역관련 지원서비스 기관들의 태도와 자세에 대한 문제이다. 많은 중소기업의 관리자들은 기존의 지원기관에서 보여주고 있는 고압적인 관료주의적 자세를 지적하고 있다. 넷째, 부산 및 인근지역의 중소기업을 위한 지역 종합 지원센터의 건립이 필요하다는 데에 많은 응답자들이 동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늘날 인터넷의 발달로 시간과 공간의 제한 없이 필요한 정보와 지원을 받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많은 중소기업들은 자신이 속한 지역에 소재한 기관으로부터 보다 현실적이고 신속한 서비스를 받기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조사결과를 고려해 볼 때 부산지역의 중소기업을 지원하는 지역밀착형 중소기업 지원센터의 설립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 實戰投資戰略으로써 株價反戰現象에 관한 實證硏究

        金泰赫,嚴哲準 釜山大學校 經營 經濟 硏究所 1999 經營 經濟 硏究 Vol.18 No.2

        본 연구는 주가반전현상의 관련연구들에서 제시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한국주식시장에서 실천적으로 개발가능한 반전거래전략의 유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장단기의 자료분석기간(1개월∼48개월)별로 구성된 Loser포트폴리오와 Winner포트폴리오를 대상으로 투자기간 12개월동안에 각각 실현된 초과수익률에 대한 방향가설, 지속가설, 크기가설의 세가지 측면에서 단계적으로 비교분석하였고, 또한 관찰된 실증결과의 현실적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사후적 검증을 실시하였다. 검증된 결과를 요약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Loser포트폴리오와 Winner포트폴리오에 의하여 각각 실현된 투자기간 초과수익률은 장단기의 자료분석기간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점은 투자자가 동일한 투자기간을 설정할지라도, 포트폴리오의 구성주식을 선택하기 위하여 이용하는 과거수익률의 활용기간에 따라 상이한 초과수익률이 실현된다는 것이다. 둘째, Loser포트폴리오와 Winner포트폴리오의 투자기간 1월에 실현된 초과수익률은 각각 유의적인 음(-)의 값과 양(+)의 값을 나타냄에 따라 기존연구에서 지적된 것과는 대조적으로 1월의 초과수익률은 주가반전현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또한 투자기간 12개월동안에 Loser포트폴리오와 Winner포트폴리오의 초과수익률에 대한 계절적 행태는 차이가 존재했다. 셋째, 특정시점을 기준으로 전후 실현되는 초과수익률간의 부호를 관찰함으로써 시장조정과정에 의하여 발생하는 반전의 존재여부를 평가하는 방향가설은 Loser포트폴리오와 Winner포트폴리오 모두에서 기각할 수 없었고, 방향가설을 지지하는 증거는 투자기간의 길이에 비하여 자료분석기간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더욱 뚜렷하였다. 넷째, 투자기간동안에 관찰된 유의적인 초과수익률이 최초의 발생이후 기간말까지 지속적으로 유지되는가를 검증함으로써 투자전략으로의 활용가능성을 평가하는 지속가설은 Loser포트폴리오와 Winner포트폴리오 모두에서 기각할 수 없었고, 역시 이러한 증거는 모두 투자기간의 길이에 비하여 자료분석기간의 길이가 긴 경우에 나타났다. 다섯째, 주가반전현상의 방향가설과 지속가설에 의하여 관찰된 증거를 거래전략으로 활용하는 경우에 과거주식수익률의 활용기간에 기초하여 어떤 주식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것이 거래전략의 잇점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가를 검증한 크기가설은 기존연구에서 제시한 이론적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했다. 하지만, 과거에 더욱 더 극단적인 초과수익률을 실현한 주식들로 구성된 포트폴리오는 계속되는 투자기간동안에 더욱 높은 초과수익률을 실현하려는 경향을 확인함에 따라 정보적 가치는 인정된다. 여섯째, 관찰된 연구결과를 실천적인 투자전략으로써의 활용하는 것에 대한 사후적 유용성평가에 의하면, 과거에 가장 극단적으로 낮은 초과수익률을 실현한 주식들로 구성된 Loser포트폴리오는 투자기간동안에 분석에 포함된 모든 주식들중 사후적으로 가장 높은 초과수익률을 실현한 50개의 주식들에 평균적으로 10%~20%의 비율로 Loser포트폴리오의 구성주식들이 포함되었고, 이들 구성주식들이 실현한 평균초과수익률의 크기는 투자기간 1개월에서 12개월로 진행됨에 따라 24%에서 100%로 급격히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한국주식시장에서 주가반전현상을 활용한 실천적 거래전략의 개발 및 활용유용성이 인정되며, 또한 관찰된 실증결과의 사후적 유용성이 확인되었다. 즉, 주가 반전현상을 활용한 반전거래전략에 있어 Loser포트폴리오의 구성주식들에 대한 매수대상으로써의 정보적 가치를 확인하였다. 하지만, Winner포트폴리오에 의하여 실현되는 투자기간 초과수익률이 기존연구에서의 지적과 같이 유의적인 음(-)의 값을 갖는다 할지라도, Winner포트폴리오의 구성주식들중에도 사후적으로 여전히 투자기간동안에 매우 높은 양(+)의 초과수익률을 실현하는 주식들이 존재함에 따라 Loser포트폴리오의 구성주식들에 대한 차별적 속성연구 뿐만 아니라 Winner포트폴리오의 구성주식들에 대한 속성연구도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 학습조직전략의 재음미

        오종석 釜山大學校 經營 經濟 硏究所 1999 經營 經濟 硏究 Vol.18 No.2

        1990년대에 들어오면서 학습조직에 관한 연구가 국내외적으로 활발히 전개되어 왔다. 그것은 기존의 경영혁신 노력들이 가졌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었다. 학습조직에 관한 연구는 조직개발에 관한 연구의 흐름속에서 그 발전을 보게 되었다. 조직개발연구는 두 가지 큰 연구흐름을 갖고 있었는데, 하나는 변화과정이론(change process theory)이고, 다른 하나는 실행이론(implementation theory)이다. 실행이론은 다시 네 가지 개입전략론으로 발전하였는데, 그 가운데 학습조직에 관한 연구는 조직변혁개입전략의 일환으로 연구된 것이다. 조직변혁(organization transformation. OT)연구는 바람직한 조직의 문화, 사명, 전략 등을 재규정함으로써 조직의 새로운 비전을 창출함에 그 초점을 두었다. 이러한 일련의 조직변혁개입전략 연구중의 하나가 학습조직(learning organization)전략이었다. 학습조직은 조직구성원들로 하여금 문제를 명백히 하도록 하고, 문제의 해결을 위한 지식을 창출케하고 공유케함으로써, 조직유효성을 증대케 하는 조직개입전략이다. 이러한 개입전략은 기존의 많은 경영혁신기법들이 가졌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연구된 전략이다. 즉, 기존의 경영혁신기법들은 특정 프로세스나 과업에 초점을 맞추었기 때문에, 경쟁에 필요한 유연한 사고와 적응력을 갖게 하지 못하였으며, 학습된 결과가 조직내의 다른 구성원들과 공유되지 못하고 다른 영역으로 응용되지 못하였다. 결국 조직전체의 유효성으로 연결되지 못한 결점을 갖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습조직전략이 조직의 경쟁력을 가져오는 새로운 전략으로서 인적자원의 개발에 바탕을 둔 전략이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그런 이유에서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학습조직화를 강조하고 그러기 위한 학습조직구축전략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리고 이러한 학습조직의 구축화에는 리-더의 역할이 결정적이라는 인식에서 리-더의 비전의 개발과 조직문화의 창조를 위한 리-더쉽의 중요성을 강조하였고, 두 번째는 정보나 지식의 공유와 활용, 그리고 그 정보나 지식을 공유하고 활용할 수 있는 조직구조의 변혁도 아울러 강조하였으며 끝으로 학습조직구축의 성공조건으로 학습조직에 기여한 구성원에 대한 평가와 그에 상응하는 보상 역시 구성원들의 동기부여에 필수적인 조건임을 강조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학습조직전략이야말로 21C의 새로운 변화적응전략으로서 재음미되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