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동아시아학술원 20년 철학방면 연구성과 ― 유학과 경학 방면 연구를 중심으로
李昤昊 ( Lee Young-ho ),金渡鎰 ( Kim Doil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20 大東文化硏究 Vol.112 No.-
동아시아학술원의 대표적 연구공간은 대동문화연구원, 유교문화연구소, 학술원 산하 인문한국연구소 등이다. 이 세 단위 연구기관에서 이루어진 철학 방면 연구는 주로 저술(저역서, 영인출판)을 통해 수행되었으며, 학술대회와 자료구축을 통해서도 그 연구의 영역을 확장하였다. 유교문화연구소에서는 학술원 개원 이래 ‘유교문화번역총서’와 ‘유교문화연구총서’를 통해 유학의 현대화 문제에 천착하였다. 그리고 2000년대 이후 이루어진 학술대회에서도 ‘경학(유학)’의 현대화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에 비해 동아시아학술원 인문한국연구소에서는 한국유학(경학)을 기반으로 하는 동아시아 고전철학의 모색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활동을 하였는데, 최근에 이르러서야 동아시아적 연대의 단초를 마련하였다. 그리고 대동문화연구원에서는 영인총서를 통하여 조선유학(경학)의 연구의 기반을 구축하였는데, 이는 국내외를 막론하고 매우 중요한 학술적 자산으로 자리하게 되었다. 한편 자료구축의 측면에서는 유교문화연구소의 ‘유경정본화사업’, 인문한국연구소의 ‘한국경학자료시스템’, ‘한국주자학용어시스템’을 거론할 수 있다. 이 세 사이트에서는 한국 유학, 특히 한국 경학에 관한 자료 구축의 전범을 보여주었다. 향후 한국고전철학연구에 있어 필수불가결의 자료라고 할 수 있다. 동아시아학술원은 지난 20년 동안 이룩한 고전철학 방면의 성과를 토대로 앞으로 연구의식의 심화와 자료구축의 확장을 도모하려고 한다. 이 과정에서 현재까지 진행된 동아시아 고전철학연구에 대하여 비판적 관점을 견지하고, 새로운 문제의식을 도출해야 할 것이다. 동아시아 혹은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자생의 학술담론은 이러한 관점과 의식을 통해서 가능할 것이기 때문이다. Three representative research institutes of the Academy of East Asian Studies are Daedong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Institute of Confucian Philosophy and Cultures, and Humanities Korea Project Institute. Their philosophy research was mainly conducted through writing (publication of books, translated works, and photocopy editions) by these three and has been expanded its scope through academic conferences and establishing database. Since its opening of the Academy, the Institute of Confucian Philosophy and Cultures has published Confucian Culture Translation Series and Confucian Culture Research Series to address the issue of the modernization of Confucianism. Also, academic conferences held since the 2000s focused on the modernization of the Confucian studies (Confucian Classics). In contrast, the research by the Humanities Korea Project Institute has been focused on East Asian classical philosophy based on Korean Confucianism, and only recently has the foundation of East Asian solidarity been established. In addition, the publication of Classic Photocopy Series by the Daedong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laid the foundation for the study of Joseon Confucian classic, which has become a very important academic asset, both at home and abroad. On the other hand, in terms of database establishment, the Institute of Confucian Philosophy and Culture's 유경정본화사업 Project, the HK's Korean Confucian Classics Data System, and the Terminology Data System of Zhu Xi's Learning can be discussed. These three sites are good examples of the establishing database on Korean Confucianism, especially Korean Confucian Classics. This is indispensable database for future research on Korean classical philosophy. The Academy aims to deepen research awareness and expand its database archiving based on the achievements in classical philosophy over the past two decades. In this process, we will maintain a critical view of East Asian classical philosophy research so far and endeavor to identify problems. Based on this, we will ultimately seek out a self-sustaining academic discourse that is recognized in East Asia of globally.
번역서의 문화적 정당성과 트랜스/내셔널리티― 1960~70년대 ‘양서(良書)’의 형성과 변화
채웅준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24 대동문화연구 Vol.128 No.-
이 연구는 1960~70년대 ‘양서(良書)’라는 문화적 기획이 구성된 과정을 민족적·초국적 범위에서 탐구하고, 그것이 국내 번역 출판 장에 어떤 효과를 가져왔는지 이해하려는 시도다. 당대 ‘양서’의 기준이 무엇인지는 합의되지 않았지만, 그것은 출판 실천의 목표이자 문화정치의 수단으로 자리 잡았다. 대내적인 차원에서 ‘양서’는 ‘민족문화 발전’의 수단이라는 상상적 의미 작용의 결과로 나타났다. ‘양서’는 1960년대 중반 번역 출판 장과 정부의 공모적 제도화를 거치며 전 사회에 상징폭력을 행사했다. 그것은 번역 출판 장의 전문화를 가져온 상징투쟁의 대상이었으며, 정부가 국민을 동원하기 위한 문화정치적 대상이었다. 한편 대외적인 맥락에서 그것은 국내 번역 출판 장과 정부가 불평등하게 구조화된 번역 출판의 세계 체제에서 국제적 상징투쟁을 위해 내세운 무기이면서, 전 지구적 정치경제적 권력 작용을 승인한 결과였다. ‘양서’는 그 지향을 민족문화 창달과 세계로의 진출로 강박적으로 축소함으로써, 그러한 지정학적 권력관계를 비판할 수 있는 기회를 상실했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장의 역학과 국제성에 대한 지향, 정부의 문화 관리와 전 지구적 권력관계 속에서 만들어진 ‘양서’의 문화적 정당성이 1970년대부터 모순을 드러내며, 오히려 스스로 교양으로써의 동원을 약화시키는 결과를 가져왔음을 주장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development of the cultural project of “Yangseo” (Great Books) in 1960-70s at both national and transnational scales. It aims to understand how cultural legitimacy functions within the domestic translation and publishing field. Despite the absence of a precise consensus on the criteria for “Yangseo” during this period, it emerged as both the objective of publishing practices and an instrument of cultural politics. Within the publishing discourse, “Yangseo” materialized through an imaginary meaning-making process, positioning it as a vehicle for the “development of national culture” at a national level. Elements such as the quality of translation, the reputation of the producer (the author or editor), the materiality of the format, and awards as objectified symbolic capital were presented as essential criteria for “Yangseo.” Through the collusive institutionalization between the translation and publishing field and the government in the mid-1960s, “Yangseo” exerted symbolic violence throughout society. It served as the driving force behind the professionalization of the field and as a cultural-political tool for government mobilization of the populace. In the transnational context, “Yangseo” operated as a weapon for the Korean publishing field and the government to engage in international symbolic struggles within the unequal world system of translation and publishing, while also being a product of global politico-economic power dynamics. However, from the 1970s onward, the symbolic violence associated with “Yangseo” increasingly exposed contradictions, undermining its cultural orienta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contends that the cultural project of “Yangseo” paradoxically laid the groundwork for the production of “Akseo” (Bad Books) and contributed to the erosion of its own cultural legitimacy.
특집논문 : 조선후기 부세수취 관행과"중간비용" ; 대동법(大同法) 시행 이후 중간비용의 처리양상과 과외별역(科外別役)의 문제
최주희 ( Joo Hee Choi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5 大東文化硏究 Vol.92 No.-
17세기 후반부터 전국에 확대 시행된 대동법은 현물납에 따른 民役의 부담을 대폭 완화시켜준 조치였다. 각도 대동사목이 작성되는 과정에서 운송비[船馬價·태價]와 수수료[作紙·役價]의 일부가 大同儲置米(餘米)와 上納米내에 포함되었다. 문제는 선혜청이라는 대동세의 출납기구가 신설되고, 중앙의 공물조달체계가 재편되는 과정에서 새로운 중간비용이 창출되었다는 점이다. 군현에서 대동세를 상납할 때 선혜청에 人情米를 바쳤으며, 공인들이 왕실과 정부각사에 공물을 진배할 때에도 人情·作紙를 별도로 납부하였다. 또 대동세 수취시 잉미[1,000석 당 20석]를 더 거두고 공인에게 공물가를 지급할 때에도 空石價[1석당 2승]를 추가로 징수하여 선혜청의 청사유지비와 관원의 인건비로 썼다. 특히 공인들에게는 무상의 과외별역이 부과되었는데, 이것은 18세기 이후 공인들이 조달시장을 이탈하는 배경이 되었다. 대동법 시행을 계기로 공인들이 시장에서 공물을 구매하여 왕실과 중앙각사에 진배하는 시스템으로 전환하였다고 하더라도, 공물조달의 최종단계에 있는 왕실과 중앙각사는 조선전기와 마찬가지로 현물[공물·진상]을 진배 받는 구조를 계속 유지하였다. 이로 인해 궐내·외 각사에서 각종 수수료·잡비를 징수하는 관행이 계속 유지되었으며, 공인들에게 공물을 추가징수하고 과외별역에 동원하는 폐단이 18세기 이후 가시화되었다. 정부로서도 한정된 대동세입을 가지고 정부관서와 지방관아의 행정을 유지하기란 쉽지 않았다. 여기에 양란 이후 왕실과 정부기구가 재편되고 관서행정에 필요한 각종 역을 고립해 쓰는 구조가 형성되면서 중앙의 재정규모는 긴축재정을 표방하는 정부의 정책과는 달리 늘어나는 추세에 있었다. 이에 중앙정부는 貢弊의 간행과 貢市人詢막을 통해 이러한 과외별역을 스스로 개선하려는 노력을 19세기까지 지속해갔다. 18세기 이후 정부의 대공시인정책이 ``詢막``의 형태로 전개된 것은 이처럼 정부재원을 조달시장에 충분히 공급할 수 없는 상황에서 공인들이 겪는 과외별역의 폐단을 개선해줌으로써 공물조달체계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려는 현실적인 타협책에 다름 아니었다. Existing transportation costs, fees, and labor costs linked to the collection of the Uniform Land Tax(Daedongse) were rolled into the Uniform Land Tax following the expansion of the related law(Daedongbeop) nationwide during the late 17th century. The collection en bloc of various spot goods as well as military and corvee labor services under the Uniform Land Tax led to an easing of the abuses associated with the collection of surtaxes and miscellaneous expenses. However, the Joseon government found itself having to run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based solely on the amounts collected through the Uniform Land Tax. In this regard, the government sought to overcome the deficit in general expenses by assigning extra corvee labor to the tribute men who paid the costs of tribute products in conjunction with important national events. However, this extra corvee labor privately assigned by government officials on top of the official national corvee labor had the effect of significantly increasing the burden bore by tribute men. In this regard, the government organized consultative meetings that had as their objective the resolution of the problems faced by tribute men and merchants. It also published records related to the situation of tribute men in a book called < Tribute Malpractice(gongpye) >. As such, follow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Uniform Land Tax Law, the Joseon government continued to try to find ways to alleviate the exploitative nature of the extra corvee labor arbitrarily implemented by the central government agencies and bodies.
냉전텍스트 『실패한 신(The God That Failed)』의 한국 번역과 수용의 냉전 정치성
李奉範 ( Lee Bong-beom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22 大東文化硏究 Vol.117 No.-
이 글은 1949년 문화냉전이란 분명한 의도에 의해 기획·탄생한 『실패한 신(The God That Failed)』이 한국에서 번역되는 맥락과 그 수용의 양상에 초점을 두고 『실패한 신』이 지닌 냉전텍스트로서의 위상과 그 영향을 구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패한 신』은 공산당에 입당했거나 공산주의에 동조한 바 있는 스티븐 스펜더, 아서 쾨슬러, 이냐치오 실로네, 리처드 라이트, 루이스 피셔, 앙드레 지드 등 저명한 서구지식인들의 공산주의 가담, 체험, 환멸, 탈퇴의 과정을 상세히 고백한 공산주의체험 에세이집이자 공산주의 (재)전향의 기록이다. 이 전향텍스트의 특장은 공산주의 이데올로기(소비에트체제)/자유주의 이데올로기(자본주의체제)에 대한 동시적인 비판이라는데 있다. 그러나 『실패한 신』은 CIA의 문화냉전 전략에 의해 공산주의(체제) 실패를 입증해주는 결정적 증거로 의미화 되면서 문화냉전의 대표적인 심리전 텍스트로 활용되었다. 또한 문화자유회의를 비롯한 국제적 냉전문화기구를 매개로 세계적인 확산과 냉전텍스트로서의 권위와 영향력이 확대되기에 이른다. 따라서『실패한 신』은 문화냉전의 세계적 연쇄와 냉전지식의 동아시아적 및 한국적 변용을 동시에 파악할 수 있는 보기 드문 텍스트라고 할 수 있다. 이 같은 문제의식 아래 본고는 『실패한 신』의 한국 번역 및 수용의 양상을 연대기적으로 살피는 가운데 네 가지 지점을 해명하는데 주력했다. 첫째, 문화냉전의 세계적 연쇄와 냉전지식의 한국적 변용에 대해 탐색이다. 국제적 냉전문화네트워크와의 연계하에 이루어진 한국에서의 번역메커니즘과 복수의 번역주체가 변용·전유한 냉전정 치성을 파악함으로써 한국 냉전문화사의 특수성을 규명하고자 했다. 둘째, 『실패한 신』의 번역 실제에 대한 총체적 정리이다. 셋째, 전향 의제의 냉전정치성과 사상사적·문화사적 영향이다. 넷째, 동아시아 문화냉전의 기원에 대한 비교사적 고찰이다. 큰 시차 없이 한국 및 동아시아 국가들에 번역되는 특징에 주목하여 그 수용의 공통점과 차이를 비교사적으로 분석하여 냉전아시아 문화냉전의 기원을 탐색하고자 했다. 『실패한 신』의 한국 수용은 냉전분단체제의 거시적인 규율 속에 반공산주의의 정당성을 확증해주는 텍스트로, 체제옹호를 뒷받침해주는 대내외 심리전텍스트로 두루 활용되는 기조가 유지되었다. 좌익에 남아 있던 공산주의전력자의 증언으로만 구성한 『실패한 신』의 텍스트성과 그로 인해 출간 당시 『실패한 신』 및 저자들이 좌우 진영 모두로부터 의혹과 비판을 받은 바 있는 이 냉전텍스트가 한국에서는 반공산주의텍스트로 비교적 단일한 의미 변용을 거쳐 수용되었고, 그것이 오랫동안 지배적으로 관철된 특징이 있다. 포도레츠가 특히 경계했던 제3세계에서 이 텍스트의 반공주의 지식으로서의 불충분성과 반 소주의의 정치적 미흡함이 한국에서는 거의 존재하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실패한 신』의 기획 의도가 한국에서 가장 실질적으로 구현되었다는 것을 말해준다. 그것이 가능했던 원천은 냉전분단체제하 사상 전향이 내포한 강력한 이데올로기적 구속성 때문이었다. 이 같은 수용은 지배 권력의 통치술로 확대 강화된 면이 컸으나 한국사회에 광범하게 정착된 냉전멘털리티가 이에 못지않게 작용했다는 판단이다. 특히 공산주의의 실제 체험은 『실패한 신』의 냉전텍스트성과 심리전 효과를 증폭시키는 주된 바탕이었다. 이는 동아시아국가들의 번역 수용과도 구별되는 지점이기도 하다. 『실패한 신』은 문화냉전텍스트로 규정되어 전파되었으나 그 내용과 영향을 고려하면 러시아혁명 이후 20세기 세계사를 포괄한 지성사의 텍스트라고 할 수 있다. 공산주의전력자들의 사상적 고뇌와 지적 유토피아니즘에 대한 복원이라는 관점에서 『실패한 신』의 재독이 필요한 시점이다. This article focuses on the context in which 『The God That Failed』, which was planned with the clear intention of the Cultural Cold War in 1949, was translated in Korea and the aspect of its acceptance, and aims to investigate its status as a Cold War text and its influence. 『The God That Failed』 is a collection of essays on communism experience and a record of conversion to communism, which confessed in detail the process of joining, experiencing, disillusioning, and withdrawing from communism by prominent Western intellectuals who joined the Communist Party or sympathized with communism. The special feature of this conversion text is that it is a simultaneous critique of communist ideology(Soviet system)/liberal ideology(capitalist system). However, 『The God That Failed』 was used as a representative psychological warfare text of the Cultural Cold War as it was meant as decisive evidence to prove the failure of communism by the CIA’s Cultural Cold War strategy. In addition, through international Cold War cultural organizations, including the Cultural Freedom Council, it has spread worldwide and its authority and influence as a Cold War text have been expanded. Therefore, 『The God That Failed』 can be said to be a rare text that can simultaneously grasp the global chain of the Cultural Cold War and the East Asian and Korean acculturation of the Cold War knowledge. The acceptance of 『The God That Failed』 into Korea was maintained as a text that confirms the legitimacy of anti-communism in the macroscopic discipline of the Cold War system, and is widely used as a psychological warfare text both internally and externally to support the advocate system. In Korea, it was accepted as an anti-communist text through a relatively single meaning change, and it has a characteristic that it has been dominantly carried out for a long time. It can be said that the insufficiency of this text as anti-communist knowledge and the political inadequacy of anti-Sovietism in the Third World, which Podhoretz was particularly wary of, did not exist in Korea. This shows that the planning intention of 『The God That Failed』 was most practically implemented in Korea. This was possible because of the strong ideological constraints implied by the ideological conversion under the Cold War system. This acceptance was largely strengthened by the ruling art of the ruling power, but it is judged that the Cold War mentality that was widely established in Korean society worked no less than this. In particular, the actual experience of communism was the main basis for amplifying the Cold War textuality and psychological warfare effect of 『The God That Failed』. This is also a point of distinction from the acceptance of translation by East Asian countries.
韓榮奎 ( Han¸ Young-gyu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20 大東文化硏究 Vol.112 No.-
2000년 3월, 성균관대 동아시아학술원의 설립과 출범은 한국 근대 대학의 역사에서 하나의 의미 있는 ‘사건’이었다. 그것은 분과 학문으로 고착된 한국 대학제도의 오래된 장벽을 허물고 ‘동아시아’라는 21세기의 새로운 화두를 대학이라는 제도 내부에서 집중적으로 문제제기하기 시작했다는 점에서 특히 그러하다. 이 글에서는 동아시아학술원의 연구 성과 가운데 주로 고전학, 고전문학 분야에 초점을 맞추어 영인본, 자료집, 학술회의, 학술논문, 학술저서, 연구과제 수주 등의 사안을 정리하며 지난 20년간의 성과를 점검하고, 아울러 향후의 지속적 발전을 위한 간단한 제언을 덧붙였다. 이 과정에서 연구 성과에 대한 평가는 자제하고, 지난 업적을 연대기적으로 서술하는데 주력했다. 동아시학술원이 지난 20년 동안 고전학 분야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둔 것은 임형택, 김시업, 신승운, 진재교, 안대회, 김영진 등 문헌과 고전에 밝은 연구자들이 리더십과 협업을 발휘한 결과였다. 또한 학술원이 변화되는 시대 현실에 맞춰 고전학 핵심 연구기관으로서 타 대학과 견주어 어떠한 특성을 지속시킬 수 있는지를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 고전학 분야에서 동아시아학술원이 영인한 자료, 출판한 연구서, 구축한 DB 등은 지난 20년간의 지난한 노력의 결과로서 향후 지속적인 확대 발전이 요청된다. In March 2000, the establishment and launch of Sungkyunkwan University's East Asian Studies Institute was a meaningful 'event' in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universities. It is assessed to be true in two respects. First, it broke down the old barriers of the Korean university system, which has been fixed by sub-disciplinary studies, and proposed a new agenda for East Asia. Second, it was because it sought a new system to combine education and research. Among the achievements of the Institute of East Asian Studies, this article comprehensively reviewed materials, academic papers, and academic books focusing on the field of East Asian Classical Literature. In this process, I tried to refrain from evaluating research achievements and describe them chronologically. The research achievements made by the Institute of East Asian Studies are certainly noteworthy. This is the result of the researchers' efforts. However, rather than being carried out under a consistent and systematic plan, the efforts of individual research subjects were generally gathered.
냉전텍스트 『나는 자유를 선택하였다(I Chose Freedom)』의 동아시아 번역과한국 수용의 특징
이봉범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24 대동문화연구 Vol.128 No.-
이 글은 소비에트 공산당원으로 1944년 미국으로 망명한 V·A 크라보첸코의 자서전적 망명수기 『나는 자유를 선택하였다』가 냉전의 맥락에서 세계-동아시아-한국으로 번역되는 양상과 그 수용의 특징을 문화냉전의 관점에서 구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사회주의 자체를 비판한 내용이 전혀 없는 反스탈린주의 텍스트가 어떻게 빠른 기간 안에 동시다발적으로 번역되어 전 지구적인 냉전텍스트로 변용되었는가에 대한 거시적인 탐문이다. 이 텍스트가 세계 냉전체제하 문화냉전의 세계적 연쇄와 동아시아 및 한국적 변용을 동시에 파악할 수 있는 각별한 냉전텍스트라는 전제 아래 세 가지 논점을 해명하는데 주력했다. 첫째, 『나는 자유를 선택하였다』가 냉전텍스트로 변용·재정위되는 과정을 파리재판을 중심으로 재구성하여 문화냉전의 기원을 탐색한다. 러시아민중사의 자서전적 버전이라 할 수 있는 이 텍스트가 냉전텍스트로 변용된 데에는 反스탈린주의적인 내용에서 기인한 바 크나 1946년 1월 영어로 번역되어 뉴욕에서 출판된 사정과 이와 연관된 크라보첸코 소송사건, 즉 파리재판에서 동서 양 진영 상호 간 프로파간다 도구로 이용됨으로써 반공산주의텍스트서의 확고한 위상을 확보하는 동시에 문화냉전의 심리전 텍스트로서의 가치를 증폭시킨 것이 중요하게 작용했다. CIA가 주도한 조직적인 세계적 문화냉전에 앞선 문화냉전의 징후였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서구發 냉전텍스트가 어떻게 동아시아 지역에 동시대적으로 번역 수용되었는가에 대한 고찰이다. 중국(대만)의 경우 초본 번역으로 노골적인 반공프로파간다보다는 공산주의 소련 이해의 텍스트로 수용되는 양상을 보이는데, 이는 제2차 국공내전의 전황과 관련이 깊다. 다만 1949년 중국 분열 이후 대만의 정치상황을 고려할 때 반공사상전의 프로파간다 텍스트로 활용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일본의 번역에서 가장 큰 특징은 GHQ/SCAP 산하 민간정보교육국의 번역 허가 및 검열을 받았다는 사실과 파리재판을 중점적으로 다룬 점이다. 패전 후 일본의 정치적·사상적 혼란과 아메리카니즘을 부식하려는 미국의 정책적 의도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산물로 볼 수 있다. 동아시아에서의 번역은 자유 동아시아 구축을 목표로 1950년대 본격화되는 미국의 도서프로그램 사업 이전의 동아시아 문화냉전의 전사로 볼 수 있다. 셋째, 한국에서의 번역 및 수용의 장기 지속성이 내포하고 있는 의미 파악이다. 한국전쟁을 계기로 소련 이해의 지침서에서 반소반공 텍스트로의 극적 전환에는 열전의 직접 경험에다 반역과 전향의 사상 의제를 기축으로 한 내부냉전이 연관되어 있었으며 이로부터 『나는 자유를 선택하였다』는 반공서적의 대명사로 대공심리전에 최적화된 텍스트로 자리매김 되기에 이른다. 냉전-열전-분단의 연쇄 속에 반공-멸공-승공 프로파간다 심리전 텍스트로 변용·전유된 한국적 수용은 이 텍스트의 냉전정치성이 가장 극적이고 실질적으로 발휘되었다는 것을 말해준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서 하나의 텍스트가 냉전 초기 지구를 횡단하며 각기 다르게 수용되는 냉전문화사의 보편성과 특수성에 대한 이해와 함께 이를 가로지르며 음각된 냉전과 책의 운명 나아가 사람의 운명이 내포한 냉전의 폭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the aspects of the world-East Asia-Korea translation in the context of the Cold War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cceptance of V·A KRAVCHENKO, who defected to the United States in 1944, “I chose freedom.”It is a macroscopic inquiry into how an anti-Stalinist text, which has no criticism of socialism itself, was translated simultaneously in a short period of time and transformed into a global Cold War text. Under the premise that this text is a special Cold War text that can grasp the global chain of the world's cultural cold war and East Asian and Korean transformation at the same time, it focused on clarifying three points. First, “I chose freedom”and then reconstruct the process of being transformed and re-appointed into Cold War text, focusing on the Paris Tribunal, to explore the origin of the cultural Cold War. Second, it is a consideration of how the Cold War text from the West was simultaneously translated and accepted in East Asia. Third, understanding the implications of the long-term persistence of translation and acceptance in Korea. In the wake of the Korean War, the dramatic shift from the guidelines for understanding the anti-Soviet Union and anti-communist texts was related to the direct experience of the war and the internal Cold War based on the ideological agenda of treason and conversion, and from this, “I chose freedom” is the epitome of anti-communism books and has become an optimized text for anti-communism psychological warfare. The Korean acceptance of the Cold War, which has been transformed and transferred into an anti-communist, extinct, and successful propaganda psychological warfare text in a series of Cold War-war divisions, suggests that the Cold War politics of this text were most dramatic and practical. Through the above discussion,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violence of the engraved Cold War, the fate of books, and the fate of people as well as the understanding of the universality and specificity of Cold War culture, in which one text crosses the Earth in the early days of the Cold War and is accepted differently.
디지털 경전주석학의 모색 ― 한국경학자료시스템을 중심으로
이령호 ( Lee Young-ho ),함영대 ( Ham Young-dae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8 大東文化硏究 Vol.101 No.-
전통시대 유학의 근간이었던 경학은 동아시아의 사상과 문화뿐 아니라, 정치와 경제에 이르기까지 그 기본 원리를 제공한 학문이다. 이러한 경학 저술에 대하여 중국과 일본에서는 일찍부터 목록의 정리에서 자료의 회집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연구의 전통이 마련되었다. 이에 비해 한국에서는 전통적인 경학자료의 회집이 없지는 않았으나 상대적으로 미흡했다.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은 1988~1998년에 조선조에 단편적으로 이루어졌던 한국경학자료를 회집하여 『韓國經學資料集成』이라는 명칭으로 출간했다. 또 이 총서의 가치를 인정받아 정부의 지원하에 2004년부터 단계적으로 DB화를 진행하여, 현재 한국경학자료시스템(http://koco.skku.edu/)이라는 명칭으로 공개하고 있다. 이 글은 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원에서 완간한 『한국경학자료집성』과 그 DB화의 성과인 한국경학자료시스템을 검토하고, 이어서 한국의 경학자료를 DB화한 또 다른 사이트를 살펴보면서 한국의 경학DB를 활용한 경학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모색한 것이다. ‘디지털 경학주석학’이라고 명명한 이 연구방법론을 수립하기 위해 그 현황과 성과를 점검했으며, 보완한 몇 가지 사항을 짚어보았다. 검토 결과 『한국경학자료집성』의 완성은 동아시아에서 중국과 일본에 비해 그 회집의 역사가 일천했던 한국 경학자료의 규모와 위상을 확인한 학술적 진전이었다. 한국유학의 저력을 구체적인 자료로 입증할 수 있는 문헌적 근거를 마련한 것이기 때문이다. 이를 효과적인 방식으로 전산화한 한국경학자료시스템은 中日에는 이제까지 없었던 주석별 검색이라는 방식을 전산화 과정에 도입함으로써 경학자료를 활용한 연구에 획기적인 전환을 가져왔다. 그러나 보완작업 역시 요청되고 있다. 원천자료에 대한 수습과 정리의 보완, 이본대조를 통한 교감과 정본화, 표점작업, 일반 대중과의 소통을 위한 다양한 원전자료의 국역본의 제시가 그것이다. 한국경학자료시스템의 활용성을 확장하고 디지털 경학주석학 연구의 발전을 위한 준비과정으로서 그 지속적인 보완은 여전히 요청된다.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which was the basis of Confucianism in the traditional era, provided the basic principles from thoughts and cultures to politics and economies in East Asia. For the writings about Confucian Classics, a variety of research traditions was developed in China and Japan earlier on. It ranged from cataloging the writings to assembling them. In contrast, there was a traditional assemblage of the writings of Confucian Classics in Korea. However, it was relatively insufficient. Finally, this insufficient work which was carried out fragmentarily in the Joseon Dynasty was completed in 1998 after beginning the work in 1988 by the Daedong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of Sunkyunkwan University(DIKSSU). DIKSSU gathered Korean Confucian Classics materials and published it under the title of The Complete Collection of the Korean Study of Confucian Classics. Furthermore, with the support of Korean government which recognized the value of the Collection, DIKSSU has gradually developed the digital database and opened the Korean Confucian Classics Data System (http://koco.skku.edu/) and opened to the public. This paper examined The Complete Collection of the Korean Study of Confucian Classics, which was completed by the Daedong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of Sunkyunkwan University, and also examined the Korean Confucian Classics Data System which was the result of its database. Also it pursued for a new horizon through searching another similar websites. In order to establish the research methodology named 'a Commentary Study of Confucian Classics in Digital Form', we checked its current status and achievements and several details that were improved later.The paper finds that the completion of The Complete Collection of the Korean Study of Confucian Classics made an academic progress that confirmed the size and status of the Korean Confucian Classics' materials, which has insufficient history of gathering compared to them of China and Japan. The Collection provides a literal basis for verifying the strength of Korean Confucianism with concretely established data. An effectively computerized < the Korean Confucian Classics Data System > has innovated the field of relevant researches by introducing the searching method by classified annotations, which had never been available in China and Japan. However, additional works are also needed to improve the system. In order to expand the applicability of < the Korean Confucian Classics Data System > and to improve the Commentary Study of Confucian Classics in Digital Form, it is necessary to gather and arrange original materials, to correct errors by comparing different versions, to work for marking and to provide Korean versions of the original materials for interacting with public. And these works continuously needs to be impro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