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현황 및 전공 신설에 대한 기초 연구

        최성규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08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47 No.2

        The graduate school for special education in Daegu University is established with seven study courses such as kindergarten, elementary, therapeutic special education and visual impaired hearing impaired, mental retraded, and physical disability before 10 years. However the recent school environment is changed rapidly. One of the phenomena is full inclusion education. Because of the full inclusion all children with disabilities want to study at regular clas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status and establishment of study courses at the graduate school for special education in Daegu University. The questionnaire with 32 questions was developed for this study. Thirty questions were developed with 5-Likert scale and two questions were selected from examples. Twenty eight questions among thirty questions were utilized for this study. The reliability of the twenty eight questions was .91. Five hundre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for regular school teachers who are working in the five cities and provinces. Four hundred and fifty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a) the number of the candidates to study at the graduate school for special education in Daegu University has been decreased until now from 10 years; (b) the teachers want to open the study courses for children with emotional and behavior disorder and learning disability.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graduate school for special education has to consider to open the study courses after calculation the break-even point with decreasing numbers of the candidates who are working for regular schools to study special education.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이 특수교사의 양성과 재교육을 실시한지 올해로 10년이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사의 전문성과 일반교사의 효율적인 통합교육 운영 등을 지원하기 위해 설립된 특수교육대학원의 현황과 미래지향적 발전을 위한 정원 조정 등을 구상하기 위함이다. 1998년부터 2007년까지의 특수교육대학원을 지원한 인원과 입학생 등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에 지원하는 교사들의 인원은 줄어들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또한 부산, 대구, 울산, 경남, 경북에 근무하는 일반학교 교사 450명을 대상으로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에 대한 인식,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의 인식 관련 변인 간 관계, 특수교육 전공 요구 분석을 위하여 설문조사하였다. 대구대학교와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의 위상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긍정적이었다. 그리고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에 진학을 희망하는 교사들의 변인은 교직경력이 적은 여교사를 중심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에 진학을 희망할 경우에 선택할 전공은 초등특수교육, 정서ㆍ행동장애, 학습장애, 정신지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시대적 요청에 따라 새로 개설할 전공의 타당성에 대한 시사점 등을 또한 제시하였다.

      • KCI등재

        통합과학교육을 위한 교수내용지식(ISE-PCK)의 요소

        김용성,문동오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22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61 No.2

        이 연구의 목적은 모든 학생에게 유의미한 통합과학교육을 실천하는 데 필요한 교사의 전문적 지식인 통합과학교육 교수내용지식(ISE-PCK)의 구성 요소를 제안하고 각 요소를 설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통합과학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통합과학교육 교수-학습 전략 등과 관련된 선행연구 및 문헌을 분석하였다. ISE-PCK는 ‘통합과학교육 교수 지향’, ‘통합과학교육 관련 교육과정 및 교수 내용에 대한 지식’, ‘통합과학교육에 대한 지식’, ‘통합과학교육 교수-학습 전략에 대한 지식’, ‘학습 환경에 대한 지식’, ‘통합과학교육 수업 평가에 대한 지식’의 6가지 요소로 제안하였다. ‘통합과학교육 교수 지향’은 통합과학교육을 진행하려는 동기와 연관이 있으며, ‘학생 중심 활동’, ‘구체적 조작 중심의 학습’, ‘실생활 연계 학습’, ‘인성 함양’의 네 가지로 구분하였다. ISE-PCK는 통합과학교육을 설계하고 진행하는 교사의 수업 전문성을 다루고 있어 이를 바탕으로 예비 및 경력 교사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예비 교사 양성 교육과정 등이 개발되어 교사들의 통합과학교육 실천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초등학교 위기학생의 특수교육 의뢰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

        장미순 ( Jang Mee-soon ),김진호 ( Kim Jin-ho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6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5 No.3

        본 연구는 초등학교 위기학생의 특수교육 의뢰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특수교육 의뢰가 고려되는 위기학생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초등학교 일반교사 12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교사의 특수교육 의뢰 희망 여부에 따라서 위기학생을 특수교육 의뢰 희망 집단 72명과 특수교육 의뢰 비 희망 집단 55명을 구분하여 두 집단 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첫째, 교사가 위기학생을 특수교육에 의뢰하는 목적은 학생에 필요한 전문적 교육을 제공하기 위해서였으며, 학생의 문제가 특수교육이 필요하지는 않다고 판단되면 의뢰를 원하지는 않았다. 둘째, 위기학생의 정서·행동 문제 발생 정도와 교사 및 또래와의 사회적 관계 측면에서 특수교육 의뢰 희망 집단과 비 희망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학업 태도에 있어서도 위기학생 집단 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특수교육 의뢰를 희망하는 위기학생 집단의 학업 성취 기능은 유의미하게 낮았다. 따라서 일반교사가 특수교육을 의뢰하는 주요한 기준이 학업 성취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일반교육 환경에서 위기학생 지도와 특수교육 의뢰 결정과 관련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general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the special education referral criteria and characteristics of at-risk students considered special education referral. Total 127 teachers were participated to measure the teachers` referral perspectives and characteristics of at-risk students. At-risk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eacher`s referral intention for special education: referral or not referral.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referred at-risk students for special education for the purpose of giving the specialized education to at-risk students. If students` risks were not related with academic achievement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did not decide to refer at-risk students for special education. Seco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meaningful group difference in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and school social relationships. Third, academic achievements at-risk students who teacher wanted to refer for special education were lower. Based on the results, discussion and implications about educating at-risk students in regular classroom and referral for special education were presented.

      • KCI등재

        예비과학교사의 통합교육 태도와 과학 교수효능감 연구

        백상수 ( Baek Sang-su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7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6 No.1

        본 연구는 예비 과학 교사들을 대상으로 Cochran(1990)이 고안한 통합교육태도 측정도구와 Rigg과 Enochs(1990)이 개발한 과학교수 효능감척도를 활용한 설문조사를 통해 사범대학과학교육학부에 재학 중인 2,3,4학년 156명을 대상으로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와 과학교수 효능감을 알아보았다. 특히 특수교육학 수강, 장애 가족 및 친척 유무 등의 배경변인이 통합 교육에 대한 태도에 차이를 보이는지를 알아보고, 과학교수효능감과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후 이러한 과학교수 효능감 정도의 차이에 따라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의 차이가 나타나는지 분석하여보았다. 연구 결과 통합교육의 철학적 측면(M=3.17)과 통합교육의 유익성(M=3.14)에 대해서는 다소 높게 평정을 하였으나 통합교육의 전문가적 측면(M=2.74)과 통합교육의 지원적 측면(M=2.42) 낮게 평정하였다. 예비과학교사의 과학교수 효능감과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 사이에는 약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r=.168, p<.05). 특히 과학교수 효능감의 하위영역인 과학교수 자기효능감은 통합 교육에 대한 태도의 하위영역인 통합교육의 전문가적 측면과도 약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r=.302, p<.01)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적 연구를 위한 제언, 그리고 교사 연수 및 양성에 관한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examine pre-service science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of attitudes toward inclusion and their Science teaching efficacy. Scale for Teachers` Attitudes Toward Inclusive Classroom(STATIC) by Cochran(1990) and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s Instrument(STEBI) by Riggs and Enochs(1990) were adapted for this study. Statistical Analyses were used to compare responden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Correlations analysis between STATIC and STEBI was also conducted. Overall, Only pre-service science education teachers who took special education class rated them higher than their counter partners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re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STATIC and STEBI. A discussion of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re suggeste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teacher preparation also are discussed.

      • KCI등재

        공립 유치원 특수학급 교육계획과 개별화교육계획의 연계

        이효신,남현아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5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4 No.2

        본 연구는 공립 유치원 특수학급 교육계획과 개별화교육계획의 연계를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방안에 관한 연구이다. 특수학급 교육계획은 통합학급 교육계획과의 관련성을 유지해야 하고 또한 특수교육대상자 개개인의 개별화교육계획이 반영되어야 하는 특수성을 가진다. 따라서 통합학급 교사와의 협력이 무엇보다 필요하고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통합학급 교육계획안과 특수학급 교육계획안이 협의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고질적인 문제가 교육현장에 있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그 개선방안을 탐색하고자,특수학급 교사 6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통하여 현실적인 어려움과 개선방안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특수학급 교육계획안과 개별화교육계획은 통합학급 교사 및 관리자의 협력 없이 전적으로 특수교사 단독으로 모든 과정이 이루어졌다. 특히 통합학급 교사의 많은 업무가 이러한 협력의 가장 큰 걸림돌이었고 특수교육대상자에 관련된 모든 업무가 특수교사의 몫이라는 인식의 영향도 컸다. 개선방안으로 관리자를 포함하는 개별화교육지원팀의 활성화와 평가를 통한 질적 향상 도모가 지적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stablishment process of special class education plan and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 and the status quo of forming such plans through the interview with 6 teachers responsible for special classes in some preschools in U-city. and analyzed the connection of general education plan with the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 through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e results are as followings. First of all, there are no collaborations between inclusion class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To enhance the quality of special class, individualized education support team including administrator should be activated and evaluation system should be reviewed. By proposing a way to improve the connection between the both education pla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gave some practical help to teachers responsible for special classes in their preschools.

      • KCI등재

        예비 일반교사를 위한 교직소양과목으로서 특수교육학 개론 수업에 적합한 내용 탐색

        허유성,이우진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1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0 No.4

        본 연구는 특수교육학 개론이 교직소양 필수 과목으로 지정된 이후 관련 과목 개설과 교재출판은 괄목할 만큼 확대되고 있지만, 기존의 특수 교육 전공학생과 어떻게 차별화하여 일반 예비교사들의 특수아동에 대한 교육역량을 극대화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부족하다는 판단에 추후 과목 운영을 위한 계획, 수행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첫째, 특수교육학 개론 교재 및 수업계획서를 분석하였다. 둘째, 특수교육 전문가 36명의 의견과 요구를 조사하였다. 셋째, 40명의 예비 일반 교사들을 대상으로 특수교육학개론 과목에서 꼭 배우고 싶은 내용을 분석하였다. 주요 전문가 의견을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통합교육 배경 및 개념에 관한 내용, 정서ㆍ행동장애 및 학습장애 아동의 개념ㆍ특성ㆍ교육에 관한 내용, 교수적 수정 및 개별화 교수방법에 관한 내용, 부모 상담, 그리고 장애 영역별 개념 및 특성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는 의견의 비율이 높았다. 예비 일반교사들은 장애학생의 유형ㆍ특성과 특수아동 교수-학습 방법을 가장 배우고 싶어 했으며, 비디오를 통해 통합교육 수업 및 학교 장면을 가장 보고 싶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학생 중에서는 특히 행동장애, 정서ㆍ행동장애, 그리고 학습장애 학생의 특성에 대해 알고 싶어 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several uidelines for those who plan special education introductory course for pre-service general education teachers. This study conducted several methods including analysis of syllabus, textbooks, and surveys from special education rofessionals including teachers and researchers as well as pre-service general education teachers. We asked special education professionals what are the most necessary and non-necessary contents and what competencies need to be trained from this course. In addition, we asked pre-service general education teachers what they want to know from this course. According to the results, special education professionals listed basic concepts and ways to implement inclusive education, teaching students with emotional disturbance and learning disability, instructional adaptations as the most necessary contents. They also listed collaborative communication and disability understanding education as the most critical competencies that pre-service general education teachers need to be developed. Lastly, the pre-service general education teachers want to learn the types of disabilities and ways to teach them.

      • KCI등재

        최근 10년간의 중등특수교육대상학생의 진로직업교육 현황 및 개선 방안 고찰

        강종구,김영표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20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9 No.2

        본 연구에서는 중등학교(전공과 포함) 특수교육대상학생의 교육환경별 진로직업교육 현황 및 개선 방안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0년부터 2019년까지 10년 동안 ‘특수교육통계’에 나타난 중등특수교육의 진로교육 여건 및 취업 현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특수교육대상학생은 중학교에서 전공과까지 학년이 올라갈수록 더 많이 특수학교에 배치되는 경향이 있었으며, 경력 특수교사들은 일반적으로 일반학교보다는 특수학교에 더 많이 배치되어 있음을 보여주었다. 둘째, 본 연구는 특수교육대상학생은 고등학교 졸업 이후의 취업에서 여전히 많은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으며, 전공과와 같은 추가적인 지원만으로는 이러한 어려움을 대처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특수교육대상학생의 진로직업교육을 위한 방법들로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것들을 제안하였다. 첫째, 특수학교는 진로직업교육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안들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둘째, 일반학교는 보다 많은 경력 특수교사의 배치를 포함하여 진로직업교육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중학교 특수교육실무원의 수업지원 실태 및 통합교사의 인식

        황순영,박지수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3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2 No.4

        본 연구는 중학교 특수교육실무원의 수업지원 실태와 이에 대한 통합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부산광역시 내의 5개 지역교육지원청 중 특수교사와 특수교육실무원이 배치된 일반 중학교의 국어, 수학, 미술, 체육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결과 장애학생의 원활한 통합교육을 위하여 통합교사들은 특수교육실무원제도를 인식하고 지속적인 협의를 진행하고 있었다. 그러나 중학교 특수교육실무원의 수업지원은 실기교과나 공개수업과 같은 특정시간에 한하여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통합교사들은 수업지원을 원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합교사들의 인식은 장애학생들의 학교생활과 통합학급 수업에서 특수교육실무원의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업지원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통합교사들은 장애학생의 문제행동을 관리하기 위함이고, 특수교육실무원과의 갈등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고 응답하였다. 통합학급에서 특수교육실무원의 수업지원을 받은 경험이 있는 통합교사들에게 만족도를 질문한 결과 비장애학생과 장애학생의 학습능력, 장애학생의 교우관계, 일상생활기술 능력, 문 제행동 관리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dition of lesson supports for inclusive classes by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in Middle School and inclusive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of it. For data treatment, the investigator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with the questionnaires collected from 113 inclusive education teachers in charge of Korean, math, art, and physical education in middle schools providing inclusive education.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limited its lesson supports to certain lessons such as practice and open lessons in inclusive classes in middle school. Second, the examination results of inclusive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of lesson supports for inclusive classes by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in middle school reveal that they felt a need for lesson supports to manage the problematic behavior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Finally, the study also examined the satisfaction level with lesson supports among the inclusive education teachers who had an experience of receiving lesson supports for inclusive classes by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in middle school. As a result, its lesson supports generated effects in a range of areas including the learning abilities of common students and students with disabilities, formation of positive peer relationships, improvement of everyday life skills, and management of problematic behavior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경기도 특수교육 업무 담당 장학사와 특수교육지원센터 전문인력을 통해 살펴본 특수교육지원센터 운영 개선 방안 연구

        강은영 ( Kang Eun-young ),최나리 ( Choi Na-ri ),강경숙 ( Kang Kyung-suk ),김주영 ( Kim Ju-yeong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21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6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육 업무 담당 장학사와 특수교육지원센터 전문인력을 중심으로 특수교육지원센터 제도·인력·직무 관련 영역별 운영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특수교육지원센터 관련 쟁점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개선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특수교육을 전공한 특수교육 업무 담당 장학사 2명, 비전공 특수교육 업무 담당 장학사 3명, 특수교육지원센터 팀장 4명, 기간제 교사로 계약직 센터 전문인력 2명으로 총 11명과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특수교육지원센터 운영과 관련된 쟁점은 제도적·행정적 영역, 조직·인력 영역, 그리고 업무(직무) 영역별로 각 5가지씩 중분류로 크게 유목화되었으며, 각각의 영역별 쟁점에 대한 개선 방안으로서 의미 단위는 15가지로 도출되었다. 제도 및 행정 부분에서는 센터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직접지원 확대의 재고, 지역사회 자원 연계 및 활용을 위한 원스톱 지원으로의 전환,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사전 교육 및 연수가 제안되었고, 조직 및 인력에서는 신규인력 배치 문제, 특수교육지원센터장에 일반장학사 배치 문제, 행정주무관 배치의 당위성에 따른 조치, 팀장 중심 조직체계의 한계성 극복, 경력교사의 부재와 특수교육지원센터의 고립 해소방안이 제안되었다. 업무 영역으로는 업무분장의 효율화를 꾀하고, 팀장에 대한 직급을 부여하는 것도 필요하고, 전반적으로 행정업무 처리보다 특수교육지원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점이 부각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운영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vestigating the issues of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focusing on its system, personnel, and duty and provide recommendation for improvement through school supervisors for special education and personnel of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perspectives. For this purpose, a total of 11 people: 2 school supervisors for special education, 3 school supervisors for general education, 4 team managers, 2 non-tenured track personnel of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were focus group interviewed. As a result, 5 upper categories were founded and 14 subcategories for improvements were suggested. In the system and administration part, the expansion of direct support not taking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enter was reconsidered, conversion to one-stop support for linking and utilizing local community resources, and prior education and training for stable and efficient operation were proposed. The issue of the assignment of new personnel, the assignment of general scholarships to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head, measures according to the legitimacy of the assignment of administrative officers,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the team leader-centered organizational system, the absence of experienced teachers, and measures to resolve the isolation of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were proposed. In the area of work, it was emphasized that it was necessary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division of duties, to assign a position to the team leader, and to focus on supporting special education rather than handling administrative work overall.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recommendations for improving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operations were provided.

      • KCI등재

        특수교육대학원 유아특수교육전공 대학원생들의 수업 참여 경험

        김건희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20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9 No.1

        본 연구는 현직교사의 재교육과정 중 하나인 특수교육대학원에서 유아특수교육을 전공하는 일반유아교사와 유아특수교사들의 경험을 살피고, 그 의미를 탐색한 것이다. 특수교육대학원 유아특수교육 전공 교사 10명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실시하고, 인터뷰를 통해 수집된 면담 자료를 분석한 결과, 면담내용은 다양한 관점의 교사들과의 토의, 보지 못했던 부분의 발견, 생각하지 못했던 부분의 발견, 서로 마음을 열고 소통할 수 있는 기회들, 변화가 필요한 교육과정과 같은 주제로 범주화되었다. 일반유아교사와 유아특수교사들은 특수교육대학원의 수업을 통해 다양한 관점을 가진 교사들이 서로 함께 경계 없이 현재의 교육관이나 교육방법에 대한 의견을 교환하면서 스스로를 성찰하고, 편견을 깨뜨리기도 하고, 새로운 교육방법을 모색하기도 하는 등의 변화를 겪으면서, 상호협력과 통합교육에 대해서도 희망을 갖게 되었다고 하였다. 특수교육대학원에서의 수업은 일반유아교사와 유아특수교사에게 함께 토론할 수 있는 대화의 장이었고, 이것이 통합교육과 협력에 대한 가능성을 높이는 기회로 이어졌음이 나타났다. 반면, 교육현장과 연계된 보다 전문적인 교육과정이 부족하다는 이야기도 있었다. 따라서 현직교사의 재교육과정이라는 측면에서 일반유아교사와 유아특수교사가 함께 전문적인 의견을 나눌 수 있는 기회가 더욱 확대되어야 하고, 교육현장과 연계된 보다 전문적인 수업이 진행될 수 있는 교육과정 개발과 교육방법 개선에 대한 노력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