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과학적 인식과 사회 : 구성주의 관점의 전개를 중심으로

        김환석 국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4 社會科學硏究 Vol.17 No.-

        과학지식은 어떻게 만들어지며 그것은 사회와 어떤 관계가 있는가? 오늘날 이 문제는 과학기술과 사회의 관계에 대한 학제적 연구분야로 발전된 STS[이는 '과학기술과 사회'(Science, Technology & Society) 또는 '과학기술학'(Science & Technology Studies)의 약자로 쓰임]에서 주로 다루어지고 있다. STS 분야는 과학지식의 성격을 둘러싸고 처음부터 다양한 이론적 관점과 학문적 전통이 제시되고 서로 충돌을 하여 왔으나, 1970년대 중반 '과학지식사회학'이 주요 흐름으로 떠오르면서 거기서 제기된 과학지식의 인식론인 '사회적 구성주의'가 기존의 실증주의나 실계론 대신에 큰 주목을 받게 되었다. 그런데 이 '사회적 구성주의'의 뿌리를 거슬러 올라가면 사회학자 뒤르켕이 그 선구자 역할을 하였고, 또 뒤르켕의 아이디어는 훨씬 이전에 철학자 칸트가 처음으로 제시한 '구성주의' 인식론을 비판적으로 재구성을 하여 사회학적 오델로 만든 것이었다. 따라서 구성주의가 원래 어떤 맥락에서 나타나게 된 것인가를 알려면 칸트의 생각부터 살펴볼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 글은 과학에 대한 구성주의적 인식의 흐름과 변천을 게관함으로써 STS 분야에서 과학지식의 형성과 사회와의 관계를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가를 검토하고자 한다. 특히 칸트의 구성주의와 친근 STS의 현대적 구성주의를 비교함으로써 오늘날 학계의 중심적 화두중 하나인 '(탈)근대성' 문제에도 큰 시사를 얻을 수 었을 것이다. 다만 이 글에서는 구성주의의 자세한 분류를 하려는 것이 목적이 아니기 때문에, 오늘날 구성주의에서의 모든 다양한 입장들을 골고루 다 살퍼보지는 않고 가장 주된 흐름이라고 판단되는 큰 줄기만을 소개하고 평가하는 방식으로 논의를 진행할 것이다.

      • KCI등재

        근대적 과학기술의 '암흑상자' 열기 : STS의 흐름과 전망을 중심으로

        김환석 국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3 社會科學硏究 Vol.16 No.-

        STS는 보편적 이성의 화신으로서 일종의 '암흑상자'(black-box)처럼 신비화되어버린 근대적 과학기술에 대해 해체와 재구성을 시도하는 야심찬 노력이라고 할 수 있다. "STS"란 문자 그대로 과학(Science)과 기술(Technology)과 사회(Society)의 관계를 연구하는 새로운 학문 분야를 가리키는 이름이다. 따라서 오늘날 그것은 '과학-기술-사회'를 의미하기도 하고, 종종 '과학기술학'을 의미하기도 한다. 그 어떤 의미로 쓰건 STS가 과학, 기술, 사회의 관계를 연구한다는 정에 대해서는 별 이의가 없을 것이다. 미국의 과학인류학자인 헤스는 1997년에 출간한 그의 유명한 STS 개론서에서 여기에 과학철학, 제도적 과학사회학, 과학지식사회학(SSK), 비판적/페미니스트 STS, 과학기술의 문화적/역사적 연구 등을 주요 분야로 포함시키고 있다. 이 중에서 특히 SSK는 1970년대 이후 오늘날 STS의 지배적 흐름을 형성하면서 적어도 학계에서는 주류 STS로 자리를 잡았다. 그러나 최근 STS 안팎에서는 SSK가 지나치게 아카데미증에 빠져 있을 뿐 아니라 중산층 백인남성 중심의 지식인 관점을 대표하고 있다는 비판이 끊임없이 제기되어 왔다. 이러한 비판에 자극되어 최근 SSK도 보다 현실적합적이며 사회의 다양한 관점들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변모하고 있을 뿐 아니라, SSK에 대한 대안적인 STS 접근들도 다양한 갈래로 형성이 되고 있다. 따라서 이 논문은 우선 SSK의 전개과정을 중심으로 STS의 흐름을 살펴본 다음, 이에 대한 비판과 대안적 흐름은 어떤 것인지 검토하면서 STS의 바랑직한 미래를 전망하고자 한다. 이 논문의 주된 내용은 SSK를 중심으로 STS의 흐름을 소개하고 이해하는 일이 되겠지만, 이와는 배경과 역사가 다른 비판적 STS의 흐릉도 살펴보고 나서 이것과 SSK가 어떻게 생산적 관계를 맺으면서 바람직한 STS의 미래를 열어갈 수 있을지 전망하는 것에 초점을 두려고 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서구와 그 역사적 맥락과 경험이 다른 한국사회에서STS가 취해야 할 방향을 '탈식민적 STS'로 제시하면서 결론을 맺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언론의 기능과 이념 대결: 신기능주의적 접근의 탐색적 연구

        류춘렬 ( Choon Ryul Ryu ) 국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5 社會科學硏究 Vol.27 No.2

        언론의 기능은 다양하게 정의할 수 있다. 이 논문은 언론의 기능을 구조적 기능주의 관점에서 분석한다. 구조적 기능주의는 사회의 제도들이 그것이 속한 사회에 필요한 기능을 수행한다고 본다. 마찬가지로 구조적 기능주의에서의 언론은 그것이 속한 사회에 필요한 기능을 수행하는데 그 중 하나가 사회 변화를 돕는 것이다. 외부나 내부 환경이 변화했을 때 그 변화에 적절히 적응해야만 사회가 유지될 수 있다. 언론은 사실을 보도하는 것을 주요 사명으로 하는데, 기존에 믿어왔던 사실을 새로운 내용으로 바꿈으로써 사회변화를 유도한다. 인간은 사실에 근거해서 행동하는데 기존의 사실을 새로운 내용으로 교체하여 행동의 변화를 유도하는 것이다. 그리고 변화된 행동은 사회가 변화한 환경에 적응하도록 해준다. 이념 경쟁이 격화된 한국 사회에서 이념적이나 정파적 집단은 종종 사람들의 규범을 변화시켜서 사회를 변화시키려고 시도한다. 하지만 이러한 시도는 대개, 적어도 단기적으로는, 실패하기 마련이다. 사람은 규범을 쉽게 바꾸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회를 변화시키려면 규범이 아니라 사실을 바꾸도록 해야 하고 언론이 그 역할을 하게 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unction of mass news media in the perspective of structural functionalism of sociology. Structural functionalism sees social institutes do functions necessary for the survival and maintenance of society. As a social institute, mass news media does various functions necessary for society. One of the functions is to help society adapted to external and internal change by changing facts provided in news. In Korea, ideological confrontation is strong. Participating the confrontation, mass news media in Korea often try to propagateideological contents and change people’s attitude but usually in vain. In order to change people’s attitude, it is much better to change facts in their head than to influence their norms in mind. That way, mass news media can do normative function by providing new facts different from past.

      • KCI등재

        COVID-19 팬데믹의 상호작용 변화와 사회갈등에 관한 탐색적 연구

        안소영,이명진 국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2 社會科學硏究 Vol.34 No.2

        This article analyzed the spread of non-contact networks and social conflicts in the COVID-19 fandemic situation.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y enabled the hyper-connected society. And, Non-contact networks have expanded. The expansion of non-contact networks provides human beings with a widening of interaction and various opportunities beyond time and space. On the other hand, it increases conflicts. In COVID-19 pandemic, conflicts that have been overlooked or ignored have been revealed online. In Korea, as COVID-19 pandemic, conflict between policies to prevent infectious diseases using ICT and violation of autonomy, gender conflicts due to telecommuting, class conflicts in resource allocation, and generational conflicts have emerged. Prolonged conflict increases social loss and social cost. Prolonged conflict causes social losses and cos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ind a way for social integr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social conflicts. Based on this awareness, this article tried to find the implications for social integr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expansion of the non-contact network and the analysis of social conflict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이 글은 COVID-19의 확산 과정에서 나타나는 비대면 네트워크의 확산과 사회갈등에 대해 분석하였다.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은 초연결사회를 가능하게 하였고, 비대면 네트워크의 확대를 가져왔다. 비대면 네트워크의 확장은 시공간을 초월하여 인간에게 상호작용의 확대와 다양한 기회를 제공하는 반면 다양한 사회적 갈등을 증대시키기도 한다. 또한 COVID-19와 같은 재난상황에서는 간과되거나 무시되어 왔던 갈등이 온라인을 통해 표면화되면서 갈등이 확대되기도 한다. 한국에서는 COVID-19가 확산되면서 ICT를 활용한 방역과 자율성 침해, 재택근무로 인한 젠더갈등, 자원 배분에 대한 계층갈등, 세대갈등이 증폭되었다. 갈등의 장기화는 사회적 손실과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비용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갈등에 대한 분석을 통해 사회통합 방안의 모색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토대로 비대면 COVID-19 팬데믹 상황에 대한 비대면 네크워크의 확장과 사회갈등에 대한 분석을 통해 사회통합의 함의를 찾고자 하였다.

      • KCI등재

        사회과학연구 제28집 6호 : 사회참여(Social Participation)로서 자원봉사활동에 관한 노인자원봉사자의 주관적 인식연구 : Q방법론을 중심으로

        이은자 ( Eun Ja Lee ),최유미 ( You Mi Choe ) 국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6 社會科學硏究 Vol.28 No.2

        본 연구는 노인자원봉사자의 사회참여로서 자원봉사활동 인식을 유형화하고 인식유형별특성을 파악함으로써, 노인자원봉사 참여 활성화 방안을 제시함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대상자의 주관적 인식을 파악하기 위하여 Q방법론을 적용하여 사회참여로서 자원봉사활동과 관련된 엄선된 36개의 진술문을 가지고 32명의 노인자원봉사자를 대상으로 Q분류를 하였다. 분석 결과, 노인자원봉사자들이 인식하는 사회참여로서 자원봉사활동의 주관적 인식유형으로 첫째, ‘자아실현 지향’ 관점, 둘째, ‘사회적 책임감 지향’관점, 셋째, ‘개인성취, 사회적 활동 지향’ 관점 세 가지로 구분 하였다. 연구결과 노인자원봉사자의 사회참여로서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동기, 욕구, 가치 등의 주관적 인식에 대한 유형과 유형별 특성을 고려한 노인의 자원봉사활동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였으며, 향후 정책개발 및 자원봉사 실천현장의 프로그램 점검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plan for vitalizing elderly volunteers’ participation by classifying the perception on volunteering as social participation and grasping a characteristic by perception pattern targeting elderly volunteers. To grasp subjective perception in research subjects, Q-sort was carried out targeting 32 elderly volunteers with 36 strictly-selected statements related to volunteering as social participation by applying Q-methodology. As a result of analysis, the subjective perception pattern on volunteering as social participation in elderly volunteers was classified into 3 perspectives. First, it is the perspective of ‘self-realization orientation’ that i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individual development, new knowledge, and technical acquisition while the volunteering can make a personal life more valuable. Second, it is the perspective of ‘social-responsibility orientation’ that i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solving a social problem through volunteering. Third, it is the perspective of ‘individual -achievement & social-activity orientation’ that i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leisure use through old age while volunteering leads to being able to utilize knowledge and skill.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available for inspecting the development in diverse policies and a program in the volunteering practice field for vitalizing the elderly people’s volunteering by grasping a type on subjective perception such as motivation, need, and value on volunteering as social participation in elderly volunteers, and a pattern-based characteristic.q

      • KCI등재후보

        사회화 대행자가 청소년의 올바른 성장에 미치는 영향

        배규한 ( Bae Kyuhan ) 국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6 社會科學硏究 Vol.29 No.1

        사회화의 가장 중요한 대행자는 가족, 학교, 또래친구 등이므로 부모, 교사, 친구들과의관계는 사회화 과정에 중요한 변수가 된다. 이 연구는 중학교 2학년부터 대학교 1학년 사이의 시기에 부모와 교사 및 친구와의 관계가 청소년의 자아정체성과 자기효능감 형성에 시기별로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시계열적으로 분석한다. 분석자료로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2003년부터 전국 중학교 2학년생 3,449명을 2008년까지 추적 조사한 패널데이터를 사용한다. 자아정체성과 자기효능감은 퍼스낼리티 발달과정에서 핵심적인 내용일 뿐 아니라, 향후 다른 영역의 퍼스낼리티 발달에 토대가 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분석 결과, 부모와 또래친구는 전 시기에 걸쳐 청소년의 자아정체성과 자기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만, 교사는 상대적으로 영향력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의 연구들이 대부분 퍼스낼리티 형성의 결정요인을 주로 개인적 경험이나 사회경제적 환경으로 해석하는 구조적 접근방식을 취하는 데 비해, 이 연구는 주요 사회화 대행자들과의 관계를 통한 사회화 과정으로 설명하려 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끝으로 이 연구는 청소년의 바람직한 사회화와 미래 국가발전을 위해 새로운 사회화의 틀을 모색할 것과 “미래형 인간” 형성에 기여할 수 있도록 교육제도를 혁신할 것을 제안한다. This paper analyzes influences and effects of three major socialization agents (parents, teacher, and peer group) on self-identity and self-efficiency of the youth, using panel-data produced by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The panel-data consists of six survey data sets, each of which interviewed 3,449 students every year from 2003 to 2008. The students were tracked from the 2nd year of middle school to freshmen. Self-identity and self-efficiency are very important in the process of socialization, because the concepts are not only core contents of socialization but also basis of personality format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parents and peer group influenced significantly upon self-identity and self-efficiency of the youth. However, the influences of teacher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paper suggests that we ought to try to find a new paradigm of socialization both for youth of good personality and for national development by comparing socialization processes of advanced other countries, and that we must innovate the educational system in order to nurture future-oriented person.

      • KCI등재후보

        과학기술과 사회(STS) 연구의 동향과 전망

        김환석 ( Hwan Suk Kim ) 국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4 社會科學硏究 Vol.26 No.2

        이 글은 오늘날 사회 속에서 과학과 기술이 갖는 성격과 역할을 체계적으로 이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주는 STS라는 학제적 분야가 어떤 것인지를 소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STS는 1960년대의 그 탄생기부터 현재까지 대략 세 가지로 시기 구분을 할 수 있는 흐름을 보여주며 전개되어 왔다. 우선 1세대인 60년대 중반부터 70년대 중반까지는 다양한 사회운동들의 문제의식과 밀접히 결부된 STS가 대두되었던 시기로서, 이러한 접근을 가리켜 ``급진적 또는 비판적 STS``라고 부를 수 있다. 다음으로 2세대인 70년대 중반부터 90년대 중반까지는 이러한 초기의 급진적 성격을 벗어나 STS가 SSK를 중심으로 학문적 체계화와 인식론적 심화에 천착했던 시기로서, 이를 가리켜 ``학문적 또는 탈정치적 STS``라고 부를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3세대인 90년대 중반부터 현재까지의 시기는 위 두 가지의 상이한 접근들이 수렴 내지 결합되면서 실천지향적 학문으로서의 STS가 추구되고 있는 중이며, 이러한 시도를 필자는 ``STS의 재정치화``라 부르는 것이 적합하다고 생각한다. 이렇게 STS는 약 50년 정도의 역사를 지녔지만, 과학과 기술이 사회와 맺고 있는 관계에 대하여 다양한 관점과 이론들의 역동적 변천을 보여주면서 풍부한 연구성과를 생산해왔고 이를 통해 바람직한 과학-기술-사회의 관계 모색을 위한 실천적 함의도 제시해왔다. This paper aims to introduce the interdisciplinary field of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STS), which enables us to understand in a systematic way the nature and rol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contemporary society. From its birth to the present, STS has shown, roughly, three phases of development. The first phase, from the mid-1960s to the mid-1970s, was the period in which STS as a new emerging field rose in close relationships with the process of diverse social movements in the Western countries then. So this phase may be called as the radical or critical STS. The second phase, from the mid-1970s to the mid-1990s, was the period in which STS sought to overcome its early radical nature and systematize its academic and epistemological foundation, centering around the so-called Sociology of Scientific Knowledge(SSK). This phase may be called as the academic or apolitical STS. Lastly, the third phase, from the mid-1990s to the present, is the period in which STS pursues a practice-oriented discipline by combining the preceding two different approaches. It seems appropriate to call this attempt as the repoliticization of STS. In this way, STS has produced, through its history of less than 50 years, fruitful research outcomes characterized by a dynamic transition of diverse perspectives and theories on science and technology in relationships with society. Through such outcomes, it has also suggested important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better relationships among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 KCI등재

        노인의 사회자본이 노화 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상원 국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2 社會科學硏究 Vol.34 No.2

        This research examined the association between the elderly's social capital and attitude to aging in Korean society relying upon recent sociological and social policy literature. The study tested the hypothesis that the elderly with more positive perception to the level of social capital will have more positive attitude to aging. Using survey data which were obtained from 2,076 the elderly people in nationwide, I estim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derly's social capital and attitude to aging in Korea by employing Ordinary Least Squares regression model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om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the elderly’s level of social capital and attitude toward aging.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here are some mixed relationships between the elderly's social capital and attitude to aging, and that the old people with positive perception to the level of a social capital(civil engagement) had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ag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public policy which enhance social capital have to implement in order to encourage the old people to have positive attitude to aging. 노인 인구가 점점 늘어나면서 노년기의 삶을 어떻게 준비하고 살아갈 것인가에 대해 노인들의 고민이 깊어가고 있다. 뿐만 아니라 중앙정부나 지방정부에서도 노인들을 위한 프로그램이나 사회정책에 대해서 그 전에 비해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이 연구는 노인의 사회자본이 노화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따라서 우리나라 노인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사회자본에 대해 노인이 가지고 있는 주관적 인식과 노화 태도 사이에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려는 것이 목적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노인의 사회자본과 노화 태도 사이의 상관관계를 연구하기 위해서 노인들의 사회 자본에 대한 주관적 인식 상황과 그들의 노화 태도를 설문지로 물어 본 서베이 자료를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는 전국 기초자치단체를 중심으로 최종 2,076명의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분석결과는 사회자본에 대한 노인의 주관적 인식 정도와 노화 태도 사이에는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방향성은 다르게 나타났다. 시민참여 활동의 정도가 높다고 인식하는 노인은 노화에 대해 긍정적 태도를 보였지만, 신뢰, 사회응집력, 사회지원의 정도가 높다고 인식하는 노인일수록 노화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이 연구를 통해 노인의 사회자본이 노화 태도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나아가 노인들이 가지고 있는 사회자본의 종류에 따라 그들이 노화에 대해 다른 태도를 가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노인들이 노화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질 수 있도록 노인들의 특정 사회자본의 수준을 더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후보

        사회변동과 미래준비

        손현주 ( Son Hyeonju ),송영조 ( Song Young-jo ) 국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8 社會科學硏究 Vol.31 No.1

        본 논문은 사회변동의 5가지 이론을 살펴보았고, 국가의 미래준비를 위해 사회변동의 각 이론들이 갖는 함의를 논의하였다. 유물론적 관점에서 국가의 미래준비는 미래유망기술에 관심을 갖고 끊임없는 기술혁명을 유도할 수 있는 조건을 만들어야 하고, 경제성장을 촉발할 수 있는 산업과 공공기반시설에 대한 투자가 이루어져야 한다. 관념론적 관점이 던져 주는 의미는 미래는 데이터 기반 사회와 포스트휴먼 사회가 도래하여 인간에 대한 철학적 탐구와 데이터가 중요한 사회변화의 요소가 되기에 국가는 바람직한 데이터의 생성과 인간본질에 대한 폭넓은 이해가 요구된다. 기능주의가 제시하는 것은 구조의 분업과 외부환경의 변화에 대한 적절한 적응이 중요하기에 국가적 차원에서 구조적 긴장을 완화하고 혁신을 추구할 수 있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갈등론적 관점에서는 국가는 미래준비를 위하여 극단적인 갈등의 형태인 혁명을 회피하여 갈등을 창조적 힘으로 전환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하여 사회의 신뢰수준을 담보할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어야 한다. 사회변동론에서 가장 주목해야 할 것은 거시사적 관점의 미래사회론이다. 미래사회론적 관점에서 국가는 미래의 불확실성을 최소화하고 미래문명의 장기도전을 파악하여 바람직한 미래상을 제시해야 한다. This paper examines five theories of social change and discusses the implications of them for the future preparedness of the nation. The materialistic view shows that we should be interested in promising technologies in the future and create conditions in which an endless technology revolution can take place. It also suggests that investments in industry and public infrastructure should be made in order to stimulate economic growth. The idealistic view is as follows. Future society is expected to be a data-based society and a post-human society. In these future societies, philosophical inquiry and data on human beings become important factors of social change. Thus, the state is required to produce desirable data and a broad understanding of human nature. Structural functionalism shows the importance of proper adaptation to division of structure and change of external environment. There must be a way to mitigate structural tensions and pursue innovation at the national level. From the perspective of conflict theory, the state needs to avoid the revolution, a form of extreme conflict, to transform conflict into creative force in order to prepare for the future. Therefore, it should be able to draw policy implications that can guarantee the trust level of society. The most noteworthy aspect of social change theory is the future social theory of the macro-historical perspective. From a sociocultural point of view, the state should minimize the uncertainty of the futures and identify the long-term challenges of future civilizations and present desirable futures.

      • KCI등재후보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이 가격프리미엄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

        이세진 ( Se Jin Lee ),최동원 ( Dong Won Choi ) 국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5 社會科學硏究 Vol.27 No.2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이전 연구들은 주로 기업이미지의 향상 효과에 초점을 두었으나, 이 연구는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이 직접적인 가격요인에 영향을 줄 수 있는지, 또한 줄 수 있다면 어느 정도인지를 밝혀내어, 가격프리미엄을 설정하는데 하나의 지침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이 소비자의 제품에 대한 가격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다시 말해, 사회공헌활동을 하는 기업의 제품이 가격프리미엄을 형성할 경우 사회공헌활동 여부와 가격프리미엄은 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의 효과가 소비자가 인식하는 기업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뿐 아니라, 더 나아가 기업의 가격프리미엄 제품에 대한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면, 이는 사회공헌활동이 기업의 수익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연구결과, 첫째, 기업의 사회공헌활동 유형은 가격프리미엄 지불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은 아니었지만, 자원봉사활동의 경우 동일가격과 가격프리미엄 간의 구매의도 차이가 CRM보다 급격하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나 자원봉사활동이 CRM보다 가격프리미엄에 대한 지불의도에 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론할 수 있었다. 둘째, 제품의 가격프리미엄은 기업이 사회공헌활동을 하는 경우에도 구매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소비자는 사회공헌활동을 하는 기업의 제품에 대해서 준거가격의 약 3% 가격프리미엄수준까지는 타사제품과 동일가격인 경우와 비교해 구매의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Previous studies support that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CSR) has a positive influence on consumers’ perceptions, attitudes toward that company, and finally purchase intension. This study focused the influence of CSR on the price premium strategy.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2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the experiment 1, the effects of the type of CSR (volunteering activity vs. CRM) and the price level (equal pricing vs. premium pricing) on purchase intention were examined. In the experiment 2, the effects of different levels of price premium on purchase intention were examined to find the appropriate level of price premium.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effects of the types of CSR on purchase intention for the premium priced product. Rather, the price level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purchase intention for the premiu priced product. Also, this study suggested an appropriate level of price premium, about 3 percent of the reference price. Pract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t the e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