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우리나라 음악대학의 진로교육 프로그램과 교과목 현황 연구

        장은언 (사)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23 고등교육 Vol.6 No.1

        This article aims at informing the nee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music college and to improve and supplement professional training. There are three kinds of vocational education curricula in music colleges in Korea. The curricula are composed of a curriculum for teacher certification, a curriculum for culture and art education instructors, and career-linked education courses. There are two types of career education courses. The career development-related department of the university is responsible for the education of all students, on one hand, On the other hand, the faculties of Music College have their own program for music students. This research examines the career-linked curricula and courses offered by music colleges. In doing so, the current situation of professional commitment for music students will be shown. To this end, 17 major music universities in Seoul and provincial areas were selected and investigate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in addition to career education programs for all students, the opening of career courses such as <Art Management>, <Performance Planning>, <Music and Jobs>, and <Start-up Seminar> for music majors is increasing. However, career courses with various titles opened by music universities overlap or deal with many contents, so it seems necessary to develop courses specialized for each major. 현재 우리나라 음악대학은 졸업 후 진로를 위해 연주자로서의 정규 교육과정 이외에 교직이수과정, 문화예술교육사 교육과정, 진로교육과정 등을 시행하고 있다. 그 중 진로교육과정은 진로교육 프로그램과 다양한 전공 교과목의 두 가지 형태로 나뉜다. 본 논문은 음악대학의 진로교육 프로그램과 교과목의 개설 현황 및 내용을 분석하여 음악전공생을 위한 진로교육의 현주소를 진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울과 지방의 주요 음악대학 17곳을 선정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 전체 학생 대상 진로교육 프로그램 외에 음악전공생을 위한 <예술경영>, <공연기획>, <음악과 직업>, <창업세미나>과 같은 진로교과목 개설이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음악대학이 개설하고 있는 다양한 제목의 진로교과목들은 교육내용이 중복되거나 많은 내용을 다루고 있어 전공별 진로에 특화된 교과목을 개발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 KCI등재

        대학의 자체 교육인증 성과측정 평가지표 개발연구: A대학 사례를 기반으로

        박동비 (사)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22 고등교육 Vol.5 No.2

        한국 고등교육 평가체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대학 내부의 교육 품질(quality) 역량이 제고되어야 한다는 요구가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많은 대학에서 내부 교육의 품질을 자체적으로 평가하고 관리할 수 있는 교육 품질 관리 체제가 수립되고 있다. A 대학은 2017년 내부 교육의 품질을 점검하고 개선하기 위해 자체적인 품질 관리 체제인 교육인증제를 구축하였고, 2022년부터 모든 학과(전공)에 이 인증제를 적용하고 있다. A 대학은 2022년 모든 학과(전공)에 교육인증제를 도입하기 위한 행・재정적인 기반을 구축하고, 2017년부터 2021년까지 점진적이고 단계적인 시범사업 운영과 선행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교육인증제가 고도화되기 위해서 학과(전공)의 성과를 측정할 수 있는 교육인증 평가지표 개발에 대한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A 대학 교육인증 성과측정 중심의 평가지표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이 평가지표의 현장 적용 가능 여부를 검토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수정 델파이 조사를 통해 A대학 교육인증제 추진 연구진이 수립한 평가지표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이를 기반으로 수정된 평가지표를 교육인증제 추진 실무진의 인터뷰를 통해 A 대학 적용 가능한 여부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그 결과, 64개의 설문 평가 중 6개 영역의 성과목표 및 7개의 성과 척도를 제외하고 대부분 평가영역에서 수립된 성과목표 및 성과 척도가 타당하다는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A 대학 교육인증 실무진 인터뷰를 통해 평가지표의 적용 가능성 여부 및 고등교육의 교육 성과와 품질 제고와 관련된 고찰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A 대학의 사례를 통해 향후 고등교육 기관 내부 교육의 품질을 제고할 방안을 시사하였다.

      • KCI등재후보

        대학 전체 수준 교육과정 개편의 쟁점과 대안 : C 대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전호재 (사)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20 고등교육 Vol.3 No.1

        Recently, The university curriculum is rapidly reorganizing with the change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surrounding the university. However, the current curriculum reorganization has many problems. In this regard, this study explores the issues and Resolutions of appropriate curriculum reorganization that should be considered at the level of the university-wide based on the case of C university. Literature and the major issues related to the university curriculum were analyzed. In the literature review, It was analyzed that the study was concentrated on the liberal arts curriculum, concentrated on reorganization at major curriculum level and there were many comparative studies. In higher education environment analysis, It was analyzed that the influence from national university assessments is increasing, institutional isomorphism is deepening and curriculum reconstruction is still working in a closed system. This study explored the process of curriculum reorganization focusing on the C university case. Considering appropriate curriculum reorganization at the level of the entire university curriculum is the following resolutions. The direction of curriculum reorganization proposed by the university-wide Curriculum Level is as follows. First, Specify and align the purpose of university education. Second, Reorganization the curriculum based on professionalism Third, Restructure the management organization of the curriculum. Forth, Reorganization the curriculum by systematic procedure Fifth, Student-centered curriculum. Sixth, Reorganization of curriculum operation organization 최근 대학을 둘러싼 교육 환경의 변화에 맞추어 대학 교육과정도 빠르게 개편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대학 교육과정 개편은 많은 문제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C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대학 전체 교육과정 수준에서 교육과정 개편 시 고려해야 하는 사항들을 탐구하였다. 먼저 선행연구와 최근 대학 교육과정과 관련된 주요한 이슈를 살펴보았다. 선행연구에서는 대학 교육과정 연구가 교양 교육과정에 집중된 점, 특정 학과 및 전공 단위의 교육과정 개편에 집중된 점, 비교연구가 주로 이루어졌다는 점이 식별되었다. 또한 국가・사회적 환경으로는 국가수준 대학평가에 대한 민감성 증가, 대학의 제도적 동형화, 교육과정 개편의 폐쇄성이 제시되었다. 이후 본 연구는 이러한 환경 속에서 이루어진 C대학 교육과정 개편의 과정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대학 전체 교육과정 수준에서 적절한 교육과정 개편이 이루어지기 위해 살펴본 대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교육목적의 구체화 및 정렬이 필요하다. 둘째, 교육과정 개편을 위한 전문성을 확보해야 한다. 셋째, 교육과정의 관리체계 재구조화가 필요하다. 넷째, 체계적 절차에 입각한 교육과정 개편이 이루어져야 한다. 다섯째, 학생 중심 교육과정 개발이 요구된다. 여섯째, 교육과정 운영 조직의 재편성이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대학교육」(1983년~2021년) 게재문 내용 분석

        김흔,황정원 (사)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21 고등교육 Vol.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s of the Korean University Education Council's institutional magazine, analyze the changes and trends of interests in the field of higher education according to the times, and suggest future direction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University Education」. This study analyzed the contents of special keywords along with changes in the system for a total of 5,065 articles published in University Education from the first issue published in 1983 to the current 214 in 2021. As a result of the analysis, 「University Education」 has played a role in delivering necessary information to universities and enabling information to be communicated between universities. 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requency by extracting the keywords ‘Finances for University' was covered the most. It can be seen that the financial issue of the university was taken seriously as an issue directly related to the competitiveness of the university and the quality of university education. The keywords ‘university innovation, university competitiveness, university students, university evaluation, university structural reform, university autonomy, basic academic nurturing, and graduate school education’ have been continuously treated following. In addition,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analyzed keywords, we could find the topics reflected the circumstances of the times and the changes related to the higher education issue.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discover themes so that 「University Education」 can play a role in searching for urgent problems and current issues of universities and alternatives to them. 본 연구는 한국대학교육협의회의 기관 전문지인 「대학교육」의 내용분석을 통하여 시대에 따른 고등교육 분야 관심사의 변화와 흐름을 분석하여 관련 기초자료를 마련할 뿐만 아니라 「대학교육」의 향후 질적 제고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1983년 발간된 창간호부터 2021년 현재 214호까지 「대학교육」에 게재된 총 5,065편을 대상으로 체제상 변화와 함께, 특집 주제어에 대한 내용 분석(214개 주제/총 1,052편)을 하였다. 분석 결과, 「대학교육」은 대학에 필요한 정보를 전달하고 대학 간 정보가 소통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해 왔음을 섹션의 내용 구성 및 변화를 통해 알 수 있었다. 한편, 창간호부터 지금까지 유지되어 온 ‘특집’에 대한 주제어를 추출하여 빈도를 분석한 결과, ‘대학재정’이 가장 많이 다루어졌다. 이를 통해 대학 재정 문제가 대학의 경쟁력, 대학교육의 질과도 직결되는 이슈로서 중요하게 다루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대학혁신, 대학경쟁력, 대학생, 대학 평가, 대학구조개혁, 대학 자율성, 기초학문 육성, 대학원 교육도 그 뒤를 이으며 꾸준히 다루어진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분석된 주제어를 연도별로 살펴본 결과, 시대적 상황에 따라 다루어진 주제의 차이와 대학의 관심사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에도 「대학교육」이 대학의 시급한 문제들, 현안과 그에 대한 대안을 모색하는 역할을 해 나갈 수 있도록 지속적인 주제발굴이 필요하다. 또한 고등교육의 취약분야 등에 대해서도 정부와 대학 사회가 관심과 지원을 가질 수 있도록 촉구하는 여론 조성의 기능도 중요하다.

      • KCI등재후보

        한국의 의사양성 교육체계에 대한 고찰

        박혜진,김유라 (사)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20 고등교육 Vol.3 No.1

        This study is a study on the medical education system in Korea for nurturing doctors. The education system of Korea Medical University and Graduate School of Medicine, which is a doctor's training institution in Korea, was studied. Korea's doctor training is currently conducted by a total of 40 institutions with 37 medical schools, 3 medical graduate schools. Korea's medical school has long maintained a single six-year medical school system consisting of medical school and medical school, but since the medical school system was introduced since 2005, it has continued to be a system of parallel systems between medical school and medical school. Therefore, currently, medical education for the nurturing of doctors in Korea is maintained for 6 years in medical school and 4 years in medical school. There are a total of 3076 students enrolled in medical schools and medical graduate schools in 2020. Based on enrollment in 2020, more than 3000 doctors can be officially trained per year. The medical school curriculum is moving from a subject-based curriculum to a outcome-based curriculum, and it is continuously improving to cope with the changing medical environment and to meet the needs of various societies. In addition, despite the considerable burden of medical education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we are making continuous efforts for qualitative growth by voluntarily requesting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In response to changing social needs and circumstances, medical schools and related institutions will have to continue their efforts to cultivate good doctors. 본 연구는 의사양성을 위한 한국의 의학교육체계에 대한 연구로 한국의 의사양성 기관인 한국 의과대학, 의학전문대학원의 교육체계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한국의 의사양성은 현재 의과대학 37개, 3개의 의학전문대학원, 총 40개의 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한국의 의과대학은 오랫동안 의예과와 의학과로 이루어진 6년 학제의 의과대학 단일 학제를 유지하였지만, 2005년부터 의학전문대학원 제도가 도입되면서 의과대학과 의학전문대학원의 병행 학제 체제로 지속되고 있다. 따라서 현재 한국의 의사양성을 위한 의학교육은 의과대학 6년 학제와 의학전문대학원 4년 학제가 유지되고 있다. 의과대학과 의학전문대학원의 2020학년도 입학생은 총 3,076명이며, 2020년 입학생 기준 공식적으로 한 해 3,000명 이상의 의사가 양성될 수 있다. 의과대학 교육과정은 교과중심 교육과정에서 성과중심 교육과정으로 나아가고 있으며, 변화되는 의료환경에 대처하고 다양한 사회의 요구에 부합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다. 또한 한국의 의과대학은 평가인증이 상당한 부담임에도 불구하고, 자발적으로 평가인증을 요청하여, 질적 성장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을 하고 있다. 변화하는 사회적 요구와 환경에 따라 의과대학과 관련 기관들은 좋은 의사를 양성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대학원 내 긍정심리학 전공의 교육과정 분석

        김도희,정주리 (사)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21 고등교육 Vol.4 No.1

        2000년대 이후, 긍정심리학에 대한 폭발적인 관심에도 불구하고, 아직 국내에서 긍정심리학에 관해 심도 있고 체계적인 교육과정을 제공하는 기관은 찾아보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긍정심리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과 훈련 프로그램을 마련하기 위하여 긍정심리학 학위과정이 있는 대학원의 교육과정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긍정심리학 학위를 제공하는 8개 해외 대학과 1개 국내 대학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발달심리학, 조직심리학, 건강심리학, 코칭심리학을 접목한 전공과정을 포함한 12개의 석사과정과 3개의 박사과정이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각 교과는 긍정 정서, 안녕감, 강점, 미덕, 리더십과 같은 긍정적인 개인과 조직의 특성을 학습하고, 긍정심리학적 개입과 코칭을 연계하여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모든 프로그램에서 현장실습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업은 원격교육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오프라인 수업을 병행하는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운영되는 경향이 있었다. 교과목은 크게 긍정심리학 기초 이론, 긍정적 조직 이론, 긍정심리 발달 이론, 긍정심리학 프로그램 및 평가, 긍정심리학 개입기법, 긍정심리학 실습, 통계 및 연구방법의 7가지로 구분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긍정심리학이 상담심리학, 재활심리학, 교육학을 비롯한 다양한 학문 분야에 접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논의하였다. Researchers’ interest in positive psychology has expanded since its emergence about in 2000. However, few institutions offer in-depth and systematic curriculum for this field of study in South Korea. Therefore,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positive psychology degree programs in the graduate school in order to establish an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for positive psychology experts in Korea. Specifically, the coursework programs of one university in Korea and eight foreign universities were analyze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There were 12 master’s and three doctoral degree programs, including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with developmental psychology, organizational psychology, health psychology, and coaching psychology. The programs mainly offered online courses and blended/hybrid courses. Courses were divided into seven categories: foundations of positive psychology, positive organizational psychology theories, positive developmental psychology theories, positive psychology program development and evaluation, positive psychology intervention, positive psychology practicum, and statistics and research methodologies. Each course was designed to help students to learn positive personal traits and organizational features such as positive emotions, well-being, strength, virtues, and leadership, and to provide training in positive psychology principles and practices. Field practicum was an integral part of all the program. By analyzing positive psychology curriculum, it is likely to extend the convergence of positive psychology with a variety of fields of study, including counseling psychology, rehabilitation psychology, and education.

      • KCI등재

        대학생의 수업 외 활동이 학업중단 의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대학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백찬영,이병식 (사)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22 고등교육 Vol.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out-of-class activities, institutional commitment and intention to institutional departure based on the Tinto’s student integration model. To achieve research objectives, data from the 7th year(2011) and 8th year(2012) of Korean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KEDI) 2005 were used. The final sample consisting of 1,794 college students who entered university in 2011 and participated in its 7th and 8th surveys was analyzed b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tudent-faculty interaction had a positive direct effect and a negative indirect effect on the intention to departure. Institutional commitment had a suppression effect. Second, peer interaction had a negative indirect effect on the intention to departure. Institutional commitment had a full mediating effect. Third, extra-curricular programs had a positive direct effect on the intention to transfer while institutional commitment had no mediating effect. Fourth, work experiences had no effect on the intention to departure. Institutional commitment had no mediating effect. Based on these conclusion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이 연구의 목적은 Tinto의 학업중단 이론 모형을 토대로 대학생의 수업 외 활동, 대학몰입, 학업중 단 의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구조방정식모형(SEM)을 활용하여 ‘한국 교육종단연구2005’의 7, 8차년도 조사에 참여한 국내 4년제 일반 대학 재학생 1,794명을 분석하 였다. 분석결과, 대학생의 수업 외 활동은 대학몰입을 매개로 학업중단 의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첫째, 교수와의 교류활동은 학업중단 의도를 직접적으로 높이며, 대학몰입을 거쳐 학업중단 의도를 낮추는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우와의 교류활동은 대학 몰입을 거쳐 학업중단 의도를 낮추는 부적인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학몰입은 완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비교과 프로그램은 편입 의도를 증가시키는 정적인 직접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학몰입은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근로 활동은 학업중단 의도에 직・간접효과가 없으며 대학몰입은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소규모 대학 재학생의 중도탈락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혼합연구: 수도권 A 기독교대학을 중심으로

        권경만,이성아 (사)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22 고등교육 Vol.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dropout intention of students at a small Christian university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using a mixed research method. First, after analyzing a survey of 305 students at A University, 10 intentional dropouts and 4 actual dropouts were sampled for the purpose of two qualitative interviews. As a result of the mixed study analysis, first, it is a qualitative study result following the quantitative study result consistent with the previous study, (1) 'Graduate' - 'Admission based on grades rather than one's aptitude and interest', 'Anxiety and conflict about unclear career path', (2) 'Relationships with fellow students' - 'Deterioration of relationships with colleagues due to student council activities', 'The adverse effects of colleagues preparing for transfer', (3) 'Pride in the university' - 'Department rather than university rank is the admission criteria', (4) 'Satisfaction with university location' - ''In Seoul' University Priority' could be checked for each. Second, unlike previous studies, it was possible to confirm 'non-understanding of non-Christian students' and 'coercive religious education'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as factors affecting dropout intention, which can only be seen at University A, a Christian university. 본 연구는 수도권 소재 소규모 A 기독교대학에서 재학생의 중도탈락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혼합연구방법을 사용해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Tinto(1993)의 학생통합모델에서 도출된 개인특성 요인, 대학경험 요인, 대학기관특성 요인 차원에서 그 원인을 발견하고자 하였다. 먼저 A 대학 1, 2학년 학생 305명에 대한 설문조사 분석 후 중도탈락의도자 10명과 실제 중도탈락자 4명을 이론적 샘플링하고 두 차례 질적 면담을 시행하였다. 질적자료는 기노시타의 수정근거이론적 방법(M-GTA)으로 분석하였다. 혼합연구 분석 결과, 첫째 선행연구와 일치하는 양적연구 결과에 이은 질적연구 결과로, (1) ‘성적’ - ‘자신의 적성과 흥미보다 성적에 맞춘 입학’, ‘불투명한 진로에 대한 고민과 갈등’, (2) ‘동료학생과의 관계’ - ‘학생회 활동으로 인한 교우와의 관계 악화’, ‘편입 준비 동료의 악영향’, (3) ‘대학에 대한 자부심’ - ‘대학서열보다는 학과가 입학 기준’, (4) ‘대학소재지 만족도’ - ‘인(IN)서울’ 대학이 우선순위’를 각각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선행연구와 달리 기독교대학인 A 대학에서만 볼 수 있는 중도탈락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비기독 재학생에 대한 몰이해’와 ‘강압적인 신앙교육’을 질적연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이후 이론적·정책적 제언과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대학의 평생교육체제 단과대학 성인학습자의 디지털 역량 분석: Y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류영철 (사)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23 고등교육 Vol.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variables of digital competence of adult learners in continuing education colleges and universities, and to draw implications and provide a basis for continuous academic improvement of adult learners in continuing education colleges and universities, structuring of comparative programs, career redesign, redesign of programs before admission and during enrollment, and exploration of basic learning diagnosis methods. To this en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mong students enrolled in the continuing education system at Y Universit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ositive rate and descriptive statistics of the frequency analysis showed that the positive rate of the possibility of performing assignment collaboration using KakaoTalk and Naver Band was high, but the mean and positive rate of data collection using academic specialized sites and report submission verified by plagiarism checking tools were low. Second, the results of the one-way analysis of variance showed differences in age, grade, entrance examination type, and high school graduation type. The younger age group (30s and 40s) had a higher mean than the older age group (60s and 70s). Higher grades (3rd and 4th) were more average than lower grades (1st). By admission type, transfer students had a higher average than general students. In terms of high school graduation type, general and specialized high school graduates had a higher average than GED and adult learning high school graduates. Third, the results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higher digital tool utilization and information management skill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report writing and submission. In particular, utilization of academic specialized sites and verification of plagiarism checking tool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report writing and submission. 본 연구는 평생교육체제 단과대학에 재학하는 성인학습자의 디지털 역량에 대한 변수 분석을 통해, 대학의 평생교육체제 단과대학 성인학습자의 지속적 학업제고, 비교과 프로그램 구조화, 진로 재설계, 입학 전과 재학 중 프로그램 재설계, 기초학습진단 방안 모색의 기초자료 제공 및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Y대학의 평생교육체제 단과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빈도분석의 긍정률과 기술통계 결과에서는 카카오톡과 네이버밴드를 이용한 과제협업 수행가능성의 긍정률은 높았으나 학술 전문사이트를 이용한 자료 수집과 표절 검사 도구로 검증한 보고서 제출의 평균과 긍정률은 낮았다. 둘째, 일원분산분석 결과에서는 연령, 학년, 입학전형, 고교졸업유형에서 차이를 보였다. 연령은 젊은 연령(30, 40대)이 노령(60, 70대)보다 더 평균이 높았다. 학년은 고학년(3, 4학년)이 저학년(1학년)보다 더 평균이 높았다. 입학전형은 편입전형이 일반전형보다 평균이 더 높았다. 고교졸업유형은 일반고와 특성화고 출신이 검정고시와 성인학습고 출신보다 평균이 더 높았다. 셋째, 다중회귀분석 결과에서는 디지털 도구 활용과 정보관리 능력이 높을수록 보고서 작성과 제출에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학술전문사이트 활용, 표절검사도구 검증이 보고서 작성과 제출에 큰 영향을 미쳤다.

      • KCI등재

        대학간 교육과정 공유 관련 학사제도 운영의 저해요인 분석

        채재은,이인서 (사)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23 고등교육 Vol.6 No.1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obstacles to curriculum sharing activities among universities, which have been recently attracting attention as a strategy for overcoming the university financial crisis and educational innovation. To this end, eight consortia participating in the 'Digital New Technology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novation Sharing University Project' ('COSS Project'), which focuses on curriculum sharing activities, were set as the subjects of the study. First, the business plans for the first and second years of the eight consortia were used to analyze their joint curriculum operation plans and academic system improvement performance,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e heads of the academic affairs teams of the eight consortia to understand the results in more depth. The analysis of the eight consortiums' plans showed that, first, the homogeneity of the participating universities, not just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universities, has a significant impact on curriculum sharing among universities. Second, among the types of joint curriculum operation, joint operation of microdegree courses, credit transfer and credit accreditation, credit exchange systems, and intensive programs were found to have higher performance. This suggests that the lesser the need to change the existing academic system, the easier it is to gather opinions on campus and the more likely it is to encourage students to take courses at other universities. These findings were reinforced by the results of the interviews with the heads of academic affairs teams, which revealed that in addition to factors at the level of the higher education system, higher education system, and policy, there are many factors at the level of individual universities that make it difficult to improve the academic system.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re are a number of new issues that need to be addressed at the university and government levels to promote shared activities among universities.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재정 위기 극복 및 교육혁신 전략으로서 최근 주목받고 있는 ‘대학간 교육과정 공유활동’의 저해요인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교육과정 공유활동을 중점 지원하는 ‘디지털 신기술 인재양성 혁신공유대학 사업(‘COSS 사업’)’에 참여하는 8개 사업단들을 연구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우선 8개 사업단들의 1, 2차년도 사업계획서를 활용하여 교육과정 공유 관련 학사제도 개선 계획과 실적을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보다 심도 있게 이해하기 위해서 8개 사업단의 학사행정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8개 사업단의 계획서 분석 결과, 첫째 대학간 교육과정 공유 관련 학사제도 개선에는 ‘개별대학 특성’만이 아니라 ‘참여대학들의 동질성’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사제도개선 유형’ 중에는 마이크로디그리정 운영 관련 개선 실적이, ‘학점교류 및 학점인정’ 유형 중에는 학점교류제 시행 관련 개선 실적이, ‘학기 운영’ 유형 중에는 집중이수제 실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존 학사제도를 변경할 필요성이 적을수록 학내 의견 수렴이 쉽고, 학생들의 타교 교차수강도 활성화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는 학사팀장 면담 결과 분석을 통해서 보다 확연히 드러났다. 분석 결과, 고등교육체제, 고등교육 제도와 정책 차원의 요인들 외에도 학사제도 개선을 저해하는 는 개별 대학 차원의 요인들이 다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대학간 공유활동 촉진을 위해서 각 대학, 그리고 정부 차원에서 선제적으로 추진해야 할 새로운 과제들이 있음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