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제전문서비스 운영실태 분석 연구

        노영희,노동조,안인자,김성진,Noh, Younghee,Noh, Dong-Jo,Ahn, In-Ja,Kim, Sung-Jin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08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39 No.4

        주제전문서비스는 도서관 환경의 변화에 따른 전문화 특성화 개인화 등의 이용자 요구를 반영하기 위해 도입되고 있는 서비스 개념이라 할 수 있으며, 국내의 경우 1960년대부터 논문을 통해 주제전문사서의 개념이 논의되기 시작했고, 현장의 많은 도서관들에서 실제로 주제전문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주제전문서비스를 시행하고 있는 도서관들을 대상으로 이들 도서관들의 주제전문사서체제 도입배경, 주제전문서비스 내용 및 효과, 운영상의 애로사항 및 운영방법, 주제전문사서 채용방법 및 교육훈련방법, 주제전문사서의 직무에 대한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주제전문화의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더불어 국내외 주제전문사서 구인구직 수요도 비교 분석하였다. Subject specialized services are introduced in library environment in order to meet users' needs, which become more specialized, characterized, and personalized. This concept dates back to the 1960 in Korean scholarly research, and previous studies revealed that many libraries in Korea have provided this kind of subject specialized services to library users. This study aimed to consider appropriate directions of subject specialization in Korea. This study examined seven library cases the structure of which is organized by subject specialization. It tried to give a good grasp of background of building up the subject specialization system, current state of the service and its effects, problems and challenges of operating the system, recruitment and training issues of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their duties and tasks, and so on. Also Announcements of academic subject specialist positions in Korea are compared to in other countries such as United States, UK, and Canada in order to analyze the demand for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 KCI등재

        공공도서관 이용자의 소비자건강정보(CHI) 리터러시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성과측정연구

        노영희,Noh, Younghee 한국비블리아학회 2012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3 No.4

        국민들의 건강정보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나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건강정보원을 탐색할 수 있는 이용자의 비율은 매우 낮은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일반 이용자들과 최접점에 있는 공공도서관은 그들의 건강정보활용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공공도서관 이용자들이 건강정보탐색능력과 분석능력, 정보원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판단할 수 있는 능력, 올바른 건강관련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는 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공공도서관 이용자에게 적합한 건강정보활용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현장에 적용함으로써 그 효과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공공도서관 이용자의 CHI관련 용어에 대한 친숙도 증가, 건강관련 정보를 인터넷에서 찾을 수 있는 능력 향상, 건강관련 사이트 및 정보원에 대한 지식 향상 등의 측면에서 유의한 수준의 교육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공공도서관에서 다양한 건강정보원에 대한 세미나를 제공해 주기를 요구한다고 응답하였으며, CHI관련 교육을 공공도서관의 정규교육과정으로 포함할 것을 요구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수행된 국내 최초의 CHI관련 교육프로그램으로서 강사진 구성, 주제의 다양성, 방법론 등에서 한계가 있었다. 향후 보다 다양한 CHI관련 이용자교육프로그램이 개발되어 현장에 적용될 수 있기를 바란다. Despite the growth in public concern about health information, the ratio of users who can search for accurate and reliable health information sources has been found to be quite low. Public libraries, as the best contact point to general users, must provide training programs for improving health literacy so that users will have the ability to search and analyze health information, judge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resources, and make informed health-related decisions. This study developed a health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program suitable for Korean public library users. The effectiveness of the training was measured after administering the program, and necessary improvements were identified. As a result, this study found the education program had the following effects: improved public library users' familiarity with CHI-related terms, improved users' ability to find CHI-related information resources on the Internet, and significantly improved knowledge about health-related websites and information sources. In addition, users expressed interest in seminars on a variety of health information sources in the public library and asked that CHI-related education be included in the library's regular programming. However, this research represented the first time CHI-related education for public library users was performed in Korea, and therefore many limitations were present in the education instructor, the diversity of subjects, and the methodology. Development of more advanced CHI-related education programs for users is still required.

      • KCI등재

        건강정보서비스 제공을 통한 도서관의 역할강화에 관한 연구

        노영희,Noh, Younghee 한국비블리아학회 2019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30 No.2

        현 시대는 고령화 사회, 삶의 질에 대한 국민의 관심증대, 의료비 감소를 위한 국가의 관심 증대 등으로 건강정보에 대한 관심이 전반적으로 증가된 상황이다. 이에 문헌정보학계의 연구노력, 도서관계의 건강특화서비스 제공 노력, 그리고 국가차원에서의 노력이 이루어져 왔으나, 도서관계에서의 통합적 및 체계적으로 건강관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정책이나 전략은 명확히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 수행된 선행연구 및 정책연구, 그리고 사례조사를 통해서 도서관에서 건강정보를 통합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건강정보제공통합시스템 구축, 건강관련정보의 총체적 DB 구축, 건강특화 도서관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건강정보서비스 총괄지원센터 운영, 건강정보서비스관련 부처 및 기관 간 협력네트워크 구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구체적인 내용은 이후 도서관이 우리나라 국민의 건강증진을 위해 서비스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Today, interest in health information has risen overall due to the aging society, increased public interest in the quality of life, and the increased state's interest in reducing medical costs. Accordingly, efforts have been made across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terms of academic research, libraries in terms of providing health specialized services, and the state, yet policies and strategies for providing the health related information in an integrated and systematic manner through the libraries have not been proposed with clarity to date. Thus, this study aimed to propose a method to provide the health information in an integrated manner by the libraries through the previous studies, policy studies, and case studies. Consequently, it proposes to build a system to integrate the health information, build an overall database of the health related information, develop and operate a health specialized library program, operate a general support center for the health information service, and build a cooperative network among the related departments and institutions for the health information service. The details proposed by this study is likely to contribute to developing services for improving the health of the citizens of this country.

      • KCI등재

        서울시 작은도서관의 자치구별 운영 현황 및 발전방향 제안 연구

        노영희,한문성,이근화,최만호,Noh, Younghee,Han, Mun-Seong,Lee, Geun-Hwa,Choi, Man-Ho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7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8 No.2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작은도서관에 대한 각종 현황 분석을 기반으로 작은도서관의 발전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또한 운영방식이 상이한 자치구의 운영 실태를 분석함으로써 최적화된 운영방식을 제안하여 자치구별 작은도서관의 질적 제고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획일적인 예산지원 및 지도관리가 아니라 운영주체에 따른 운영 특성을 감안하여 공립과 사립이 구분되어야 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서울시에 산재된 작은도서관들은 각자의 설립주체에 의해 공중의 생활권역에서 지식정보 및 독서문화서비스의 제공을 주된 목적으로 설립 되었다. 따라서 질적인 면이나 양적인 면에서 이용자의 욕구 충족 여부를 떠나 설립 목적에 부합하게 자율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 서울시가 인위적으로 개입하여 관리하려고 하다보면 여러 가지 문제점이 야기될 수 있으므로 관련 조례에 근거하여 제한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적합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the developmental direction for small libraries based on a set of various situational analysis of small libraries in Seoul. By analyzing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autonomous regions of different operating methods, we also pursued qualitative enhancement of small libraries by autonomous district by proposing optimized operation methods. As a consequence of the study, it was analyzed that the public and private libraries need to be distinguished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oper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ng entity rather than uniform budget support and guidance management. That is, the small libraries scattered throughout Seoul were founded by the principal of their establishment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knowledge information and reading culture service within the public activity area. Therefore, if Seoul intervenes and manages under the current situation, where the libraries are operating independently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establishment, regardless of whether they meet the user requirements or not in terms of quality or quantity, various problems may be caused. In this background, it seems appropriate to restrict the library management in line with relevant regulations.

      • KCI등재

        문헌정보학 교육과정의 특성화된 프로그램 개발 및 활용에 관한 연구

        노영희,Noh Younghee 한국문헌정보학회 2005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39 No.1

        In the era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society, specialists with a specific concentration are more appreciated than broad knowledge. Therefore, it is a growing trend that universities and departments restructure their vision and plans to foster specialized professionals. While responding to the needs of working libraries and adhering to the basic educational goals, the Programs of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ector should be flexible to the external changes. In this sense, each university should develop customized curriculum based on its related policies, resources, and surrounding circumstances, with an emphasis on specialization over standardization. This paper discusses how to build specialized education programs in line with specific environments that each university is surrounded with, and by doing so, raise information professionals with specialized concentrations. 지식정보사회에서는 다양한 분야를 널리 아는 것보다 특정 분야에 특성화된 전문가를 원하며 그러한 전문가가 높이 평가되고 있다. 따라서 특성화된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해 교육목표와 교육방향을 설계하는 대학 및 학과들이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문헌정보학 교육과정도 대학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고 도서관 현장의 요구에 부응할 뿐만 아니라 현재의 대학 자원과 환경을 바탕으로 개설되어야 할 것이다. 정책과 자원과 환경은 대학마다 다르므로 각 대학의 특성에 맞게 특성화된 교육과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즉 표준화된 교과과정이 아닌 특성화된 교과과정의 운영과 정책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특정 대학의 처한 환경과 상황을 고려하여 교과과정을 운영하는 특성화된 교육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있으며 정보전문가로서의 보다 전문화되고 특성화된 자질을 갖춘 전문가를 양성하고자 한다.

      • KCI등재

        이용계층 및 지역특성을 반영한 김포시 특화도서관의 발전방향 도출에 관한 연구

        노영희,정대근,노지윤,Noh, Younghee,Jeong, Dae Keun,Ro, Ji-Yoon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20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51 No.1

        특화도서관의 설립이 가속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본 연구는 김포시 시립도서관 운영이 20년이 됨에 따라 김포시 지역별로 산재해 있는 특화도서관 전체의 체계를 재정립함으로써, 타 지역과 차별화할 수 있는 김포시 도서관만의 특화된 비전과 전략 설정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김포시 도서관의 운영상의 문제를 크게 3가지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먼저, 특화주제 선정의 문제점이다. 다음으로 특화자료이용의 문제이다. 마지막으로 실질적인 특화프로그램 미운영의 문제이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특화주제 발전 방향은 크게 3가지로 제안하였다. 첫째, 지역 콘텐츠 및 이용자 요구에 기반한 특화주제 선정이다. 둘째, 특화서비스 활성화 방안의 마련이다. 셋째로, 지역 내 특화네트워크를 강화하는 것이다. In the context of accelerating the establishment of specialized libraries, this study aims to reestablish the entire system of specialized libraries scattered by Gimpo City as the Gimpo City Library has been in operation for 20 years. It aims to establish a specialized vision and strategy. In this study, the operational problems of the Gimpo library were discussed from three perspectives. First, there is a problem in selecting a special theme. Next is the problem of using specialized materials. Lastly, it is a matter of not operating the actual specialized program. Based on this analysis, three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specialized topics were proposed. First, the selection of specialized topics based on local content and user needs. Second,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plan to activate specialized services. Third, local specialty networks should be strengthened.

      • KCI등재

        도서관의 특성화 사례 분석을 기반으로 한 도서관 특화방향 모색에 관한 연구

        노영희,곽우정,신영지,Noh, Younghee,Kwak, Woojung,Shin, Youngji 한국비블리아학회 2018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9 No.3

        연구에서는 문체부 정책과 특화지향 사회적 분위기의 영향으로 증가하고 있는 특화도서관의 사례를 조사 분석하고 향후 특화도서관의 발전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특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도서관의 지역 분포, 장서, 시설, 전문 인력, 프로그램, 서비스 등에 대해서 조사 분석하였다. 총 55개의 도서관에 대해서 분석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한 시사점 및 정책방향 제안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서관이 특화주제를 선정할 때는 지역자원, 지역정체성, 지역브랜드, 지역주민의 수요 등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특화장서는 특화주제와 관련이 있어야 하며 특화장서의 비중은 1만권이 넘도록 하되 전체장서에서 특화장서가 차지하는 비중도 고려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공간구성도 특화 주제를 고려해야 하며, 특화분야에 따라 요구되는 공간이나 유형은 다르다는 것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넷째, 특화도서관에서는 특화분야의 전문인력을 배치하야 하며, 특화인력을 양성하기 위해서는 대학과 사서교육원의 역할이 매우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다섯째, 특화도서관에서 운영되는 프로그램의 유형에는 관람형, 행사형, 강좌형, 참여형, 콘테스트형이 있었는데, 특화주제에 따라 적절한 유형을 선택해서 운영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actual cases of specialized libraries which are increasing in number due to the influence of the local government policy and the specialization-oriented social atmosphere and to explore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specialized libraries in the future. In order to do that, the distributions, collections, facilities, professional manpower, programs, and services of the libraries providing specialized services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A total of 55 libraries were analyzed and the implications and proposed policy directions based on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when selecting a specialized subject, the library should consider the local resources, local identity, local brands and demand of local residents. Second, specialized collections should be related to the specialized topic, and the number of specialized collections should be more than 10,000, but the proportion of specialized collections compared to the total collections should also be considered. Third, the design of space should consider the specialized subject, taking into account that required spaces and types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specialized subject. Fourth, Specialized libraries should have specialists from the specialized area and the role of universities and librarian education institutes seem to be critical for cultivating specialized personnel. Fifth, the program type implemented by specialized libraries should be appropriately selected and operated from the program types of view-type, event-type, lecture-tepe, experience-type and contest-type, based on the specialized subject.

      • KCI등재

        공공도서관 서비스가 이용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노영희,박양하,Noh, Younghee,Park, Yang-Ha 한국비블리아학회 2017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8 No.1

        삶의 질 측정은 행정, 경제, 사회 분야에서 연구를 진행해 온 개념이며, 정부의 업무 성과를 측정하는 기준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최근에는 국가적으로나 국제적으로 전반적인 발전 정도를 반영하기 위해 '삶의 질(QoL: Quality of Life) 지표'를 사용하는 추세이다. 삶의 질 지표를 활용한 국가 정책 및 서비스의 효과 측정은 '상향확산이론(bottom-up spillover theory)'과 결합하여 더욱 설득력을 가지게 된다. 본 연구는 통계청에서 사용하는 객관적인 삶의 질 측정 지표인 "국민 삶의 질 지표"를 적용하여 도서관 서비스가 실제로 삶의 질 범주에 영향력이 있다고 인식하는지에 대한 정도를 조사하고, 나아가 사서가 인식하는 삶의 질 향상 정도와 일반 이용자가 인식하는 삶의 질 향상 정도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시간 부족에 대한 인식'이 가장 높은 지표로 나타났고, '미세먼지 농도'가 가장 낮은 지표로 나타났다. 사서와 이용자 간의 인식 차이는 13개 지표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성별에 따른 인식 차이는 5개 지표, 연령에 따른 인식 차이는 23개, 거주지에 따른 차이는 14개, 도서관 방문 횟수에 따른 차이는 9개 지표로 나타났다. Measurement of quality of life is a concept studied in the field of administration, economy and society. And It is a standard of measuring performance of government. Recently, in governments and global society, QoL (Quality of life) index is used to reflect overall development degree. National policy and service effectiveness measurement using QoL index is more persuasive when it is combined with 'Bottom-Up Spillover Theory'. This study applied "National Quality of Life Index", the object QoL index used by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o see if the library service is recognized to actually have influence on the quality of life, and furthermore, see the difference of quality of life improvement recognition by user and quality of life improvement degree recognized by the librarian. "Recognition regarding shortage of time" was the highest index, and "concentration of fine dust" was the lowest. Regarding the recognition difference between librarian and user, it showed signifiant difference in 13 index, while the recognition difference by gender showed difference in 5 index, difference by age was 23, difference by residence was 14, and difference by number of visits to library was 9.

      • KCI등재

        인천광역시 동구 특화도서관 운영전략 도출에 관한 연구

        노영희,장인호,강지혜,김동석,Noh, Younghee,Chang, Inho,Kang, Ji Hei,Kim, Dongseok 한국정보관리학회 2021 정보관리학회지 Vol.38 No.2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 동구 지역 내 소재한 다양한 문화재 및 콘텐츠와 '2022 동구 Master Plan'에서 제시된 동구 발전권역을 바탕으로 도서관의 추가 건립 시 운영할 수 있는 특화 전략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인천광역시 동구 지역을 문화관광·테마관광권역, 역사문화권역, 중심상업권역, 기반산업권역 등 4권역으로 구분하여 각 지역별 문화재 및 콘텐츠 등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특화주제를 선정하고자 하였다. 둘째, 2022년 완공이 예정되어 있는 어린이 도서관의 특화 주제 및 전략을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여 제안하였다. 셋째, 인천광역시 동구의 사회적 특성을 고려하여 대표도서관이 추진해야 할 특화 전략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suggested following specialized strategies to be operated in additionally constructing a library, based on a variety of cultural properties and contents, which exist in Dong-gu, Incheon, and the Dong-gu development zone proposed by 'Dong-gu Master Plan 2022'. First, it attempted to select specialized themes based on local characteristics such as cultural properties and contents by each region, by dividing Dong-gu in Incheon into four areas: culture tourism/theme tourism, historical culture, central commercial and infrastructure industry area. Second, it proposed a specialized theme and strategy for children's library to be completed in 2022 by considering the local characteristics. Third, it also suggested the specialized strategy which the representative library should pursue, by considering the social characteristics of Dong-gu.

      • KCI등재

        국가정책연구포털(NKIS) 현황 및 사례 분석을 통한 운영 개선 방안 도출에 관한 연구

        노영희,장인호,강지혜,곽우정,Noh, Younghee,Chang, Inho,Kang, Ji Hei,Kwak, Woojung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22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53 No.1

        In this study, the current status of operation was analyzed with a view to analyze the areas in need of improvement and the status of portals of similar institutions. Based on which, a proposal was made to help improve the function of utilization as well as search the products of studies by and for the research institutes funded by the government having jurisdiction by applying the information service technology developing in line with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for the purposes of aiding and fostering with efficiency toward achieving the goal of establishment for such institutes, while strengthening the utility of NKIS. First, in order to secure the membership, it is necessary to find the targets for policy information and promotion, and it is also necessary to increase the demand for policy information, such as by preparing the people friendly policy reports, infographics, and information delivery in an easy manner. Second, it is necessary to provide customized services in the manner which reinforces reports and policy data on the social issues and education topics, which are among the interests of the primary user base by considering the ratio of visiting occupations. Third, for the diversification and expansion of video data services, it is necessary to prepare alternatives, such as by setting regulations and encouraging the institutions of jurisdiction to upload the video data. Fourth, it will be necessary to improve the overall public relations service. It is also necessary to proceed with the NKIS' publicity webtoon serialization with the latest contents or abolish the current webtoon promotion, while it is necessary to derive the plans for the efficient implementation of the contest, further to the need to discuss the secondary publicity after the contest rather than halting after 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