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An interface circuit designed for the load cell

        Chung, Won Sup 청주대학교 산업과학연구소 2006 産業科學硏究 Vol.23 No.2

        저항형 센서 브리지들을 위한 브리지 저항 편차-펄스폭 변환기를 제시한다. 이 변환기는 두 개의 전압-전류 변환기, 두 개의 전류-제어 슈미트 트리거, 하나의 램프 적분기, 그리고 두 개의 로직 게이트로 이루어져 있다. 개별 부품들을 사용하여 제작된 실험회로는 4.68 ms/Ω에 달하는 변환 감도와 ±0.03%보다 적은 선형 오차를 나타냈다. 브리지 저항 편차-펄스폭 변환기를 로드셀에 응용한 예도 제시하였다. A bridge resistance deviation-to-pulse width is presented for interfacing resistive sensor bridges. It consists of two voltage-to-current converters, two current-tunable Schmitt triggers, a ramp integrator, and two logic gates. A prototype circuit built using discrete components exhibits a conversion sensitivity amounting to 4.68 ms/Ω and a linearity error less than ±0.03 %. Its application to a load cell is also presented.

      • 水稻의 基肥 水準과 栽植密度가 生育 및 收量에 미치는 影響

        安元燮,金鎭雨,崔周鎬 진주산업대학교 1987 論文集 Vol.25 No.-

        1986年 4月부터 10月까지 晋州農林專門大學 實習團場에서 供試品種 東津(Dong jin)을 N의 基肥 水準 및 栽植 密度에 미치는 影響에 관하여 試驗한 結果를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分蘗數는 N 18㎏區가 높았고 72株區가 가장 많았다. 2. 穗長은 N 18㎏區와 72株區 다른區에 비하여 약간 길었다. 3. 粒數는 N 18㎏區가 가장 많았으며 栽植密度間에는 高度의 有意性이 認定되었다. 4. 登熟比率은 基??水準間에 有意性이 認定되었고 72株區가 높았으며 N 18㎏區가 가장 낮았다. 5. 千粒量은 施肥量間에 有意性이 認定되었으나 栽植 密度間에는 차가 거의 없었다. 6. 收量은 栽植 密度間에는 有意性이 認定되었으며 施肥量에는 認定되지 않았지만 N 18㎏區에서 약간 높은 傾向을 보였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in the experimental field of Chinju National Agricultural and Forestry Junior College from April to October, 1986.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asic nitrogen, fertilization level and planting density on the growth and yield of rice cultivar, Dong jin,.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 1. The number of tilers was largest at the level 18㎏ N ad in the spacing of 72 plants. 2. The panicle lengh was a little longer then any other group at the level of 18㎏ N and in the spacing of 72 plants. 3. The grain number was largest at the level of 18㎏ N and high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grain number was confirmed among the different planting density. 4. The percentage of ripenes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levels of basic fertilization. It was high in the spacing of 72 plants and lowest at the level of 18㎏ N. 5. The 1000 grain weght revealed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fertilization levels, but it showed little difference among the plant density. 6. The difference of yield showed significance among the planting density, but it showed little significance among the levels of fertilization. Only the yield of 18㎏ N level tended to be a little large.

      • 3차원 직육면체 대공간 내에서의 열 및 기류 유동에 관한 연구

        박원희,이상엽,황문섭,김태국 중앙대학교 기술과학연구소 2002 기술과학연구소 논문집 Vol.32 No.-

        본 연구에서는 대공간 내에서의 열 및 기류 유동 현상을 연구하기 위하여 464×300× 950mm^3크기의 축소 모형으로 아트리움을 제작하였다. 가상 화재를 모사하기 위하여 대공간 하단에 히터를 설치하였으며, 히터의 온도에 따른 대공간 내의 온도분포를 측정하였다. 본 실험에서 얻은 결과는 아트리움과 같은 대공간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에 열 및 기류 현상을 해석하기 위한 기초자료 및 열유동 현상을 해석하는 수치해석 프로그램의 계산 결과의 기준 데이터로도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성인의 직업교육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장원섭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0 직업능력개발연구 Vol.3 No.1

        Participation in vocational education is necessary for all adults in the era of lifelong learning. It is lack of systematic study on adult participation in vocational education in Korea. This study examined who participate in what kind of vocational education with the raw data surveyed by National Statistical Office of Korea. This study found that adult vocational education was divided by education in enterprise and job training. People who are employed, young, with high educational level, and male with high status tended more to participate in education in enterprise, while people who are male, old, with low educational level, and low status in job training. This finding may mean that adult participation in vocational education is segregated and that the opportunities are structurally differentiated according to adults' background characteristics. This study proposed more elaborate research about the implication.

      • KCI등재

        3분과 : 가선집재작업에서의 작업 생산성 및 비용 분석

        한원성 ( Won Sung Han ),한한섭 ( Han Sup Han ),김남훈 ( Nam Hun Kim ),차두송 ( Du Song Chu ),조구현 ( Koo Hyun Cho ),민도홍 ( Do Hong Min ),권기철 ( Ki Cheol Kwon ) 한국임학회 2014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03 No.1

        본 연구에서는 임목수확작업에 사용되는 집재기계의 작업효율성을 분석하여 경사가 급한(20° 이상) 작업조건에 적합한 가선계 집재기계를 선정하는데 기초 정보를 제공하고자, 타워야더(RME-300T), 트랙터부착형 집재기(일명: 춘천집재기), 트랙터윈치(FARMI) 등에 의한 집재작업에서의 작업생산성 및 비용을 비교 분석하였다. 평균 흉고직경이 20 cm, 집재거리 60 m, 가로집재거리 10 m, 그리고 기계이용률이 70%인 동일한 작업 조건에서 작업이 이루어질 경우, 타워야더의 1일 집재작업 생산성은 33.04 m3/일, 트랙터부착형 집재기는 38.47 m3/일, 그리고 트랙터윈치는 14.17 m3/일으로 분석되었으며, 이에 따른 집재작업비용은 각각 25,105원/m3, 20,520원/m3, 37,835원/m3으로 나타났다. 동일한 작업조건에서 집재거리에 따른 각 집재기계별 작업효율성을 비교하였을 경우, 집재거리가 40 m 이내로 짧을 경우에는 트랙터윈치에 의한 집재작업이 효율적이며, 40~140 m의 집재거리에서는 춘천집재기가, 140 m 이상의 장거리 집재작업에서는 타워야더가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field-based harvesting study information which can be used to select an optimal cable system for certain work conditions on steep grounds (>20° ground slope) in Korea. Toaccomplish this study objectives, we evaluated three cable yarding systems (RME-300T tower-yarder, Chuncheontower-yarder, FARMI tractor winch) working in typical work conditions for their yarding productivity and operational efficiency. Those yarders are commonly used for removing logs or trees on steep grounds in Korea. Under the same work conditions (average DBH of tree to be cut, 20 cm; yarding distance, 60 m; lateral yardingdistance, 10 m; and machine utilization rate, 70%), the average productivities were 33.04 m3/day, 38.47 m3/day, and 14.17 m3/day for RME-300T, Chuncheon tower-yarder, and FARMI, respectively. Our standardized cost comparison study also showed that the yarding cost was highest at 37,835 won/m3 with FARMI, followed byRME-300T at 25,105 won/m3 for the same work conditions. We found the lowest yarding cost with the Chuncheon tower-yarder at 20,520 won/m3 which was resulted primarily from high yarding productivity at theyarding distance (60 m). Our analysis suggested that a small machine such as FARMI could be a low-costyarding machine option for a cable yarding job with a short yarding distance (40 m or less). The Chuncheontower-yarder is well suited for a mid-range yarding distance job in Korea, ranged between 40 to 140 m. Ifyarding distance were longer than 140 m, the RME-300T tower yarder appears to be most cost-effective.

      • 水稻의 穗肥가 生育 및 穗首稻熱病 發生에 미치는 影響 : 第一報 穗肥時期를 달리하였을 때 水稻의 收量 및 穗首熱病 發生에 미치는 影響 1. The Effect of Nitrogen Application Days on the Yields and the Rate of the Neck Blast Desease's Appearance

        金正洙,安元燮,李喆浩 진주산업대학교 1980 論文集 Vol.18 No.-

        穗肥가 穗首稻熱病 發生에 미치는 影響을 調査하기 위하여 1980年 4月∼10月에 걸쳐서 穗肥時期를 달리하였을 때 水稻의 收量 및 稻熱病發生率을 調査한 結果를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生穫重은 8월 2일 穗肥區에서 가장 많았고 7月 24日區에서 가장 낮았다. 2. 收量은 穗肥時期에 따라 큰 差異를 보이지 않아 7月 19日∼7月 29日區에서 공히 1474㎏로 같았고 7月 14日區에서 가장 낮았다. 3. 品種間에 있어서 收量이 가장 적은것은 來敬이였으며 가장 收量이 높게 나타난 品種은 密陽 23號였다. 4. 穗首稻熱病發生率은 8月 2日 穗肥區와 7月 29日 穗肥區에서 가장 높아 穗肥時期가 늦어지면 늦어 질수록 稻熱病發生率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obtain the effect or yields and the rate of neck blast desease's appearnce in the 4 varieties of paddy rice applied nitrogen in the different days around the panicle initiation stage,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fresh weights of paddy rice was the heaviest at the plot applied nitrogen on Aug 2nd, but that was the lightest in the plot applied nitrogen on July 24th. 2. The yields of paddy rice were not much difference depend on the application days of nitrogen. 3. The variety of Milyang 23 was the highest yield and Lageoung was the lowest yield variety. 4. In the rate of neck blast desease's appearance, the plot applied nitrogen on Aug. 2nd and July 29th were the highest, and the later the nitrogen was applied, the higher the neck blast desease was appeared.

      • 水稻의 穗肥가 生育 및 穗首稻熱病 發生에 미치는 影響 : 第二報 穗肥水準이 水稻의 收量 및 穗首稻熱病 發生에 미치는 影響 2. The Effect of the Nitrogen level on the Yields and the Rate of ths Neck Blast Deseas's Appearance

        安元燮,李喆浩,崔周鎬 진주산업대학교 1980 論文集 Vol.18 No.-

        統一系 水稻 品種의 穗首稻熱病에 대한 發生原因을 調査하기 위하여 種肥量을 10α當 無施區에서 4㎏區까지 N8個 水準으로 分割하고 4品種을 供試하였으며 그 試驗結果를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地上部 生育은 施肥量의 增加에 따라서 多少 增加하는 傾向이었으나 有意性은 認定되지 않았다. 2) 收量은 穗肥量 1.5㎏區에서 가장 많았으며 株當收量은 平均 48g을 나타냈다. 3) 穗首稻熱病은 10α當 穗肥基準量 3㎏에서 來敬과 魯豊이 가장 많이 發生하였다. 4) 收量과 穗首稻熱病의 發生率間에는 큰 相關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이러한 原因은 이들 處理穗肥水準의 幅이크지 않았던 점에 起因된 것으로 思料된다.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obtain the effect of yields and the rate of neck blast desease's appearance in the 4 varieties of paddy rice applied the differant levels of nitrogen from o to 4㎏ per 10a,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growth weight was increased by adding nitrogen, but it was not signifcantly difference. 2. The yield was the highest at the plot of 1.5㎏ treatment, and the average yield per 1 plant was 122g. 3. In the rate of neck blast desease's appearence, the variety of Nopung treated 3㎏ per 10 a was the highest in all varieties with 12.8%. 4. In the relation between the yield and the rate of neck blast desease's appearance, highly positive correlation was not found, and it was considered because of the short ranged treatment.

      • SCOPUSKCI등재

        α-1,3-glucanase를 생산하는 미생물의 분리, 동정 및 배양조건

        김명섭,신원철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 구 한국산업미생물학회 ) 1996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24 No.4

        토양으로부터 α-1,3-glucanase를 생산하는 미생물을 분리하여 동정과 배양조건을 검토하였다. 분리 균주는 회색 계통의 기균사를 형성하였으며 배면 색깔은 적갈색을 나타내었다. 또한 분리 균주의 생육온도 범위는 10~42℃이었고 생육 pH 범위는 pH4~10이었다. 그 외 catalase 양성, esculin, gelatin 및 casein 분해능이 있었다. 당의 이용성과 산 생성 여부를 검토한 결과 arabinose, dextrin 및 mannose에서 이용성을 나타내었고 cellulose를 비롯한 일부 당에서 산이 생성되었다. 분리 균주의 세포벽 구성 성분의 분석 결과 LL-DAP와 glycine을 함유한 세포벽 type Ⅰ으로 분류되었다. 세포벽 구성 아미노산 중 glycine과 alanine의 존재, 기균사의 형성, 수용성 색소 형성, melanoid 색소 형성 및 spore chain 형태 등의 결과로부터 분리 균주는 새로운 Streptomyces 속임을 알 수 있었다. 분리 균주를 이용한 α-1,3-glucanase의 생산은 초기 pH7, 37℃에서 48시간 배양하는 것이 약 0.65 units/ml로 가장 좋았다. A strain producing α-1,3-glucanase was isolated from soil samples. The strain has a grey aerial mycelium and showed brown color from the other side. The temperature and pH range for growth were from 10℃ to 42℃ and from 4 to 10, respectively. Arabinose, dextrin and mannose were utilized for growth. Analysis of cell wall components revealed that the strain was classified as type I. From the results, the strain was identified as Streptomyces sp. By using this strain, the maximum production of 0.65 units/ml for α-1,3-glucanase was achieved at 37℃ for 48 h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