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SSCISCOPUSKCI등재

        Pilot Study: An Ocular Biomarker for Diagnosis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Sujin Bae,Jee Taek Kim,Jung Min Han,Doug Hyun Han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19 PSYCHIATRY INVESTIGATION Vol.16 No.5

        Objective: Biomarkers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are crucial for early diagnosis and intervention, in which the identification of biomarkers in other areas of the body that represent the immature brain of children with ADHD is necessary. The present study aimed to find biomarkers of ADHD in the retina and asse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macular thickness of the retina and cortical thickness of the brain in children with ADHD. Methods: Twelve children with ADHD and 13 control children were recruited for the study. To find ocular markers of ADHD, we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between clinical symptoms of ADHD assessed with the Korean ADHD Rating Scale (K-ARS), cortical thickness of the brain, and macular thickness measured with the mean thickness from the Early Treatment Diabetic Retinopathy Study (ETDRS). Results: Children with ADHD showed increased macular thicknesses quantified as an ETDRS ring in both eyes, compared to control subjects. Moreover, the right inner ETDRS ring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K-ARS scores. The ADHD group had an increased ratio of thickness of the right frontal lobe to that of the parietal cortex,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means of the inner ETDRS ring (right) and the left paracentral/right isthmus cingulate thicknesses in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means of the inner ETDRS ring (right) and the left frontal pole/right pars triangularis thicknesses in the ADHD group. The results of both groups were at the uncorrected level. Conclusion: The different patterns of macular thickness might represent the immature cortical thickness of the brain in children with ADHD.

      • KCI등재

        < 일반논문 > : 고등학생 흡연경험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수진 ( Sujin Han ),송낙길 ( Nakgil Song ) 성균관대학교 국정관리대학원 2015 국정관리연구 Vol.10 No.3

        본 연구는 실제로 현재 흡연을 하고 있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그들에게 흡연은 어떤 의미를 가지며 어떤 경험을 하고 있는지, 흡연학생들의 부모들의 태도는 어떠한지, 현재 흡연 교육은 청소년에게 어떤 의미인지 등 그 구성요소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이는 청소년의 흡연율이 계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서 볼 때 이들에게 흡연 예방 및 청소년 흡연에 대한 대처 방안을 살펴봄으로써 임상적 함의를 도출해 내고자 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 참여자들의 흡연 동기는 호기심과 계속되는 친구들의 권유로 담배를 피우기 시작했으며, 흡연의 충동은 혼자 있을 때, 식후에, 친구가 피우니까, 심심하니까 등 습관적으로 담배를 피우고 있었다. 흡연의 시작 시기는 빠르게는 초등학교 4학년 때 부터 중학교 과정에서 시작되었으며, 또래보다 나이 들어 보이는 친구에게 부탁을 하거나 주민등록증을 사서 담배를 구입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담배를 구입하는데 특별한 어려움을 겪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흡연 청소년의 부모들은 자녀가 담배를 피우는 것을 알았을 때 대부분 말로 타일러서 피우지 말라고 했으며, 혹은 욕을 하거나 때렸다라고 응답했다. 가족 중 흡연자가 있는 경우는 24명 중 16명으로 조사되었다. 청소년들은 가족 안에서 흡연자에 대해 어떻게 대처해 왔는지 여부가 청소년의 흡연빈도를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마지막으로 참여자들의 학교생활에 대해 대부분 그저 그렇다와 만족하지 않는다가 전체 24명 중 18명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of adolescents who are currently smoking to identify the components regarding what smoking mean to them, what attitude parents of the adolescents have toward their smoking, and what the meaning of the current smoking education is to them. this study thus attempted to derive clinical implications by looking at how to prevent them from smoking and how to allow them to cope with smok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Smoking motives included curiosity and continued recommendation of friends. Smoking impulses contained because of being alone, after a meal, smoking after friends. All the reasons turned out habitual ones. Starting time for smoking ranged from the fourth grade in their elementary school to the middle school period. As for how to purchase cigarettes. it was found to ask friends who look older than their peers or to buy the ID card. It was investigated that they did not suffer any special difficulties in buying cigarettes. Parents of smoking adolescents responded that most of the parentis told them not to smoke in a sweet voice, scolded them, or punished them. As for if there is any smoker in their family, 16 out of 24 participant answered "Yes." For adolescents, how to cope with the smoker in their family acted as a factor increasing the incidence of their smoking. Finally, concerning the school life of participants, most of them, 18 out of 24, answered "So so" and "Not satisfied."

      • KCI등재후보

        디지털 아트에 생성되어진 상호작용적 이미지의 몰입경험 -"어포던스"를 중심으로-

        한수진 ( Sujin Han ),김규정 ( Kyujung Kim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2 예술과 미디어 Vol.11 No.1

        본 연구는 디지털 아트에서 생성되어지는 상호작용적 이미지를 통한 관객의 몰입 경험(Flow Experience)에 대한 고찰로부터 관객이 작품과의 소통에서 어떠한 신체적 경험을 하게 되는지에 관한 이론적 배경과 작품의 사례를 제시하였다. 상호작용적인 작품은 관객의 소통에서 몰입이라 는 요소가 이미지에 개입되고, 이때 생성되어지는디지털 이미지는 관객에게 인지체계를 자극시키는 어포던스(Perceived Affordance)를 부여하며, 작 품과 반응하는 상관관계가 지속되도록 한다. 그리고 다양한``해석``이라는 단계를 거치면서, 경험자의 신체적 행위로 인해 이미지의 변형을 새롭게 확장 시켜 몰입 경험(Flow Experience)을 하게 된다. 어포던스(Affordance)를 통해 유도된 관객의 자발적인 행위는 예술작품과 함께 다양한 퍼포먼스를 연출하게 되어 잠제적인 경험에 의한 풍부한 이벤트를 연출하게하고, 그것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극 적 체험을 증가시켜 인간의 감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This study has presented the audiences flow experience of interaction image generated through digital art, to suggest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examples of work on the case of physical experience the audience has during communicating with works. An element of flow is intervened into an image during interact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work and the audience, and the creation of a digital image that is generated here adds affordance that stimulates the cognitive system to allow the interacting relation that reacts to the work to continue. As a stage of diverse ``interpretation`` is gone through, images are transformed due to physical actions and flow experience is done. The voluntary action induced by audience through affordance directs a variety of performances with the work of art to direct plentiful events by latent experience and in the process it increases the dramatic experience to play an important role that can maximize human emotions.

      • KCI등재

        소비자구매행동유형에 따른 가계재무관리행동 특성의 차이 분석

        한수진(Sujin Han),허경옥(Kyungok Huh) 한국FP학회 2011 Financial Planning Review Vol.4 No.1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들의 구매행동유형을 유형화시키고 유사한 구매행동을 보이는 소비자집단에서 재무관리영역별 위험인지 및 위험관리행동, 가계경제구조, 재무관리행동, 구체적으로 소득, 지출, 세금, 부채, 저축 및 투자, 은퇴 관리행동에 어떤 차이가 있는가를 조사하였다. 또한, 이들 집단의 가계의 재무건전성에 어떤 차이가 있는가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ㆍ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요인분석을 통해 소비자구매행동에 따라 유사한 성향을 보이는 집단을 분류한 결과 환경ㆍ공익ㆍ합리적소비형, 비환경ㆍ충동적 소비형, 환경ㆍ소비무관심형, 비환경ㆍ유행추구형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환경ㆍ소비무관심형 집단은 소득과 고용에 대한 위험인지는 낮았으나 자산과 은퇴에 대한 위험인지 수준은 높았다. 한편, 환경ㆍ공익ㆍ합리적소비형 집단과 비환경ㆍ충동적 소비형 집단의 소득과 고용에 대한 위험인지수준이 높은 것으로 드러났고, 은퇴에 대한 위험인지 수준은 환경ㆍ공익ㆍ합리적소비형과 환경ㆍ소비무관심형에서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셋째, 환경ㆍ소비무관심형 집단이 투자행동에 있어서 위험을 감수하는 성향이 높았다. 월평균 가계소득은 환경ㆍ공익ㆍ합리적 소비형 집단에서 가장 높았고, 또한, 실물자산, 월평균 생활비, 월보험료 납입액수가 가장 높았다. 금융자산의 경우는 환경ㆍ소비무관심형집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예금과 주식 두 영역에서 높았다. 또한 환경ㆍ소비무관심형의 경우 월평균 생활비는 가장 적고, 월평균 저축액수가 가장 높았는데 이는 이들 집단은 소비에 대해 무관심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비환경ㆍ충동적 소비형 집단의 월평균 가계소득, 금융자산, 실물자산, 월평균저축액은 가장 낮았다. 환경ㆍ소비무관심형 집단이 지출관리, 자산관리, 세금관리, 신용관리행동에서 적극적이었고, 비환경ㆍ충동적 소비형 집단은 대부분의 재무관리영역에서 다른 집단에 비해 소극적인 실천행동을 보였다. 끝으로 환경ㆍ소비무관심형 집단은 총자산 중 금융자산비중이 매우 높았고, 비환경ㆍ충동적 소비형 집단, 환경ㆍ소비무관심형 집단의 가계순이익이 낮았다. This study classified several comsumer groups based on the style of purchase behavior and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among groups in terms of risk-perception across the areas of financial management behaviors, risk management behavior, economic structure of households, financial management behaviors, for example, income, expenditure, tax, debt, saving, investment, and retirement. In addition, this paper investigated whether those groups differ in adequateness of financial status of households, The following is the summary of the main results. First, consumers were classified by the style of purchase behavior; pro-environmentalㆍpublicㆍrational group(group I), not-environmentalㆍimplusive group(group II), proenvironmentalㆍnot-interested in group(group III), and pro-environmentalㆍfashion-brandy oriented group(group IV). Second, the levels of risk-perception for income and employment of group III were low, but those for asset and retirement were high. On the other hand, the level of risk-perception for income and employment were high in group I and group II. The level of risk-perception for retirement was high in group III and group III. Third, the level of risk-acceptance was high in group III. Monthly income was highest in group I, in addition, real asset, monthly expenditure, monthly payment for insurance were the highest in this group I. Monetary assets were highest in group III, especially bank deposit and stock. In addition, monthly expenditure was the lowest in group III, but monthly saving were the highest in this group, because they are not interested in consumption behavior. Monthly income, monetary asset, real asset, monthly saving was the lowest in group II. Group III was more active in manage of expenditure, asset, tax, and credit, but group II was less active in all areas of management behavior. Finally, group III had high proportion in monetary assets among total assets, group II and group III had lower net-profit compared to expenditure and income of households.

      • KCI등재후보

        3D 홀로그래피를 활용한 프로젝션 매핑 광고의 내러티브 구현에 관한 연구

        한수진 ( Sujin Han ),김규정 ( Kyujung Kim ),김남효 ( Namhyo Kim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1 예술과 미디어 Vol.10 No.2

        프로젝션 매핑 기술은 실제 3D 제품 혹 모형, 건 축물에 3차원 홀로그래피 영상을 덧붙이는 단순한 영상 구현을 넘어선, 입체적이고 환상적인 효과를 제공하여 아트 퍼포먼스와 상업 광고의 경계를 허 물어 소비자들에게 감성적인 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강력한 매체로 빠르게 중요한 영역으로 자리 잡고 있다. 프로젝션 매핑 광고는 3D 홀로그래피를 통해 투 영된 광고 이미지의 입체감 표현뿐만 아니라 빛과 공간 조형의 구현이 가능하다. 따라서 소비자의 총 체적인 시지각의 호기심을 자극하는 가상적 체험과 사실적 재현으로 광고의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전달 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극히 일부 지역적 광고수단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는 단점들이 남아있다. 3D 홀로그래피와 다양한 프로젝션 매핑 방식으 로 구현된 이미지는 광고 속에 담고 있는 내러티브 와 결합하여 실재감을 극대화하는 영상을 표출하며, 관람자와 더 적극적으로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도록 돕는다. 3D 홀로그래피 프로젝션 매핑 광고는 기존방식의 2D 광고보다 소비자에게 전략적으로 메시지를 전달 할 수 있는 주의(Attention)와 흥미 (Interest)를 유발하는데 효과적인 매체 수단으로 서의 가능성을 가지며, 본 연구를 통해 3D 홀로그 래피를 실제 건축물이나 스크린 광고 등에 적용한 사례를 분석하고, 프로젝션 매핑을 통하여 시지각적 효과나 내러티브를 극대화하는 방식 등을 밝힘으로 써 새로운 형태의 광고매체로 발전 가능성을 제안 하고자 하였다. Projection mapping technology along with 3D holography video provides a solid and fantastic effect to the real 3D product and modeling beyond the simple video realization. It blurs the boundary between art performance and commercial advertisement and becomes an important sector rapidly as a strong media which lets consumers communicate with them emotionally. Projection mapping advertisement can provides the stereoscopic effect of the image of advertisement and control the formation of light and space by using 3D holography. Therefore, it is expected to deliver the message of advertisement with visual experience and realistic reappearance in order to stimulate consumers` general curiosity of sights and perception. But, it still has weaknesses that it can be used by only the advertisement measure of some region. The image realized by 3D holography and various projection mapping methods expresses the image maximizing realistic sense by combining with narrative included in advertisement and is helpful to communicate with spectators more actively. 3D holography projection mapping advertisement has a possibility as the effective media drawing attention and interest which can deliver the message strategically rather than 2D advertisement of existed methods. And,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examples applying 3D holography to actual building, screen advertisement, etc. and suggest a possibility of developing to new-typed advertisement media by revealing the method maximizing effects or narrative of sight and perception through the projection mapping.

      • KCI등재

        조직변화가 빠를수록 변화의 성공가능성은 높아지는가

        한수진(Han, Sujin),박오원(Park, Owwon) 한국인사관리학회 2010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34 No.4

        본 연구는 “빠른 조직변화가 과연 효과적인가?”의 질문에 답을 찾는 과정으로 조직 변화 속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심층 사례분석이다. 본 연구의 사례 기업은 기업문화 혁신을 위한 방안으로 인력 구조조정을 계획, 실행하게 된다. 매우 짧은 시간 동안 진행된 인력 구조조정은 의도한 결과도 달성하지 못하였을 뿐만 아니라, 직원들의 단체행동을 유발하는 계기가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4개월이라는 빠른 조직변화과정 그 자체가 문제였다기보다는 조직의 상황이 빠른 조직변화를 견디기 어려웠다고 분석하였다. 즉, 빠른 조직변화는 강력한 리더십을 통한 직원들의 몰입이 있을 경우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대상기업의 경우 최고 경영자의 권력은 강력하지 못하였을 뿐만 아니라, 직원들이 변화에 대하여 매우 부정적이었기 때문에 빠른 변화 속도가 변화에 대한 저항만을 심화시키는 계기가 되었던 것으로 파악된다. 본 사례를 통하여 조직변화 속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변화 주도자의 권력과 구성원들의 저항 정도를 제시하였으며, 각 상황에 따라 변화 속도를 다르게 하는 것이 효과적인 조직변화를 달성하도록 할 것이라고 제안하였다. 즉, 사장과 전략적 의사결정 단위의 권력이 많을수록 그리고 조직 구성원들의 저항이 적을수록 빠른 조직변화가 가능하며 성공적인 결과가 만들어지게 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fast organizational changes are always effective or not. By conducting a case study of Korean branch of multinational pharmaceutical company (Company A) that recently have been through a 4-month of relatively quick organizational restructuring process, we propose two different factors that affect the speed of organizational change. Fast organizational change can be successful only if employees show high commitment to organizational change and top management team has strong leadership. The lack of those commitment and strong leadership were factors that Company A has failed in organizational restructuring process. In other words, we suggest that the power of the initiator and the resistance level of employees' resistance are key success factors for a rapid organizational change. That is, the more power of top management team and the less resistance of employees, the more chance of fast organizational change become successful.

      • 색각이상자를 위한 서울 관광 키오스크 디스플레이 배색 제안

        한수진(Sujin Han),이윤진(Younjin Lee) 한국색채학회 2017 한국색채학회 학술대회 Vol.2017 No.5

        색각이상자를 위한 유니버설 디자인이 전 세계적으로 적극 반영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색각이상자를 위하여 공공디자인이 개선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적용 요소들은 공공사인물에 한하며, 디지털 디스플레이의 개선은 진행되지 않는 현황이다. 관광지에서 키오스크의 역할은 정보 제공, 길 찾기, 티켓 구매와 같은 다양한 업무를 수행한다. 향후 보다 다양한 분야에서 키오스크가 발전할 것이라 예상되기 때문에 키오스크에 유니버설 디자인을 적용하여 모든 사람들이 평등하게 키오스크를 사용하도록 디자인 되어야 한다. 선행 연구에 따르면 전색맹의 경우 채도의 인식률이 낮고 명암만 다소 구별이 가능하여 명암으로 색채를 구분하는 것이 컬러 유니버설 디자인의 필수 요소인 것이다. 전색맹을 제외한 색각이상자들은 대체로 색 구분이 가능하지만 작거나 인접한 색에 대한 인식률이 낮음으로 인접한 색은 명도로 구분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명도의 속성을 이용하여 색각이상자도 차별 없이 키오스크를 사용할 수 있도록 컬러 유니버설 디자인을 적용한 디스플레이 배색을 제안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디지털 미디어에서의 오브제 도입을 통한 감성적 공간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한수진 ( Sujin Han ),김규정 ( Kyujung Kim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1 예술과 미디어 Vol.10 No.1

        최근 디지털 미디어 공간에서는 다양한 ``오브제`` 도입으로 감성적 경험을 갖게 하는 감성 공간으로 진화하고 있다. 그러나 디지털 미디어에서 오브제를 통한 공간의 표현 기준과 척도는 제시된 바 없으며 오브제와 결합된 디지털 미디어 공간과 표현방법 또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 이다. 따라서 디지털 미디어에서 오브제를 통한 다양한 감성 공간과 체험의 표현특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디지털 미디어 공간과 새로운 형식으로 도입된 오브제 적 표현특성은 감성의 목적에 따라 다양한 연출을 통해 재구성된다. 이는 인간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며, 감 각을 자극시키고 감성을 활성화활뿐만 아니라 인터랙티 브를 적극적으로 결합하였다. 본 연구는 디지털 미디어 공간에서 인간의 감성을 자극시키는 오브제 도입을 통한 감성적 공간이 체험되는 표현특성들의 예시사례를 통하여 예술 지각을 유도하는 감 성 공간 접근과 표현에 대한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향후 디지털 미디어 특성에 따른 오브제의 유형적 특성 연구가 필요시 된다. The introduction of various ``object`` in the recent digital media space has contributed to the evolution of emotional space that leads to sensibility experience. However, the expression criteria and scale of space through object in digital media have not been suggested and study on digital media space and expression method that are combined with object is also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was to suggest various sensibility spaces and expression features of experiences through object in digital media. Object expression features, which were introduced in the form of digital media space and new style, were reorganized through various directions according to sensibility purposes. This led human beings to a positive participation, stimulated their senses, activated their sensibility and combined with interaction. This study was to deduct possibility of approach to and expression of sensibility space that led artistic senses through cases of expression features. Study on typical features of object according to the features of the future digital media are requi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