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마트폰 이용이 은퇴 노인의 구조적 사회관계망에 미치는 영향

        엄사랑(Um Sa Rang),최은영(Chio Eun Young),조성은(Cho Sung Eun),최인정(Chio In Jung),김영선(Kim Young Sun) 한국노년학회 2018 한국노년학 Vol.3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s of smartphone use on structured social network types in the Korean elderly population. Data was derived from the 2014 survey of living conditions and welfare needs of Korean older persons collected by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A total of 4,180 participants were selected for the Propensity Score Matching (PSM) analysis. Based on propensity score estimates, the 491 smartphone users (treatment group) and 491 featurephone users (control group) were matched. Ordinary Least Squares (OLS)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use and structural social network types. The results showed that among retired older adults, people using smartphone had significantly better structured social networks than those using featurephone even after controlling for covariates. Smartphone users had the higher levels of social contact and social activity. These findings suggested empirical evidence that using smartphone positively affects structured social networks, which might be used as the basis for designing intervention programs to promote social networks and social engagement of retired older adults. 본 연구는 은퇴 이후 노인의 스마트폰 이용이 구조적 사회관계망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4년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전체 자료 중 은퇴한 노인 4,180명을 대상으로 성향점수매칭(Propensity Score Matching)을 실시한 결과, 최종 분석에는 총 982명(스마트폰 이용자 491명, 피처폰 이용자 491명)이 선정되었다. 이후 t-test와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이용하여 스마트폰 이용과 구조적 사회관계망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은퇴 노인은 일반 피처폰을 이용하는 은퇴 노인에 비해 통계적으로 높은 수준의 구조적 사회관계망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경우, 일반 피처폰을 이용하는 것보다 높은 빈도의 사회접촉과 높은 수준의 사회활동을 보였다.본 연구는 스마트폰이 구조적 사회적관계망에 주는 긍정적인 효과에 대해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는 학문적 의의를 가지며, 은퇴한 노인들의 구조적 사회관계망을 증진시키고 적극적 사회참여를 장려하는 실천적 개입에 중요한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다.

      • KCI등재

        남성노인의 은퇴와 우울과의 관계: 사회접촉의 매개효과와 전자기기 활용능력의 매개된 조절효과 분석

        엄사랑 ( Um Sa Rang ),김수경 ( Kim Su Kyoung ),김지원 ( Kim Ji Won ),신혜리 ( Shin Hye Ri ),김영선 ( Kim Young Sun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0 保健社會硏究 Vol.4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남성노인의 은퇴와 우울과의 관계 속에서 사회접촉의 매개효과와 전자기기 활용능력의 매개된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17년 노인실태조사 자료의 전체응답자 중 남성노인 3,979명의 응답자를 최종 분석대상자로 선정하였고, Hayes(2013)의 PROCESS macro 분석방법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남성노인 중 은퇴한 노인은 은퇴하지 않은 노인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높은 우울감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접촉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부분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즉, 은퇴하지 않은 남성노인은 은퇴한 남성노인보다 사회접촉이 높으며, 사회접촉이 높을수록 낮은 수준의 우울감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매개모형에서 전자기기 활용능력이 은퇴와 우울과의 관계 및 은퇴와 사회접촉과의 관계 모두 매개된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남성노인의 전자기기 활용능력이 높을수록 우울감은 낮아지고 사회접촉이 높아지며, 은퇴로 인해 높아지는 우울감과 저하되는 사회접촉 모두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ICT를 활용하여 사회참여를 활성화시킴으로 은퇴노인의 우울감을 저하시킬 수 있는 실천적 개입에 기초 자료로써 중요하게 활용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contact and the mediated moderating effect of the electronic device utiliz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tirement and depression of elderly men. The data used here were from the 2017 National Survey of Older Koreans, and 3,979 elderly men among the entire respondents were selected for final analysis target. And it was verified using the PROCESS macro analysis method of Hayes’s (2013). The results showed that retired elderly men had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depression than non-retired elderly men, and social contact had a partial mediation effect. In addition, electronic device utilization had a mediated moderation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tirement and depress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retirement and social contact. This is to say that the utilization of electronic devices has a moderation effect that alleviates the increased levels of depression and social isolation after retirement. These research results can be utilized as important basic data for practical intervention to promote elderly men’s social contact and encourage active social participation using ICT to reduce the depression of elderly retirees.

      • KCI등재

        Genistein-4'-O-${\alpha}$-L-rhamnopyranosyl-(1${\rightarrow}$2)- ${\beta}$-D-glucopyranoside from $Sophora$ $japonica$ (Leguminosae) ameliorates mast cell-mediated allergic inflammation in vivo and in vitro

        Kim, Su-Jin,Kim, Ye-Jin,Lee, Jae-Ho,Oh, Sa-Rang,Park, Chan-Ik,Jeong, Ji-Wook,Um, Jae-Young,Hong, Seung-Heon,Ahn, Eun-Mi 경희한의학연구센터 2011 Oriental Pharmacy and Experimental Medicine Vol.11 No.3

        Genistein-4'-O-${\alpha}$-L-rhamnopyranosyl-(1-2)-${\beta}$-D-glucopyranoside (GRG) is one of constituents isolated from $Sophora$ $japonica$ (Leguminosae). It is known to exert various effects such as anti-inflammatory effect. However, the anti-allergic effects of GRG and its molecular mechanisms have yet to be clearly elucidated.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GRG on mast cell-mediated allergic inflammation in vitro and in vivo. We investigated to ascertain the pharmacological effects of GRG on compound 48/80-induced systemic anaphylaxis and experimental scratching behavior in mice. Additionally, to find a possible explanation for the anti-allergic mechanisms of GRG, we evaluated the regulatory effects of GRG on the level of inflammatory mediators in phorbol 12-myristate 13-acetate plus calcium ionophore A23187 (PMACI)-stimulated human mast cells (HMC-1). The finding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GRG reduced compound 48/80-induced systemic anaphylaxis and scratching behavior in mice. Additionally, GRG inhibited the production of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interleukin (IL)-8 and histamine as well as the activation of caspase-1 in PMACI-stimulated HMC-1. Taken together,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a novel insight into the pharmacological actions of GRG as a potential molecule for use in the treatment of allergic inflammation disea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