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무심폐기하 관상동맥우회술에서의 중등도의 허혈성 승모판막부전증의 중요성

        홍종면,Raymond Cartier 대한흉부외과학회 2010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43 No.3

        Background: Our objective was to review the long-term prognosis of patients with preoperative mild to moderate ischemic mitral regurgitation who underwent off-pump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Material and Method: We prospectively followed 1,000 consecutive and systematic off-pump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patients who were operated on between September 1996 and March 2004; follow-up was achieved for 97%. Sixty-seven patients (6.7%) had mild to moderate ischemic mitral regurgitation at the time of surgery. Operative mortality, actuarial survival and major adverse cardiac event free survival were compared to assess the effect of ischemic mitral regurgitation. Result: Average follow-up was 66±22 months. Patients with ischemic mitral regurgitation were older (p<0.001), had lower ejection fractions (p<0.001) and more comorbidities. Significantly more female patients presented with ischemic mitral regurgitation (p=0.00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perative mortality and perioperative myocardial infarction in ischemic mitral regurgitation patients (p=0.25). Eight-year survival was decreased in ischemic mitral regurgitation patients (39.6±11.8% vs 76.7±2.2%, p<0.001). However, after correcting for risk factors, mild to moderate ischemic mitral regurgitation was not found to be a significant independent risk factor for long-term mortality (p=0.42). Major adverse cardiac event free survival at 8 years was significantly lower in ischemic mitral regurgitation patients (53±12% vs 77±2%, p<0.001). After correction for risk factors, ischemic mitral regurgitation remained a significant independent cause of major adverse cardiac events (HR: 2.31), especially congestive heart failure and recurrent myocardial infarction. Conclusion: In our series, patients with preoperative mild to moderate ischemic mitral regurgitation had a higher prevalence of preoperative risk factors than patients without ischemic mitral regurgitation. They had comparable perioperative mortality and morbidity, but, in the long term, were found to be at elevated risk for recurrent cardiac events. 배경: 술전 경도 및 중등도의 허혈성 승모판막 폐쇄부전증이 동반된 환자들의 무심폐순환 관상동맥 우회로 조성술을 시행한 후의 장기 예후를 추적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6년 9월부터 2004년 3월까지 1,000명의 연속된 무심폐순환 관상동맥 우회로 조성술을 시행 받은 환자들의 데이터를 전향적으로 조사하였으며, 97%의 환자에서 추적 조사가 가능하였다. 육십칠명(6.7%)의 환자들이 수술 당시 경도 및 중등도의 허혈성 승모판막 폐쇄부전증이 동반되었다. 허혈성 승모판막 폐쇄부전증이 끼치는 영향에 대하여 수술사망율, 실제생존율 및 주요 심장 부작용이 없는 생존율 등을 비교하였다. 결과: 평균 추적 조사 기간은 66±22개월이었다. 허혈성 승모판막 폐쇄부전증이 동반된 환자들의 연령이 더 높았으며(p<0.001), 더 낮은 심박출량을 보였고(p<0.001) 더 많은 위험 인자들을 갖고 있었다. 여성에게 의미있게 더 많았으며(p=0.002), 수술사망율이나 술전후 심근 경색의 빈도에는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p=0.25). 팔 년 생존율은 허혈성 승모판막 폐쇄부전증이 동반된 환자들이 더 낮았다(39.6±11.8% vs 76.7±2.2%, p<0.001). 하지만 동반된 위험 인자들을 교정했을 때 술전 경도 및 중등도의 허혈성 승모판막 폐쇄부전증 자체가 장기 사망률의 의미있는 위험 인자는 아니었다(p=0.42). 8년 간의 주요 심장 부작용이 없는 생존율은 허혈성 승모판막 폐쇄부전증이 동반된 환자들에서 의미있게 낮았다(53±12% vs 77±2%, p<0.001). 위험 인자들을 교정했을 때 허혈성 승모판막 폐쇄부전증은 주요 심장 부작용이 없는 생존율(HR: 2.31), 울혈성 심기능 저하와 재발성 심근 경색에 의미있는 위험 요소이었다. 결론: 무심폐순환 관상동맥 우회로 조성술을 시행 받은 환자들 중 술전 경도 및 중등도의 허혈성 승모판막 폐쇄부전증이 동반된 경우 더 많은 술전 위험요소들을 갖고 있었다. 술전후의 사망률이나 유병율은 비슷하였으나, 장기적으로 심장 합병증의 유발율은 더 높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