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KCI등재

        Panax속(屬)의 과피(果皮) Anthocyanin 색소(色素) - 제1보(第一報). 주색소(主色素)의 동정(同定) -

        박귀희,박훈,Parklee, Qwi-Hee,Park, Hoon 한국응용생명화학회 1980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Appl Biol Chem) Vol.23 No.4

        Panax ginseng의 과피(果皮) anthocyanins 색소(色素)를 1% HCl/propanol로 추출하여 thin layer chromatography로 분리하였으며 이를 다시 paper chromatography로 검정하였다. 침건반응, spectral analysis 등의 방법으로 주색소(主色素)가 pelragonidin-3-monoglucoside임을 확인하였다. Panax quinquefolius의 색소도 같은 방법으로 동정하였으며 주색소(主色素)가 pelragonidin-3-monogluside임이 확인되었으며 Panax ginseng에 있는 5색소 Band중에서 제2색소(第二色素)(Band 4)가 결여되어 있었다. The anthocyanin pigments in the fruit skin of Panax ginseng and Panax quinquefolius were extracted with 1% HCl/propanol. The pigments were purified by preparative thin layer and paper chromatography. The major bands in the 2 varieties were identified as pelragonidin-3-monoglucoside by chromatographic, spectrophotometric and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ic methods. The possibility of the anthocyanin acylation was not studied in this report. One of minor red band found in the Panax ginseng (not identified) was missing in the Panax quinquefolius.

      • SCIEKCI등재

        Saponin pattern of Panax ginseng root in relation to stem color

        박훈,박귀희,이종화,Park, Hoon,Parklee, Qwi-Hee,Lee, Chong-Hwa 한국응용생명화학회 1980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Appl Biol Chem) Vol.23 No.4

        고려인삼근(자경종)(高麗人蔘根(紫莖種))의 중심부(형성층내부)(中心部(形成層內部))와 외피십피층(外皮十皮層)에 있는 ginsenoside를 고속액 체크로마토그라피로 분석(分析)하고 경(莖)의 자색정도(紫色程度)와의 관계(關係)를 검토(檢討)하였다. Ginsenoside의 단순상관(單純相關)에 의(依)한 saponin 양상(樣相)의 유사도(類似度)를 경색도군간(莖色度群間) 같은 뿌리 또는 다른 뿌리간(間)에 두부위(部位)에서 비교(比較)한 결과(結果) 경색도(莖色度)는 saponin 양상(樣相)과 관련(關聯)되지 않는 것으로 보였다. Saponin 양상(樣相)은 부위(部位)의 출처(出處)에 관계(關係)없이 서도 다른 부위간(部位間)에 약간 달랐다. 각(各) ginsenoside 함량순위(含量順位)는 표피십피층(表皮十皮層)에서 $Rg_1>Re>Rb_1>Rb_2>Rc>Rg_2{\geq}Rd>Rf$이고 중심부(中心部)에서는 $Rg_1>Re{\geq}Rg_2{\geq}Rb_1{\gg}Rb_2>Rc{\geq}Rd>Rf$였다. Ginsenosides in two parts (central fart and epidermis-cortex) of main body of Korea ginseng root (purple stem variety) were analyz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in relation to purple color intensity on stem. Pattern similarity of saponin by simple correlation of ginsenosides between the same or different parts of root in the same or different group showed that stem color was not associated with saponin pattern in two parts. Saponin pattern was slightly different between different parts regardless of stem color. The order of each ginsenoside content was $Rg_1>Re>Rb_1>Rb_2>Rc>Rg_2{\geq}Rd>Rf$ in epidermis-cortex while $Rg_1>Re{\geq}Rg_2{\geq}Rb_1{\gg}Rb_2>Rc{\geq}Rd>Rf$ in central pa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