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산을 취급하는 화학 분석공의 치아 부식증 1례

        임현술,김준배,오민구 동국대학교 의학연구소 1998 東國醫學 Vol.5 No.-

        본 증례는 38세 남자로 내화물에 대한 화학 분석을 실시하는 실험실에서 염산을 비롯한 산에 17년 동안 폭로된 예이며, 약 8년 전부터 치아에 이상 소견을 감지하였다. 1996년 7월 증례의 치아를 관찰한 결과 치경부에서 중절치의 중앙 부위까지 순면의 외형을 따라 반월형의 모양을 하고 있었다. 병소의 크기는 치경부에 거의 인접한 부위, 순면에서 측면으로 이행되는 부위에서 약간 순면 쪽, 치경부와 치아 절단면의 중간 부위를 경계로 하고 있었다. 병변의 깊이는 병소의 가장자리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깊어지며 가장 깊은 부위는 약 1.5 mm 정도의 깊이를 보이고 있었으며, 변색된 부위는 가장 깊은 부위는 범랑질, 상아질이 모두 포함되었고 이 부위에 갈색의 반점이 관찰되었다. 병소의 표면은 전체적으로 매끈한 양상을 보이고 있으나 치경부의 일부와 특히 순면의 중앙부에서 범랑질 부위가 일부 불규칙한 양상을 보이고 있었으며, 상악 좌측 중절치의 경우 반월형의 병소 중앙 부위는 덜 침식되어 약간 탐침형의 돌출된 상태를 보이고 있었다. 1년 후인 1997년 7월에는 1년 전과 거의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었으며, 병소의 중앙부는 보다 깊어져 2 mm 정도의 깊이로 관찰되었으며 상아질부위의 노출이 보다 많아지고 갈색의 반점이 보다 넓어지고 색조가 진하게 된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2년 후인 1998년 7월 부식성 병소는 전반적으로 약간 확대되고 보다 깊어져서 전치의 중앙부에서 3 mm 깊이로 측정되었으며, 이 부위에서 관찰되던 갈색의 반점도 거의 부식되어 사라지고 치수강이 비쳐 보이는 회색의 반점이 관찰되었다. 산을 취급하는 경우 구강 내로 흡입시 가장 먼저 상악 전치부에 접촉할 확률이 높고, 중절치의 순면 중앙에서 치경부로 불규칙하지만 매끈한 표면을 가지는 병소를 2년간 관찰한 결과 산부식에 의한 병소로 진단함이 적절하다고 생각한다. Dental erosion is a loss of tooth substance by a chemical process. The smooth lesions, which exhibit no chalkiness, occur most frequently on the labial and buccal surfaces of the teeth. They also may occur on proximal surfaces. Dental erosion is a well-recognized hazard in many industries involving the use of acids. Authors report a case of dental erosion suspected to be associated with hydrochloric acid exposure. The patient was a 38-year-old male. He worked on a brick manufacturing factory and he exposed to hydrochloric acid in laboratory room for 17 years. Dental erosive lesions on upper central incisors showed shallow, broad, highly polished irregular scooped-out depression on the enamel surface adjacent to the cementoenamel junction and involved the dentin. Also the brownish spots suspected as secondary dentin on the center of lesions could be observed. And the lesions were progressed for 2 years. It was suggested that hydrochloric acid would have induced dental erosive lesions in this case.

      • 일차 금속 제련업의 용접공에서 크롬에 의한 발생으로 추정되는 폐암 1예

        임현술,이주섭 東國大學校醫學硏究所 2003 東國醫學 Vol.10 No.1

        일차 금속 제련업의 용접공으로 11년이상 근무하면서 비소세포 폐암(편평 상피 세포암)으로 진단 받고 업무상 질병으로 인정된 증례를 병력, 가족력, 사회력, 직업력 및 본 즈례가 근무하였던 사업장의 개요를 파악하여, 작업내용을 조사하고 용접흄, 총크롬, 6가 크롬, 니켈 등에 관한 작업환경 농도를 측정하여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증례는 47세 남자로 1998년 9월에 실시한 특수건강진단에서 흉부질환이 의심되어 2차 건강진단을 실시하고 결과를 기다리던 중, 1998년 11월 각혈을 주소로 흉부 컴퓨터 단층촬영을 실시하여 폐암으로 진단 받았으며, 경피세침 홉입 폐세포 검사에서 비소세포 폐암(편평 상피 세포암)으로 확진되었다. 증례는 11년 이상 크롬 및 니켈에 노출되었으며, 현재 작업환경측정 결과로 판단할 때 노출기준을 초과하는 경우도 있었을 것이고 과거에는 현재보다 더 높은 농도에 노출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추정되며, 보호구를 착용하지 않아 흡수량이 증가하였을 것이다. 또한 근무기간과 암의 잠복기를 고려할 때 크롬과 니켈등에 장기간 노출이 폐암 발생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의학적으로 타당하며, 흡연은 발암물질과 상승작용을 하였다고 추정하여 업무상 질병으로 판단하였다. 본 증례로 미루어 볼 때 용접작업 근로자에 대하여 유해물질의 노출을 감소하기 위한 대책을 적극적으로 수립하여야 한다. 뿐만 아니라 발암 물질 또는 발암성이 의심되는 물질에 대한 노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작업환경 관리를 철저히 하고 개인 보호구 착용, 발암 물질 사용 규제, 근로자 교육 및 정기적 건강진단 등 예방대책을 더욱 강화하여야 한다. Lung carcinoma has been known as an occupational disease induced by welding. We report a case of lung carcinoma with a history of welding. The author reviewed his clinical features,, job contents and measured work environments. The woorker is a 47-year-old male and is a smoker. He has been engaged in welding, gas cutting, grinding and gouging on stainless steel for 11 years from 1982 to 1993. Then he has been engaged in cleaning steel rollers with cleaning oil in the same workplace since 1993. He worked without safety precautions such as a protective mask and adequate ventilation. The level of airborne welding fume exceeded the occupational exposure limit 5mg/m3 established by the Korean Ministry of Labor. Especially, detectable hexavalent chromium and nickel were generated during welding, gouging on stainless and nickel steel. It is suggested that chromium and nickel have induced the lung carcinoma in this case. To prevent occupational carcinoma, we must modify work procedures, begin comprehensive medical surveillance, educate workers on risks of carcinoma, and increase workers awareness of safety regulations in the workplace.

      • 철강제조업의 석면 취급 근로자에서 발생한 폐암 1례

        임현술,조혜제 동국대학교 경주대학 1999 東國論集 Vol.18 No.-

        This is a case of lung cancer suspected to be associated with asbestos exposure. The case was a 39-year-old male. He worked in a steel manufacturing factory for 17 years. Since 1978 when he was employed he handled asbestos for 10 years and he occasionally exposed to very small amount of nickel and chromium. Pulmonary fiber contents were analyzed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with energy dispersive X-ray analysis after using the low temperature ashing procedure. Asbestos (crysotile) and non-asbestos fiber concentrations were 1:99 - 1 million particles per gram (mppg) of dry weight to 99 mppg. It was similar with the other Korean subjects with no Known occupational asbestos exposure history. But this fact did not mean that he did not exposed to asbestos. Conclusively, this case of lung cancer is induced by asbestos with regard to his occupation.

      • KCI등재후보

        코우크로스로의 방출물에 노출된 근로자에서 발생한 폐암 증례

        임현술,최정근,권은혜,김헌 大韓産業醫學會 2002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4 No.1

        목 적 : 소세포성 폐암으로 진단받은 56세 남자에대하여 과거 21년간 코우크스로에서 근무한 작업력과 폐암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 법 : 증례에 대한 의무기록가 흉부컴퓨터단층촬영 및 조직검사, 세포검사를 검토하였다. 증례의 작업 내역, 공것 작업환경 측정 결과를 파악하였고 작업환경 측정과 동료근로자에 대한 역학조사를 실시하였다. 작업환경측정은 산업안전보건연구원에서 모든 근로자를 대상으로 2회 반복 측정하였으며, 측정시간은 근로자의 작업시간 전체를 포함한 1일 8시간으로 하였다. 시료채취 및 분석방법은 미국 국립산업안전보건연구소의 공정시험법과 미국 노동부 산업 안전보건청의 공정시험법을 이용하였다. 측정결과의 정확도를 높이소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측정 전후에 적적한 보정을 실시하고 현장 공시료를 포함하였다. 동료 근로자 40명에 대하여 역학조사를 실시하였고 COEs의 노출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PAHs의 대사산물인 1-OHP와 2-naphthol을 소변에서 분석하였다. 결 과 : P제철 부속의원에서 1996년부터 1999년까지 COEs에 대하여 측정한 결과는 0.01-0.39 ㎎/㎥ 범위로 후발성 콜타르피치물질에 대한 노동부의 노출기준인 0.2 ㎎/㎥르 적용할 때 초과하는 경우가 있었다. 1999년 산업안전보건연구원에서 작업환경을 직접 측정한 결과 전체 측정 건수 136건 중 45건 (33.1 %)이 노출기준을 초과하였다. 동료 근로자 40명에 대한 역학조사에서 특별한 COEs에 의한 건강장해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K업체와 S업체의 근로자에 대하여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에서 측정한 요중 1-OHP와 2-naphthol은 대조군인 대학생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P<0.01). 결 론 : 중례는 21년간 코우크스 제조공정에서 COEs에 노출되었으며, 현재 작업환경측정 결과로 판단할 때 노출기준을 초과하여 노출되는 경우도 있다고 추정되며, 흡연은 COEs가 폐암 발생을 가중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고 추정된다. 그러므로 증례의 폐암은 코우크스 제조공정에서 노출된 COEs와 관련이 있다고 생각하여 직업성암으로 판단하였다. Objectives : We report a case of lung cancer (small cell carcinoma) occurring in a worker exposed to coke oven emissions. Methods : We examined the chest CT and pathologic findings of the patient. We reviewed previous environmental measurements for coke oven emissions at the workers place of employment. Also we measured the airborne concentrations for coke oven emissions and total polycuclic aromatic hydrocarbons in the work area. Finally, we analyzed the 1-hydroxypyrene and 2-naphthol concentrations in the subjects urine and compared this with student controls. Results : This case was a 56-year-old male who had worked in a coke oven plant within a steel manufacturing factory for 21 years (1977-1998). The airborne concentrations of coke oven emissions at the worksite were above the permissible exposure level (0.2 ㎎/㎥) in 45 cases (33.1%) among 136 workers. The concentrations of 1-hydroxypyrene and 2-naphthol in the subjects urin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elevated as compared with those of controls (P<0.01). Conclusions : We confirmed that the lung cancer occurring in this patient was as an occupational disease due to exposure to coke oven emissions. To prevent occupational cancer in coke oven plant workers, we must remodel the engineering procedure, begin comprehensive medical surveillance, educate workers on risks and the benefits of smoking cessation, and increase awareness of safety regulations in the workplace.

      • 한국에서 발생한 콜레라의 역학적 특성 및 발생 원인

        임현술 東國大學校醫學硏究所 2002 東國醫學 Vol.9 No.2

        우리나라에서 콜레라의 발생이 계속 증가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하절기에는 콜레라 감시 체계를 적극적으로 운영하여야 한다. 콜레라 증상이 쌀뜨물 같은 설사를 하는 전형적인 경우는 드물기 때문에 설사를 심하게 하는 경우 콜레라를 의심하여 보건당국에 신고하여야 한다. 콜레라 유행 시기에는 해산물을 날로 먹지 말아야 하며, 해산물 관리에 신중을 기하여야 한다. 특히 해산물을 장거리 운발할 때 상하지 않도록 보관을 철저히 하여야 하며, 생선회는 껍질을 제거하고 먹는 것이 좋다. 우리나라에서 콜레라의 발생 원인은 콜레라균에 오염된 어패류를 먹고 감염되는 것으로 추정되며, 어패류는 병원소인 동물성 플랑크톤에 의하여 오염될 수 있다. 동물성 플랑크톤에서 콜레라균은 월동을 하면서 외국인 또는 내국인 보균자, 현성 및 불현성 환자, 외국 선박의 분변, 콜레라 유행 지역의 해수와 어류 등에 의하여 증식할 가능성이 있다. 이는 환경병원소에 콜레라균이 있다가 환경조건이 콜레라균에 유리해지면 대규모로 증식하여 해수와 어패류를 오염시키는 것으로서, 해수 온도, 염도, pH, 적조 등이 콜레라균의 증식에 관련되어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콜레라 발생에 영향을 주는 환경병원소에 대한 더욱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야 하며, 만성 보균자를 파악하기 위한 방법도 모색하여야 한다. 우리나라에서 적조 현상은 더욱 빈번해지고 광역화되면서 전 해역에서 발생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는데, 콜레라균은 질소와 인이 있고 수온이 따뜻하여지면 감염성이 있는 균으로 전환되는 조건들이 적조가 발생할 조건과 일치하므로 적조와 콜레라와의 관련성에 대하여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El tor cholera epidemic have been reported eleven times in Korea since 1963 (1963, 1964, 1969, 1970, 1980, 1991, 1995, 1996, 1997, 1999, and 2001). The causative organism of all epidemics was El Tor in biotype and ogawa in serotype, but those of the epidemics of 1980 and 2001 were Inaba in serotype. Reserachers suspected importation of cholera bacteria from foreign countries of chronic carriers of artificial germination by some people. Reserachers have made hypotheses of environmental reservoirs as the sources of cholera epidemics since 1991. Authors atgued for aquatic reservoirs as the source of 1995, 1996, 1997, 1999, and 2001 cholera epidemic and designated sea fishes as the vehicles of cholera infection. The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team cultured Vibrio cholera Ol. from the samples of seawater from Ganghwa-gum in September 1995. And then they cultured V. cholerae Ol. from the samples of seawater from some coastal areas. I focus on the environmental reservoirs as the potential sources of cholera epidemics, apparently in association with copepods or other zooplankton in brackish water or estuaries.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microbial eco-system of V. cholerae dependent on marine ecoligical factor, temperature, salinity, and pH of seawater should be studied. I suggest that studies into the causes of contamination of seawater , fish and shellfish by plankton blooms and zooplankton be conducted. It is recommened that the goverment concerned with health of the people should be prepared to better prevent cholera effectively.

      • 미국 퇴역군인과 군복무관련 질환

        임현술 東國大學校醫學硏究所 2002 東國醫學 Vol.9 No.1

        미국 보훈부는 172개의 병원과 439개의 외래진료소, 131개의 Nursing Home, 40개의 Domiciliary, 206개의 Vet Center를 운영하고 있다. 보훈부 의료기관에서는 퇴역군인에 대한 교육, 예방, 치료 및 재활 활동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퇴역군인의 장기 건강장해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는데 여러 개의 데이터 베이스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자료는 퇴역군인 관리를 목적으로 만들어졌지만 이러한 자료를 이용하여 표본을 설정하거나 감시체계나 생정통계의 추구 조사로 사용하고 있다. 미국은 군복무관련 질환에 대하여 과거부터 기록하여 왔고 보상에 대한 기록이 있다. 군복무 중에 발생하거나 악화된 부상과 질병에 대하여 불명예 제대를 하지 않고 10%이상 장애가 발생하면, 평생동안 매달 일정액의 현금을 지불한다. 장애 보상이 되는 질환은 고혈압, 당뇨, 빈혈, 동맥경화증, 관절염, 뇌출혈, 뇌경색, 기관지확장증, 결석, 간경화, 심장염, 간질, 나병, 암, 신장염, 정신병, 활동성 결핵, 위궤양 등 거의 모든 질환이 포함되어 있다.소음성 난청도 생기면 평생 보상을 받는다. 군복무 중에 발생하거나 악화되었다는 증거가 없고, 퇴역 후 일정 기간내 발생하여도 추정 군복무관련 질환으로 장애 보상 혜택을 받는다. 만성질환, 열대질환, 전쟁포로 관련질환, 머스타드가스 관련질환, 방사선 관련질환, 한랭손상, 고엽제 관련질환 및 걸프전 증후군 등이다. 1995년 9월 퇴역군인이 26,067,163명으로 이 중 8.54%인 2,235,675명이 장해 연금 혜택을 받고 있다. 1998년 9월 공법을 제정하여 전쟁 관련 질병과 퇴역 후 건강 문제에 대한 National Center의 설립을 계획하고 있다. 또한 군대에서 사용하는 각종 화학물질에 대하여 발암성을 검토하고 폐기하거나 대체하고 있다. The Department of VETERANS aFFAIRS (VA) maintains some large automated databases that provide the opportunity for studying long-term health effects for military service. The Beneficiary Identification and Record Locator Subsystem (BIRLS) is an excellent source of vital status information on veterans. The VA Patient Treatment File (PTF) is a computerized hospital discharge abstract system of inpatient records. Monetary benefits, called disability compensation, are paid to veterans who are disabled by injury or disease (direct service connection) incurred or aggravated during active military service. A chronic, tropical, prisoner of war related disease, or diseases (presumptive service connection) associated with exposure to radiation and mustard gas will be considered to have been incurred in the service even though there is no evidence of such disease during the period of service. The service of the veteran must have been terminated through separation or discharge under conditions that were other than dishonororable. Disability compensation varies with the degree of disability and the number of dependents, and is paid monthly.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determine the association of various cancers with military service in Vietnam. Some diseases have been compensated for Vietnam veterans. Health problems reported following the Gulf War include a wide variety of symptoms similar to those found in acute combat reactio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chronic fatigue. On Sep.1995, there are 26,067,163 veterans in U.S.A. and disability compensation are paid to the 2,235,675 veterans (8.54%). Health problems associated with war have continued and in some ways intensified. Therefore, The United States developed a plan for establishing a national center for the study of war-related illnesses and post-deployment healthe issues.

      • KCI등재후보

        업무상 질병으로 요양 승인된 의료기관 종사자 및 질병의 특성

        임현술,안연순 大韓産業醫學會 2003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5 No.2

        목적: 의료기관 종사자는 다양한 위험 요인에 노출되어 있지만 지금까지 의료기관 종사자에 대한 건강장해에 대한 관심은 적었다. 본 연구는 의료기관 종사자가 업무상질병으로 요양 승인된 질병 사례를 검토하여 의료기관 종사자의 업무상질병의 종류와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근로복지공단에서 1999년과 2000년 업무상질병자 또는 기타 재해자로 입력된 전산 자료를 한국산업안전공단 전산망에 연결하여 자료를 다운받아 업무상질병을 재분류한 후 2001년 6월 30일까지 요양 승인된 업무상질병자 5,460명을 파악하였다. 이들 중 의료기관 종사자인 근로자 142명을 대상으로 하여 성별, 연령, 진단명 및 직종을 파악하여 기술역학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업무상질병자 중에서 의료기관 종사자의 점유율은 1999년과 2000년 각각 2.6%이었다. 질병별 분포는 감염성 질환이 61명(43.0%), 뇌·심장혈관계 질환이 60명(42.3%), 근육골격계 질환이 18명(12.6%), 기타 3명(2.1%)이었다. 성별 분포는 남성 59명(41.5%), 여성 83명(58.5%)으로 여성이 많았다. 연령별 질병별 분포는 20대가 64명(45.1%)으로 가장 많았고, 30대 30명(21.1%), 40대 25명(17.6%), 50대 17명(12.0%), 60대 6명(4.2%)의 순으로 감소하였다. 직종별 질병별 분포는 간호사 및 간호조무사가 64명(45.1%)으로 가장 많았고, 의사 19명(13.4%), 사무직 18명(12.7%), 조리실 10명(7.0%), 영선부 5명(3.5%), 임상병리사 5명(3.5%), 환경미화원 4명(2.8%)의 순이었다. 질병별 분포는 1999년 감염성 질환은 결핵이 21명, 간염은 B형 간염 3명, C형 간염 2명, 수두 1명이었다. 뇌·심장혈관계 질환은 뇌출혈 14명, 뇌경색 7명, 심근경색증 7명이었다. 근육골격계 질환은 좌완관절전위 1명, 요추부 추간판탈출증 2명, 좌측견관절 상부관절 와순파열 및 감입증후군 1명이었다. 2000년 감염성 질환은 결핵이 23명, 간염 5명, 수두 3명, 홍역 3명이었다. 뇌·심장혈관계 질환은 뇌출혈 14명, 뇌경색 4명 심근경색증 12명 심실세동 1명, 중심망막동맥폐쇄 1명이었다. 근육골격계질환은 경추부 추간판탈출증 4명, 요추부 추간판탈출증 4명, 주관절 내상과염 1명, 견관절 극상근 건초염 1명, 수지 활액낭염 1명, 주관절 염좌 1명, 견괄절 충돌증후군 1명, 근막통증 증후군 1명이었다. 결론: 의료기관 종사자의 승인된 업무상질병은 감염성 질환, 뇌·심장혈관계 질환 및 근육골격계 질환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앞으로 의료기관 종사자의 유해 환경 노출 실태 및 업무상질병 여부를 파악하고 의료기관 종사자를 제도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산업보건 정책이 강구되어야 한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occupational diseases among health care workers in Korea. Methods: Using the database of the Korea Labor Welfare Corporation (KLWC), 5,460 approved occupational disease cases, between Jan 1, 1999 and Dec 31, 2000, and approved by the Jun 30, 2001, were collected. Of these, the 142 health care worker cases were investigated. Results: The proportion of health care workers among the total cases reported in 1999 and 2000 was 2.6%, respectively. The diseases were infectious in 61(43.0%), cerebro-cardiovascular in 60(42.3%)and musculoskeletal in 18 cases(12.6%). The distributions of the occupational diseases by sex were 59(41.5%)and 83 cases(58.5%), in males and females, respectively. The distributions of the occupational diseases by age were 64(45.1%), 30(21.1%), 25(17.6%) and 17 cases(12.0%), in their 20s, 30s, 40s and 50s, respectively. For the cases of infectious diseases by age there were 48(78.7%) in their 20s and 12(19.7%)in their 30s, for the cases of cerebro-cardiovascular diseases by age there were 17(28.3%)in their 40s, 16(26.7%)in their 50s and 12(20.0%)in their 20s, and for the cases of musculoskeletal diseases there were 7(38.9%)in their 30s and 4(22.2%)in their 20s. The distributions of the cases of occupational diseases by department were 64(45.1%), 19(13.4%), 18(12.7%), and 10(7.0%)in the nursing, doctors, officers, and food services departments, respectively. Conclusions: The major occupational diseases of health care workers, as approved by the KLWC, were the infectious, cerebro-cardiovascular and musculoskeletal diseases. A special management policy must be considered to prevent occupational diseases of health care workers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