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2006년 경상북도 일부 지역에서 발생한 쯔쯔가무시병의 역학적 특성

        임현술,유석주 동국대학교 의학연구소 2008 東國醫學 Vol.15 No.1

        쯔쯔가무시병은 국내에서 최근 그 발생이 증가추세에 있다. 이 연구는 쯔쯔가무시병 사례군의 발생 원인을 추적하여 보다 효과적인 예방대책을 마련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2006년 10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경상북도 경주시, 영천시, 청도군 보건소에서 확진된 쯔쯔가무시병 사례를 직접 방문하여 연령, 성별, 직업, 작업행태, 가피위치, 방문 및 진단기관 등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결과를 토대로 성별, 연령별로 환자를 분류하고 작업행태별로 가피의 위치를 분류해 보았고, 발생일별 분포와 진단기관, 방문기관별 입원 여부 등을 분석하였다. 성별 분포는 남자 28명(45.2%), 여자 34명(54.8%)이었고, 연령별 분포는 60대 19명(30.6%), 70대 17명(27.4%), 50대 13명(21.0%) 등의 순이었다. 사례군의 발생일은 10월과 11월에 집중되어 있었다. 작업행태별로 분류해 보면, 농사관련 작업이 41명(66.1%), 과수재배 작업이 13명(21.0%), 성묘 작업이 3명(6.5%), 실내에 쥐가 있던 경우가 3명(6.5%), 등산과 기타 외부활동이 각각 1명이었다. 농사관련 작업은 다시 세부적으로 다양한 농사활동 17명(41.5%), 논농사 11명(26.8%), 텃밭농사 8명(19.5%), 밭농사 5명(12.2%)이었다. 사례들의 첫 번째 방문기관은 의원이 40명, 병원 6명, 보건소 4명, 보건지소 3명, 한의원 1명, 약국 8명이었으며, 첫 방문기관에서 3명이 입원하였고, 그 후 둘째, 셋째, 넷째 방문기관을 거치면서 최종적으로 47명(75.8%)이 입원하였다. 가피는 52명(83.9%)에서 55건 관찰되었고, 그 위치는 겨드랑이가 15건(27.3%)으로 가장 많았고, 옆구리와 서혜부가 각각 6건, 배꼽근처와 흥부가 각각 5건 등의 순이었다. 일부에서 작업행태를 재연해 본 결과, 가피의 위치와 위험작업 간 관련성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쯔쯔가무시병 사례군을 대상으로 작업행태를 재연하여 위험작업을 추정할 수 있었던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Currently, the incidence of scrub typhus is increasing in Korea.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management and prevention of scrub typhus. The authors reviewed 62 cases reported by the local public health centers. The cases had the newly developed scrub typhus patients in Gyeongju-si, Yeongcheon-si and Cheongdo-gun from October 1 to December 31, 2006.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and review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ported cases. Determination of the cause of disease was evaluated. The occurrence of disease varied with gender, age, working attitude and the date of onset. Twenty-eight patients (45.2%) were male, and 34 patients (54.8%) were female. The most of cases occurred between October and November. The probable causes were fruit harvesting (13 cases), mowing around grave yard (3 cases), indoor activity near mice (3 cases), climbing (1 case), other outdoor activity (1 case), and farming activities (41 cases) such as various farm works (17 cases), rice field farming (11 cases), house garden farming (8 cases), and dry-field farming (5 cases). Total 47 cases (75.8%) were admitted to hospitals at last. The sites of eschar were axilla (15 spells), flank (6 spells), groin (6 spells), and around umbilicus (5 spells). Some of cases reacted to their working, indicating that the site of the eschar had some correlation with the cause of infection. The results of this report provide meaningful information on scrub typhus about etiology and high-risk behavior that can be used for establishing effective prevention programs.

      • KCI등재후보

        업무상 질병으로 요양 승인된 의료기관 종사자 및 질병의 특성

        임현술,안연순 大韓産業醫學會 2003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5 No.2

        목적: 의료기관 종사자는 다양한 위험 요인에 노출되어 있지만 지금까지 의료기관 종사자에 대한 건강장해에 대한 관심은 적었다. 본 연구는 의료기관 종사자가 업무상질병으로 요양 승인된 질병 사례를 검토하여 의료기관 종사자의 업무상질병의 종류와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근로복지공단에서 1999년과 2000년 업무상질병자 또는 기타 재해자로 입력된 전산 자료를 한국산업안전공단 전산망에 연결하여 자료를 다운받아 업무상질병을 재분류한 후 2001년 6월 30일까지 요양 승인된 업무상질병자 5,460명을 파악하였다. 이들 중 의료기관 종사자인 근로자 142명을 대상으로 하여 성별, 연령, 진단명 및 직종을 파악하여 기술역학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업무상질병자 중에서 의료기관 종사자의 점유율은 1999년과 2000년 각각 2.6%이었다. 질병별 분포는 감염성 질환이 61명(43.0%), 뇌·심장혈관계 질환이 60명(42.3%), 근육골격계 질환이 18명(12.6%), 기타 3명(2.1%)이었다. 성별 분포는 남성 59명(41.5%), 여성 83명(58.5%)으로 여성이 많았다. 연령별 질병별 분포는 20대가 64명(45.1%)으로 가장 많았고, 30대 30명(21.1%), 40대 25명(17.6%), 50대 17명(12.0%), 60대 6명(4.2%)의 순으로 감소하였다. 직종별 질병별 분포는 간호사 및 간호조무사가 64명(45.1%)으로 가장 많았고, 의사 19명(13.4%), 사무직 18명(12.7%), 조리실 10명(7.0%), 영선부 5명(3.5%), 임상병리사 5명(3.5%), 환경미화원 4명(2.8%)의 순이었다. 질병별 분포는 1999년 감염성 질환은 결핵이 21명, 간염은 B형 간염 3명, C형 간염 2명, 수두 1명이었다. 뇌·심장혈관계 질환은 뇌출혈 14명, 뇌경색 7명, 심근경색증 7명이었다. 근육골격계 질환은 좌완관절전위 1명, 요추부 추간판탈출증 2명, 좌측견관절 상부관절 와순파열 및 감입증후군 1명이었다. 2000년 감염성 질환은 결핵이 23명, 간염 5명, 수두 3명, 홍역 3명이었다. 뇌·심장혈관계 질환은 뇌출혈 14명, 뇌경색 4명 심근경색증 12명 심실세동 1명, 중심망막동맥폐쇄 1명이었다. 근육골격계질환은 경추부 추간판탈출증 4명, 요추부 추간판탈출증 4명, 주관절 내상과염 1명, 견관절 극상근 건초염 1명, 수지 활액낭염 1명, 주관절 염좌 1명, 견괄절 충돌증후군 1명, 근막통증 증후군 1명이었다. 결론: 의료기관 종사자의 승인된 업무상질병은 감염성 질환, 뇌·심장혈관계 질환 및 근육골격계 질환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앞으로 의료기관 종사자의 유해 환경 노출 실태 및 업무상질병 여부를 파악하고 의료기관 종사자를 제도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산업보건 정책이 강구되어야 한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occupational diseases among health care workers in Korea. Methods: Using the database of the Korea Labor Welfare Corporation (KLWC), 5,460 approved occupational disease cases, between Jan 1, 1999 and Dec 31, 2000, and approved by the Jun 30, 2001, were collected. Of these, the 142 health care worker cases were investigated. Results: The proportion of health care workers among the total cases reported in 1999 and 2000 was 2.6%, respectively. The diseases were infectious in 61(43.0%), cerebro-cardiovascular in 60(42.3%)and musculoskeletal in 18 cases(12.6%). The distributions of the occupational diseases by sex were 59(41.5%)and 83 cases(58.5%), in males and females, respectively. The distributions of the occupational diseases by age were 64(45.1%), 30(21.1%), 25(17.6%) and 17 cases(12.0%), in their 20s, 30s, 40s and 50s, respectively. For the cases of infectious diseases by age there were 48(78.7%) in their 20s and 12(19.7%)in their 30s, for the cases of cerebro-cardiovascular diseases by age there were 17(28.3%)in their 40s, 16(26.7%)in their 50s and 12(20.0%)in their 20s, and for the cases of musculoskeletal diseases there were 7(38.9%)in their 30s and 4(22.2%)in their 20s. The distributions of the cases of occupational diseases by department were 64(45.1%), 19(13.4%), 18(12.7%), and 10(7.0%)in the nursing, doctors, officers, and food services departments, respectively. Conclusions: The major occupational diseases of health care workers, as approved by the KLWC, were the infectious, cerebro-cardiovascular and musculoskeletal diseases. A special management policy must be considered to prevent occupational diseases of health care workers in Korea.

      • 우리나라 인수공통전염병의 발생 현황과 관리 대책

        임현술,김홍환 東國大學校醫學硏究所 2003 東國醫學 Vol.10 No.1

        인수공통전염병(zoonoses)은 사람과 하등 척추동물간 또는 사람과 척추동물간에 발생하는 공통질환이다. 세계보건기구에 의하면 인수공통전염병은 200여종이나 되며, 우리 인간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중요 질병만도 100여종이 된다고 한다. 인수공통전염병을 세균성, 리케차성 및 바이러스성 등으로 분류하여 수의학 및 의학 분야에서 연구발표된 논문과 정부에서 발표하는 통계자료를 중심으로 조사하여 우리나라에서 인수공통전염병의 발생 현황을 살펴보고 관리대책을 수립하고자 하였다. 우리나라에서 인수공통전염병은 과거부터 있었으리라 생각하지만 최초로 발생한 사례와 최근 재발생한 질환은 1975년 리스테리아균, 1977년 한탄 바이러스, 1982년 파스튜렐라병, 1988년 참굴큰입홉충, 1992년 Qduf, 1995년 작은와포자충증, 1997년 야생토끼병, 1998년 장출혈대장균 0-157, 1999년 라임병이 처음으로 보고 되었다. 1984년 렙토스피라증, 1988년 쯔쯔가무시병, 1994년 탄저병, 2002년 브루셀라증 등이 재발생하였다. 우리나라에서 최근 법정전염병 중에서 주요 인수공통전염병의 발생 현황은 쯔쯔가무시병, 신증후출혈열, 렙토스피라병, 발진열, 장출혈대장균병, 일본 뇌염등의 순으로 감소하여 발생하고 있다. 살모넬라증, 리스테리아증, 캄필로박터증, 여시니아증 등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가축 숙주에 의한 인수공통전염병으로 국내에서 발생한 질환은 공수병, Q열, 탄저병, 리스테리아증, 결핵, 파스튜렐라병 등이다. 야생동물 숙주에 의한 인수공통전염병으로 국내에 발생한 질환은 일본뇌염, 공수병, 발진열, Q열, 브루셀라증, 야생토끼병, 리스테리아증, 렙토스피라증, 사상충병등이다. 해외 유입 인수공통 기생출 질환은 우리나라 사람이 외국 여행 도중 감염된 경우와 외국인이 자국 또는 타국에서 감염되어 입국한 경우가 있으며, 바베스열원충증, 피부리슈만편모충증, 주혈홉충증, 이혈홉충증, 광동주혈선충증, 유극악구충증, 유충 피부이행중, 포충증 및 오구충증 등이 있다. 인수공통전염병은 인구 및 가축 수의 증가, 교통의 발달, 산업화에 기인한 생태 변화, 기상 이변 등 그 발생기전 역시 매우 복잡한 역학적 특성을 나타내며, 추후 예방 및 진단에 대한 각별한 대책을 요구하고 있다. 앞으로 인수공통전염병에 대하여 신속한 감시, 병원체 연구, 예방 및 관리를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체계를 강화하여야 할 것이다. Zoonoses are diseases that primarily affect wild and domestic animals, but any infectious disease, which can be contracted by man. At present, about 200 human diseases are included in zoonoses and about 50 diseases are of importance in terms of number of cases and seriousness in human illness. Although some of zoonoses are generally recognized as significant health problems, actual prevalence and incidence of many zoonotic infections in humans and animals are not well determined. Therefore we reviewed important zoonoses, which were prevalent in the past and are prevalent at present in Korea in order of bacterial, rickettsial, and viral zoonotic infections. Important animal zoonoses in terms of seriousness in illness, which are newly prevalent in animals, are anthrax and rabies. Incidence of bovine tuberculosis dropped markedly but brucellosis is increasingly reported. Important human notifiable zoonotic infections in terms of number of cases reported and seriousness in illness, which are prevalent increasingly, are tsutsugamushi disease, hemorrhagic fever with renal syndrome, leptospirosis, and murine typhus. Incidence of Japanese encephalitis, anthrax. Q fever and rabies are rarely reported. Other non-notifiable human zoonoses such as salmonellosis, campylobacter infection, yersiniasis, listeriosis are also sometimes reported. Physicians and veterinarians must be concerned about specific environments and clinical patterns of zoonoses. They must make efforts to recognize, evaluate, and control the zoonotic diseases.

      • 미국의 직업성 암

        임현술 東國大學校醫學硏究所 2002 東國醫學 Vol.9 No.1

        미국은 직업성 질환과 일반 암에 대한 자료는 구하기 쉽지만 직업성 암에 대하여는 통계가 산출되고 있지 않다. 미국에서 1996년 25세 이상에서 매년 발생하는 전체 암 의 6-10%를 직업상 암으로 추정하면 8만 명부터 13만 명의 직업성 암이 매년 발생하고 있다고 추정할 수 있으며, 연간 3만 명에서 5만 명이 직업성 암으로 사망하는 것 으로 추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직업성 암의 대부분 보상이 실시되고 있지 않다. 이는 잠재기간이 길어 퇴직 후 오랜 기간이 지나고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 Statute of limitations에 의 하여 제한을 받기 때문이다. 연방 정부 공무원에 대하여는 상해, 사망, 장애 또는 업 무 관련성을 인지하고 3년까지 보상이 이루어지므로 퇴직 후 장시간이 경과하여 암이 발생한다는 사실이 과학적으로 입증되어 있으면, 평생 보상을 받는데 한계가 없다. 그 러나 주 정부에서 운영하는 근로자 보상 제도에 의하면 주별로 각각 퇴직 후 60일, 1년, 2년, 3년까지만(Statute of limitations) 장애 보상이 가능하다고 명기되어 있어 정해진 기간이 지나면 근로자 보상 제도에 의하여 보상을 받을 수 없다. 일반 업무상 재해와 질병의 단지 5% 만이 보상이 실시되고 있다고 추정한다. 직업성 암은 그 특성, Statute of limitations 및 업무 관련성 입증이 어려워 직업성 암의 일부분만 보상 혜택을 받고 있다고 추정한다. 보상을 받지 못하는 근로자들은 사회보장 제도에 흡수되어 SSDI, SSI에 의하여 생계비를 보조받고 있다. 보상을 받지 못하는 근로자 중 극히 일부는 제조물 책임법에 따라 제 3자(발암물질 제조회사)를 소송하여 보상을 받고자 노력한다. Cancer is the second leading cause of death in the United States. The National Cancer Act was signed in 1971, and it established the national cancer program. The National Cancer Institute (NCI) is responsible for a comprehensive research program that includes prevention, diagnosis, and treatment. In 1970,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established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dministration (OSHA) and the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NIOSH). NIOSH especially recommended exposure limits and appropriated preventive measures that were designed to reduce adverse health effects of occupational chemicals in accordance with the OSHA rulemaking process. OSHA has issued regulations for occupational carcinogens in the workplace. The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categorizes four groups of carcinogenicity based on the amount of evidence. Group 1 includes chemicals and processes established as human carcinogens based on epidemiologic studies in humans. In the United States, it would represent 80,897-134,828 new cancer cases and 33,018-55,030 deaths due to occupational exposures in 1996. Occupation ma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ancer if there is an exposure to certain carcinogenic agents, such as certain metals, dyes, organic and inorganic dusts, solvents, and pesticides. Since carcinogenesis is a multisequential process, reductions in exposures to carcinogens at the workplace are necessary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cancer prevention in the workplace. New biologic markers of exposures and cancer-related outcomes need to be identified and integrated into epidemiologic studies. Because epidemiologic data regarding the carcinogenicity of many exposures are not available, research methods to evaluate and improve the predictive value of animal and in vitro systems must be developed. A more complete understanding of occupational trends will require further research on occupational cancer risks and means of prevention.

      • SCOPUSKCI등재
      • 산을 취급하는 화학 분석공의 치아 부식증 1례

        임현술,김준배,오민구 동국대학교 의학연구소 1998 東國醫學 Vol.5 No.-

        본 증례는 38세 남자로 내화물에 대한 화학 분석을 실시하는 실험실에서 염산을 비롯한 산에 17년 동안 폭로된 예이며, 약 8년 전부터 치아에 이상 소견을 감지하였다. 1996년 7월 증례의 치아를 관찰한 결과 치경부에서 중절치의 중앙 부위까지 순면의 외형을 따라 반월형의 모양을 하고 있었다. 병소의 크기는 치경부에 거의 인접한 부위, 순면에서 측면으로 이행되는 부위에서 약간 순면 쪽, 치경부와 치아 절단면의 중간 부위를 경계로 하고 있었다. 병변의 깊이는 병소의 가장자리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깊어지며 가장 깊은 부위는 약 1.5 mm 정도의 깊이를 보이고 있었으며, 변색된 부위는 가장 깊은 부위는 범랑질, 상아질이 모두 포함되었고 이 부위에 갈색의 반점이 관찰되었다. 병소의 표면은 전체적으로 매끈한 양상을 보이고 있으나 치경부의 일부와 특히 순면의 중앙부에서 범랑질 부위가 일부 불규칙한 양상을 보이고 있었으며, 상악 좌측 중절치의 경우 반월형의 병소 중앙 부위는 덜 침식되어 약간 탐침형의 돌출된 상태를 보이고 있었다. 1년 후인 1997년 7월에는 1년 전과 거의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었으며, 병소의 중앙부는 보다 깊어져 2 mm 정도의 깊이로 관찰되었으며 상아질부위의 노출이 보다 많아지고 갈색의 반점이 보다 넓어지고 색조가 진하게 된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2년 후인 1998년 7월 부식성 병소는 전반적으로 약간 확대되고 보다 깊어져서 전치의 중앙부에서 3 mm 깊이로 측정되었으며, 이 부위에서 관찰되던 갈색의 반점도 거의 부식되어 사라지고 치수강이 비쳐 보이는 회색의 반점이 관찰되었다. 산을 취급하는 경우 구강 내로 흡입시 가장 먼저 상악 전치부에 접촉할 확률이 높고, 중절치의 순면 중앙에서 치경부로 불규칙하지만 매끈한 표면을 가지는 병소를 2년간 관찰한 결과 산부식에 의한 병소로 진단함이 적절하다고 생각한다. Dental erosion is a loss of tooth substance by a chemical process. The smooth lesions, which exhibit no chalkiness, occur most frequently on the labial and buccal surfaces of the teeth. They also may occur on proximal surfaces. Dental erosion is a well-recognized hazard in many industries involving the use of acids. Authors report a case of dental erosion suspected to be associated with hydrochloric acid exposure. The patient was a 38-year-old male. He worked on a brick manufacturing factory and he exposed to hydrochloric acid in laboratory room for 17 years. Dental erosive lesions on upper central incisors showed shallow, broad, highly polished irregular scooped-out depression on the enamel surface adjacent to the cementoenamel junction and involved the dentin. Also the brownish spots suspected as secondary dentin on the center of lesions could be observed. And the lesions were progressed for 2 years. It was suggested that hydrochloric acid would have induced dental erosive lesions in this case.

      • 일차 금속 제련업의 용접공에서 크롬에 의한 발생으로 추정되는 폐암 1예

        임현술,이주섭 東國大學校醫學硏究所 2003 東國醫學 Vol.10 No.1

        일차 금속 제련업의 용접공으로 11년이상 근무하면서 비소세포 폐암(편평 상피 세포암)으로 진단 받고 업무상 질병으로 인정된 증례를 병력, 가족력, 사회력, 직업력 및 본 즈례가 근무하였던 사업장의 개요를 파악하여, 작업내용을 조사하고 용접흄, 총크롬, 6가 크롬, 니켈 등에 관한 작업환경 농도를 측정하여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증례는 47세 남자로 1998년 9월에 실시한 특수건강진단에서 흉부질환이 의심되어 2차 건강진단을 실시하고 결과를 기다리던 중, 1998년 11월 각혈을 주소로 흉부 컴퓨터 단층촬영을 실시하여 폐암으로 진단 받았으며, 경피세침 홉입 폐세포 검사에서 비소세포 폐암(편평 상피 세포암)으로 확진되었다. 증례는 11년 이상 크롬 및 니켈에 노출되었으며, 현재 작업환경측정 결과로 판단할 때 노출기준을 초과하는 경우도 있었을 것이고 과거에는 현재보다 더 높은 농도에 노출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추정되며, 보호구를 착용하지 않아 흡수량이 증가하였을 것이다. 또한 근무기간과 암의 잠복기를 고려할 때 크롬과 니켈등에 장기간 노출이 폐암 발생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의학적으로 타당하며, 흡연은 발암물질과 상승작용을 하였다고 추정하여 업무상 질병으로 판단하였다. 본 증례로 미루어 볼 때 용접작업 근로자에 대하여 유해물질의 노출을 감소하기 위한 대책을 적극적으로 수립하여야 한다. 뿐만 아니라 발암 물질 또는 발암성이 의심되는 물질에 대한 노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작업환경 관리를 철저히 하고 개인 보호구 착용, 발암 물질 사용 규제, 근로자 교육 및 정기적 건강진단 등 예방대책을 더욱 강화하여야 한다. Lung carcinoma has been known as an occupational disease induced by welding. We report a case of lung carcinoma with a history of welding. The author reviewed his clinical features,, job contents and measured work environments. The woorker is a 47-year-old male and is a smoker. He has been engaged in welding, gas cutting, grinding and gouging on stainless steel for 11 years from 1982 to 1993. Then he has been engaged in cleaning steel rollers with cleaning oil in the same workplace since 1993. He worked without safety precautions such as a protective mask and adequate ventilation. The level of airborne welding fume exceeded the occupational exposure limit 5mg/m3 established by the Korean Ministry of Labor. Especially, detectable hexavalent chromium and nickel were generated during welding, gouging on stainless and nickel steel. It is suggested that chromium and nickel have induced the lung carcinoma in this case. To prevent occupational carcinoma, we must modify work procedures, begin comprehensive medical surveillance, educate workers on risks of carcinoma, and increase workers awareness of safety regulations in the workpl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