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NPP-VIIRS야간 위성영상과 국지적 공간 통계를 이용한 시가지 추출 가능성 평가

        주뢰 ( Lei Zhu ),조대헌 ( Daeheon Cho ),전창우 ( Changwoo Jeon ),이소영 ( Soyoung Lee ) 한국도시지리학회 2016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19 No.3

        시가지 확산은 도시화나 토지이용변화의 측면에서 지리학 등 학문적인 연구 대상일 뿐만 아니라 도시 계획 및 관리를 위해서도 기본적인 관심사가 된다. 이 연구는 시가지를 파악하기 위한 방법으로 최근 주목 받고 있는 야간 위성영상의 적용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는데, 특히 한국에서는 거의 활용되지 않은 NPP-VIIRS 데이터에 대한 국지적 공간 통계 분석의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우리나라 중부지방을 대상으로 NPP-VIIRS 데이터와 국지적 공간연관성통계량(Getis and Ord`s G<sub>i</sub>*, local Moran`s I, and Lee`s S<sub>i</sub>*)을 통해 시가지를 추출한 후, 이를 참조 데이터와 비교 검토하였다. 실제 시가지보다 과장될 수 있는 야간 조명의 특성을 고려하여 야간 밝기 값을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와 제곱을 통해 값 간의 편차를 더 크게 한 경우를 분석하였다. 추출된 시가지의 전체 면적 및 위치 일치도를 파악한 결과 원래 값 보다는 제곱을 한 경우, 그리고 국지적 공간연관성통계량 중에는 Getis and Ord`s G<sub>i</sub>*의 결과가 참조 데이터들과 가장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지역에 따라 면적이나 위치 일치도 등이 차이를 보였는데, 수도권과 같이 도시화 수준이 높은 지역은 원 변수를 제곱한 경우가 더 나은 결과를 나타낸 반면, 지방의 경우는 원 변수를 사용하는 것이 더 나은 결과를 보였다. 하위지역을 별도로 분석한 결과에서는 도시화의 수준이 높은 지역에서 더 나은 결과를 보였지만 더 적합한 변수는 전체 지역을 분석한 결과와는 반대로 나타났다. Built-up area expansion has long been interested in the aspects of urbanization and land use change not only by academic studies on geography, but also by planners to make proper policies. This paper aims to evaluate the feasibility of NPP-VIIRS nighttime light data on built-up area extraction. Spatial statistical methods-local spatial association statistics (local SAS) (Getis and Ord`s G<sub>i</sub>*, Moran`s Ii, and Lee`s S<sub>i</sub>*) were applied to extract built-up area with NPP-VIIRS images. Central Korea including capital region, Gangwon, Chungnam (including Daejeon and Sejong) and Chungbuk was taken as the study area. Results of raw value and square value of nighttime light value(digital number) were both considered and the results and accuracies were evaluated with the reference data. The results show that: 1) in general, results of square value are more consistent with the reference data than those of raw value for both area comparison and classification accuracy in central Korea, especially for G<sub>i</sub>*; 2) for central Korea analysis, results of highly urbanized regions show a higher accuracy than those less urbanized in general, while the square value results of highly urbanized regions have higher accuracies, and raw value results are more accurate for regions with low urbanization level; 3) for subregional analysis, highly urbanized regions also have a higher accuracy, but contrary to the results of central Korea, raw value results have a higher accuracy in highly urbanized region, while square values perform better in less urbanized region for the urban extraction.

      • KCI등재

        협소 거주공간 재실자 특성 및 화재위험성 분석

        Lee, Changwoo,Oh, Seungju,Yoo, Juyoul,Kim, Jinsung,Cho, Ahra,Cho, Yongsun 한국재난정보학회 2016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12 No.4

        본 연구에서는 협소거주공간에 대해 이해하고 대표적인 협소 거주공간인 고시원, 노래방 등에 대한 설문 및 실태조사와 과거 관련 사고사례 조사 및 분석을 통해 협소 거주공간의 화재 위험 특성을 분석하였다. 고시원과 노래방은 업종 특성상 구획된 실의 밀폐되고 복잡한 통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노래방의 경우 지하층에 위치하여 있어 화재 발생 시 환기 및 배연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피난로가 복잡하여 제한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다. 특히 고시원은 독립적이고 폐쇄적인 공간적 특성을 가지고 있어 화재 진압에 큰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협소 거주공간의 구조물 특성에 적합한 소방설비의 설치와 특수한 구조적 형태 및 환경에 적합한 특수 장비(화원 탐지, 요구조자 구조 등) 및 화재 진압 전술에 대한 연구개발이 요구된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is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fire risk and survey of narrow dwelling space(the Karaoke, Gosiwon etc). The narrow dwelling space has special structure characteristics; the narrow and the complex escape rote. Gosiwon have very separate and exclusive space room, so have the problem a suppression of fire. Furthermore almost Karaokes located in basement have a complex and limitary escape rote. Therefore we should research and development the exploration equipment that search a source of the fire and a emergency rescuer in the scene of the fire.

      • KCI등재

        A study on the fire propagation characteristics in large-opening multi-level limestone mines in Korea

        Changwoo Lee,Vanduc Nguyen 한국자원공학회 2016 Geosystem engineering Vol.19 No.6

        Recently, deployment of large-capacity diesel haulage trucks is rapidly increasing in the domestic large-opening limestone mines due to the high level of operational flexibility. However, in multi-level mines, this trend has raised the serious concern for the risk of diesel vehicle fire. Fire in a deep multi-level mine site is harder to control and likely to develop into disastrous results. Developing the emergency evacuation strategies and controlling the fire should presuppose a knowledge of the fire behavior in mines. This paper aims at studying the behavior of a 25-ton diesel truck fire showing approximately the maximum heat release rate of 30 MW by computational fluid dynamic analysis.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s of the hot air stream, smoke layer, and CO gas layer in multi-level mine sites are evaluated, and the effects of fan operation are scrutinized to find the appropriate fan location and operating mode. In addition, several other aspects of the fire development such as backlayering and throttling effects are also studied. The ultimate goal is to provide fundamental information about fire propagating characteristics in multi-level large-opening underground limestone mines for developing the mine fire evacuation plan and protect the workers’ safety.

      • KCI등재

        협소 거주공간 사고 재현을 위한 시뮬레이션 연구

        Changwoo Lee,Beakyoul Choi,Jinsung Kim,Yongsun Cho,Juyoul Yoo 한국재난정보학회 2016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12 No.3

        본 연구에서는 화재 해석 프로그램인 FDS와 Pathfinder를 이용하여 협소 거주공간의 사고 재현을 위해 테스트베드의 화재를 시뮬레이션하였다. 해석 결과, 내부 구조 형태가 H형태 인 경우가 피난대피 시간이 285초로 가장 빠르게 나타났다. 또한 실험 조건 중 출입구가 닫히고 스프링클러가 작동하는 경우가 온도의 분포가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이는 가시도 와 연기농도에도 큰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the fire analysis program FDS and Pathfinder was used to analysis a simulated accidental fire of a narrow dwelling space as a test b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vacuation time of the H form internal building structure was the fastest at 285 seconds. In addition, when the automatic sprinkler system functioned with the entrances closed,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was lower and the visible smoke density was reduced.

      • KCI등재

        상업용 주방자동소화장치 도입과 설치기준 제안

        Changwoo Lee,Dowoo Kang,Seungju Oh,Eungu Ham,Yongsun Cho 한국재난정보학회 2016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12 No.1

        국민안전처 통계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우리나라 음식점에서 발생한 화재는 2천 4백여 건으 로 169명에 이르는 인명피해(부상)와 88억 원이 넘는 재산피해를 냈으며 식용유 때문에 발 생한 화재는 700건에 달한다. 이에 상업용 주방자동소화장치를 주거시설을 제외한 상업용 시설의 모든 주방에 설치하는 것이 국민의 안전을 위해 바람직하지만, 이는 경제적 부담을 가중할 수 있으므로, 상대적으 로 많은 인명과 재산피해가 예상되는 곳부터 우선 적용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특정 소방대상물의 주방에 수준으로 적용하고 향후 그 설치대상을 점차 확 대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보인다. According to the statistics released by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the number of restaurant fires in Korea reached around 2,400 and 169 damages of human life and damages to property was approximately over $8.8 billion for recent 3 years. It could be desirable having automatic commercial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t commercial facilities excluding housing facilities for the safety, applying at the place first where it has been more risky and expected fire can be occurred relatively because economical burden can be accelerated. In order to do this, adjust its level to meet the same level of the kitchen for 'Specific Target for Fire Fighting' that "gas leak alarm" has be equipped relevant regulations and it is considered and reasonable to expand the limit of application gradually.

      • KCI등재

        협소 거주공간 재실자 특성 및 화재위험성 분석

        Changwoo Lee,Seungju Oh,Juyoul Yoo,Jinsung Kim,Ahra Cho,Yongsun Cho 한국재난정보학회 2016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12 No.4

        본 연구에서는 협소거주공간에 대해 이해하고 대표적인 협소 거주공간인 고시원, 노래방 등에 대한 설문 및 실태조사와 과거 관련 사고사례 조사 및 분석을 통해 협소 거주공간의 화재 위험 특성을 분석하였다. 고시원과 노래방은 업종 특성상 구획된 실의 밀폐되고 복잡 한 통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노래방의 경우 지하층에 위치하여 있어 화재 발생 시 환기 및 배연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피난로가 복잡하여 제한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다. 특히 고시원은 독립적이고 폐쇄적인 공간적 특성을 가지고 있어 화재 진압에 큰 어려움을 가지 고 있다. 그러므로 협소 거주공간의 구조물 특성에 적합한 소방설비의 설치와 특수한 구조 적 형태 및 환경에 적합한 특수 장비(화원 탐지, 요구조자 구조 등) 및 화재 진압 전술에 대한 연구개발이 요구된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is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fire risk and survey of narrow dwelling space(the Karaoke, Gosiwon etc). The narrow dwelling space has special structure characteristics; the narrow and the complex escape rote. Gosiwon have very separate and exclusive space room, so have the problem a suppression of fire. Furthermore almost Karaokes located in basement have a complex and limitary escape rote. Therefore we should research and development the exploration equipment that search a source of the fire and a emergency rescuer in the scene of the fire.

      • KCI등재

        Differential regulation of neuronal excitability by nicotine and substance P in subdivisions of the medial habenula

        Lee, Changwoo,Lee, Soonje,Woo, Changsu,Kang, Shin Jung,Kim Kwon, Yunhee,Shin, Ki Soon ZOOLOGICAL SOCIETY OF KOREA 2018 ANIMAL CELLS AND SYSTEMS Vol.22 No.3

        <P><B>ABSTRACT</B></P><P>The medial habenula (MHb) plays an important role in nicotine-related behaviors, such as aversion and withdrawal. The MHb is composed of distinct subregions with unique neurotransmitter expression and neuronal connectivity. Here, we showed that nicotine and substance P (SP) differentially regulate neuronal excitability in subdivisions of the MHb (ventrolateral division, MHbVL; dorsal division; MHbD and superior division: MHbS). Nicotine remarkably increased spontaneous neuronal firing in the MHbVL and MHbD, but not in the MHbS, which was consistent with different magnitudes of whole-cell inward currents evoked by nicotine in each subdivision. Meanwhile, SP enhanced neuronal excitability in the MHbVL and MHbS. Although the MHbD is composed of SP-expressing neurons, they did not respond to SP. Neurons in the MHbVL increased their firing in response to bath-applied nicotine, which was attenuated by neurokinin receptor antagonists. Furthermore, nicotine addiction and withdrawal attenuated and augmented excitatory SP effects in the MHbVL, respectively. On the whole, we suggest that MHb-involving nicotine-related behaviors might be associated with SP signaling in MHb subdivisions.</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