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음주문제 수용인식에 따른 자기보고식 평가 척도(AUI 및 MAST)에서의 패턴 및 유형 분류와의 관련

        이명주,박순환,이현제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01 신경정신의학 Vol.40 No.1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음주문제 수용인식에 따라 AUI(Alcohol Use Inventory) 척도 및 MAST(Michigan Alcohol Screening Test)척도상에서 어떤 양상을 보이는 지를 알아보고, 음주문제 수용인식이 Bar-bor에 따른 유형분류(음주문제 발병연력과 가계력에 따라 유형 1과 유형 2로 분류)와 관련성이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알코올 중독증 치료병동에 입원한 13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AUI, 환자 MAST 및 보호자 MAST를 측정하였다. 먼저, 대상환자를 수용인식 점수에 따라 상위 30%에 해당하는 집단과 하위 30%에 해당하는 집단으로, 가계력이 있고 문제음주가 25세 이전에 발병한 집단을 유형 2집단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수용인식 점수에 따른 T-test, 상관관계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1) 수용인식점수와 MAST차이값(환자의 MAST점수-보호자MAST점수)간에는 유의미한 부적인 상관이 있었고, AUI 2차척도 중에서는 불안염려척도가 가장 높은 상관을 보였다. 2) 수용인식이 높은 사람들은 낮은 사람들에 비해 음주이익을 제외한 대부분의 척도에서 높은 점수를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3) 유형 1과 유형 2에 따라 수용인식 점수에서 의미있는 차이가 나타나고 있지 않다. 결론: 수용인식이 높은 사람은 음주로 인한 이익을 제외한 모든 척도에서 높은 점수를 보였다. 즉, 수용인식이 낮은 사람에 비해 자신의 문제에 대한 부정적인 결과를 더 많이 보고하고 더 많이걱정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자신의 문제를 받아드리 고 자신의 제를 욱 객관 로 가하고 있다고 볼 수 있겠다.하지만 유형분류에 따라서는 수용인식에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즉, 음주문제의 발생시기 및 가계력은 그 사람이 음주문제에 대한 수용인식이 높은 지 낮은 지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 같다. Objectives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pattern of AUI(Alcohol Use Inventory) and MAST(Michigan Alcohol Screening Test) according to the awareness of drinking problem and receptiveness to treatment, and to know whether the type(type 1 and type 2 according to Barbor's typology) has effects on the RECPAWAR(acknowledgement and awareness of use problem and receptive to treatment of these problem) score. Methods : Subjects were 134 alcoholic patients from Alcoholic treatment ward. They were requested to fill up the questionnaires of Korean version of AUI and MAST(MAST for patient and MAST for caretaker). At first, based on the RECPAWAR, they divided into high REC-PAWAR group(above 30 percentile) and low RECPAWAR group(below 30 percentile). Acc-ording to typology, they divided into type 1 and type 2. The data was analyzed by T-test,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Results : 1)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RECPAWAR score and MAST difference score(patient's MAST- caretaker's MAST). 2) High RECPAWAR group had significatly higher scores in the most scales than low RECPAWAR group, except ENHANCED scale in AUI. 3)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on RECPAWAR score between type 1 and type 2. Conclusion : Except ENHANCED scale, the high RECPAWAR group had higher score in the second level scale. As compared with the low RECPAWAR group, the high RECPAWAR group responds more negative in drinking, and is more anxious about their drinking problems. So, they seem to have the objective view about their drinking problems. However the type was not related to receptive and awareness of drinking problem.

      • 축류팬 주위의 3차원 난류유동 해석

        오건제,이명재 慶南大學校 附設 工業技術硏究所 2002 硏究論文集 Vol.20 No.-

        냉각탑용 축류형 팬의 유동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팬 주위의 3차원 난류유동을 해석하였다. 난류유동에 대한 레이놀즈 방정식과 연속방정식을 전체유동장에 적용하여 수치해석 하였다. 난류모델은 k-ε 방정식을 사용하였고 벽면에서는 벽법칙의 관계식을 이용하였다. 해석결과로부터 축류형 팬을 통과하는 유체의 유동특성과 팬의 압력면 및 흡입면에서 나타나는 압력특성, 난류운동 에너지의 분포특성 등을 파악할 수 있었다. A numerical analysis of the three-dimensional turbulent flow around a cooling tower fan is presented. The Reynolds equations and the continuity equation are used for governing equations. The Reynolds stress are modelled using the k-ε model with wall functions near the wall. Flow characteristics, pressure and turbulence kinetic energy distributions on the pressure and suction side of the fan are investigated.

      • KCI등재

        초등학교 6학년생들의 과학자의 생활시간에 대한 인식

        장명덕,이명제 한국과학교육학회 2004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24 No.6

        이 연구는 두 가지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1) 초등학생들이 작성한 평일과 일요일 과학자와 회사원의 하루 일과표의 비교를 통해 과학자의 생활시간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2) 학생 및 교사의 과학자 및 과학자가 하는 일에 대한 이미지 조사 방법으로서 '과학자의 일과표 그리기(DASS: Drawing a Scientist's Schedule)'의 가능성을 검토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공주시 소재 초등학교 1개 학급 6학년 30명(남:15명, 여:15명)이 본 연구에 참가하였다. 이들이 작성한 하루일과표와 이에 대한 면담을 통해 과학자와 회사원의 생활시간(필수, 의무 및 여가생활시간)을 비교ㆍ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회사원에 비해 과학자의 의무생활시간은 많고 필수생활시간이나 여가생활시간은 적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일요일에는 더욱 두드러진 양상을 보인다. 둘째, 학생들의 인식하고 있는 과학자와 회사원의 필수생활시간에 있어 차이는 수면시간의 차이에 의한 것이며, 과학자의 수면시간과 관련하여 학생들의 인식은 회사원에 비해 다양함을 보인다. 셋째, 학생들은 과학자가 회사원에 비해 의무생활시간 중 직업과 관련된 일을 하는데 사용하는 시간은 많으나, 가정관리와 관련된 일을 위한 시간은 적을 것이라고 인식하는 경향을 보인다. 넷째, 학생들이 생각하는 과학자의 여가생활시간은 회사원에 비해 적을 뿐 아니라 그 활동 유형에도 차이를 보인다. 다섯째, '과학자의 일과표 그리기(DASS: Drawing a Scientist's Schedule)'를 통해 학생들이 인식하고 있는 과학자의 생활모습에 대한 다양한 정보 뿐 아니라 기존에 널리 활용되고 있는 DAST로는 분석하기 어려운 학생들의 과학자와 과학자가 하는 일에 대한 이미지를 분석해냄으로써 새로운 접근방식으로서 그 가능성과 유용성을 보였다. This article aims to (a) investigate children's images of a scientist's life style by comparing children's drawings about a scientist's schedule with those about a company employee's schedule in a weekday and on Sunday; and (b) examine the usefulness of 'Drawing A Scientist's Schedule (DASS)' test as a new instrument of learners' conceptions of a scientist and his/her work. To do those, thirty sixth- grade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children, 15 boys and 15 girls, were selected from a classroom of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Gongju city. The children's drawings were analyzed in conjunction with individual interviews. The interviews facilitated the clarification of any ambiguous attributes of the drawings by questioning after their completion. Several significant conclusions can be drawn from this work: First, the children conceived that a scientist has more mandatory time, and less necessary and leisure time than does a company employee. Interestingly, many children thought that a scientist has similar life style on Sunday to that in a weekday, unlike a company employee. Second, in case of necessary time use in a weekday and on Sunday, the difference between a scientist and a company employee results from their sleeping time. Also, the children showed more various conceptions of a scientist's sleeping time than those of a company employee's sleeping time. Third, in case of mandatory time use, the children conceived that a scientist spends more time for his/her occupational work and less time for his/her housework activities than does a company employee. Fourth, the children's drawings showed that there is difference between a scientist's and a company employee's leisure time use and activities. Finally, the DASS test indicated its possibility and usefulness as an instrument for investigating learners' images on a scientist and his/her work. The instrument exhibited several distinctive children's conceptions that is difficult in identifying by using the DAST, a popular instrument.

      • 소수성 물질을 포함한 커들란 겔의 특성 및 식품으로의 활용 연구

        최춘순,이기영,이창문,정제명,이인영 전남대학교 촉매연구소 2001 觸媒硏究 論文集 Vol.22 No.-

        The thermal stability of curdlan suspension was investigated. Also curdlan gel containing hydrophobic materials (DHA(Docosa hexaenoic acid), olive oil and Dong-chunghacho (Militaris)) were prepared. Curdlan suspension prepared under 40℃ and 15000rpm was stable for 1 hour. Curdlan gel, including hydrophobic material were dried at 30℃ and swollen in the water. Curdlan gel including Dongchunghacho absorbed water of 980%.

      • KCI등재

        Hepatocyte-specific Prominin-1 protects against liver injury-induced fibrosis by stabilizing SMAD7

        Lee Hyun,Yu Dong-Min,Bahn Myeong-Suk,Kwon Young-Jae,Um Min Jee,Yoon Seo Yeon,Kim Ki-Tae,Lee Myoung-Woo,Jo Sung-Je,Lee Sungsoo,Koo Seung-Hoi,Jung Ki Hoon,Lee Jae-Seon,Ko Young-Gyu 생화학분자생물학회 2022 Experimental and molecular medicine Vol.54 No.-

        Prominin-1 (PROM1), also known as CD133, is expressed in hepatic progenitor cells (HPCs) and cholangiocytes of the fibrotic liver. In this study, we show that PROM1 is upregulated in the plasma membrane of fibrotic hepatocytes. Hepatocellular expression of PROM1 was also demonstrated in mice (Prom1CreER; R26TdTom) in which cells expressed TdTom under control of the Prom1 promoter. To understand the role of hepatocellular PROM1 in liver fibrosis, global and liver-specific Prom1-deficient mice were analyzed after bile duct ligation (BDL). BDL-induced liver fibrosis was aggravated with increased phosphorylation of SMAD2/3 and decreased levels of SMAD7 by global or liver-specific Prom1 deficiency but not by cholangiocyte-specific Prom1 deficiency. Indeed, PROM1 prevented SMURF2-induced SMAD7 ubiquitination and degradation by interfering with the molecular association of SMAD7 with SMURF2. We also demonstrated that hepatocyte-specific overexpression of SMAD7 ameliorated BDL-induced liver fibrosis in liver-specific Prom1-deficient mice. Thus, we conclude that PROM1 is necessary for the negative regulation of TGFβ signaling during liver fibrosis.

      • SCI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전관예우 실태 및 근절방안에 대한 법조인과 국민의 인식 연구

        김제완 ( Je Wan Kim ),최승재 ( Sung Jai Choi ),이정선 ( Jung Sun Lee ),김태이 ( Tai Yi Kim ),이보드레 ( Boduerae Lee ),이명진 ( Myoung-jin Lee ),김만수 ( Man Su Kim ) 안암법학회 2019 안암 법학 Vol.0 No.58

        전관예우는 가장 대표적인 법조윤리 문제로 지적되어 왔으나 이에 대한 개념정의나 객관적이고 공정한 실태조사는 이루어지고 있지 않았다. 지난 2018. 7월부터 9월말까지 일반국민과 법조직역종사자 총 2천여명을 대상으로 대규모 전관예우 실태와 근절방안에 대한 인식조사가 이루어진바 있다. 이 조사로 우리나라에서 전관예우에 대하여 일반국민과 법조직역종사자가 가지고 있는 인식의 차이가 나타났다. 더 나아가 법조직역종사자 간에도 이해관계에 따라 인식의 차이가 두드러진 점은 주목할 만하다. 본고에서는 일반국민과 법조직역종사자의 인식 차이를 확인할 수 있는 주요 설문을 분석하고, 전관예우 실태에 접근하기 위하여 소송경험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결과와 법조직역종사자를 대상으로 전관예우 발생가능성이 높은 영역에 대하여 조사한 설문을 고찰하였다. 끝으로 우리가 설문에 제시한 전관예우 근절방안에 대한 일반국민과 법조직역종사자의 의견을 수렴하여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조사결과를 계기로 전관예우에 관한 일반국민과 법조직역종사자 간에 상당한 인식 차이가 있다는 것을 엄중히 받아들이고, 이것이 전관예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출발점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당부하며 글을 마친다. Jeonkwanyewoo, preferential legal treatment of former government official, has been pointed out as a salient legal ethics issue. In spite of long discussion, there are not the concept definition and empirical studies of Jeonkwanyewoo. Henc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erception of Jeonkwanyewoo and how to root out it. We conducted survey for 2,000 people from July 2018 to the end of September 2018. As a result, there are distinct perceptions about Jeonkwanyewoo between the public and the legal circle. Furthermore, this study finds a noticeable difference in perception among the legal circle, depending on their interests. In this study, there are the results of major findings on the inquiries to confirm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the public and the legal circle. In order to access to the true picture of Jeonkwanyewoo, we hav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urvey conducted on the experienced about the judicial system and the legal circle about the possibility of Jeonkwanyewoo. Finally, we have discussed the measures to eradicate Jeonkwanyewoo from the survey results. In sum, it should be taken seriously that there is a considerable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the public and the legal circle. This study should be a starting point for resolving the problem of Jeonkwanyewoo.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