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네트워크 커뮤니티 발견법을 활용한 기능지역 구분의 의미와 효용성

        권규상(Kyusang Kwon) 대한지리학회 2019 대한지리학회지 Vol.54 No.3

        본 연구는 네트워크 커뮤니티 발견법을 활용한 지역구분방법을 기존 지역구분 방법들과 비교하여 커뮤니티 발견법을 활용한 기능지역 구분의 의미와 효용성을 탐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네트워크 커뮤니티 발견법은 기존의 기능지역 분석방법과 같이 중심과 주변을 구분하거나 임의적 기준에 따라 기능지역을 도출하지 않고 공간단위 간 합역 여부와 최종적인 기능지역의 개수도 모형에서 결정된다는 점에서 분석과정의 임의성을 배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기능지역 구분의 대표적 방법 중 하나인 지역노동시장권과 커뮤니티 발견법을 우리나라 시·군 단위를 대상으로 적용하여 비교 분석한 결과, 본 연구는 지역의 다중심성을 연구할 경우 커뮤니티 발견법이 해당 개념의 내용을 보다 적절하게 반영하는 방법론이라고 주장한다. This study explores the meaning and usefulness of community detection method for delimitating functional regions by comparing with the existing methods for delineation of functional regions. The community detection method differs from the existing methods in that there is no assumption about arbitrary criterion and core-periphery structure. It is advantageous to identify functional regions without ex ante information. Comparing the functional regions identified by the local labor market method and the community detection method at a city and county scale, I argue that the community detection method has an advantage when examining the concepts of polycentric urban region or network city.

      • KCI등재

        세계도시 네트워크에서 위치 찾기: 네트워크 위치성과 도시 경제성장 간 관계에 관한 시론적 연구

        권규상 ( Kyusang Kwon ) 한국도시지리학회 2018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21 No.1

        본 연구는 세계도시 네트워크 속에서 도시의 경제적 성장을 설명하기 위해 네트워크 참여를 넘어 가치의 분배조건으로서 도시의 위치성(positionality)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네트워크 참여는 ‘경제적 가치’의 ‘공동 생산’을 의미하지만 가치가 ‘배분’되는 방식에 대해서는 설명해주지 않는다. 본 연구에서는 Sheppard(2002)의 위치성 개념을 토대로 세계도시 네트워크 논의에서 위치성의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교환이론을 활용하여 가치 배분상황에서 도시와 초국적 기업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권력지수와 의존성지수를 제시하였다. 미국 대도시권을 통한 실증분석 결과 도시의 권력지수가 높거나 의존성지수가 낮을 때 다른 도시에 비해 임금 수준이 더 높다는 결론을 얻었다. 본 연구는 위치성이 도시경제성장에 미치는 차별적 영향력을 분석한 시론적 연구로서 향후 세계도시 네트워크의 실질적 영향력에 대한 논의를 심화시키는데 기여하고 있다. This study argues that to explain the economic prosperity of the city in the world city network, mor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city’s positionality as a way of distributing value created among cities in the network. Participation in the network itself means the co-production of economic value but it does not explain how the value is distributed. Based on Sheppard’s concept of positionality and exchange theory, power and dependency indices are proposed to explain the bargaining power between the city and transnational corporations in value capturing process.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U.S. metropolitan statistical areas shows that when the power index of the city is high or the dependency index is low, it can receive higher wages than other cities. By empirically examining how the city’s positionality in the world city network makes a difference in the process of urban economic growth,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the debate on the socioeconomic effects of the world city network.

      • KCI등재

        불균등발전의 극복전략으로서 네트워크 도시 논의의 비판적 검토

        권규상(Kwon, Kyusang) 한국공간환경학회 2018 공간과 사회 Vol.28 No.4

        이 논문은 불균등 발전의 극복전략으로서 네트워크 도시 개념의 국내 적용방안을 탐색한 최병두의 저작들을 최근의 실증적 연구결과를 통해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최병두는 네트워크 도시가 작동하기 위해서는 도시 간 실질적인 협력을 이끌어낼 수 있는 행정이나 정치적 실천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하지만 네트워크 도시 이론의 한계를 비판적으로 접근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네트워크 도시의 규범성을 검증의 대상이 아닌 지향해야 할 목표로 인식하면서 여전히 무엇이 바람직한 네트워크 도시의 모습인지에 대한 결론을 유보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네트워크 도시를 구성하는 세 가지 요소들(규모 유사성, 흐름의 균 등성, 집적경제의 대체제로서 네트워크 경제)을 최근의 실증적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비판적으로 재검토함으로써 시공간적 맥락에 따라 각 요소의 효과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네트워크 도시에 함의된 규범성은 검증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 한다. 하지만 네트워크 도시 구현을 위한 협력적 거버넌스를 헤게모니적 거버넌스로 이해하는 최병두의 주장은 네트워크에 내재된 권력과 정치적 속성을 잘 드러내 고 있으며 네트워크 도시의 효과에 대한 실증분석과 결합될 때 상당한 이론적 진전을 이끌어낼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critically review Choi Byung-Doo’s works exploring the application of the network city concept as a strategy to overcome uneven development through the recent empirical studies. Choi emphasized the need for administrative and political practices that can lead to substantial cooperation between cities in order for network cities to function effectively. However, despite the critical approach to the limitations of the network city theory, he considered the normativity of the network city as a goal to be aimed at, and still reserves the conclusion about what is the desirable structure of the network city. Through critical reviewing the three components of network city (size similarity, flow evenness, network economy as an alternative to agglomeration economy), this paper argues that the network city should be treated as a object of verification because the effects of each factor depend on the spatio-temporal contexts. However, Choi’s argument that cooperative governance in the network city theory should be considered as hegemonic governance reveals the power and political attributes inherent in the network and draws considerable theoretical progress when combined with empirical analysis of the effects of network cities.

      • KCI등재

        정보사회의 권력관계와 대항권력의 형성

        권규상(Kyusang Kwon) 한국정보사회학회 2012 정보사회와 미디어 Vol.- No.23

        본 논문은 시공간적 차원을 고려하여 정보사회의 권력관계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정보사회에서 시민들이 어떻게 국가권력을 효과적으로 견제하기 위한 대항권력을 형성할 수 있는지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역사적으로 국가는 정보수집과 생성, 확산수단을 독점하였으나, 정보사회에서 정보와 지식의 개념이 바뀌고 정보기술이 발전하면서 코드와 소프트웨어를 생산하고 활용하는 기업이 기존에 국가가 지닌 정보수집 및 생성, 확산수단을 더 이상 독점할 수 없게 함으로써 기존의 권력구도에 변화가 발생한다. 실제로 정보사회를 구성하는 국가와 기업, 시민과 같은 각각의 행위자는 위와 같은 변화 속에서 서로 다른 수단을 통해 상대방을 견제하면서 권력관계를 구축하며, 개별 행위자들 간 협력을 통해 특정 지배 권력에 대한 대항권력을 형성한다. 특히 국가에 대한 견제에 있어서 기술-법적규제의 시차나 지리적 스케일에 따른 권력의 공간적 한계와 같은 시공간적 측면은 권력의 행사와 견제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최근의 팟캐스트 방송 ‘나는 꼼수다’는 이러한 정보사회의 권력관계 변화를 시공간적 측면에서 잘 드러내주는 사례이다. 본 연구는 기존의 개별 행위자에 대한 정태적인 정보사회 권력관계 분석을 시공간적 차원에서 파악하고 이들 간의 협력과 상호작용이라는 틀 속에서 분석하려는 시도로서 그 의의가 있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how the power relationship in information society and the possibility of citizens’ resistance against the state power through spatial and temporal perspective. Given the state, firms, and citizens as agents in information society, there is the strained relationship among them which are using different means to exercise and maintain their power. In addition, a specific agent can be more effectively controlled through cooperation between the rest of agents. Especially, spatio-temporal aspects such as technology-law time-lag or geographical scale reveal that states or firms cannot control the whole space and time and therefore the citizens can make the resistance against the states power or codes of firms. Through the case study of “I’m a Petty-Minded Creep”, one of audio Pot-cast contents, we confirm that these spatio-temporal aspects actually play an important role to form the citizens’ resistance against the state power. We also have to notice the fact that the popularization of smart-phone and social network service(SNS) can unify the citizens by having the public pay more attention to political issues. Overall, the results show that the power relation in information society is very dynamic and continuously changing.

      • KCI우수등재
      • KCI등재

        도시 네트워크의 규범적 개념화에 대한 비판적 검토

        권규상 ( Kyusang Kwon ) 한국도시지리학회 2016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19 No.2

        본 연구는 도시 네트워크 개념의 기원을 탐색하면서 그 과정에서 나타난 네트워크의 긍정적이고 규범적인 개념화를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도시 네트워크 개념은 도시연구 내에서 1) 관계적 공간관에 따라 새롭게 도시의 존재방식을 설명하기 위해서, 2) 중심지이론에 대한 비판적 관점에서 도시체계를 설명하기 위해서, 3) 도시성장모형으로서 집적경제와 네트워크 경제를 구분하여 설명하려는 시도에서 도입되었다. 하지만 네트워크 개념이 도입되는 과정에서 ``도시 간 관계``에 대한 비판적 검토 없이 조직이론의 논리를 그대로 사용함으로써 개념상의 혼란과 모순을 낳았다. 특히 네트워크의 여러 의미와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채 네트워크 그 자체를 규범적인 상태로 간주함으로써 다양한 논의의 가능성을 차단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시 네트워크 개념을 규범적인 상태로 간주하기보다 분석을 위한 도구이자 대상으로서 바라볼 필요가 있음을 주장한다. This paper reviews the existing literature and criticizes the concept of urban network with respect to the affirmative and normative conceptualization. Presenting a brief history of urban network theory, this paper argues that the concept was introduced for, first, understanding the ontology of city in a perspective of relational space, second, examining the urban system through critiques to central place theory and finally, explaining the network economy as a new source of urban growth. However, through the process of uncritical acceptance of network concept from organization theory, the urban network has become inconsistent with the empirical evidence. In particular, due to normative conceptualization of urban network, various forms of intercity relations cannot be well understood by this concept. This paper argues that the urban network concept needs to be considered an analytical tool and object itself rather than a normative agenda.

      • KCI등재

        군중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실험경제학적 분석

        권남훈 ( Namhoon Kwon ),권유안 ( Youan Kwon ),김대환 ( Daehwan Kim ),유규상 ( Kyusang Yu ) 한국경제학회 2016 經濟學硏究 Vol.64 No.3

        본 논문에서는 실험경제학적 방법론을 이용하여 군중추종적 의사결정에 있어 개인의 가치관이나 성향 등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설문과 행동실험을 활용한 분석결과에 의하면 군중행동 성향은 외향성, 낮은 자아존중감 및 낮은 오류성향과 관련이 있었으며, 일부 정치적 가치관과도 관련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군중추종적 경향이 판단과정에서의 어림법(heuristics)의 사용과 관련이 있으며, 정보적 쏠림현상 이론과 같은 합리성에 기반한 군중행동 해석을 보완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Using experimental methodology, this paper explores how personality trait affects individuals` propensity to herd. Behavioral experiments show that herding behavior is related to personality traits such as extraversion, low self-esteem, and low likelihood of making mistakes during experiments. Some indicators of political orientation is also related. These findings suggest that herd behavior is a consequence of individuals adopting heuristics in decision making process, and that rationality based theory alone-such as information cascade theory-cannot provide satisfactory explan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