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tress Management Approaches for People with Chronic Conditions in Korea : A Review

        Kuem Sun Han,Yun Kyung Yang,Seung Hee Yang,Seong-Hi Park,Se Hee Jung 대한스트레스학회 2012 스트레스硏究 Vol.20 No.4

        본 연구는 국내에서 출판된 만성질환자를 대상으로 한 스트레스 관리 기법에 대한 문헌을 분석하기 위한 연구이다. 2005년부터 2010년에 발표된 총 284편의 논문을 연구설계, 이론적 기틀, 대상자, 중재 기간 및 중재 내용, 결과 변수, 연구 결과 등의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스트레스 관리 기법은 만성질환자의 신체적, 사회 심리적 주요 건강문제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 관리 기법은 다양한 만성질환자의 건강관리와 삶의 질 증진에 효과적인 중재로 고려되며, 근거 기반 간호 중재 실무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실험 연구들을 대상으로 하는 체계적인 문헌고찰과 메타분석을 추후 연구로 제언한다. To analyze South Korean studies on stress intervention to improve nursing interventions. Two hundred eighty four articles written between 2005 and 2010 were identified and reviewed. The stress management literature was reviewed according to research design; theoretical background; title, subject, type, and duration of the interventions; outcome variables; stress management program on chronic illness; and results. The collective data indicate that stress management decreases psychosocial and physical problems of individuals with chronic conditions. For more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s, further studies utilizing meta-analysis are needed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stress intervention. It will be important to conduct qualitative studies on patients who were subject to different types of stress management.

      • KCI등재후보

        간호사의 감성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금선(Kuem-Sun Han),오연재(Youn-Jae Oh),이숙자(Sook-Ja Lee),차선경(Sun-Kyung Cha),강현철(Hyun-Cheol Kang) 대한스트레스학회 2009 스트레스硏究 Vol.1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의 의사소통 유형, 대처방법, 정서조절이 감성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기 위함으로 자료수집 및 분석은 서울 및 경기 지역의 3차 종합병원 간호사 273명을 대상으로 자가보고식 설문지법을 통하여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간호사의 의사소통 유형, 대처방법, 정서조절의 변수가 간호사의 감성역량 정도에 영향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이들 결과를 기초로 간호사의 감성역량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능동적-행동적 대처 방식을 강화시키고, 남의 이야기를 잘 들어줄 수 있는 좋은 의사소통 기술을 증진시키고, 자기 스스로 자신의 감정을 잘 통제, 표현할 줄 아는 능력 향상을 고려한 프로그램 개발 연구를 제언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ommunication style, ways of coping and emotional regulation among emotional competencies of nurse. The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s from 273 nurses in a general hospital in Seoul, Korea. The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score of tell communication style (self disclosure) and active-behavior coping, active emotional regulation have effects on emotional competencies. This study showed that communication styles and ways of coping significantly effects on emotional competencies. Therefore these results need to be considered when developing the emotional competencies program for nurse. (Korean J Str Res 2009;17:19∼25)

      • KCI등재후보
      • KCI등재SCOPUS

        가족교육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 가족의 부담감에 미치는 영향

        한금선 ( Kuem Sun Han ),강은숙 ( Eun Sook Kang ),김해옥 ( Hae Ok Kim ),양미화 ( Mi Hwa Yang ),김수연 ( Soo Yeon Kim ) 한국정신간호학회 2004 정신간호학회지 Vol.13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a family education program on the family burden of the patients with Stroke. Method: This study employed a quasi-experimental one group pre-post test to evaluate the program.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6 family caregiver selected by convenience sampling who having stroke patients. Data collection was done using questionnaires before and after the subjects used the program.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family burden decreased after used the program(P<.05). Also in subcategories, the physical, social, emotional, and time -dependent burden decreased after used the program(P<.05). There were significanc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family burden and the degree of paralysis of the patient. Also the results showed that the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family burden and the daily living of the patient. Conclusion: The study shows that the family education program have effect on decreasing the family burden of the Stoke patients.

      • KCI등재후보

        의료인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 경험

        한금선(Kuem-Sun Han),최미영(Mi-Young Choi),이숙자(Sook-Ja Lee) 대한스트레스학회 2013 스트레스硏究 Vol.21 No.2

        본 연구는 의료인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 경험을 이해하고자 현상학적 방법을 적용한 질적 연구이다. 의료인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 경험은 최종 5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범주 1. 직면해 있는 과중한 환경, 범주 2. 변할 것 같지 않은 현실, 범주 3. 자타에 의한 부담감, 범주 4. 극복을 위한 노력, 범주 5. 보다 나은 업무 환경을 위한 바람이다. 본 연구에서 규명된 의료인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 경험은 의료인을 위한 직무스트레스 중재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어 질 것이다. 또한 기존에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간호사와 의사를 대상으로 한 현상학적 연구로써 차후 질적 연구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This study purpose to understand job stress experienced by nurses and doctors and explain the nature and structure of their job stress-coping. In-depth interviews of 14 participants were conducted to collect the data. The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then transcribed. The data analysis was done by Colaizzi (1978) method. The job stress experienced by health care professionals was divided into the following five categories: 1) Confronting Burdensome Atmonsphere, 2) Being Likely to Remain Unchanged Reality, 3) Pressure from Both Oneself and Others 4) Efforts for Overcome 5) Wish for Better Work Environment. This research has significance for laying the foundation required to develop a job stress intervention model for health care professionals by understanding the nature and structure of job stress-coping experienced by nurses and doctors through an in-depth analysis of their job stress-coping experiences.

      • KCI등재후보

        의료인의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금선(Kuem Sun Han),임희수(Hee Su Lim),박영희(Young Hee Park),최미영(Mi Young Choi),차선경(Sun Kyung Cha),이은미(Eun Mi Lee) 대한스트레스학회 2012 스트레스硏究 Vol.20 No.3

        의료 현장에서 간호사와 의사는 긴밀한 상호 협조를 통해 업무를 수행하는 만큼 간호사와 의사의 직무스트레스의 파악은 중요하며, 의료인의 직무스트레스는 자신에게는 물론 사회 구성원의 건강에도 심각한 영향을 끼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와 의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의료인 개인의 성격특성은 의사소통 유형, 스트레스 증상, 사회적 지지, 대처 등의 영향으로 직무스트레스의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고 가정하였으며, 간호사와 의사의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차이가 있었음이 주요한 결과로 나타나 각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간호 중재를 개발하여 의료인의 직무스트레스 관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job stress, communication style, personality traits, social skill, and coping and to examine factors influencing job stress in clinical nurses and physicians.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s from 353 health care providers at three general hospital.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WIN 18.0 version. Job stres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sex, education, current workplace and shift work. There were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in dysfunctional communication, agreeableness personality trait between nurses and physicians. Job Stress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to dysfunctional communication, neuroticism personality trait and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s to agreeableness personality trait. The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job stress of the clinical nurses were agreeableness personality trait, and conscientiousness personality trait. The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job stress of the physicians were conscientiousness personality trait.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 developing nursing interventions to manage for job stress of clinical nurses and personality traits should be considered. (Korean J Str Res 2012;20:209∼220)

      • KCI등재후보

        대사증후군 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금선(Kuem Sun Han),박영희(Young Hee Park),김소남(So Nam Kim),이숙자(Sook Ja Lee),양승희(Seung Hee Yang) 대한스트레스학회 2013 스트레스硏究 Vol.21 No.4

        본 연구는 대사증후군 환자의 지각된 스트레스, 우울, 건강생활양식, 삶의 질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의 상관관계를 규명하여 대사증후군 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간호 중재 필요성에 대한 학문적 근거와 기초정보를 제공하고자 시행하였다. 본 연구대상자는 서울 소재의 보건소 9곳에서 건강관리 중인 대사증후군 환자들을 편의 추출하였으며 135명을 최종 연구대상자로 하였다. 대사증후군 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지각된 스트레스, 우울, 건강생활양식, 삶의 질을 조사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각 변수 간에 상관관계분석 및 다중회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우울은 건강생활양식, 삶의 질과 유의한 수준의 역상관관계를 나타났고 건강생활양식은 지각된 스트레스, 우울 변수 모두에서 역상관관계를 나타났다. 또한 대사증후군 환자의 삶의 질에 가장 강력한 삶의 질 영향요인은 우울이고 다음은 스트레스와 건강생활양식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대사증후군 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 스트레스, 우울에 관한 간호 중재와 건강생활양식 실천을 높이는 간호중재 필요성의 중요함을 시사하는 바이며,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 우울과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간호 중재 그리고 건강생활양식의 실천을 높이는 간호 중재 개발 연구를 활성화시키는 학문적 근거를 제시하는 바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influencing factors on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metabolic syndrome. Data were collected by self-reporting questionnaires on perceived stress, depression, lifestyle for health promotion and quality of lif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50 patients with metabolic syndrome.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1 to April 30, 2013 at Nine public health centers in Seoul, Korea. Data were analyzed using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by SAS 3.2 ver. The perceived stress, depression, lifestyle for health promotion were identified as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metabolic syndrome. The model explained 66% of the variables. Results suggest that health care giver should include strategies to decrease stress and depression and to increase lifestyle for health promotion in their intervention programs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metabolic syndrome.

      • KCI등재

        임상간호사의 스트레스 관련 기질, 소진감, 강인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금선(Kuem-Sun Han),박영희(Young-Hee Park),김성렬(Sung-Ryul Kim) 대한스트레스학회 2011 스트레스硏究 Vol.19 No.1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스트레스 관련 기질, 소진감, 강인성, 직무만족 정도를 확인하고 스트레스 관련 기질, 소진감, 강인성과 직무만족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자 한 서술적 상관관계연구이다. 대상자는 서울시 소재의 대학병원 2곳과 경기 지역 소재의 대학병원 1곳에서 본 연구에 참여를 허락한 간호사 250명이었다. 자료 수집은 2009년 11월 13에서 12월 24일까지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상관관계분석과 이용하여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임상간호사의 교육정도, 결혼상태, 종교, 지위, 근무 장소에 따라 스트레스 관련 기질, 소진감, 강인성, 직무만족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스트레스 저항 기질은 소진감, 직무만족도와 유의한 수준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강인성은 간호사의 소진감과 소진감은 강인성, 직무만족도와 유의한 수준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분석 결과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소진감, 강인성, 스트레스 저항 성격 특성순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임상간호사의 직무만족은 스트레스 저항 기질, 소진감, 강인성과 높은 상관성을 보였으며 특히 이 세 변수는 임상간호사의 직무만족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예측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병원과 간호조직 관리자는 이러한 사실을 인식하고 간호사의 직무만족 향상을 위해 다양한 중재를 제공할 것을 시사해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stress-related personality traits, hardiness, and burnout on job satisfaction in nurse. The study included 250 nurses working in 3 university hospitals in Seoul and Kyunggi province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3, November, 2009 to 24th November, 2009. It was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and Pearson correlation of SPSS and with multiple stepwise regress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y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ress resistant personality trait, hardiness,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by education, marital status, religion, position, field. There was found significant and positive correlation among stress resistant personality trait and job satisfaction; significant and negative correlation among stress resistant personality trait and burnout; significant and negative correlation among burnout and hardiness, job satisfaction. Regression analysis, burnout, hardiness, stress-related personality traits order influenced job satisfaction. Stress-related personality traits, hardiness, and burnout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job satisfaction. Stress-related personality traits, hardiness, and burnout is an important factor of job satisfaction in nurse, and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ir relationships. The results suggest that hospital and nursing managers must recognize these facts and provide various intervention to improving the job satisfaction in nurse. (Korean J Str Res 2011;19:79∼87)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