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사람 Ferritin 유전자를 이용한 담배의 형질전환

        이주안,김형석,임채완,김해영,박영두 경희대학교 생명자원과학연구원 2002 硏究論文集 Vol.22 No.-

        사람 H-chain ferritin 유전자를 Agrobcterium-mediated transformation 방법으로 담배(Nicotiana tabaccum L)에 전이시켰다. 이를 위하여 사람 H-chain ferritin 유전자를 C_(S)VMV promotor와 NOS terminator를 운반하는 plant binary vector, pILTAB 357에 도입하였다. pILTAB 357를 포함하는 Agrobcterium tumefaciens LBA4404로 담배 잎 절편체를 감염시킨 후 형질전환 신초는 MS배지에 1 5 ㎎/L BA, 50 ㎎/L kanamycin 그리고 200 ㎎/L cefotaxim이 첨가된 1차 선발배지에서 유도하였다. 유도된 신초는 MS배지에 100 ㎎/L kanamycin과 200 ㎎/L cefotaxim이 포함된 2차 선발배지에서 뿌리를 유기하였다. 뿌리가 형성된 재분화 개체는 온실에서 재배하였으며 자가수분하여 종자를 수확하였다. 사람 H-chain ferritin유전자의 담배 genome내로의 전이여부를 H-chain ferritin 유전자내의 primer를 이용하여 PCR 방법으로 확인한 바 형질전환 개체에서 예상했던 560bp 단편을 볼 수 있었으나 형질전환을 시키지 않은 식물체에서는 PCR 산물을 확인할 수 없었다. Kanamycin 저항성 분석은 전이유전자의 후대로의 안정적인 유전을 보여 주었으며 저항성 종자들은 homozygous개체를 확보하기 위해 온실에서 재배 중에 있다. A human H-chain ferritin gene was introduced into tobacco (Nicotiana tabaccum L.) plants by Agrobcterium-mediated transformation. To introduce this gene, human ferritin gene was cloned into plant binary vector, pILTAB 357, horboring CsVMV promotor and nopalin synthase terminator (3' NOS). After infection with Agrobacterium tumefaciens LBA4404 containing pILTAB 357, transformed shoots were induced from first selection media (MS media + 1.5 ㎎/L BA + 50 ㎎/L kanamycin + 200 ㎎/L^(1) cefotaxim). Induced shoots were rooted in second selection media (MS media + 100 ㎎/L kanamycin + 200 ㎎/L cefotaxim). Rooted shoots were cultivated, selfed, and seeds were harvested in the green house. To confirm the transfer of the human H-chain ferritin gene in the genome of tobacco plants, PCR was conducted using specific primers of the H-chain femritin gene. A PCR fragment of 560 bp was obtained from each transformed plants, which is the predicted size of the H-cham ferritin gene but not from nontransformed plants. Kanamycin resistance assay showed that transgenes were stably inherited to next generation in all lines. These resistance seeds from each line were cultivated in the green house to obtain homozygous lines for further study.

      • Zygosaccharomyces rouxii OB-03과 Pediococcus halophilus BH-90 의 첨가에 의한 低食鹽된장의 개발

        류병호,채영주,박법규,김동규 慶星大學校 1991 論文集 Vol.12 No.2

        For the deveolpment of new technique for low salty soybean paste, this study were carried out to the large scale fermentation of soybean paste after the addition of number of mass cells of Zygosaccharomyces rouxii OB-03 and Pediococcus halophilus BH-90. Inoclum size of Z. rouxii )B-03과 P. halophilus BH-90 was adapted to the rate of 1.8*10??/ml and 1.8*10⁴/ml in large scale fermentation of soybean paste. pH and lactic acid content were not markedly changed and, total and formol nitrogen was eluted high levels in 4% and 8% NaCl concentration during fermentation of soybean paste. Z. rouxii B-03 and P. halophilus BH-90 grew well at 4% NaCl than that of 8% and 12% NaCl concentrations and ethylalcohol also produced highest level at 4% NaCl. Glutamic acid and aspartic acid of free amino acid were eluted prodiminantly at 4% NaCl acid and also lactic were high content then that of others.

      • 간장의 덧에서 분리한 Zygosaccharomyces rouxii BH-90과 Candida versatilies BH-91의 동정및 특성

        조경자,박춘옥,채영주,김동석,류병호 慶星大學校 1993 論文集 Vol.14 No.2

        This studies attempted to bred the two yeasts of highest level of alcohol and 4-ethylguaiacol production from fermented mash conventional soy sauce. Two kinds of yeast isolated from conventional fermented mash were identified and designated as Zugosaccharomyces rouxii BH-90 and candida versatilis BH-91 which produced the highest levels of ethyl alcohol and 4-ethylguaiacol. The two yeast strains preferred pH 5.0 and 30℃for highest levels of 2.5% ethylalcohol and 18mg/? 4-ethylgaicacol production.

      • Dihydroflavonol 4-reductase 유전자를 이용한 담배의 형질전환

        유정아,이원숙,이주안,김영채,박영두 경희대학교식량자원개발연구소 2006 硏究論文集 Vol.25 No.-

        본 연구는 화색과 관련된 DFR 유전자를 Agrobacterium을 이용한 형질전환 방법으로 담배(Nicotiana tabaccum L.)에 형질전환 시키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배추의 DFR 유전자를 CaMV 35S promotor와 nos terminator를 운반하는 식물 발현용 vector, pCAMBIA 1302에 삽입하였다. 재조합된 벡터 pCAMBIA 1302-DFR은 Agrobacterium tumfaciens LBA4404를 이용하여 담배 식물체 잎 절편체를 형질전환한 후 MS 배지에 1.5 mg·L^(-1) BA, 50 mg·L^(-1) hygromycin 및 200 mg·L^(-1) cefotaxim이 첨가된 1차 선발배지에서 신초를 유도하였다. 유도된 신초는 100 mg·L^(-1) hygromycin과 200 mg·L^(-1) cefotaxim이 첨가된 2차 선발 배지에서 뿌리를 유기하였다. 뿌리가 형성된 재분화 개체는 온실에서 재배하였으며 재배된 담배로부터 genomic DNA를 추출하고 DFR 유전자의 담배 genome내로의 전이여부를 hygromycin primer를 이용하여 PCR 방법으로 확인한 바 형질전환 개체에서 예상했던 365 bp 단편을 볼 수 있었으나 형질전환을 시키지 않은 식물체에서는 PCR 산물을 확인 할 수 없었다. PCR 검정으로 확인된 담배는 화색변이 여부를 관찰하기 위해 온실에서 재배 중에 있다. Dihydroflavonol 4-reductase (DFR) gene was introduced into tobacco (Nicotiana tabaccum L.) plants using Agrobacterium mediated transformation. To introduce this gene, DFR gene was cloned into plant binary vector, pCAMBIA 1302, harboring CaMV 35S promotor and nos terminator. After infection with Agrobacterium tumefaciens LBA4404 containing pCAMBIA 1302, transformed shoots were induced from first selection medium (MS medium + 1.5 mg·L^(-1) BA + 50 mg·L^(-1) hygromycin + 200 mg·L^(-1) cefotaxim). To confirm the transfer of DFR gene in the genome of tobacco plants, PCR was conducted using primers of the hygromycin gene. A PCR fragment of 365 bp was obtained from each transformed plants, which is the predicted size of the hygromycin gene but not from nontransformed plants. Transformed tobacco plants are growing in the greenhouse to analyze phenotypic variation, especially flower color.

      • 테오도르 폰타네 문학에 나타난 여성의 자아의식 -「에피 브리스트 Effi Briest」(1895)를 중심으로-

        김영주 ( Young Zu Kim ) 숭실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94 인문학연구 Vol.24 No.-

        Die vorliegende Arbeit ist ein Versuch, Fontanes Hauptwerk rEffi Briestj(1895) aus der feministischen Sicht zu analysieren. In der zweiten Hälfte des 19. Jahrhunderts, in der im wilhelminischen Deutschland die Schopenhauersche Mysogynie stark vorherrschte, litten die Frauen immer noch unter der Diskriminierung. Deshalb war es das Ziel dieser Arbeit zu untersuchen, in wie weit der Dichter Fontane, der als sehr genauer Beobachter gesellschaftlicher Vorgänge und sogar als Gesellschaftskritiker galt, in diesem Roman eine Stellungnahme zu dieser frauenfeindlichen Gesellschaft äu ßert, und welchen Bewu ßtseinszustand seine Hauptfigur Effi Briest in ihrer unterdrückten Frauenrolle in der jeweiligen Lebensphase hat. Schließlich galt auch die Frage zu klären, ob sie letztendlich zur Selbstbewußtwerdung kommt. Am Anfang fehlt Effi jegliches Selbstbewußtsein. Bei der Verlobung spielt ihre Mutter die dominante Rolle. Effi, als 17-jähiges naives Mädchen, übernimmt für ihre Eheschließung, noch ganz in der Tradition der ständischen Gesellschaft, keinerlei Mitverantwortung. Im Eheleben nimmt Effi ihrem Mann Innstetten gegenüber zuncähst eine untergeordnete Rolle ein, wie die einer Dienerin. Sie akzeptiert dieses Rollenverhältnis, was sich in vielen Dialogen nachweisen läßt, verfällt aber dann, weil ihr das Selbstbewußtsein und die Verantwortung für ihr Handeln fehlt, in eine Liebesaffäre mit Crampas. Das Resultat ihrer"Schuld" ist das Duell, der Tod von Crampas und die Scheidung von Innstetten. Bis zu diesem Zeitpunkt hat Effi alles Jedoch gegen Ende des Romans kommt Effi zum selbständigen Denken und zu als Schicksal hingenommen, keinen selbständigen Gedankengang entwickelt und ihren Zustand einfach nur akzeptiert. einem Selbstbewußtsein. Nach der Scheidung leidet sie zunächst sehr unter Armut und Krankheit. Aber durch diesen Prozeß des gesellschaftlichen Bruches ist sie zur Erkenntnis und aus diesem Erkenntnisprozeß heraus zum Verständnis gelangt. Vor ihrem Tod versöhnt sie sich mit Innstetten und rechtfertigt sein Verhalten. Das beweist, da/? sie zu einer reifen und selbstbewußten Frau geworden. Aus der Entwicklung seiner Hauptfigur könnte man Fontanes Einsteilug zur Diskriminierung der Frau in der damaligen Gesellschaft ableiten und folgende Schlußfolgerung zur weiteren Diskussion stellen: Fontane wollte mit Effi Briest andeuten, daß die Frauen sich selber um ihre Bewußtseinsänderung bemühen sollen, um die frauenfeindliche Gesellschaft menschenwürdig zu erneuern.

      • KCI등재

        괴테의 소설 『 친화력 Wahlverwandtschaften 』 결혼에 관한 괴테의 성찰

        김영주 한국괴테학회 1997 괴테연구 Vol.9 No.1

        Die vorliegende Arbeit ist ein Versuch, Goethes Reflexion zur Ehe in dessen Werk "Die Wahlverwandtschaften(1809)" zu untersuchen. Die Romanhandlung konfrontiert uns mit verha¨ngnisvoller Leidenschaft, schuldbarer Verstrickung und Tod. Eduard, ein reicher Baron im besten Alter, ist ein Mann, dessen Charakter als eine Kombination von selbstischer Willku¨r und elementarer Leidenschaft beschrieben werden kann. Er verliebt sick in Ottilie und mo¨chte sich von seiner Ehefrau Charlotte scheiden lassen, um Ottilie zu heiraten. Aber seine Willku¨r, die vor dem Sakrament der Ehe keinen Respekt hat, Scheitert und nimmt einen tragischen Ausgang. Charlotte und Hauptmamm makieren eine eindeutige Gegenposition zu Eduard. Bei ihnen ist die Liebe zueinander entsagt und in ihrer Entsagung wird die Vernunft auf Kosten der Naturleidenschaft durchgesetzt. Ihre Eheauffassung basiert auf den gesellschaftlichen Verpflichtungen, Normen und Konventionen, auch wenn sich die Frage stellt, ob ihre Entsagung nicht auf Kosten ihres Glu¨cks geschieht. Ottilie ist die Hauptfigur des Romans und verko¨rpert Scho¨nheit, Unschuld und Lieblichkeit. Ihre Liebe zu Eduard hat den Zug zum Unbedingten, aber sie ahnt die Sittenwidrigkeit ihres Verha¨ltnisses und entsagt, weil sie sich schuldig am Tod des Kindes fu¨hlt. Aus einer Paradoxie von sittlichem Gesetz und da¨monischer Leidenschaft gewinnt sie Einsicht in die Zusammenha¨nge des irdischen Daseins. Vor ihrem Tod faßt sie die Ha¨nde beider Ehegatten und wu¨nscht, daß Eduard und Charlotte in ihrem Eheverha¨ltnis verbleiben. Ottilie hat ihre "da¨monische" Leidenschaft abgelgt und sick aus einem naturhaften Sein u¨ber dienendes Unterwerfen unter die allgemeine Sitte vera¨ndert und eine Eheauffassung gewonnen, die dem Sittengesetz ada¨quat ist. Unter den Nebenfiguren sand zwei kontroverse Eheauffassungen zu untersuchen. Mittlers rigoristische und formalistische Verteidungsrede fu¨r die Ehe geho¨rt zum Merkwu¨rdigsten und seine Unauflo¨slichkeitsforderung der Ehe wirkt seltsam und zweideutig. Die leichtfertig freizu¨gigen Eheansichten des Grafen und der Baronesse haben einen flatterhaften und egoistischen Charakter. Goethes Reflexion zur Ehe im Roman ist mehrdeutig. Erst aus der Doppelsicht, Heiligung der Ehe und Anerkennung des Wertes und Rechtes der Naturleidenschaft ergibt sich die Perspektive Goethescher Totalita¨t. Der Mensch ist sowohl ein Gesellschaftswesen als auch ein Naturwesen, deshalb stehen wir vor der Alternativfrage der Auflo¨sbarkeit der Ehe oder unbedingter Bewahrung der Ehe. Im Roman bleibt der Konflikt zwischen dem Sittengesetz und Naturgesetz zwar ungelo¨st, aber Ottilies Heiligung gibt eine Zukunfstvision, die durch die U¨berwindung des Erstarrungsgesetzes eine bessere und menschenfreundlichere Gesellschaft verspricht, und in der eine ideale Ehe zu realisieren wa¨re.

      • KCI등재

        Effis Personlichkeitsentfaltung im Roman Effi Briest

        Kim, Young-Zu 독일언어문학연구회 1996 독일언어문학 Vol.6 No.-

        (본 논문은 1996년 8월 12일-8월 16일까지 독일 레겐스부르크대학 에서 개최된 제 20차 국제어문학회 FILLM 대회에서 구두로 발표한 것을 수정 보완한 것임.) 테오도르 폰타네 Theodor Fontane의 사회소설에 등장하는 여성인물의 의식구조를 고찰하면 매우 흥미롭다. 사실주의작가인 폰타네는 그의 수많은 사회소설에서 현실사회에 흔히 있을 수 있는 여성상을 제시하고 있는데 이들 여성들의 의식의 양상은 매우 다양하다. 그 중에는 애초부터 강한 성격을 갖고 자신의 삶을 관장하고 지배할 줄 안 여성상도 있고, 그와 반대로 처음에는 스스로의 결정능력을 갖추지 못한 미숙한 여주인공으로 등장하였다가 종결부분에서 상대 남성보다 더 우월한 인격과 자아의식을 소유한 여성상으로 변모하기도 한다. 본고에서는 폰타네의 대표작 "에피 브리스트 Effi Briest"(1985)에서 여주인공 에피Effi의 의식의 변화를 고찰하였다. 36장의 소설이 에피의 비극적 일생을 보여주고 있는데 결혼하기전 호엔 크레멘 HohenCremmen에서 세상물정을 모르는 순진무구한 소녀 에피가 출세주의자 인스테텐과 Innstetten과의 사회관습적인 결혼을 함으로써 비극의 씨앗이 뿌려진다. 에피는 인생의 중대사인 결혼결정에 있어 에피자신의 주관없이 어머니의 사회관습적인 가치관에만 의존하여 18세 연상의 아버지뻘인 인스테텐의 아내가 된다. 소설의 6장에서 23장까지의 중심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에피의 결혼생활에서 에피의 의식구조를 살피면 에피는 아내로서 남편의 진정한 파트너나 성숙한 동반자의 의식을 갖지 못한다. 일상적 부부대화에서 나타나듯이 에피는 자신을 남편의 예쁜 소유물 및 장식품으로 의식할 뿐이다. 그러나 한편 에피는 섬세한 관심과 배려, 진정한 사랑이 결핍된 지루한 결혼생활로부터의 탈출구로서 남편친구 크랍파스Crampas와의 간통사건에 빠져 들어간다. 에피 자신이 전연 사랑하지도 않았던 카사노바 크람파스의 유혹에 자신을 방어하지 못한 에피의 인간적 고독에 동정을 할 수는 있지만 그 사건은 결국 에피자신의 주관성과 사리분별력이 결여된 행동이라고 분석할 수있다. 에피는 당시 관습에 따라 그 필연적인 귀결로서 이혼당한다. 그리고 남편인스테텐의 일방적인 이혼통고만 있을 뿐 이혼에 관해 그 이전에 부부간에 단 한번의 대화도 없다. 귀족가문의 무남독녀인 에피는 결혼전 경제적인 자립을 할수 있는 어떤 직업교육도 받지 않았기 때문에 이혼은 에피에게 참담한 생활고와 직결되는 상황이다. 그러나 이혼후 가난과 질병의 세월뒤에 에피는 숭고한 인간성올 지닌 여성으로 변모한다. 에피는 과거의 남편 인스테텐의 입장올 이해하고 그의 약점을 용서한다. 에피는 딸 아니Annie를 상봉했을때에 인스테텐을 향해 떠뜨린 분노를 자제하고 인간적인 따스함으로써 인스테텐이 겪고있는 고통을 이해하고 포용하는 원숙한 경지를 보여 주어 우월한 인격과 강한자아의식을 갖춘 성숙한 여성으로 변모한다. 이는 칼 리히터Karl Richter가 지적하듯 에피가 모든 소설 인물들보다 인간적으로 훨씬 우위의 입장에 서 있기 때문이다. 이제 우리는 소설의 종결부분에서 에피의 원숙한 여성상을 제시한 작가 폰타네의 의도를 한번 의미해 보아야 할 것이다. 소설에서 만약 주인공 에피가 이러한 정신적인 성장과 원숙한 인격형성에 도달하지 않고 소설 마지막에 인생무상의 체념속에서 질병으로 죽어갔다면 우리는 그냥 가련한 에피의 비극적 운명을 무척 안타깝게 여길 따름이었을 것이다. 그러나 작가 스스로 고백하듯, 모든 이브를 무척 사랑한 페미니스트 폰타네는 소설 종결부분에서 에피의 의식의 변화를 삽입하여 에피가 숭고한 인간성, 정신적 주관성, 우월한 인격형성을 갖춘 모습을 의도적으로 부각시켜 에피의 위상을 높이고 있다. 폰타네는 다른 소설들의 여주인공들인 세실 Ce´cile이나 빅토아르 Victoire에서도 그 소설들의 종결부분에서 에피의 경우와 비슷한 모습을 부각시키고 있다.즉 폰타네는 당대 유럽 사실주의 작가들의 여주인공들인 보봐리부인 NadameBovary이나, 안나 카레니나 Anna Kamnina의 경우와는 달리 소설 말미에 여주인공의 인격형성이란 커다란 테제를 자신의 소설에 부각시키고 있는 것이다.폰타네는 19세기 당대 여성들 뿐아니라 모든 여성들에게 여성의 인간다운 삶을 위해 여성의 의식의 변화를 제언하고 있는 것이나 아닐까? 그렇다면 우리 한국의 여성도 폰타네의 소설에서 좋은 메시지를 수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여성이 극복해야할 사회적인 벽은 아직 높다. 이제 한국여성은 스스로의 의식의 변화를 위해 더욱 노력해야 할것이다. 그럼으로써 한국여성은 이 사회에서 자신의 올바르고 정당한 자리메김과 자기실현을 가능케 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Krise und Perspektive der koreanischen Germanistik

        Kim, Young Zu 한국독일어문학회 2003 독일어문학 Vol.21 No.-

        (친애하는 타이완의 독문학자 여러분 ! 우선 이 학회에 저를 초대해 주신 것에 대하여 감사합니다. 저는 여러분들에게 한국독문학을 소개하게 된 것을 특별한 명예로 생각합니다. 저는 먼저 한국의 독어 및 독문학에 대한 간단한 역사적인 고찰후에 한국독문학의 위기현황과 그 전망에 관하여 발표하겠습니다.) 한국의 독일어교육은 오랜 전통을 갖고 있다. 구한말 시대의 고종황제의 외무부참사관으로 근무하던 독일인 묄렌도르프가 조선의 근대화작업의 일환으로서, 독일어통역관을 양성하기 위해 1898년 독일어학교를 설립하면서 그 초석이 이루어 졌다. 1910년부터 1945년까지 일제점령시대에 독일어는 한국에서 매우 인기 있는 제 2 외국어였다. 그 이유는 독일과 돈독한 우정관계를 지닌 일본의 문화정책의 덕택이었다고 할 수 있다. 제 2차대전이후의 1970년, 1980년대는 한국의 경제부흥이 이루어진 시대인데, 경제적 이해관계 때문에 여러 가지 제 2 외국어, 즉 불어, 중국어, 일어, 스페인어 러시아어 등 다양한 외국어교육이 활성화되었다. 90년대 중반부터는 제 2 외국어로서의 독일어의 최우위의 위상은 일본어와 중국어에 그 자리를 양보하게 되었다. 한국의 독어독문학은 해방 후 1945년으로 거슬러 시작된다. 1946년 서울대학교에 최초의 독어독문학과가 설립되었다. 이어 1950년부터 53년까지의 한국전쟁의 소용돌이 속에서 학문적 발전을 이룰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지 못하였다. 그후, 1960년대와 1970년대에 독어독문학과는 유능한 교수들이 독일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귀국하여 독문학과의 확실한 기틀을 잡고 후진양성에 힘을 기울이면서, 학문발전에 박차가 가해졌다. 특히 80년대부터 정부의 부양정책에 힘입어 전국적으로 독어독문학과가 더욱 많이 성립되었고, 독어독문학의 전성기를 이루었다. 1995년부터 한국의 독어독문학은 학부제라는 이름의 교육개혁이 실시된 이래, 위기상황에 내몰리게 되었다. 이러한 위기가 도래한 원인은 세 가지로 집약할 수 있다. 첫째, 이미 언급한 교육부의 학부제개혁이다. 이는 교육을 시장논리에 근거하여 해석한 것으로 한국사회의 균형 있는 발전을 위해서는 문제성을 내포하고 있다. 둘째, 독어독문학과 졸업자의 미래 직업에 대한 불투명성이다. 한국내의 독일계 회사들조차도 독일어보다 영어능력을 우선적으로 평가하기 때문에 독어독문학과의 학생들을 위한 취업의 문은 더욱 좁다. 셋째 한국사회의 미국화 현상이다. 세계화시대에 돌입하면서 한국사회에는 세계화가 곧 미국화로 잘못 오인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각 나라의 문화는 단점과 장점을 갖고 있고, 미국문화 역시 예외는 아닐 것이다. 맹목적인 미국문화 신봉은 경계하여야 할 것이다. 미국문화일변도에 젖은 신세대는 독어독문학에 매료될 정서적, 정신적 여지를 갖고 있지 않다. 이러한 위기상황에 처한 독어독문학의 현황에 대해 본인은 다음과 같은 전망을 논의하고 싶다. 첫째, 독어독문학과 자체 내에서의 자구책이 필요하다. 이에 관해 이미 많은 학회에서 논의한 바대로, 독어독문학의 커리쿨럼의 재구성이 요청된다. 그 커리쿨럼의 핵심은 독일어능력을 더욱 활성화하여 직업의 기회를 얻을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하는데 있고, 또 문화학의 영역을 넓혀 가는 길, 그리고 학생들에게 번역의 기술을 터득시키는 길 등이 있다. 둘째, 세계화에 대한 올바른 인식이다. 세계화란 어디까지나 자국 내에서 세계문화를 다양하게 꽃피울 수 있고, 다양한 문화를 접할 수 있어야 하는 의미이다. 그러므로 독어독문학자들은 세계화의 올바른 인식을 위한 사회분위기 조성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 셋째, 그러한 노력의 일환으로서, 번역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번역은 문화를 전달하는 전달자의 역할을 지니고 있으므로 독어독문학을 한국사회에 더욱 널리 전달함으로써 독문학자의 역할이 증대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제 1 외국어인 영어의 실력이 전 국민에게서 현저히 상승되어 있고, 그 유용성이 실제보다 더욱 극대화되고 있는 한국사회에서, 제 2외국어인 독일어교육은 그들의 영어실력을 이용하여 그것을 바탕으로 더욱 효과적인 수업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독일의 문화정책이 한국에서 더욱 효율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를테면 독어독문학과 학생들에게 전원 약 6개월 내지1년 간의 독일체재의 기회 등으로 학생들을 고무시키고, 학생들의 어학교육의 활성화를 도모하여야 할 것이다. 여섯째, 독일의 이미지갱신이다. 전 세계에 나치를 주제로 한 영화가 많고. 한국에서도 예외가 아니다. 독일의 이미지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국의 독문학자들은 노력하여야할 것이다. "위기는 기회이다" 라는 한국인의 생활철학이 있다. "위기는 기회이다" 라는 한국인의 생활철학이 있다. 달이 기울면 다시 차듯이 인생의 여정에는 위기다음엔 반드시 흥성기가 오는 법이다. 우리는 독일문화와 독일언어의 전달자로서의 기쁨과 고난을 같이 나누는 친구들이다. 우리 결코 현재에 낙망해서는 안 된다. 우리는 좀더 적극적이며, 낙관적인 사고를 지니고 우리의 위기를 타파하도록 힘을 기울여야 한다. 이를테면, 독문학을 연구하는 후학들의 수효가 적어지지 않도록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후학들이 없다는 것은 긴 눈으로 보아 가장 큰 위기이기 때문이다. 우리가 괴테, 쉴러, 헤르만 헤세, 토마스만, 하인리히 하이네... 등 독일문화와 문학에 매료되어 있는 한, 독일문학은 꽃피워질 것이다.

      • SCISCIESCOPUS

        Polymorphisms in adiposity-related genes are associated with age at menarche and menopause in breast cancer patients and healthy women

        Kim, Kyee-Zu,Shin, Aesun,Lee, Yeon-Su,Kim, Sook-Young,Kim, Yeonju,Lee, Eun-Sook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Human reproduction Vol.27 No.7

        <P>Is there any effect of genetic polymorphisms in adiposity-related genes on the timing of menarche and menopause and the total duration of menstruation among Korean women?</P>

      • KCI등재

        Theodor Fontane 의 소설 " Effi Briest " 에서 Hohen-Cremmen 공간의 시적 기능

        김영주 한국독어독문학회 1987 獨逸文學 Vol.38 No.1

        Effi Briest$quot;(1894) ist der Hhepunkt im Schaffen Theodor Fontanel (1818-1898). Fontane kritisiert durch die Ehebruchsgeschichte einer adeligen Frau die inhumane Gesellschaft. Dieser Aufsatz loll den Hohen-Cremmen Raum in fli Briest$quot; untersuchen. Dabei wird besonders berucksichtigt, wie der Hohen-Cremmen Raum es dem Dichter ermoglicht, in seinem Roman eine eigene dichterische Wirklichkeit entstehen zu lassen. Hohen-Cremmen ist die Heimatstatte von Effl Briest; dort wurde sie geboren and dort wuchs lie auf. Zugleich ist es auch der Raum, wohin Effi nach dem Ehebruch zurnckkehrt and wo sie sich bis zu ihrem Tad aufhalt. Fur Effi bedeutet Hohen-Cremmen das Paradies, in dem sie sick geborgen fuhlt and zu dem lie eine starke innere Bindung hat. Der Hohen-Cremmen Raum ist kein beliebiger, der empirischen Welt entnommener Ort. Er ist in das Geschehen integriert and daher ein in sich geschlossenen Handlungsraum, der mit poetischer Verweisungskraft erfullt ist. Der Hohen-Cremmer Raum am Romaneingang deutet das Romanthema an, Er weist auf den Konflikt zwischen Individuum and Gesellschaft hin, der dal tragische Schicksal Effis verursacht. Der Hohen-Cremmen Raum am Romaneingang wird aus einer objektiven, von den Figuren auch durch einen Absatz deutlich geschiedenen, Erzahlperspektive geschildert. Subjekt and Raum sind in der Schilderung nicht vereint and nicht aufeinander bezogen. Das laBt sich am Verhaltnis der zwischen Raum and Subjekt ablsen. Das Verhaltnis der Fremdheit deutet den Konflikt and die Passivitat des Individuums gegeuber der AuBenwelt an. Im Hohen-Cremmen Raum gibt es verschiedene Requisiten, die Sonnenuhr im Rondell, den Teich, die Schaukel, den wilden Wein, die Platanen usw. Im Laufe der Romanhandlung kommen sie leitmotisch vor and gewinnen ihren Bildcharakter in der Reflexion der Heldin and der Nebenpersonen. Sie fungieren im direkten Bezug auf bestimmte Personen als Zeichen..Sie erfullen eine poetische Funktion in der Sichtbarmachung seelischen Geschehens, in der charakterisierung der Person, in der Untermalung der seelischen Vorgange and in der Vorausdeutung des Personenschicksals. Wie wir festgestellt haben, verleiht die poetische Funktion des Hohen-Cremmen Raumes die immanente Asthetik der dichterischen Wirklichke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