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멀티채널 3차원 마이크를 이용한 입체음향 처리 기술

        강경옥,이태진,Kang Kyeongok,Lee Taejin 한국음향학회 2005 韓國音響學會誌 Vol.24 No.2

        입체음향 시스템의 목적은 청취자에게 음원을 획득한 장소에 있는 것과 같은 느낌을 주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일반적으로 더미헤드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인간의 머리형태를 한 더미헤드의 특성 때문에 더미헤드를 통해 획득한 음원을 헤드폰을 통해 청취하는 경우 현장감을 느낄 수 있다. 하지만 더미헤드의 형태 및 크기는 공공장소에서 사용하기에는 제약이 있고 더미헤드를 통해 획득한 신호는 멀티채널로 확장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더미헤드를 구체로 간략화 한 후 구체 위에 다수 개의 마이크를 배치하여 입체음원을 획득하기 위한 멀티채널 3차원 마이크 기술에 대해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멀티채널 3차원 마이크는 구체 위의 수평면 상에 5개의 마이크를 배치하여 입체 음원을 획득한 다음 후처리 과정을 통해 헤드폰, 스테레오, 스테레오 다이폴, 4채널 및 5채널 재생환경 등에서 재생이 가능하다. 다양한 재생신호의 생성을 위한 후처리 과정은 많은 연산량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H/W로 제작하였다. 멀티채널 3차원 마이크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방향성 실험을 수행한 결과, 멀티채널 재생환경에서 더미헤드 기술의 단점인 전/후방 혼동현상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a spatial audio system is to give a listener an impression as if he were present in a recorded environment when its sound is reproduced. For this purpose a dummy head microphone is generally used. Because of its human-like shape, dummy head microphone can reproduce spatial images through headphone reproduction. However, its shape and size are restriction to public use and it is difficult to convert the output signal of dummy head microphone into a multi-channel signal for multi-channel environment. So, in this paper, we propose a multi-channel 3D microphone technology. The multi-channel 3D microphone acquire a spatial audio using five microphones around a horizontal plane of a rigid sphere and through post processing, it can reproduce various reproduction signals for headphone, stereo, stereo dipole, 4ch and 5ch reproduction environments. Because of complex computation, we implemented H/W based post processing system. To verily the Performance of the multi-channel 3D microphone, localization experiments were Performed. The result shows that a front/back confusion, which is the one of common limitations of conventional dummy head technology, can be reduced dramatically.

      • Nonnegative Matrix Partial Co-Factorization for Spectral and Temporal Drum Source Separation

        Minje Kim,Jiho Yoo,Kyeongok Kang,Seungjin Choi IEEE 2011 IEEE journal of selected topics in signal processi Vol.5 No.6

        <P>We address a problem of separating drum sources from monaural mixtures of polyphonic music containing various pitched instruments as well as drums. We consider a spectrogram of music, described by a matrix where each row is associated with intensities of a frequency over time. We employ a joint decomposition to several spectrogram matrices that include two or more column-blocks of the mixture spectrograms (columns of mixture spectrograms are partitioned into 2 or more blocks) and a drum-only (drum solo playing) matrix constructed from various drums a priori. To this end, we apply nonnegative matrix partial co-factorization (NMPCF) to these target matrices, in which column-blocks of mixture spectrograms and the drum-only matrix are jointly decomposed, sharing a factor matrix partially, in order to determine common basis vectors that capture the spectral and temporal characteristics of drum sources. Common basis vectors learned by NMPCF capture spectral patterns of drums since they are shared in the decomposition of the drum-only matrix and accommodate temporal patterns of drums because repetitive characteristics are captured by factorizing column-blocks of mixture spectrograms (each of which is associated with different time periods). Experimental results on real-world commercial music signal demonstr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P>

      • KCI등재

        File Format Design for Interactive Music Service

        Inseon Jang,서정일,Kyeongok Kang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11 ETRI Journal Vol.33 No.1

        This letter describes a file format designed for interactive music service where users are able to recompose music based on their own preferences. The proposed design utilizes the flexible features of the ISO base media file format (ISO/IEC 14496-12, ISO-BMFF). The techniques offered in the proposed file format enable compact storage and efficient preset management, allowing users to recompose music with ease and convenience. Additionally, an implementation scheme for an interactive music player is shown along with its results.

      • KCI등재

        멀티채널 오디오 서비스를 위한 지상파 DMB 미디어처리기 설계

        강경옥,홍재근,서정일,Kang Kyeongok,Hong Jaegeun,Seo Jeongil 한국음향학회 2005 韓國音響學會誌 Vol.24 No.4

        지상파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Terrestrial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T-DMB)은 7인치 화면에서 VCD급의 고화질 비디오와 CD급의 고품질 오디오를 이동수신 환경에서 제공하는 기술로서, 2005년도 중반부터 상용 서비스가 시작될 예정이다. 그러나, T-DMB 규격에서는 가용 대역폭의 제한으로 인하여 오디오 신호를 위한 대역폭이 128kbps로 제한되어 있으며, 모노와 스테레오 채널 서비스만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본 논문은 기존의 T-DMB 수신기과 역호환성 (Backward Compatibility)을 유지하면서 멀티채널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미디어처리기와 재생기 구조를 제안한다. 또한, T-DMB수신기의 다양한 스피커 환경에서도 최적의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도록, 멀티채널 오디오 콘텐츠를 재생환경에 맞게 적응시킬 수 있는 수신기 구조를 제안한다. 기존의 T-DMB 수신기와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멀티채널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하여 멀티채널 오디오를 위한 부가데이터를 메인 오디오 스트림의 종속 스트림으로 정의하였으며, 기존 T-DMB 시스템의 BIFS (Binary Format for Scene)를 수정하지 않고 부가되는 오디오 객체를 제어할 수 있는 OD (Object Descriptor) 구조를 제안한다. The Terrestrial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T-DMB) system supplies high quality audio comparable with VCD in 7 inch display and high quality audio comparable CD at the mobile reception environment T-DMB will launch commercial service at the middle of 2005. However the bandwidth for audio data and the number of channels are restricted to 128 kbps and 2 respectively in the current T-DMB standard because of the limitation of available bandwidth for multimedia data. This Paper Proposes a novel media processor structure for providing multi-channel audio contents oyer T-DMB system allowing backward compatibility with the legacy T-DMB receiver. Furthermore. we also Propose an adaptive receiver structure to supply optimal audio contents on various speaker configuration in T-DMB receiver. To provide multi-channel audio contents allowing backward comaptilbity with the legacy T-DMB receiver, the additional data for multi-channel audio are defined as a dependent stream of main audio stream. The OD strucure for control an additional multi-channel audio elementary stream is proposed without changing the BIFS of the legacy T-DMB system.

      • 고차 다채널 실감 오디오 서비스를 위한 MPEG 3D Audio 표준화 동향

        서정일(Jeongil Seo),강경옥(Kyeongok Kang),정대권(Dae-Gwon Jeong)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12 한국방송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2 No.7

        본 논문에서는 최근 MPEG 오디오 서브그룹에서 활발히 논의 중인 3D Audio 표준화 동향에 대해서 소개하고, 관련한 국내외 기관들의 기술개발 현황에 대해서 알아본다. MPEG 3D Audio 는 NHK 22.2 채널방송과 같은 실감 오디오 서비스를 고다채널(High-Order Multichannel)로 특징짓고, 이러한 서비스를 위한 다채널 오디오 부호화 및 복호화 기술과 다양한 출력채널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렌더링(rendering) 기술을 표준화 대상으로 규정하고 있다.

      • 몰입형 음향 환경에서의 헤드폰 스피커 조합 재생에 관한 고찰

        장대영(Daeyoung Jang),강경옥(Kyeongok Kang),이용주(Yong Ju Lee),유재현(Jae-hyoun Yoo),백승권(Seungkwon Beack)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23 한국방송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23 No.6

        MPEG 에서는 메타버스와 같은 VR/AR 응용에 사용할 수 있는 몰입형 음향 기술로서 MPEG-I Immersive Audio 표준 기술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MPEG-I Immersive Audio 기술은 객체기반 음원과 함께 공간의 기하학적인 정보 및 물리적인 정보를 메타데이터로 전송하여 렌더러에서 자유롭게 움직이는 사용자에게 가상공간에서 실제 공간과 유사한 경험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현재 헤드폰에 의한 바이노럴 재생 방법과 함께 멀티채널 스피커에 의한 재생 방법을 제공하고 있는데, 각각의 장점을 결합하여 보다 효과적인 몰입형 음향을 재생하기 위한 헤드폰과 스피커의 조합 재생 방안에 대하여 고찰하여 보았다. 향후 보다 향상된 몰입형 음향 재현을 위하여 조합 재생 방법이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