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논문]Operational Characteristics of CO2 Laser Adopted by Superposing-Discharge
Hee-Je Kim,Hyun-Ju Chung,Byoung-Dae Min,Jong-Han Joung,Sung- lun Park 釜山大學校生産技術硏究所 2003 生産技術硏究所論文集 Vol.62 No.-
오늘날 현저한 CO2 레이저의 응용 추세에 발맞추어 보다 다양한 형태의 출력 제어 기술이 대두되고 있다. 본연구에서는multi-Pulse Superposing-Discharge 기술을 이용하여 다양한형태의 CO2 레이저의 펄스를 성형 하였다. 펄스 성형을 위한 방법으로 PIC one-chip microprocessor를 이용하여 삼중 PFN 모률의 SCR을 각각 고유의 지연시간을 가지도록 제어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삼중 PFN 모률의 전원 회로는 각각 캐패시터 인덕터,SCR,고압 펄스 트랜스 그리고 고압 트랜스 2차측에 브릿지 정류기로 구성 하였다. 고압 펼스 트랜스의 1차측을 제어하므로서 PFN 모률의 동작을 저 전압에서 수행 할 수 있다. 트랜스의 2차측에 연결된 전파 정류기는 펄스 에너지를 부하에 지속적으로 전달한다. 본 연구에서는 삼중 PFN 모률의 각각의 SCR을 다른 시간 가격을 두고 트리거 하므로서 다양한 Long pulse shaping을 실현하였다. 또한 약 250-1000μs 의 주기를 가지는 다양한 펄스형 레이저 빔을 얻었다.
온쓸개관을 묶은 집토끼 위날문점막의 미세구조 연구. : Ⅰ. 날문부 표면점액세포 Ⅰ. Pyloric Surface Mucous Cell
박경호,오승종,고정식,안의태,박대균,정은주 순천향대학교 교수학습개발센터 2004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Vol.1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ultrastructural characteristic of the normal pylorus mucosa, and their structural changes induced by the ligation of common bile duct of the rabbit. Common bile duct ligation probably causes the dysfunction of the pyloric surface mucous cells that results in delayed mucous formation and secretion, but recovered mucous secretory activity is recovered on the late stages.
박순진,허건식,윤종대 龍仁大學校 武道硏究所 1998 武道硏究所誌 Vol.9 No.1
Various Katas have characteristics that the orders and methods of attack and defense was designed under agreement. Practicing Katas makes it possible to learn principles of various techniques and to acquire the techniques. These Katas are used for fair judgement and fair criteria to referee in game. Complex techniques have been analyzed and organized to have competitive martial arts from martial arts for training. Since various Kata have its technical implication with representing Kata of various train purposed martial arts, it should neither be criticized nor be modified with ease. Therefore Kata should be carefully studied with maintaining original factors and with organizing Kata for new technique.
저장유통 조건에 따른 1.000 mL 카톤팩의 벌지현상
박종대,정관섭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 구 한국농산물저장유통학회 ) 2003 Food Science and Preservation Vol.10 No.3
저장온도에 따른 1,000 mL 카톤팩의 벌지를 측정하기 위하여 원지 board의 물성을 측정하고, 저장온도에 따라 벌지를 측정하였다. 카톤팩 원지의 함수율은 5.6~7.0%, stiffness는 MD(machine direction) 방향이 243.3~266.7 g/㎝, CD(cross direction) 방향이 99.2~109.2 g/㎝ 였다. 카톤팩 낱장의 중량은 29.17~31.26 g이었다. 6℃에 저장하면서 벌지를 측정한 결과, 저장 7일 후 6.33~6.93 ㎜였다. 10℃에 저장하면서 벌지를 측정한 결과, 저장 7일 후 7.26~8.56 ㎜였다. 10℃에 저장하면서 매일 1시간씩 상온 shock 처리 후 벌지를 측정한 결과, 저장 7일 후 8.66 ㎜였다. 저장온도 조건에 따른 카톤팩의 벌지는 6℃<10℃<10℃+상온 shock 순으로 증가하였다. 따라서 벌지 예방의 최선책은 원지 및 카톤팩의 보관 및 관리 철저, 그리고 충전 후 냉장유통 과정에서 온도변화를 적게 해주는 것이라고 사료되며 본 실험결과가 카톤팩 벌지에 대한 최초의 연구보고라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btain physical characteristics of paper board and to measure bulge of 1,000 mL carton pak by different storage conditions. Water holding capacity of paper boards were mean of 5.6∼7.0%, stiffness of machine direction(MD) was 243.3∼266.7 g/㎝ and cross direction(CD) was 99.2∼109.2 g/㎝, respectively. The weight of 1,000 mL carton pak were in the range of 9.71∼31.26 g. The bulge of carton paks were 6.33∼6.93 ㎜ after 7 days at 6℃ storage, 7.26∼8.56 ㎜ after 7 days at 10℃ and was 8.66 ㎜ after 7 days at 10℃ treated with 1 hour heat shock per day, respectively. According to this result, the bulge length of 1,000 mL carton pak was showed increased pattern upon increasing the storage temperature and the order was 6℃ < 10℃ < 10℃ + heat shock. To prevent bulge occurrence, it was thought to control storag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paper board or carton pak and to minimize their shock on cold chain system after filling process.
웨이블렛 변환을 이용한 수기문서저장 시스템에 관한 연구
박종현,박순영,고형대 목포대학교 정보산업연구소 2000 情報産業硏究誌 Vol.8 No.-
본 논문에서는 입력된 데이터로부터 공간-주파수(spatial-frequency) 영역에서의 분석에 용이한 웨이블렛 변환(wavelet transform)을 적용하여 특징벡터를 추출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화한 수기문서 저장 시스템에 관한 연구를 제안하였다. 일반적으로 흘림체로 쓰여진 수기문자를 높은 정확도로 인식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대형 병원의 처방전달 시스템에 적용하여, 처방전을 데이터베이스에 자동 입력하고 빠르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하여 효율적인 의료처방전달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있다. 제안된 의료처방전달 시스템은 수기문서인식 시스템과 데이터베이스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수기문자인식은 입력 문자영상에 고효율의 영상 압축기술인 웨이블렛 변환을 적용하여 압축한 문자영상에서 17종의 인식인자(factor)들을 추출한 후 이들의 특성을 분석하여 문자를 인식하였다. 실험 결과 웨이블렛 변환에 의한 공간-주파수의 분석에 의해 효율적으로 입력 데이터에 대하여 특징벡터를 추출할 수가 있었으며 시스템의 효율성을 분석할 수가 있었다.
발달장애학생의 수학과 학업성취도 평가 프로그램 개발 및 검사조정 효과에 관한 연구
박성우,김용욱,김종문,김은주,우정한,이대식,정주영 국립특수교육원 2005 연구보고서 Vol.- No.3
장애 학생들이 졸업 후 지역사회에서 동등한 시민권을 가진 성인으로 살아가기 위해 또한 자신의 삶을 주체적으로 살아가기 위해서는 학령기부터 이와 관련된 지식과 기능의 조화로운 습득은 필연적이라 할 수 있으며, 특수교육의 실천 또한 이를 위해 그 동안 많은 노력들이 있어 왔었다. 그러나, 기능중심교육과정이 특수교육에 도입된 이래 장애학생들의 기능적인 측면에 비해 장애학생들의 학습능력에 대한 평가적 접근은 상대적으로 미약하였고, 이러한 경향성은 특히 지적 발달이 열약한 정신지체나 정서장애 및 학습장애 영역에서 보다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물론 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평가한다는 것은 기능적 접근에 비해 매우 힘든 과제이며, 이러한 평가 결과들이 발달장애학생들의 약점을 강조하게 될 위험 또한 배제할 수 없으며, 학업성취도에 대한 평가 결과가 곧 특수교육의 성과를 판단하는 결정적인 지표는 될 수가 없을 것이다. 그러나 평가가 어렵다는 이유로 발달장애학생들이 교실에서 배운 학습에 대해 자신이 어느 정도의 성취를 이루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없다면, 이는 곧 학교 교육의 불균형적 발전뿐만 아니라 교육의 중요한 단계에서 최소한 보장받아야 할 그들의 공정한 평가 기회에 대한 권리를 박탈하고 있는 것이라고 봐야할 것이다. 이에 국립특수교육원에서는 발달장애학생들을 대상으로 2004년의 경우 학업성취도에 대한 현장의 실태와 이에 대한 관련인들의 인식수준을 조사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2005년도에 발달장애학생들의 효율적인 학업성취도 평가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기본 지침 하에 이 연구는 크게 발달장애학생들을 위한 평가 프로그램의 개발과 검사조정의 효과 및 검사조정에 대한 인식조사의세 영역을 중심으로 수행하였다. 먼저 평가프로그램의 개발은 교육현장에서 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지속적으로 평가하고 누가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평가 체제를 지원하는데 있으며, 교육과정중심의 사정에 의한 교사 중심의 간접 평가로 볼 수 있다. 두 번째의 주요 연구는 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평가를 위한 검사조정의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발달장애학생 개개인의 욕구와 능력에 따른 평가 방법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전술한 평가 프로그램의 개발이 교사 중심의 간접평가로 본다면 검사조정을 통한 평가 접근은 학생 중심의 직접 평가로 볼 수가 있다. 마지막으로 수행된 검사조정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수준 조사는 발달장애학생에게 직접 검사조정을 통해 평가를 실시한 교사들을 대상으로 검사조정의 집단 간 차이 외에도 현장의 적용 가능성을 보다 신빙성 있게 지지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확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004년에 실시된 검사조정의 효과에 대한 인식 조사가 발달장애학생들의 평가 적용에 앞선 교사들의 기대치로 본다면, 2005년에 실시된 검사조정에 대한 인식조사는 현장에서 직접 실시해 본 결과에 따른 실제적 인식 조하였다는데 그 차이를 둘 수 있다. 연구 규모는 유층표집에 기초하여 경기도 소재 10개 지역교육청의 241개 특수학급을 대상으로 초3 214명, 초4 259명, 초5 213명, 초6 186명 등 총 872명이 검사조정 실시 집단과 미실시 집단에 배치되었고, 인식조사의 경우 검사조정을 실시한 교사 120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이에 따른 연구의 결론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1. 발달장애학생 수학과 학업성취도 평가 프로그램 발달장애학생의 학업성취도를 누가적으로 평가하고 관리하기 위해 한국선진학교에서 고안한 평가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수학과 하위영역별로 평가내용을 재구조화하였다. 현재 7차 수학과 기본교육과정에서 제시해 놓고 있는 목표들은 교사의 재량권을 최대한 부여할 수 있다는 강점도 있으나, 목표 제시 형태가 다소 추상적으로 기술되어 있고, 제시된 목표를 어떠한 과제 수행을 통해 평가할 것인지가 모호하기 때문에 그 활용성에 대해 적지 않은 의문이 제기되어 왔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수학과 기본교육과정을 구성하고 있는 5개영역 다시 말해, 수, 연산, 도형, 측정, 표와 그래프에서 제시하고 있는 하위 영역별 및 수준별로 학교 현장에서 평가 가능한 내용들을 협력 교사들을 통해 우선적으로 선정한 뒤 이를 현장 교사의 검증 단계를 거쳐 수정 및 보완하여 하나의 하위 목표 당 5개씩의 구체적인 평가 내용을 제시하였다. 현재 제작된 프로그램의 경우 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도 수준을 시각적으로 쉽게 파악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체계적인 누가 관리가 가능하며, 수학과 외에도 기타 교과에도 적용이 용이하다는 강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평가 결과가 계량화되기 때문에 발달장애학생들의 현재 수행목표에 대한 기술이나 단기 목표의 설정 시 매우 유익한 정보를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교육과정 중심의 평가에 근거하기 때문에 학습 진도에 따른 체계적인 학습 관리가 가능하다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학업성취도 평가 프로그램의 활용을 통해 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평가에 대한 관심의 증가와 더불어 보다 과학적인 접근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며, 이를 통해 현장에서 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평가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들이 활성화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2. 검사조정의 빈도와 분할 정도 및 검사조정의 효과 발달장애학생들에게 적용된 검사조정의 빈도와 분할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초등부 3, 4학년의 경우 대독과 지시문 설명의 두 가지의 혼합형태에 대한 조정유형이 가장 많았던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반해, 초등부 5, 6학년들은 단일의 지시문 설명에 대한 조정 유형이 가장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발달장애학생들의 생활연력의 증가에 따른 학습경험의 양과도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을 것으로 추론되며, 개인의 인지능력 또한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분할시험의 빈도는 전 학년에 걸쳐 ‘2회 분할 실시’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초 3의 경우 ‘3회 실시’가 그 다음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는데 반해, 초등부 4, 5, 6학년은 ‘1회 실시’가 2순위로 나타나 저학년일수록 분할시험의 빈도가 높고, 고학년으로 갈수록 분할 빈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검사조정 효과에 있어서도 전 학년 모두 수, 연산, 측정, 표와 그래프 영역에서 검사조정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검사조정을 실시하지 않은 비교집단보다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높은 정반응을 나타내었으나, 도형 영역에 대한 평가에 있어서는 초등부 3, 4, 6학년의 경우 집단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데 반해 초등부 5학년은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정반응이 높게 나타나 학년 간에 다소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에 대해 뚜렷한 인과관계는 구명하지 못하였으나, 이 연구의 경우 연구목적이 학년차를 보는 것이 아니라 학년별 경향성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었기 때문에 피험자의 선정 기준만 제시하였을 뿐 연구 결과에 형향을 미칠 수 있는 연령이나 지능 등의 외래변인들은 엄격하게 통제하지는 못하였다. 다시 말해 대상학생들의 선정 시 발달장애학생들의 다양한 개인내차와 개인 간 차를 충분히 고려하기에는 현실상 적지 않은 어려움이 있었고, 이러한 피험자 선정의 다양성으로 인해 평가 문항에 대한 검사조정 유형 또한 어떤 개인에 따라서는 부적절하였을 수도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현재의결과는 집단 배치에 따른 피험자들의 개인차와 평가문항의 독특성에서 귀인된 것으로 추론되며, 차후 연구에서는 이를 고려한 재점검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전 학년 모두 수학과 기본교육과정에 대해 검사조정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실시하지 않은 비교집단보다 전반적으로 높은 정반응을 나타내고 있어 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평가 시 개인 간 차와 개인내차를 고려한 검사조정적 평가방법이 매우 유용하고 현실적일 수 있음을 간접적으로 시사하고 있다. 3. 검사조정 효과에 대한 교사 인식 조사 발달장애학생들에게 적용된 검사조정적 평가방법에 대한 인식에 있어 대부분의 현장교사들이 이번에 실시된 평가방법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내었다. 즉, 직적 평가를 담당한 교사들의 경우 기존 평가시스템에 비해 이번에 실시된 검사조정적 평가방법을 통해 발달장애학생들이 수학과 기본교육과정에서 제시된 목표들을 어느 정도 달성하였는지를 확인하는데 도움이 된 것으로 진술하였고, 평가에 대한 흥미도와 평가 시간의 단축, 평가의 수월성과 적극성, 평가문향에 대한 이해도, 문제해결력과 평가의 실제성에 있어서도 매우 긍정적인 것으로 평가하였다. 이외에도 검사조정적 평가 접근이 통합학급 내에 배치되어 있는 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평가하는데 있어서도 매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었고, 차후 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평가 시 다양한 검사조정을 통한 평가 방법들이 모색되고 실천되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지금까지 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평가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취지와 활용방법, 검사조정 유형 및 분할빈도, 검사조정을 통한 평가의 효과 및 검사조정에 대한 현장교사들의 인식수준에 대해 살펴보았다. 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대한 평가적 의미는 단순히 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 수준을 계량화한다든지, 어떤 서열 매김을 위한 차원을 넘어서 학교 교육의 책무성 강화와 더불어 개인의 학습권을 보장하기 위한 일환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학교가 장애학생들의 여러 가지 신체적 ㆍ정신적 어려움을 이유로 이들의 학업성취도 평가에 대한 접근을 간과할 경우 이는 또 다른 분리를 의미하며, 지금까지 특수교육에서 강조하여왔던 통합교육의 접근이 형식적이었다는 것을 스스로 자인하는 결과로 밖에 볼 수 없다. 물론 지금까지 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평가를 위한 어떤 체계적인 평가시스템이나 평가에 대한 심각한 고민조차 이루어지지 않았던 상황에도 불구하고 관찰이나 자작 검사지, 체크리스트, IEP 등을 통해 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평가하고 점검하기 위한 현장의 노력들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으나, 과연 이러한 평가 방법들이 학교 교육에서 어떠한 교육적 가치를 부여하는지 혹은 어떤 목적으로 활용되고 지원되어 왔는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의문의 남을 수밖에 없다. 실제적으로 발달장애학생 개개인의 학업성취도를 보편적인 입장에서 접근한다는 것 자체가 모순일 수 있으나, 이들이 장차 지역사회에서 동등한 시민권을 가진 성인으로 살아가기 위해서는 기능과 지식 중 어느 하나도 간과되어서는 안 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평가에 대한 접근은 평가 기회의 공평성과 더불어 이들이 장차 성인기 생활에 성공적으로 적응하는데 필요한 그리고 개인의 능력에 적합한 최소한의 학업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전술된 내용들을 기초로 하여 향후 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평가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이 연구의 경우 연구 목적과 연구 설계의 특성상 집단배치에 따른 피험자의 동질성을 제대로 확보하였다고 보기에는 어렵다. 물론 피험자 선정에 필요한 단서 조항을 제시하기는 하였으나, 이를 통해 집단간 피험자들의 동질성이 확보되었다고 보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으며, 이에 차후 연구에서는 피험자의 동질성 확보에 따른 보다 구체적인 연구 설계가 요구 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이 연구의 경우 검사조정을 통해 초등부 발달장애학생들의 전반적인 학업성취도의 변화는 살펴보았으나, 중학부나 고등부에 재학 중인 발달장애학생들에게 현재의 연구 결과를 그대로 반영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이에 차후 연구에서는 초등부 이상의 과정을 대상으로 검사조정을 통한 평가의 효율성을 지속적으로 점검해나갈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이 연구의 경우 발달장애학생들을 대상으로 검사조정의 평가효과를 보편적인 입장에서 구명하였으나, 현재의 결과들이 모든 발달장애학생들의 개인 간 차와 개인내차를 고려한 일반화된 결과로 보기에는 어렵다. 다시 말해 발달장애학생들의 경우 개개인의 능력과 선호가 다르기 때문에 이 연구의 결과는 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평가 시 기초 정보로서는 유용하나ㅡ 어떤 학생들의 경우 현재의 연구에서 실시된 검사조정 방법외의 다른 대안적 평가 방법들이 요구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차후 연구에서는 장애영역별 하위 특성에 따른 평가 방안들을 보다 구체적으로 탐색해볼 필요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셋째, 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평가의 목적에 대한 재정립과 제고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지금까지 평가에 대한 대부분의 인식이 개인을 서열화 하는데 적용되어 왔음을 부인할 수 없으며, 이러한 평가 형식은 발달장애학생들에게는 전혀 무익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발달장애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평가적 접근은 개인내차에 초점을 두고 학생의 능력과 욕구에 근거한 학습기회를 제공해 주는데 그 목적을 두어야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발달장애학생들의 평가 기회의 공정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장애 개인의 능력에 적합한 검사 조정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이에 어떠한 검사조정의 제공이 장애 개개인에게 적합할 수 있는 지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더불어 현장에서의 역동적인 실천 또한 협력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develop mathematic achievement program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o find out the test accommodation effects of this program.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872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472 students and the control group was composed of 400 students. 120 teachers who taught students in experimental group took part in the perception survey on test accommodation effects. The result of the study are as follows : First of all, after discussing teachers about the contents of the mathematical curriculum, five fundamental fields in the mathematical curriculum - number, operation, diagram, measurement, graph- were selected, verified by the teachers, and then modified. After that five evaluation contents were suggested per each lower objective. By using this program teachers could manage and evaluate mathematical achievement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teadily and accumulatively. In addition, this program could enable teachers to develop IEP and describe students' achievements. Second, test accommodations that teachers used the most were to explain imperative sentences and read questions in third and fourth grade students. In case of fifth and sixth grades, explanation of imperative sentences were use the most. Third, most teachers in experimental groups were positive to test accommodation methods. This results suggested to develop various ways to evaluate mathematical achievement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continuously. This study also suggested to guarantee learning right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s well as reinforce teachers' accountability in the public education. At the same time, teachers should consider inter and intra-individual difference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inally the steady endeavors to assess their performance and develop many kinds of useful way test accommodation are needed.
Silver 처리한 Ceramic을 첨가한 PE film으로 포장된 김치의 저장성
박찬영,은종방,김종대 全南大學校 農業科學技術硏究所 1996 農業科學技術硏究 Vol.31 No.-
The quality changes of Kimchi packaged with LDPE(low density polyethlene, thickness 30㎛), AC30(added 3% ceramic and treated with silver in LDPE, thickness 30pm), AC60(added 3% ceramic and treated with silver in LDPE, thickness 60㎛) were studied during 10 days storage at 20℃.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increased rapidly until 4 days of storage and decreased thereafter.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was not different among packaging materials at the end of storage. Swelling in film bag of packaged Kimchi was not developed, not like being observed other packaging materials. Changes of pH, acidity and soluble solid contents in packaged kimchi were little differences among packaging materals during storage at 20℃. Number of lactic acid bacteria, content of vitamin C and sensory evaluation in packaged Kimchi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packaging materials. Unlike being expected, quality of Kimchi packaged with AC30, AC60 were not different from LDPE and shelf life of Kimchi was not extened. However, taste of Kimchi packaged in AC30 was better than LDPE by sensory evaluation after 4 days storage and swelling of its package was not shown. To extend shelf life of Kimchi using packaging materials we need to study for improvement of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packaging materials and development of materials for active packaging
밝은社會를 指向하는 指導者 Leadership에 關한 硏究 : 새마을 指導者를 중심으로 With Reference to the Saemaeul Leadership
朴淳永,申大淳,趙萬濟,金旭卿,金種垠 慶熙大學校 1980 論文集 Vol.10 No.-
The Saemaeul Undong was launched in 1972 on the basis of the experimental model or Saemaeul pilot projects of the previous year. The Saemaeul Undong is now a nation-wide movement which is based on the fundamental spirits of diligence, self-help and cooperation. Much of the success of the Saemaeul Undong depends on its leaders, who play a pivot role in implementing Saemaeul projects for their community. Popularly elected by the village assembly according to their leadership and faith, the leaders render their services without remuneration, working in the spirit of self-sacrifice. Now, the Saemacul Undong enters upon its tenth year in 1981. If the movement is to continue with renewed momentum, effective training projects for Saemaeul leaders must be worked out. For this purpose, it is then recommended that the research works on the leadership training projects of the Bright Society Movement be referred to. Initially started as a community movement for better life on the campus of Kyung Hee University in 1960's, the Bright Society Movement is now gaining widespread support from national as well as international club members. The goals of the Bright Society Movement are to promote mutual understanding and friendship among members and to construct on earth a truly sound and civilized welfare society that is spiritually beautiful, materially affluent, and humanely rewarding. The main objectives of this study is to propose effective training projects for Saemeaul leaders as well as the Bright Society leaders. 1) Educational courses of leadership training should be offered through the school as well as through the training institution of the community. 2) Educational contents of leadership training should place greater emphasis not only on the spiritual education but also on the technical and practical education related to the welfare of the Community. 3) Public relations education should be strengthened because leaders must work in close cooperation with the community residents for the effective movement. 4) Long-term integrated projects for the community or village unit should be established and the movement should be developed according to them. 5) A special system of regional itinerant education should be established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selective leaders. 6) For the welfare of leaders themselves, special favors such as the authorization of leadership careers, scholarships for their sons and daughters, discounts on public charges and the priority on public employment must be offer according to their respective performance.
박노국,이종욱,이승철,이종대,류시옥,이태진 영남대학교 공업기술연구소 2000 工業技術硏究所論文集 Vol.28 No.2
The zinc titanate sorbents(ZTG40) were prepared and the tests for durability and attrition resistance were carried out to develop the highly effective desulfurization sorbents. In the attrition tests for ZTG40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ttrition resistance was 94.08% and that the sulfur capacity was maintained above 15g S/100g sorbent throughout the 100-cycle test, its maximum being 23.05g S/100g sorbent. As compared to sorbents developed by the developed countries, ZTG40 showed superior performances. In the advanced countries 15g S/100g sorbent is a yardstick of excellency for the sulfur capacity of desulfurization sorbents. Therefore, ZTG40 developed in this study has the desirabl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for fluidized desulfurization of coal gases.
칼투라 비디오 서버를 활용한 비디오 사이트 개발 및 웹앱 개발
박종대 배재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2013 自然科學論文集 Vol.24 No.1
We have developed a video site and mobile web app using Kaltura video server. The mobile web app was packaged to a hybrid app using Phonegap. Users can upload videos via desktop computers or mobile devices and search videos as can be done in Youtube site. The developed site can be used as a video repository or a video community site and the web-app can be used for uploading videos from mobile devi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