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제 강점기 정재 침탈 양상 고찰 -광교기생조합의 공진회(1915) 정재 창사를 중심으로-

        강혜정 ( Kang Hye-jung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0 民族文化硏究 Vol.88 No.-

        본고는 『신문계(新文界)』 제3권 9호(1915년 9월호)에 광교기생조합의 정재(呈才) 창사(唱詞)가 수록되어 있다는 것을 학계에 보고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창사의 제작자를 추정하고, 창사의 내용적 음악적 특성을 분석하여, 본 창사 발견의 의의를 논의하고자 한다. 고려부터 조선조 내내 궁중에서 공연되었던 정재는 음악 반주에 맞춰 춤을 추다가 노래하는 歌舞樂이 결합된 종합예술이다. 특히 정재 중에 부르는 노랫말(창사)은 춤이나 음악보다 더 구체적으로 정재의 의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해 왔기에 주목된다. 경술국치 이후 정재는 더이상 궁에서 연행되지 못했다. 정재를 담당했던 기생들은 기생조합을 결성하고 극장이나 요리점에서 일반인을 대상으로 공연하였고, 정재는 대중예술로 변화해갔다. 1910년대에는 이렇게 연행 여건이 급변 하면서 정재 공연에도 급격한 변화가 있었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관련 자료가 남아 있지 않아 정재사의 공백기로 남아 있었다. 1915년에는 일제의 식민통치5주년을 기념하는 시정오년기념 조선물산공진회(始政 五年記念 朝鮮物産共進會)가 경복궁에서 50일간 열렸는데, 광교조합과 다동조합은 매일 이곳에서 번갈아 가며 정재 공연을 하였다. 당시 『신문계』는 공진회 기념호를 발간하여 공진회에서 공연하였던 광교기생조합의 정재 창사를 수록하였다. 이 기사의 작성자 는 ‘太華山人’이다. 이는 최영년의 필명으로 알려져 있지만, 그의 아들 최찬식일 가능 성도 열어 두어야 한다. 『신문계』에는 총 10종목의 정재 창사가 수록되어 있다. 정재 명을 보면 모두 전통적으로 궁에서 연행되었던 것이지만, 그 창사는 전혀 다르다. 즉 공진회를 앞두고 새로 만들어진 창사이다. 창사는 당대를 태평성세로 인식하고 일본 천황과 총독을 칭송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친일 창사는 계락, 우락, 편 등 가곡창의 악곡에 얹어 부르게 하였다. 또한 ‘靈’으로 부르는 곡도 있는데 이는 <靈山會上>의 선율에 얹어 부르는 것으로 추정하였다. 이 자료의 발견으로 인해 일제 강점기 정재 창사가 어떻게 왜곡되었는지 그 단면을 파악하고, 대중문화로 변모 하면서 어떠한 변화를 꾀했는지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paper analyzes the Giseng (female entertainer)’s court song lyrics found in Shin moon gye (新文界) vol. 6 no. 9 (1915. Sep.). First, the court songs’ lyricist must be identified and the musical characteristics must be examined to discover the lyric’s true intentions. From the Koryo to the Josun age, the Jungjae (呈才) was originally intended to perform directly for the royal family, acting as the palace’s main source of entertainment-the Jungjae is a composite art that instructs to dance with the background instrumentals and sing without. The song lyrics of the Jungjae must be highlighted as they perform a significant role in illustrating the true purpose of the Jungjae. Post annexation, the Jungjae was removed as a court ritual. Thus, the Gisengs assigned to the Jungjae formed a union to continue as a group independent of the royal family. The union now performed for the general public, in places such as the theatre and restaurants. The Jungjae displayed a trend of popularization-entertainment for the ordinary. Considering the stage for the Jungjae suddenly changed drastically, there are reasonable suspicion for changes in the Jungjae performance itself also. However, no records have been discovered that support such a position, leaving a gap in the Jungjae history. In 1915, the Japanese’s celebration of the annexation, known as the ‘1915 Expo (施政 五年記念朝鮮物産共進會)’, initiated at the Kyungbok palace (景福宮), which would continue for 50 more days. The Gwangyo (廣橋) union and Dadong (茶洞) union performed the Jungjae at this event on alternating days. At the time, Shin moon gye published a special edition magazine dedicated for the 1915 Expo; the author with the pen name ‘the man living in the Tae wha mountain (太華山人)’ recorded the Gwangyo giseng union’s the Jungjae performance lyrics on this magazine. The author is widely accepted as ‘Choi youngnyun (崔永年)’, but we must consider the possibility of Choi youngnyun’s son, Choi chansik (崔瓚植), as a candidate for the true author. In Shin moon gye, there is recorded a total of 10 different performances of the Jungjae. Examining the title of each of the Jungjae performances, we can infer that all 10 performances correlated with those originally presented for the royal family. However, the lyrics are different for each of the performances. Thus, we can infer that these lyrics were newly created to perform at the 1915 Expo. The new lyrics acknowledge the current world as the paradise and praised the Japanese King& Chongdok. Additionally, there is a song called ‘Young (靈)’ which is presumed to be sung along the melody of ‘Young San Howi Sang (靈山會上)’. In discovering this record, the paper seeks to unveil why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version of the Jungjae was altered and how the Jungjae changed in accordance with its changing audience.

      • KCI등재

        獻仙桃에 대한 考察 : 文獻을 中心으로

        孫貞姬 한국무용연구회 1982 한국무용연구 Vol.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clear concept on “Dong-Ak-Jung-Jae” (Chinese music-styled court singing and dancing) by comparatively analyzing contents, forms and various elements of “HEON SUN DO” which belongs to “Dang-Ak-Jung-Jae” among traditional court dances, and also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the revival of old court singing and dancing which has been handed down only through document, by resorting “Heon Sun Do” to it’s original form through reviewing of it’s general forms and characteristics. In the changing process and structure of “Goong-Joong-Jung-Jae” (court singing and dancing), it is considered that each work of court singing and dancing has a racial character rising above an unique expression of feeling, and oriental thought of philosophy of “Eum Yang Five Elements” dwells in the ceremonial procedures and framework itself, and that form of dance is characterized by it’s courtesy, slow tempo and it’s meaningful, free use. The “Goong-Joong- Jung-Jae” is classified into two parts of “Hyang-Ak-Jung-Jae” (Korean traditional music style) and “Dang-Ak-Jung-Jae” (Chinese music-styled singing and dancing). The contents of “Heon-Sun-Do”, a typical dance of “Dang-Ak-Jung-Jae are that Wang-Mo comes down from the fairy land to present the fairy land’s pcaches to the King to pray for long living of the King. In the form of dancing motion, the first KuHo of the ceremony is announced by 2 Bongjuk- Kanja (ceremony processors who are playing a role of guide for dancing), then stands facing inward each other. Then, 1 Kisaeng (youth or juniors are preferrable) gives fairy land's peach tray to Wang-Mo, and Wang-Mo faces westward, singing words of song in Chinese characters. Thus, all procedures for ceremony to announce the beginning of dance are just finished. Now, they start dancing in full scale. First, all of dancers return to their original form, performing various dances, such as “Sasu-Mu”, “SuboRock-Mu”, “Hyupsu-Mu”, etc, and singing words of other songs between some intervals of dancing. After that, facing forward, Bongjuk-Kanja announce “after-KuHo” by saluting that the dancing was finished, and all of dancers move backward. I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music journal “Koryo-Sa-Ak-Chi”, “Ak-Hak-Kwe-Bom” and “Goong-Joong-Jung-Jae-Mu-Do-Hol-Gi” (at the end of Yi Dynasty), some music used for the subject dancing is found to be of the same name of melody (or tune) and some others are found to be of different name of tune. However, the details on the forms and contents of music are unknown, because it was not shown in old documents. Therefore, the forms and contents of music used depend upon common name and pen name which were established by the National Classical Music Institute. Moreover, “KuHo-Chio” and “Chio” of “Koryo-Sa-Ak-Chi” were divided into “before- KuHo" and “after-KuHo” since “Music Standard”, and the “Jakkan-Ja” announced it in such way, and sang it in the abridged form of contents. “Won-Mu” (dancing team consists of 3 dancers), 1 “Wang-Mo” (Sun-Mo shown in “Goong-Joong-Jung-Jae-Mu-Do-Hol-Gi”), 2 “Hyup- Mu”, and “Bongwi-Eui” consists of 18 members. Moreover, we can easily understand that costumes and ceremonial things for them are found to be the same one as in other “Jung-Jae” in most cases. However, many changes for dancing motion and forms had been made due to the contemporary performance situation, especially in it’s contents. Moreover, we are unable to compare such changes in detail because there are not records in documents for it. As commented above, it is well concluded that, some changes has been made for “Heon Sun Do” during the period from “Koryo-Dynasty” to “Chosun-Dynasty”, including changing of names, singing it in the abridged form of song words and changing of music, especially in con¬tents and forms. However, it is considered that “Heon-Sun-Do” is a typical “Dong-Ak-Jung-Jae” which preserves it’s original form without being much changed both in it’s contents and forms.

      • KCI등재

        방정환의 소설 「流帆」 연구

        장정희(Jang, Jung-hee) 한국근대문학회 2015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6 No.2

        이 논문은 방정환의 초기 소설 「流帆」(흘러가는 돛)이 지닌 문학사적 위치를 진단하고 재평가를 시도한 연구이다. 「유범」은 『개벽』창간호에 ‘목성’이라는 필명으로 발표한 소파 방정환의 소설이다. 본고는 1919년 3 · 1운동 이후, 이를 소재로 취한 최초의 항일 저항소설로서 방정환의 소설「유범」을 재평가하였다. 이 소설은 표층적으로는 연애서사를 다루고 있지만, 학생들의 비밀결사 활동과 3 · 1 만세운동과 관련된 서사를 은닉시키고 ‘독립’에 대한 서사 욕망을 뚜렷하게 부조해 낸다. 본고는 방정환의 소설 「유범」에 내포된 항일 저항적 성격을 밝히기 위해 ‘서사 공간’과 ‘서사 전략’의 측면을 나누어 분석하였다. ‘서사 공간’에서는 일제에 의해 삭제된 ‘4행’의 시편에 내포된 ‘독립’ 기표화의 전략과 소설의 무대가 된 인상산 ‘곱은성’의 지리학적 상상력에 대해 논의하였다. ‘서사 전략’의 측면에서는 「유범」에 나타난 은어의 양상을 검열 제도와 관련지어 해석하고, 소설에서 제시되고 있는 ‘오후 2시’ 기표를 ‘3 · 1운동’ 당시 ‘조선독립선언’을 발표하던 시점과 결부하여 해석하였다. 은어의 사용, 생략적 대화, 시간 축약, 공간 암시, 지시 대상의 생략 등 「유범」의서술 기법을 분석하였다. This study makes a diagnosis of the literary position that「Yoo-bum」(a flowing sail), Bang Jung Hwan"s early fiction has. And this study attempts to revalue it.「Yoo-bum」was the only fiction that the first issue of『Gae-byuk』 contained. It was also the first work of fiction that was dealt with of students" secret society activities and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since the March First movement of 1919. It was published under a pseudonym of "Moksung’(the shepherd of stars), when the publication was made. So this work did not become well known as Bang Jung Hwan"s fiction in the history of general literature. In the mean time,「Yoo-bum」, Bang Jung Hwan"s fiction has been studied on the level of "a love story" several times. But the resistant elements to Japan of this fiction has actually been ignored. In fact, this fiction was equipped with the narrative that internalized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Lots of works have been produced in large quantities since Korea"s emancipation. However, the status of the korean literature history of this fiction is unrivaled in terms of nerrativizing those themes in the censorship of Japanese imperialism since the March First movement of 1919. Most of all,「Yoo-bum」was also the only writing that cinematized the word of "independence" for the polling booth in the middle of going through the whole of the first issue of『Gae-byuk』. Having views on these points, this study analyzes how Bang Jung Hwan internalized his narrative desire of "Bang Jung Hwan(an intellectual as well as a young man at that time)"s independence" in his fiction「Yoo-bum」. This study analyzes the implied narrative techniques such as the use of jargon, an elliptical talk, time short, omission of the subject to instructions which 「Yoo-bum」practically used while it stood against the system of the censorship of Japanese imperialism. And this study illuminates the literary value of「Yoo-bum」 as the first anti-Japan fiction resistance since the March First movement of 1919. On discussing these things, this study examines the organic relevance between the preparation process of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and Bang Jung Hwan"s experiential narrative in terms of a cultural history.

      • KCI등재

        오정희 소설에 나타난 ‘걷기’의 의미

        강유정 ( Kang Yu-jung ) 배달말학회 2018 배달말 Vol.62 No.-

        오정희의 소설은 존재의 심연, 삶에 내재한 갈등과 모순, 욕망과 안정의 이분법을 보여주었다. 아름다운 문장과 심오한 세계관이 담긴 오정희의 작품들은 지속적 연구와 평론의 대상이 되어 왔다. 오정희의 소설은 내면적인 인물의 일상을 통해 삶의 비의와 아이러니, 한 마디로 규정하기 어려운 생의이면을 보여주곤 했다. 그런데, 역설적이게도, 오정희 소설의 철학적 깊이와 내면적 사유는 오정희 소설에 등장하는 인물들이 대부분 여성임에도 불구하고 그 차별성을 간과하는 이유가 되기도 했다. 최근에 와서 여성 인물에 주목하고, 여성성의 지표를 다시 보는 여성학적 독법이 늘고 있기는 하지만 이러한 여성학적 연구와 기존의 존재론적 연구가 분리되어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이 과정에서 여성은 존재론적 결핍, 존재론적 심연과 같은 언어들로 희석되며 그 차별성을 잃고 만다. 성차에서 비롯되는 첨예한 갈등과 문제의식이 인간으로서의 본원적 갈등으로 중화되는 것이다. 주목해야 할 점 중 하나는 오정희의 소설에 유독 걷는 여성들이 자주 등장한다는 것이다. 이 걷기는 단순히 집으로 돌아오기 위한 귀환의 통로로 여겨지곤 했지만 오정희의 소설 안에서 ‘걷기’의 의미는 훨씬 더 풍부하고, 다양하다. 여성의 삶이 처한 곤궁과 어려움, 한계, 사회적 억압이 드러나는 것은 걷는 동안, 길 위에서라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오정희 소설의 걷는 여성을 추적하고, 그 의미를 구분하고 해석함으로써 오정희 소설의 걷기의 의미와 상징성을 재구성하고자 한다. 남성에게 있어 걷기는 성장의 배경이며 자아 정체성을 찾는 육체적 고행내지는 수련 과정과 동일시된다. 하지만 길 위의 여성은 가부장제를 거역하거나 혹은 가부장제로부터 아무런 보호도 받지 못하는 여성으로 취급받는다. 「순례자의 노래」의 인물 혜자는 망가진 삶을 복구하기 위해 길에 나서지만 걷는 동안 그녀는 그것이 불가능하다는 사실만을 확인할 뿐이다. 가벼운 산책을 떠나는 여자에게는 돌아올 집이 있지만 그 보다 멀리 걸어 나가거나, 이미 집을 벗어났던 여자에게 귀환은 허락되지 않는다. 집은 세상이 정한 규율 즉 가부장적 질서를 따르는 여성에게만 허용된 공간이다. 이는 자신의 존재론적 불일치를 해결하기 위해 거듭 길로 나서는 여자 은수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바람의 넋」의 은수는 전쟁고아로, 어딘가 자신의 중요한 부분이 결락되어 있음을 호소하는 인물이다. 자신의 상실을 회복하고 애도하기 위해 거듭 길을 나서지만 남편에게 그것은 거역이며 길 위의 남자들에게는 빌미일 뿐이다. 추방과 폭력으로 돌아 온 은수의 걷기는 길 위의 여성이 겪어야만 하는 폭력과 오해가 어떤 것인지를 잘 보여준다. 만약 가정을 가진, 엄마이자 아내인 여성에게 허락된 걷기가 있다면 그것은 아이를 재우고 난 이후, 동네 주변을 도는 가벼운 산책이거나 아버지가 잠든 후 집 앞을 잠시 도는 정도의 산보에 불과하다. 「전갈」의 여자는 남편처럼 아프리카의 밀림을 꿈꾸지만 아내이자 엄마로서 그녀에게 허용된 것은 산책뿐이다. 「새벽별」의 정애가 하루 밤의 일탈 후에 다시 집으로 돌아가지 못할 듯한 공포를 느끼고 인생이 모두 끝나버린 여자라는 주변의 평을 듣는 이유도 마찬가지이다. 오정희 소설에 있어서 많은 여성 인물들이 반복적으로 걷는다. 목적지를 두고 어딘가로 이동하는 게 아니라 방황하며 거리를 헤맨다. 이 걷기는 단순한 서사적 관습이 아니라 오정희 소설의 중요한 문제의식을 담고 있는 상징이다. 여성 인물이 길 위를 걷는다는 것이 어떤 결말의 징후가 되기 때문이다. 문제적인 것은 이 헤맴이 자아의 성찰이나 회복, 정체성의 확보로 이어지는 게 아니라 폭력과 추방의 원인으로 받아들여진다는 점이다. 여성의 길 나섦, 걷기가 여로형 서사와 다르게 추방과 낙오의 결말로 이어지는 이유도 같은 맥락에 있다. 오정희 소설에 있어서 ‘걷기’는 여성으로서의 한계와 가부장제의 억압, 여성으로 살아가기의 어려움을 보여주는 매우 중요한 문학적 상징이자 행위이다. The novels by Oh, Jung-Hee have been recognized as the excellent literary imagery showing the dichotomy of an abyss of beings and conflict/contradiction, and desire and stability. One thing we should pay attention to is that almost every work by Oh, Jung-Hee repetitively shows 'walking women' besides 'family'. The motif of 'walking' repetitively shown in the novels by Oh, Jung-Hee is not a simple repetitive act, but an act revealing the gender difference and an ontological act showing all the meaning, limitation, and restriction of lives as women. Making them come back home after going out is not important. It would be necessary to have questions such as what makes them go out, what makes them come back, and why the act of 'walking' for women should be named 'taking a walk' or 'going out' that always has destinations. The repetitive motif means that it contains the narrative symbolism. When walking on the street which is not allowed to women instead of house allowed to women, the reality of female characters in the novels by Oh, Jung-Hee could be more solidly viewed.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analyze/understand the meanings of 'walking' for women shown in the novels by Oh, Jung-Hee, by analyzing the walking always shown in the novels by Oh, Jung-Hee to examine the parts that have not been revealed in the novels by Oh, Jung-Hee, and also recomposing the imagery process of gender differentiation as women.

      • KCI등재

        정성일의 <오아시스> 비판에 투영된 관점의 가능성과 한계 - 정성일 영화비평에 대한 일고찰 -

        박우성 ( Park Woo-sung ),정수완 ( Jung Su-wan ) 국제어문학회 2015 국제어문 Vol.0 No.67

        본 연구는 영화비평가 정성일이 <오아시스>(이창동, 2002)에 대해서 쓴 비평문「판타지, 기만적인 환영술」을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그간 한국영화계에서 영화비평은 독립적인 분과로 논의되지 못했다. 산적하는 영화들 안에서 영화적 가치를 발굴해 정리하고 새로운 영화 언어를 대중 언어로 번역하는 것이 영화비평의 역할이라 했을 때 이는 문제가 있다. 영화비평에 대한 그간의 접근은 한국영화사의 맥락에서 특정 영화비평집단을 세대론적으로 조망하거나 특정 개인의 비평 세계를 전기적 관점에서 서술한 것에 머문 한계가 있다. 정성일은 1990년대 한국영화비평의 전성기를 주도했던 한국의 대표적인 영화비평가이다. 호불호가 갈리지만 그의 글은 대중들 사이에서 영화비평이라는 개념이 성립되는 과정에 주요한 이미지를 제공했다. 특히 본 연구가 다루는 정성일의<오아시스> 비판은 논쟁 참여를 전제해 작성된 덕분에 비평담론 자체가 중심에 서있고 무엇보다 정성일의 영화에 대한 태도가 여타의 글에 비해 명확하게 드러나는 특징이 있다. 더구나 그 논쟁은 영화의 윤리, 완성도, 자의식 등을 두고 벌어진 영화비평계 내부의 마지막 논쟁이라는 영화비평사적 의의도 있다. 나아가 영화 한편에 대한 긴 글이기 때문에 한국의 대표적 비평가가 영화를 비평하는 구체적 실천 양상이 현장감 있게 녹아 있기도 하다. 영화를 종교처럼 대한다는 비판이 존재하지만 정성일 영화비평의 경쟁력은 숏의 배치, 장르 문법, 카메라 시선과 같은 영화의 자의식을 정밀하게 분석하는 것에서 나온다. 영화란 무엇인가와 같은 근본적인 질문에 기반을 둔 이런 태도는 영화를 여타의 학문에 종속시킨 종래의 비평 태도와 차별되며 영화를 진지하게 바라보는 태도를 대중화시킨 의의가 있다. 하지만 그것만큼의 오류도 발견된다. <오아시스>를 비판할 때 투영되는 정성일의 관점의 가능성과 한계를 구체적으로 밝힘으로써 한국영화비평의 전성기를 주도했던 한 영화비평가의 개성적 세계관을 비판적으로 조망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독립적인 분과로 인식되기는커녕 죽음까지 운운되는 영화비평의 위기 시대에 한국의 대표적 영화비평가의 세계관이 상징적으로 녹아 있는 글을 정밀하게 분석하는 것은 그것 자체로 의미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critique “Fantasy, deceptive hallucination” which sung-il jung wrote about < Oasis >(Changdong Lee 2002). Film critique has not been recognized and discussed as an independent field in the Korean film industry so far. It can be problematic if the role of film criticism is to get the cinematic values arranged among the pile of films and to translate new cinematographic language into the public language. The approach to the film critique to this point has limitation that in the context of Korean film industry, it viewed certain group of film critics in the perspective of theory of generation and it described certain person`s world of criticism in a biographical way. sung-il Jung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film critics in Korea who lead the golden age of Korean film criticism in the 1990s. His writings provided important image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concept of film critique among the public, even though they are controversial. The Jung`s criticisms this study exclusively deals with are based on the premise of argumentative participation, so the discourse is central and fundamental, and it brings out the cinematic view of Jung precisely compared to the other writings and articles, which is the advantages of this study. Moreover, the argument has significance in the field of film criticism for being the last dispute inside the field of film critique over the morals, degree of completion, and the consciousness of identity. Above and beyond, because this paper is a long writing about a movie, it contains detailed and vivid practical aspect which the representative critic of Korea criticizes the movie. Although there are criticisms of discussing movies like a form of religion, sung-il Jung`s film critique is competitive for detailed and precise analyze of films` sense of identity such as plot of shots, code of genre, and the eyes of cameras. This attitude based on the fundamental questions such as what is film is considered significant for popularizing and promoting earnest attitude toward movies, and is differentiated with the traditional attitudes of criticism which are to subordinate films in the other fields of study. However, due to being so, some errors are discove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outlook a distinctive world view of a film critic who enjoyed the film critique`s prime by concretely describing its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through revealing Jung`s point of view which is his prerequisite for watching movies. The work of precise analyzing of one of the Korean representative film critics` writings which contains symbolic world view is significant and meaningful by itself in the time of the film criticisms` crisis when the idea of the demise of film criticism is being mentioned, let alone its separation as the independent field.

      • KCI등재

        정안침요법(整顔鍼療法)을 응용하여 호전된 후천성 사경환자 치험 2례

        박서영,김재수,홍의재,이윤경,이봉효,임성철,정태영,이경민,Park, Seo-Young,Kim, Jae-Su,Hong, Eui-Jae,Lee, Yoon-Kyoung,Lee, Bong-Hyo,Lim, Seong-Chul,Jung, Tae-Young,Lee, Kyung-Min 대한침구의학회 2008 대한침구의학회지 Vol.25 No.4

        Objectives : This report intended to estimate effects of Jung-an acupuncture on the acquired torticollis caused by muscle contraction. Methods : The patients were treated by Jung-an acupuncture, herb medication and Physical treatment daily. The improvement of the patients was judged by Toronto Western Spasmodic Torticollis Rating Scale(TWSTRS), Tsui's score and Visual Analogue Scale(VAS). Results : After 7 days of treatment, the 2 patients' neck pain and cervical movement were improved. Also, TWSTRS score, Tsui's score and VAS were all reduced. Conclusions : As the Jung-an acupuncture's theological base is organized with meridian theory and myofacial release therapy, We considered the Jung-an acupuncture is effective not only for the skin disease but also for the muscle problem such as torticollis.

      • 김정한론

        정호웅 弘益大學校 人文科學硏究所 1994 人文科學 Vol.2 No.-

        Abstract This paper is the study on the works of Kim, Jung-Han(1908- ). I have tried to make clear the specific characters and, the limitations of the works of Kim, Jung-Han. Thus I co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1. Kim, Jung-Han's literature is related to the literature of enlightement in 1920, 30's. Especially, the positiveness of the hero, and the oppositive structure of the affirmative and the oppositive, and hero's firm faith in the moral justness. In short, those are same in respect of the literature of enlightmental rationality. 2. But because of those features Kim, Jung-Han's literature had to have some probems. Those are the simplicity of structure and character, and the weakening of reality, and thus the intercetpion of creative reading. 3. Kim, Jung-Han's literature show on the whole the world of faternity. that is a protuct of the last korean history. But in the late period Kim, Jung-Han's literature transformed to the maternity including faternity, especially in 「Surado(修羅道)」 that is the victory of the true artistic sprit.

      • KCI등재

        서정주의 「김소월 시론」을 통해 본 현대시와 전통

        허혜정(Huh Hye Jung) 동악어문학회 2011 동악어문학 Vol.56 No.-

        일제말기 ‘국민시론’에서 출발한 서정주의 전통론은 해방기에 이르러 문학의 정치성에 대한 회의와 불신, 그리고 모더니즘 시의 방만한 개인주의적 표현에 대한 비판의식 속에서 정밀한 논리로 구체화된다. 이 과정에서 전통을 불변하는 문학적 보편성과 당대성의 대화로 이해한 엘리어트의 전통론은 서정주의 전통론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유럽문화전통을 재건하기 위해 “고전적 지혜의 회복”을 역설한 엘리어트처럼 서정주는 한국의 고전들에 눈을 돌렸고, 역사의식, 통합적 감수성, 시적 지성 등의 논의를 빌려 동양문예전통과 유기체적 관계를 이루는 한국문학의 전통을 설계하고자 했다. 그 과정에서 서정주는 ‘지, 정, 의’의 통합적 시정신과 서구의 “아의 시학”과는 다른 “무아(無我)의 시학”을 제기한다. 서정주의 전통론이 총체적으로 투영되어 있는 「김소월 시론」에서 서정주가 주목한 것은 바로 ‘정조’였다. 소월의 시는 정통운율, 토속어 등을 통해 역사적 체험의 여과물인 ‘정조’를 표현함으로서, 멀리는 향기같은 고전텍스트에서 발견되는 “한국적 정서”를 상속한다. 하지만 ‘전통’이라는 대명제에 집착하는 문학적 보편 주의로 인해 현대시가 줄기차게 개발해온 스타일이나 미적 특질에 대한 천착이 미비한 것은 서정주 시론의 가장 큰 한계이다. The tradition theory of Jung-joo Suh that has set off from the ‘people's poetics’ in the closing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becomes concrete as a accurate and precise logic, amid the skepticism and distrust in which literature harbors against politics at the end of liberation and th critical consciousness against the indulgent expression of individualism in modernism poetry. In this process, the Eliot's traditional theory that understood the tradition as unchangeable universality of literature and the contemporary dialogue of the moment is seen to have exercised the considerable influence on that of Jung-joo Suh. Like Eliot who laid stress on “restoring of classic wisdom” so as to reconstruct the tradition of European culture, Jung-joo Suh, too, was attracted by the classics of his country, and attempted to architect the tradition of Korean literature that bears relation to the organic tradition of oriental literary, by borrowing the discourse of historic consciousness, integrated receptivity, and poetic intellect, etc. While in the course, Jung-joo Suh brings in the “poetics of raptures”, which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unified spirit of “sense, affection, integrity” and the “poetics of bon ton” of occident. It was the ‘rhyme’ that what Jung-joo Suh paid attention to in the ?Poetics by So-wol Kim? that mirrors en bloc his own theory of tradition. Poems of So-wol inherits “Korean-style emotions” that is found in the classic texts which are of the remote air-filled fragrance, by revealing ‘lyric rhyme’, a something filtered having been accumulated from historical experiences through the authentic rhythm and tongues of folkways, and so forth. Nonetheless, it falls on as a big limitation that his theory of poetics lacks in exploring the style or aesthetic trait that have been ceaselessly developed by the modern poetic works on account of literary universalism that sticks to the great preposition called as ‘tradition’.

      • 가톨릭 미사에서의 "구원"의 상징성

        김정택 ( Jung Taek Kim ) 한국분석심리학회 2009 心性硏究 Vol.24 No.2

        본 논문에서는 가톨릭의 미사에 나타난 구원의 상징성을 칼 융의 분석심리학적 입장에서 조명해 보고자 한다. 인간의 구원에 대한 동경은 인간 의식이 태어나면서부터 시작된 것이기에 모든 인간의 증언에서 보편적으로 발견되고 있다. 그리스도교는 하느님과 인간의 역사를 구원의 역사로 보면서 구원을 하느님 계시(啓示)의 한 사건으로 보고 있다. 융은 미사의 목적을 일종의 ``신비적 관여``, 혹은 사제와 신자가 그리스도와 하나 되는 것으로 보았다. 미사에서 제물이며 동시에 제물을 바치는 자인 그리스도의 희생은 성체변화에 대한 사제의 말을 통해서 일어나는데, 이는 한편으로는 우리의 심혼이 그리스도와 동화되는 것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그리스도의 형상을 우리의 심혼 속에 내면화하는 것으로 보았다. 융은 그리스도의 희생적 죽음은 구체적 시간 안에서 일어났지만 그 자체는 시간을 초월하는 사건인 것으로 보았다. 고통당하는 구속자(redeemer)가 매달린 십자가는 그리스도인들에게는 참으로 심오한 믿음의 상징이며, 바로 대극의 갈등을 하나로 통합한 구원의 상징이기도 하다. 그것은 바로 대극의 화해와 이를 통한 전체성의 달성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융은 성찬의 비의를, 부분적이고 유한한 인간의 심혼을 그 리스도로 표현되는 전체성으로 변환시키는 것으로 본 것이다. 이는 가톨릭의 미사가 지닌 분명한 인간구원의 상징이며, 이런 면에서 미사는 바로 개성화 과정의 의식이라 부를 수 있는 것으로 융은 이해하고 있다. Salvation is one of the core concepts of Christianity. As every facet of human history witnesses universal existence of salvation, longing for salvation began as human consciousness came into being. Christianity refers to history of God and humanity as that of salvation, which is one of the revelations of God. The term "revelation of God" deals with how God has made the will of God known to human beings. The will of God is the saving will of God found in humanity and can be understood as the specific act of God`s self-giving in order to save humanity. In the Old Testament, salvation means to help, to support, and to redeem while in the New Testament, it means help, redemption, liberation, intervention of God, healing, a guarantee of life, happiness, peace, and forgiveness of sins. This thesis focuses on symbolism of salvation from a perspective of analytical psychology. Carl Jung remarked that the purpose of mass is a sort of ``mystic participation``, where priest celebrant, participants in mass, and Christ become one body. In the mass, transubstantiation, the transformation by which the bread and wine of the Eucharist becomes in substance the body and blood of Christ, who is both sacrifice itself and the priest who offers the sacrifice, takes place when the priest reads the Eucharistic prayer. It refers to the assimilation of hearts and souls of the participants into Christ and the internalization of the image of Christ into their heart and soul. Therefore, mass repeats, at least allusively, the whole drama of the Incarnation of Christ. Participants at mass become sacrifice itself. However, becoming sacrifice is only possible when they give themselves selflessly as sacrifice as Jesus gave himself as sacrifice with his free will. In the Eucharist, it is when priest celebrant reads the part of the Eu-charistic prayer referring to the transformation of the substances of bread and wine that the substances of bread and wine are turned into the substance of Christ himself. The moment of the change is a moment of the Incarnation of Christ and a moment where Christ`s suffering and death meet. This is a symbol that makes it possible for priest celebrant and participants in mass to be saved. Hence, the transformation of the bread and wine into the body and blood of Christ at mass symbolizes salvation. The author argues that the symbol of transformation and that of salvation at mass are inseparable as if they are the two sides of the same coin. Priest celebrant at mass brings this mystic moment into relief but the person in operation actually at mass is Christ who sacrifices himself always and everywhere. Carl Jung regarded Christ`s death as an event that transcends time frame even though it took place within a chronological dimension of time. For Christians the cross on which the suffering Redeemer was hung is the symbol of profound faith and of salvation that unify extremes of conflicts operating in polarity. This means that reconciliation of the extremes becomes a reality and realization of wholeness is also possible through the reconciliation. Therefore, for Jung the importance of the mystic meaning of the Eucharist lies in the transformation of part and limited hearts of humanity into wholeness manifested in Christ. This indicates an apparent symbol of salvation of human beings embedded in mass and in this light Jung understands mass as a liturgy of individuation process. From a perspective of analytical psychology, Christ who is God but became human being demonstrates that the Self made an approach to the ego and opened the possibility that the ego can recognize the self, a true human aspect. In other words, the fact that the Son of God became human being indicates that the Son of God opened the door to self? realization, i.e. individuation. This is Christ`s salvific enterprise and the symbol of salvation continues to be present at the Roman Catholic mass. For Christians, salvation is a way to recognize wholeness of oneself as the Imago Dei by giving the ego as a sacrificial offering and participating willingly in the life of Christ. This is a way that leads them to the self and is related to Jung`s ``individuation process.``

      • KCI등재

        셰익스피어의 한국수용(2) -1962년~1979년까지

        신정옥 ( Jung Ok Shin ) 한국드라마학회 2006 드라마연구 Vol.- No.24

        The decades of the 1960s and 70s form the second phase of Korean acceptance of Shakespeare and this paper attempts to survey the Shakespeare studies of this phase in the areas of literature and drama, and within universities. Shakespeare was first introduced as a heroic figure, philosopher, and statesman, but by this time, he recovered his true persona was approached as a literary figure, playwright, and dramatist. Korea during this period was emerging out of an upheaval resulting from the liberation from the Japanese occupation and Korean War. However, the seed of Shakespeare studies was germinated and energetically nurtured at this time. Shin-hyup produced Shakespeare`s tragedies and their effort no doubt facilitated the Shakespeare acceptance and the rebirth of theater movement. As the public gained better understanding of Shakespeare, Shakespeare scholars and publishers embarked on translating Shakespeare for further understanding. Jung-eum-sa in 1964 published the first complete translation of Shakespeare`s works in 4 volumes, a monumental feat in the Shakespeare studies in Korea. The Jung-eum-sa`s translation was participated by 19 scholars, including Choi Jung-woo, Han No-dan, Kim Kap-soon, Kim Joo-hyun, Oh Wha-sup, Lee Jong-soo, Yoh Suk-kee, and Lee Chang-bae. Whye-moon Publishing House, on the other hand, published Kim Jae-nam`s 5 volume translation of complete Shakespeare. In 1964, all of the Shakespeare`s works were translated. During the 1970s, Eul-yoo Books published the paperback editions of Shakespeare translation and his works were included in collections and anthologies. Then the younger generation got in the act of translation and they added a fresh perspective to the Shakespeare studies. Starting with Choi Jae-suh, Hamlet has been translated by 50 times, different people and remains to be the most frequently translated work It is followed by Romeo and Juliet, 39 times, Othello, 29 times, Macbeth, 27 times, and King Lear, 26 times. Among the comedies, The Merchant of Venice tops the list with 30 translations, different translations, then comes The Tempest, 12 times, A Midsummer Night`s Dream, 10 times and The Taming of the Shrew, 9 times. As shown in this statistics, tragedies predominate comedies. The decade of the 1970s saw the generational shift in research activities: the old generation gave way to the newly emerging generation of scholars and the Shakespeare studies rapidly flourished. What distinguished me modern drama was its emphasis on me vivid depiction of everyday reality and it gave birth to me little theater movement. In the Western world, the movement began at the end of the 18th century and in the beginning of the 19th century. In Korea, it began in 1920 when the Theater Art Association was formed, and during the 1950s me Theatre Libre and the Drama Production Association were organized. Then the college drama movement ensued. Soon, Won-gak-sa joined in the movement and scheduled dramas as part of its regular programs. The year 1962 is very important in the history of Korean theaters: the Drama Center, an all exclusive drama theater and the very first of its kind, opened its door. The opening of the Drama Center was the culmination of the Korean little theater movement and the fulfillment of Yoo Chi-jin`s life-long dreams. The opening production of the center was Hamlet. The play was produced and performed by Yoo Chi-jin, Lee Hae-rang, Kim Dong-won, Whang Jung-soon, and Jang Min-ho all living legends of the Korean theater and this production records as the first long-run performance in Korea. In 1964, the Korean theater had the Shakespeare quarter-centennial celebration, and six best known repertory theaters participated in the commemoration and 50,000 people came to see the performances. Shakespeare never had such attention before, and nor since. In addition to the professional theater groups, the student theaters have also made contribution to the spread of Shakespeare among the general public. As the cultural taste of the public got keener, the professional and student theater groups got better. Korea hasn`t had a Shakespeare drama group and there is not one yet. However, between 1970 and 1980 the London Shakespeare Group visited Korea four times and set an example for true professionalism and rendered a model process for the Shakespeare production. Domestic professional theater groups have also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Shakespeare production and they included the Drama Center, Sil-hum Theater, Drama Troupe Ka-gyo, and Hyun-dae Theater. The student theater groups have also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Shakespeare`s dramas and their contribution should be attributed to the concerted efforts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On the wave of the theatrical rebirth in the 1960s, the number of student dramas increased. During the second phase of Shakespeare`s rooting in Korea, student groups staged 85 productions while the professional groups performed 54 times. The quality of the student dramas may not be up to that of the professional groups, but the sheer number indicates the contribution the student dramas had made to the rebirth and solid establishment of the theater arts. In 1959 Joong-ang University established Drama and Film Department and soon after other universities followed suit, and since then, dramas have been studied within the university settings. Joong-ang University was in the forefront of Shakespeare productions and universities began to produce Shakespeare in English. These developments were professors` ways of teaching Shakespeare better. The History of English Dramas-the 70 Year Retrospective of English Drama Productions at Ewha University English Department(compiled by Kim Kap-soon) is the witness to the activities of the college theaters of the time. Student dramas are an integral part of the Korean theater and yet regrettably they cannot be fully covered here. Artistic expression is diverse. Dramas presuppose perform 이 논문은 1960년대와 1970년대에 셰익스피어의 한국수용과정을 수용 2기로 하여 문학적, 연극적, 학문적 분야로 나누어서 연구하는 것이다. 셰익스피어의 당초 수용은 위인으로, 경세가로, 철학자로 소개되기 시작하였으나 이미 그 계몽적 과정은 마감이 되었고 문학가로, 희곡작가로, 연극인으로서의 셰익스피어의 면모가 반영되는 발전적 단계에 돌입한 시대가 된 것이다. 그러나 일제시대 후반의 침체에서 벗어나고 해방을 맞이하고 6ㆍ25 한국전쟁의 대혼란을 맞이한 혼돈의 시대에 셰익스피어의 싹은 발아되고 정력적으로 육성되어 왔다. 그 무렵 신협의 셰익스피어 비극공연은 우리나라 셰익스피어 수용이나 연극부흥에 큰 공로로 인식될 것이다. 셰익스피어를 이해하는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서 셰익스피어 학자나 출판사의 욕구는 작품의 번역출판에 대거 참여하게 되었다. 1964년에 정음사가 셰익스피어 전집 4권을 출간하였는데 셰익스피어의 전작품이 우리나라에 소개되는 기록이 되었고, 최정우, 한노단, 김갑순, 김주현, 오화섭, 이종수, 여석기, 이창배, 등 19명이 번역을 담당하였다. 그리고 휘문 출판사에서는 김재남 단독으로 번역하여 전집 5권이 출판되었다. 1964년은 우리나라에 셰익스피어의 전작품이 소개되는 한 해가 되었다. 1970년대는 문고본 시대로 접어들었으며 을유문고가 시작하였고 또한 선집이나 단행본으로도 출판이 계속되었다. 번역진도 중진 신진 그룹으로 신선미있게 교체되고 있었다. 최재서의〈햄릿〉을 포함해서 수용초부터 가장 많이 출판된 작품은 비극인 경우〈햄릿〉이 50회이고,〈로미오와 줄리엣〉이 39회이며,〈오셀로〉가 29회며,〈맥베스〉 27회,〈리어왕〉 26회였고, 희극인 경우〈베니스의 상인〉이 30회,〈태풍〉이 12회,〈한여름 밤의 꿈〉이 10회,〈말괄량이 길들이기〉 9회로 비극이 압도적이다. 셰익스피어의 번역진도 1970년대에 가서는 계속 세대교체가 되고 셰익스피어의 연구나 번역이 확대되었다. 근대극은 생생한 현실을 제시한다는 연극운동을 펼치며 소극장이 확산되었다. 서구에서는 18세기 말에서 19세기 초에, 우리나라는 1920년에 전개되었고 극예술협회가 시작이다. 1950년대에 떼아뜨르 리블, 제작극회 등 그리고 학생극으로 이어졌으며 원각사도 공연의 일부가 연극이었다. 1962년에 준공된 드라마센터는 진정한 소극장 운동의 결실이며 유치진의 평생소원인 연극전용극장이 탄생한 것이다. 우리나라 연극의 산 역사라 할 유치진, 이해랑, 김동원, 황정순, 장민호 등이 참여한 개관공연이 바로〈햄릿〉이었다. 이 공연은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최장기공연이 되었다. 1964년의 셰익스피어 탄생 400주 기념행사는 셰익스피어가 우리나라 연극사상 가장 각광을 받은 바가 되었다. 저명한 6개 직업극단이 참여하였으며 5만 여의 관객을 동원한 행사였다. 직업극단 외에 대학교의 셰익스피어 연극공연도 셰익스피어 수용의 보편화에 기여하였다. 국민문화의식의 향상에 힘입어 직업극단과 학생극의 공연도 발전적으로 향상하였다. 우리나라에는 셰익스피어의 작품만을 공연하는 전문직업극단이 없었고 지금도 없다. 그러나 1970년대에서 80년까지 런던 셰익스피어 그룹이 4회 내한 공연하여 전문극단의 전문성과 무대화 작업에 하나의 모델을 보여주었다. 국내의 직업극단들도 셰익스피어 극의 발전에 기여하였으니 드라마센터, 실험극장, 극단 가교, 현대극장 등을 꼽을 수가 있다. 셰익스피어의 연극발전에는 학생극의 공헌이 있다. 이는 지도교수와 학생간의 학문적, 예능적 교류의 성과다. 1960년대부터 연극중흥의 물결을 타고 대학극의 공연이 증가되었다. 셰익스피어의 한국수용 2기에 학생극 공연수가 85회니까 직업극단의 54회 보다 많으며 연극공연의 질에 차이가 있다고 하여도 연극중흥의 기반이 되는 것은 확실하다. 1959년 중앙대에 연극영화과가 설치된 것도 특기할 일이다. 대학에서 연극이 한 전공과목이 되었고 다른 대학에도 이 풍조가 파급이 되었다. 셰익스피어 공연은 중앙대가 단연 많았으며 셰익스피어의 원어 공연도 늘어났다. 이는 영문학과 교수들의 지도도 큰 몫을 했을 것이다. 『영어연극공연사-이대영문과 연극 70년을 돌아보며』(김갑순 엮음)의 기록은 그 사실을 입증한다. 학생극은 연극사의 주요한 부분이나 모든 대학의 실적을 기록하지 못했음은 서운한 일이다. 예술의 표현방식은 다양하다. 희곡은 공연을 전제로 한다. 공연무대는 종합예술이다. 그리고 관중이 있어야 한다. 희곡은 지금이나 100년 후나 동일성을 유지한다. 그러나 무대화되는 방식은 다양다종이다. 연극으로 가는 희곡의 수용도 다양하겠지만 가장 대표적인 것의 하나가 변용된 수용이다. 흔히 번안이라고 한다. 서구작가의 것은 찰스 마로윗츠의〈마로윗츠 햄릿〉이 있고, 외진이오네스꼬의〈막베뜨〉, 장 사르망의〈햄릿 다시 태어나다〉가 있다. 한국작가들의 것은 주로 민속화로 번안된 것이다.〈실수연발〉,〈오셀로〉,〈리어 왕〉,〈햄릿〉,〈십이야〉를 바탕으로 창작 또는 번안한 것이다. 최재서가 1963년에 발표한 『셰익스피어 예술론』은 우리나라의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