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Buspirone-induced Prolaction 분비와 5-HT<sub>1A</sub> 수용체: Pindolol 전처치 효과

        이홍식(Hong Shick Lee),J. Frank Nash,Herbert Y. Meltzer 대한약리학회 1992 대한약리학잡지 Vol.28 No.1

        Nonbenzodiazepine계 항불안제인 buspirone을 이용하여 건강한 8명의 남자를 대상으로 prolactin과 cortisol분비를 측정하였다. Buspirone는 DopaminE<sub>2</sub> 수용체 antagonist 성질 뿐 아니라 5-HT<sub>1A</sub> partial agonist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Buspirone 30mg 경구투여시 혈청 prolactin 농도는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나 혈청 cortisol 농도의 변화는 차이가 없었다. beta adrenoreceptor antagonist이면서 5-HT<sub>1A</sub> 수용체 antagonist로 알려진 pindolol (30mg)을 경구 투여한 결과 기초 혈청 prolactin이나 cortisol 농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inodlol을 전처치한 경우 buspirone-induced prolaction 분비의 유의한 억제효과는 없었다. 이상의 성적은 buspirone-induced prolactin 분비증가는 아마도 5-HT<sub>1A</sub> 수용체 활성과 관련되지 않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The effect of the nonbenzodiazepine anxiolytic, buspirone (Buspar<sup>R</sup>), a serotonin (5-HT)<sub>1A</sub> partial agonist, which also has dopamine (DA)<sub>2</sub> receptor antagonist properties, on prolactin and cortisol secretion was examined in eight normal male volunteers. The oral administration of buspirone (30 mg) significantly increased plasma prolactin concentrations but did not significantly increase plasma cortisol concentrations in this study. The oral administration of pindolol (30mg), a beta adrenoceptor antagonist which is also a 5-HT<sub>1A</sub> receptor antagonist,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basal prolactin or cortisol levels. Moreover, pretreatment with pindolol did not significantly inhibit the buspirone-induced increase in prolactin secretion. These preliminary data are suggestive that buspirone-induced prolactin secretion is not mediated via 5-HT<sub>1A</sub> receptor activation.

      • Buspirone-induced Prolactin Secretion in Man is Not $5-HT_{1A}$ Receptor Mediated: Effect of Pindolol Pretreatment

        Lee, Hong-Shick,Nash, J. Frank,Meltzer, Herbert Y. The Korean Society of Pharmacology 1992 대한약리학잡지 Vol.28 No.1

        Nonbenzodiazepine계 항불안제인 buspirone을 이용하여 건강한 8명의 남자를 대상으로 prolactin과 cortisol분비를 측정하였다. Buspirone는 $Dopamine_2$ 수용체 antagonist 성질 뿐 아니라 $5-HT_{1A}$ partial agonist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Buspirone 30mg 경구투여시 혈청 prolactin 농도는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나 혈청 cortisol 농도의 변화는 차이가 없었다. beta adrenoreceptor antagonist이면서 $5-HT_{1A}$ 수용체 antagonist로 알려진 pindolol (30mg)을 경구 투여한 결과 기초 혈청 prolactin이나 cortisol 농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inodlol을 전처치한 경우 buspirone-induced prolaction 분비의 유의한 억제효과는 없었다. 이상의 성적은 buspirone-induced prolactin 분비증가는 아마도 $5-HT_{1A}$ 수용체 활성과 관련되지 않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The effect of the nonbenzodiazepine anxiolytic, buspirone $(Buspar^R)$, a serotonin $(5-HT)_{1A}$ partial agonist, which also has dopamine $(DA)_2$ receptor antagonist properties, on prolactin and cortisol secretion was examined in eight normal male volunteers. The oral administration of buspirone (30 mg) significantly increased plasma prolactin concentrations but did not significantly increase plasma cortisol concentrations in this study. The oral administration of pindolol (30 mg), a beta adrenoceptor antagonist which is also a $5-HT_{1A}$ receptor antagonist,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basal prolactin or cortisol levels. Moreover, pretreatment with pindolol did not significantly inhibit the buspirone-induced increase in prolactin secretion. These preliminary data are suggestive that buspirone-induced prolactin secretion is not mediated via $5-HT_{1A}$ receptor activ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