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해수유동 수치모의를 통한 인천신항 퇴적원인 분석

        김찬주(Chan Joo Kim),강수원(Soowon Kang),김규원(Kyuwon Kim),원종화(Jongwha Won),강효동(Hyodong Kang),이정운(Jeongun Lee)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2021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10

        인천·경인만 해역은 연안개발 사업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지역이나, 항내 및 항만 주변시설에 발생하는 퇴적물 이동 현상으로 인하여 유지관리 및 항만 개발 계획에 상당한 비용이 투입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경인항 진입항로 주변, 인천터미널 박지, 인천신항 인근의 퇴적 현상은 선박 통행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있어 그 원인규명 및 저감 대책에 대한 연구용역이 수차례 수행된 바 있다. 인천신항 인근의 경우 시화조력발전소 가동 및 송도신도시 매립 등의 개발 사업이 이루어지면서 주변 유동환경 및 해저지형 변화가 활발하였으며, 2012년 시작된 시화조력발전소 가동 이후 방류로 인한 주변 유속 증가 및 송도 LNG 기지 수심 감소 현상 등으로 선박 운항과 관련한 민원이 수차례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천신항의 퇴적 원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해수유동 모형을 활용한 수치모형실험을 수행하였다. 인천신항 해역의 수리현상조사, 기초환경조사 및 환경영향평가 보고서에 수록된 관측성과를 토대로 반복실험을 수행하여 모형실험에 필요한 주요 실험입력 값을 도출한 후 적용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시화호 조력발전소 운영에 따른 침·퇴적 경향평가와 더불어 주요 퇴적 토사공급원을 파악하였다. Coastal development is booming in the Incheon·Gyeongin Bay. However, the coastal facilities including the ports within in the bay often encounter a problem due to the sedimentation. An enormous cost is thereby being sepnt on maintenance of the facililties. The deposition that occurred in particular areas, such as the entrance sea routes to Gyeongin Port and Incheon New Port, harmed ship traffics. To tackle the problem, several research investigations were undertaken to find out the causes and to plan a countermeasure. In the vicinity of Incheon New Port, the environment and seabed topography were actively changing as development projects such as the Sihwa Tidal Power Plant operation and reclamation of Songdo New City were carried out. Since the operation of the plant in 2012, there have been continuous complaints related to the ship sailing due to the increase in the flow rate as well as the decrease in the water depth in front of mooring facilities of the Songdo LNG base. In this research, the cause of sedimentation in Incheon New Port was examined numerically using the seawater flow model, MIKE21/3. The main input factors utilized in the numerical investigation were derived from iterative simulations based on various survey and assessment reports. The effect of the Sihwa plant operation on the sedimentation trend was evaluated and the main possible source of the sedimentary soil was identified.

      • 심층학습 기반 부유쓰레기 성상 분석

        이은하수(Eunhasu Le),강수원(Soowon Kang),김규원(Kyuwon Kim),원종화(Jongwha Won),강효동(Hyodong Kang)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2021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10

        전 세계적으로 매년 발생하는 800만 톤 이상의 해양쓰레기 중 약 70%는 육상 기인 쓰레기로 조사된 바 있으며, 쓰레기의 대부분은 직접 수거에 의한 모니터링 기법으로 분석되고 있어 부유 쓰레기의 발생원 판별 및 수거 비용 산정이 어려운 실정이다. (J. Jambeck, 2015) 본 연구에서는 부유 쓰레기의 효율적인 모니터링과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해 성상 정보를 실시간으로 취득 및 분석하는 모니터링 기술을 개발하였다. 객체 감지 기법(Object Detection)을 활용하여 부유쓰레기의 성상을 분석하고, 학습 모델의 성능을 비교 검토하기 위해 Faster R-CNN, SSD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mAP(mean Average Precision) 수치로 모델의 성능을 비교하였다. 학습을 위한 데이터셋은 6가지 종류의 쓰레기(플라스틱, 비닐, 스티로폼, 초목류, 종이, 병)로 분류하였으며 가상의 부유쓰레기 차단시설을 구축하여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94,237개의 객체 데이터를 확보하였다. 데이터는 증강 기술을 활용하여 471,185개로 증강하였으며, 객체 수량에 따른 모델의 성능 차이를 검토하기 위해 155,407개, 471,185개의 데이터셋으로 나누어 학습 및 검증하고, 모델의 성능을 비교하였다. 향후 모델 성능과 학습 데이터의 연관성을 고려하여 학습 계획을 재수립하고, 개선된 모델을 개발 기술에 적용할 예정이다. 본 기술을 통해 구축된 데이터셋은 해양쓰레기 통합 관리 시스템과 연계하여 효율적인 해양쓰레기 수거 전략, 비용 절감 및 정책을 수립하고, 수거 폐기물 관리체계 개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t is widely cited that about 70% of marine debris which occurs by more than 8 million tons annually originates from land, however, this figure does not inform properly the total amount of debris entering the marine environment. The debris is generally classified by monitoring the collected debris at shore, thus, it is difficult to figure out where floating marine debris is from and to estimate total cost for collection. (J. Jambeck, 2015) Newly proposed monitoring technique which acquire and analyze the object’s characteristics in real-time, in this study, was developed to establish efficient and enhanced floating marine debris monitoring system. An object detection technique, containing Faster R-CNN and SSD algorithm, is used to analyze the properties of the floating debris. These two algorithms are verified by mAP (mean Average Precision). The dataset for deep learning was classified into 6 categories (Plastic, CAN, PET, Vinyl, Bottle), and 94,237 object data was obtained from image data in the virtual floating debris barrier facility model. The data was augmented to 471,185 data by augmentation technology. In addition, the data is divided into datasets of 144,407 and 471,185 objects for verification of the model according to the number of objects. The dataset model will be improved with updated data learning strategy, considering a relation between model performance and training data, in further study. The established dataset with the new monitoring technique will be applied into AMEIS(Advanced Marine Environment Improvement System), which allows debris management system to be enhanced with efficient debris collection strategy and policy and cost redu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