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고밀도 플라즈마 발생장치 2 차원 모델링

        신치범,이상덕,Berezhnoj,Stas 한국화학공학회 2001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 Vol.39 No.1

        고밀도 플라즈마 발생장치의 해석을 위하여 2차원 유체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모델에서는 플라즈마 전달현상, 중성입자 동력학, 기체 유동, 열전달 및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동력의 영향이 모두 포함되었다. 다성분계의 전달 현상에 대한 지배방정식은 유도 결합 동력의 분포를 구하기 위한 Maxwell 방정식과 연립하여 해를 구하였다. 이 모델을 헬리컬 공진기 염소 플라즈마 발생장치에 적용하여 반응기 압력, 기체 유량 및 공급된 동력이 플라즈마 밀도 및 전자 온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A two-dimensional fluid modeling was performed for the analysis of the high-density plasma source. The model coupled plasma transport, neutral species dynamics, gas flow, heat transfer, and plasma power coupling from an external source. The governing equations for multicomponent transport system were solved along with Maxwell's equations for inductively coupled power deposition. The model was applied to a chlorine discharge in the plasma source chamber of helical resonator. The effects of reactor pressure, gas flow rate, and deposited power on the plasma density and the electron temperature were examined.

      • SCOPUSKCI등재

        전기자동차용 축전지의 열적 특성 모델링

        신치범,박성용,양철남,윤창연,Berezhnoj,S . V . 한국화학공학회 2000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 Vol.38 No.5

        전기자동차용 축전지의 다양한 작동조건, 주변환경 및 설계인자들이 축전지의 열적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기 위한 3차원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축전지의 열전도도는 각종 구성요소의 열전도저항이 직렬 및 병렬로 연결된 것으로 간주하였으며, 전극내에서 열이 균일하게 발생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축전지의 열적 특성을 해석하였다. 작동 조건에 따른 최대 온도를 제시함으로써 축전지가 작동한계온도 범위 내에서 작동할 수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축전지의 특정부분의 표면온도를 측정하는 것만으로 내부의 최고 온도 예측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축전지를 제어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사용할 수 있게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전기자동차용 축전지의 최적 열관리 기술 개발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A three-dimensional modeling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operating conditions, ambient conditions, and design factors on the thermal behavior of an electric-vehicle(EV) battery. Thermal conductivities of various compartments of the battery were estimated based on the equivalent network of parallel/series thermal resistances of battery components. Heat generation rate was assumed to be uniform throughout battery electrodes. The maximal temperatures within the battery at various operating conditions were calculated in order to check whether the operating temperature of the battery is within acceptable range. In addition, the relation between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specific region and the maximal temperature of the battery interior was obtained so that the measurement of the surface temperature may be used to predict the maximal temperature of the interior.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be useful for the optimal design of the thermal management system of an EV batte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