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상관방식 영상 추적에서의 추적창 적응 조절

        임채환,손재곤,김상현,최일,김남철,Lim, Chae-Whan,Son, Jae-Gon,Kim, Sang-Hyun,Choi, Il,Kim, Nam-Chul 대한전자공학회 1997 電子工學會論文誌, S Vol.s34 No.6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fficient algorithm for adaptation of tracking windwo, which improves tracking performance of a correlation-based video tracker by rejecting background effect originated from a time-varying target. Th eproposed adaptation algorithm ajdusts the size of a tracking window by using the ratio of spatial gradient power in target region to that in backgorund region, which is especially adequate for a correlation-based tracker. Experimental results for synthetic and real image sequence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adapts a tracking window well to a time-varying target and so greatly suppresses background effect, which makes improvement of trakcing performance.

      • KCI등재

        북한 쌀 시장의 지역 간 통합과 거래 구조

        임채환,안동환 한국농업경제학회 2023 農業經濟硏究 Vol.64 No.3

        Since the 2000s, North Korea has been shifting away from a socialist planned economy towards a mixed plan-market system, marking a significant transformation in its economic approach. This research concentrates on scrutinizing the North Korean consumer goods market, with a specific focus on rice. The study encompasses nine cities (five/four in Western/Eastern region), covering the period from January 2012 to December 2021. The paper adopts a theoretical framework rooted in the efficient market hypothesis, using statistical analysis to examine absolute and relative prices. Notably, it identifies nearly perfect price parity in two pairs of cities (F-H, West and D-G, East). The relative price analysis shows that all pairs are in relative equilibrium, indicating that market integration has been established across regions. These findings offer statistical evidence of the coexistence of planned and market-based elements in the North Korean rice distribution system. In addition to price analysis, this paper delves into the North Korean rice trading network and associated transaction costs in selected regions. Consequently, this study holds substantial academic distinction, offering valuable insights into North Korea's essential goods distribution system.

      • KCI등재

        비무장지대 생태계조사 현황과 정책방향

        임채환 동국대학교 북한학연구소 2006 북한학연구 Vol.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비무장지대 일원의 생태계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필요한 조사 현황 등을 정리하고 정부의 정책방향을 파악하는데 있다. 1990년말부터 구체화되기 시작한 남북경제협력 등으로 인하여 비무장지대 일원의 개발 분위기에 대응하여 환경부는 과거의 연구사업 성과를 종합하고 관계부처 협의를 거쳐 ‘05.8월 국무회의에「비무장지대 일원 생태계보전대책」을 수립하였다. 동 대책의 체계적 추진을 위하여 관계부처와 함께 주기적 생태계조사, 비무장지대 남방한계선 경계측량, 국제해양평화공원 지정 등을 추진하고 있다. 환경부는 비무장지대를 내부와 외부일원으로 구분하여 생태계조사를 추진하고 있다. 이는 자연환경보전법 제30조(자연환경조사)에 의거하여 추진하는 것으로 동법은 ‘환경부장관은 관계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조하여 10년마다 전국의 자연환경을 조사하여야 한다.’라고 규정하여 조사를 의무사항으로 하고 있다. 지난 2005.8월「비무장지대 일원 생태계보전대책」에서 추진키로 한 비무장지대 내부 생태계조사는 현재 유엔사와 협의 중에 있으며, 외부일원은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를 활용하여 추진하고 있다. 비무장지대 내부에 대한 생태계조사는 정부수립 이후 최초로 실시되는 비무장지대 내부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조사라는 점에서 의의가 크며, 외부일원에 대한 조사는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 일정에 따라 연차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2006년도 대상지역은 갈현, 장파, 마지, 문산 도엽(1/25,000지도) 지역이다. 최근 정부의 비무장지대 생태계 보전에 대한 종합적 대책이 마련된 것은 지난 ‘05.8.22일이다. 당시 연구용역(’04.4~12) 및 관계부처 협의(‘05.5~7)를 거쳐 마련된 대책안을 국무회의에 보고하여 최종 확정하였다. 먼저, 비무장지대 내부 토지관리대책으로 우선 비무장지대 남방한계선에 대한 경계측량을 실시하고, 그 후 현지측량 여건이 조성되면 지적복구를 추진할 예정으로 있다. 둘째, 비무장지대 내부 생태계 보전을 위하여 통일 이전에는 주기적인 생태계조사와 함께 국립생물자원관에 비무장지대 자생생물관 설치 등을 추진한다. 통일 이후에는 비무장지대를 자연환경보전법 제2조에 의하여 2년 동안 자연유보지역으로 지정․관리할 계획이다. 이후 전지역을 생태․경관보전지역으로 지정하되, 보전가치에 따라 핵심․완충․전이구역으로 구분, 보전과 이용의 조화를 도모할 계획이다. 셋째, 비무장지대 외부일원에 대한 생태계보전을 위하여 주요개발사업은 계획수립단계부터 전략환경평가를 실시하고, 멸종위기 동․식물 서식지, 우수 습지 등은 현행 법령상 보호지역으로 지정 보호할 예정이다. 마지막으로 ‘UNESCO 생물권보전지역 지정’, ‘국제해양평화공원’ (Int'l Marine Peace Park) 지정을 위한 남북환경협력을 지속 추진하고, 비무장지대 생태계에 대한 교육․홍보 노력도 강화할 계획이다. UNESCO 생물권보전지역 지정은 지난 ‘01.4월 국가안전보장회의에서 비무장지대를 남북 공동으로 UNESCO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키로 방침을 확정한 바 있는데 이를 재확인한 것이며, 서해 국제해양평화공원 지정은 해양수산부가 주관이 되어 추진 중이다. 이외에도 외국에서도 인지도가 높은 비무장지대의 체계적 홍보를 위해서는 생태홍보관 마련이 필수적인 바, 현재 인천공항내 시설을 임차하여 소규모 홍보관을 마련할 예정이다. 비무장지대의 생태적 가치는 우리 뿐 아니라 국제사회에서도 크게 인정하고 있어 민족분단의 상징인 지역에서 지금은 한반도 생태계를 대표하는 지역이 된 비무장지대를 제대로 보전하여 후손에 물려주고, 한반도와 세계의 평화를 상징하는 지역으로 발전시켜 나가는 것은 현 세대를 살아가는 우리의 의무라고 생각한다. The DMZ was the symbol of separation of two Korea and representation of Cold War ideology. But nowadays, it transforms into a globally ecological & peaceful area many respects. So this study was aimed at developing environment conservation plan for the DMZ in the government as well as examining the DMZ ecosystem through the survey state of ecosystem.

      • 2017년 1/4분기 북한의 시장가격 동향

        임채환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7 KERI 북한농업동향 Vol.19 No.1

        · 본고는 DailyNK가 제공하는 가격 자료를 활용하여 북한의 2017년 1/4분기 시장가격 동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은 곡물, 과일·채소, 축산물, 가공식품 등 5개 품목군의 13개 품목이다. · 최근 북한의 시장가격을 확인한 결과, 북한의 농식품 가격은 지역별로 차이가 있었다. 대체로 북한의 서부 지역의 물가가 낮았고 동부 및 산간 격오 지역의 물가가 높았다. · 2017년 1/4분기의 시장가격 수준과 과거 가격을 비교한 결과, 최근 시장 가격은 지난 5년 간 시장 가격 가운데 가장 낮은 수준이었고, 전년 동기 대비 대폭 하락하였다. · 곡물, 과일·채소, 축산물, 가공식품 등 5개 품목군의 최근 3년 간 가격 추세를 분석한 결과, 북한 시장에서 거래되는 상품은 시기별로 특징이 있었다. 곡물류는 3/4분기를 기준으로 상승(급등) 후 하락하는 계절성이 있었고, 쌀 가격의 계절성은 북한산 쌀이 중국산 쌀보다 명확하게 나타났다. 2016년 쌀 가격의 계절 변동성은 과거에 비하여 약화되었다. 사과 과격은 2014년 이후 완만하게 하락하는 추세였으며, 배추 가격은 수급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보인다. 돼지고기, 달걀 등 축산물 가격은 전반적으로 하락하는 추세였다. 가공식품 가격은 다른 상품에 비하여 안정적으로 가격이 유지되었고, 이는 가공식품의 상품적 특성이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