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한국 전통춤의 분류와 양식적 특징 -정병호의 분류법 검토를 중심으로-
이병옥 ( Byoung Ok Lee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3 공연문화연구 Vol.0 No.27
이 연구는 전통춤의 유형을 분류하고 장르별로 양식적 특징을 비교하여 한국전통춤의 근원적 특징을 고찰하는데 있다. 전통춤의 분류는 정병호의 분류법을근간으로 문제를 보완하여 정병호?이병옥의 분류법으로 재정립하였다. 그 특징은 ①대분류로 일반화된 2대 분류(궁중춤, 민속춤)를 인정하고 상분류에서 정병호의 4분류법을 수용하여 상호문제를 해결하였다. 즉 궁중춤은 향연춤, 제례춤으로 분류하고, 민속춤은 의례춤, 민간춤, 예인춤으로 분류하였다. ②대?상?중?하분류까지 4단계로 하위분류하여 전통춤 모든 종목을 분류하는 유형분류법을마련하였다. 그중에서 특히 예인춤은 기방계춤, 재인계춤, 신당계춤의 분류를 주목할 수 있다. ③여러 가지 분류방식도 상황에 따라 필요하겠지만 기능적, 직능적, 사회적, 예술적 개념을 종합한 통합분류로 정립하였다. 이어서 전통춤의 분류법에 입각하여 유형별로 양식적인 특징을 고찰하고 상호 비교하였다. 특히 전통춤 2대 분류인 궁중춤과 민속춤의 양식적 특징을 비교하였고, 예인춤의 양식적 특징을 고찰하고 하위분류인 기방계춤, 재인계춤, 신당계춤의 특징을 비교하였다. 또한 민간춤의 특징과 의례춤의 특징을 각기 고찰하였으며, 민속춤의 하위분류인 민간춤, 예인춤, 의례춤의 양식적 특징을 비교표로 정립하였다. 끝으로정병호와 이병옥이 정리한 한국 전통춤의 원형적 요소가 되는 신체부위별 춤사위의 양식적 특징을 살펴본 결과, 손가락춤은 없고 주로 추는 부위는 손목춤, 손바닥춤, 팔춤, 어깨춤이다. 그리하여 손가락춤, 목춤, 고개춤 등 말초부위는 발달하지 않았다. 또한 발디딤새는 비정비팔이 중심이며, 걸음걸이는 굴신인 디딤새→돋음새→오금새, 디딤새→뜀새의 원리로 걷는다. 그밖에 특징은 수족상응춤, 3박자의 호흡춤과 엇박춤을 들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the types of traditional dance and compare the formal characteristics of each genre to examine the original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dance. The classification method of Byung Ho Jung was applied to classify the traditional dance, but its problems were improved to reestablish it as the classification method of Byung Ho Jung and Byung Ok Lee. Its characteristics are as follows: ① The generalized classification into two genres (royal dance and folk dance) was accepted and Byung Ho Jung`s four-tier classification in the upper tier was accepted to resolve the problems. Therefore, royal dance was classified into banquet dance and ritual dance, while folk dance was classified into ceremonial dance, commoner dance, and artistic dance. ② A classification method was established to classify all categories of traditional dance into four tiers to present it as a chart. In particular, artistic dance was classified into Gibang Dance, Jaein Dance (entertainer), and Shindang Dance (shaman). ③ Various methods of classification would be needed, but an integrated classification method was established in terms of functional, professional, social, and artistic concepts. Then, the formal characteristics of the dance were examined and compared based on the method of classification of traditional dance. In particular, the formal characteristics of royal dance and folk dance were compared and the formal characteristics of artistic dance were examined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Gibang Dance, Jaein Dance, and Shindang Dance. Also, the characteristics of folk dance and ritual dance were examined and the formal characteristics of commoner dance, artistic dance, and ceremonial dance were compared in a chart. Finally, the formal characteristics of the dance of each body part that becomes the archetypical elements of Korean traditional dance organized by Byung Ho Jung and Byung Ok Lee include wrist dance, palm dance, arm dance, and shoulder dance, while the peripheral parts of fingers, neck, and head were not developed. The foot position is Bijeongbipal and the steps follow the principle of Didimsae→Dodeumsae→Ogeumsae and Didimsae→ Dduimsae. Other characteristics include hand-foot coordination dance, 3-beat breathing dance, and off-beat dance.
영등포교회출신 목회자들의 관점에서 본 방지일의 선교와 목회
이병옥 한국선교신학회 2020 선교신학 Vol.57 No.-
현재까지 방지일에 대한 선교학적 연구는, 한 편으로는 1957년까 지의 중국선교에 집중했고, 다른 한편으로는 방지일의 중국선교가 현재 의 한국선교에 주는 의미나 영향을 탐색했다. 그런데 양쪽의 공통점은 연구가 대체로 영등포교회의 외부자들의 관점에서 전개되었다는 점이 다. 이러한 시도들은 방지일의 중국 선교와 영등포 목회를 별개의 것으로 만드는 경향이 있다. 이런 점을 고려하면서, 이 연구는 내부자라 고 할 수 있는 영등포교회 출신의 목회자들이 볼 때 방지일이 선교와 목회를 어떻게 이해했는지를 선교적 교회의 관점에서 탐구했다. 차마즈 (Cathy Charmaz)의 구성주의적 근거이론(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을 준용하여, 이 연구는 방지일에게 있어서 선교와 목회의 주체가 하나님이기 때문에 선교와 목회는 구분되거나 나누어질 수 없다는 것을 발견했다. 따라서 목회는 선교적이어야 하고, 동시에 선교 는 목회적이어야 한다. 그리고 선교와 목회는 목회자의 구체적인 삶의 실천으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 이런 목회자의 선교적 삶이 없는 선교적 목회나 목회적 선교는 가능하지 않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To date, the missiological research on Pang Ji Ihl has been developed mainly in two directions. On the one hand, most of the research on Pang’s mission has focused largely on his mission to China until 1957. On the other hand, some researches have explored the meaning or influence of the mission on the present Korean mission. Nevertheless, what both directions have in common is that the research has largely evolv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outsiders of Yeongdeungpo Church. These tend to separate the mission and ministry of Pang. With this in min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missional church, this research has explored that pastors from Yeongdeungpo Church, as insiders, understood what Pang’s understandings of mission and ministry were like and how he related the former to the latter. Employing Cathy Charmaz’s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this research has found that for Pang, because God is the subject of both mission and ministry, the two cannot be separated or divided.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선교신학의 방향: 선교적 교회 관점에서
이병옥(Byung Ohk Lee)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21 선교와 신학 Vol.54 No.-
코로나 시대 가운데서 한국 교회가 여전히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사이에, 안타깝게도 많은 감염병 전문가들은 포스트코로나 시대는 코로나의 종말이 아니라 코로나와 함께하는 시대라는 의미의 ‘위드 코로나(with corona)시대’가 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포스트코로나 시대에 대해서 다양한 이해가 있지만, 코로나 시대의 연속선상에서 보는 시각과 불연속상에서 보는 시각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포스트코로나 시대는 전자의 측면에서 보면 환경적 재앙의 시대, 경제적 재앙의 시대, 언택트(Untact)/온택트(Ontact) 시대, 불안과 절망의 시대이고, 후자의 측면에서 보면 ‘뉴노멀’(New Normal, 새로운 표준/기준) 시대이다. 하지만 교회가 직면한 이런 시대적 상황을 교회중심의 목회적 관점으로는 대응하기 쉽지 않아 보인다. 오히려 새롭게 도래한 이 포스트코로나 시대는 교회가 자신이 있는 곳을 선교현장으로 인식하면서 선교적 상상력을 가지고 접근하기를 요청하고 있다. 이런 상황을 전제로, 이 글은 선교적 교회의 관점에서 일곱 개의 선교신학적 주제들-삼위일체 하나님의 사랑의 선교, 성육신적 상황화 선교, 하나님 나라의 구현을 지향하는 선교, 생명을 살리고 돌보는 선교, 디지털세상 속에서 온라인 선교, 상생과 화합의 우정 선교, 치유와 위로의 선교-을 제시함으로써 포스트코로나 시대에 교회가 고려해야 할 선교신학적 방향을 모색하려고 한다. While the church is still struggling in the era of COVID-19, many infectious disease experts predict that the post-corona era will be the With Corona era, which means the era with Corona, not the end of Corona. There are various understandings of the post-corona era, but it can be broadly divided into the view from the continuous line of the Corona era and the view from the discontinuity. In the former sense, the post-corona era is an era of environmental disaster, an era of economic disaster, an era of noncontacting/on-line connecting, an era of anxiety and despair, whereas it is the era of New Normal (new standard). However, it seems that it is not easy to respond to this situation facing the church from a church-centered pastoral point of view. Rather, this newly arrived post-corona era is asking the church to approach with missionary imagination while recognizing where it is located as a mission field. With this situation in mind, this paper discusses seven missiological theme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missional church-the mission of triune God’s love, the incarnational-contextualized mission, the mission for realizing the kingdom of God, the mission of saving and caring for lives, the online mission in the digital world, the friendship mission of coexistence and harmony, and the mission of healing and comfort-to explore the missiological direction that the church should consider in the post corona er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