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전통춤의 분류와 양식적 특징 -정병호의 분류법 검토를 중심으로-

        이병 ( Byoung Ok Lee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3 공연문화연구 Vol.0 No.27

        이 연구는 전통춤의 유형을 분류하고 장르별로 양식적 특징을 비교하여 한국전통춤의 근원적 특징을 고찰하는데 있다. 전통춤의 분류는 정병호의 분류법을근간으로 문제를 보완하여 정병호?이병옥의 분류법으로 재정립하였다. 그 특징은 ①대분류로 일반화된 2대 분류(궁중춤, 민속춤)를 인정하고 상분류에서 정병호의 4분류법을 수용하여 상호문제를 해결하였다. 즉 궁중춤은 향연춤, 제례춤으로 분류하고, 민속춤은 의례춤, 민간춤, 예인춤으로 분류하였다. ②대?상?중?하분류까지 4단계로 하위분류하여 전통춤 모든 종목을 분류하는 유형분류법을마련하였다. 그중에서 특히 예인춤은 기방계춤, 재인계춤, 신당계춤의 분류를 주목할 수 있다. ③여러 가지 분류방식도 상황에 따라 필요하겠지만 기능적, 직능적, 사회적, 예술적 개념을 종합한 통합분류로 정립하였다. 이어서 전통춤의 분류법에 입각하여 유형별로 양식적인 특징을 고찰하고 상호 비교하였다. 특히 전통춤 2대 분류인 궁중춤과 민속춤의 양식적 특징을 비교하였고, 예인춤의 양식적 특징을 고찰하고 하위분류인 기방계춤, 재인계춤, 신당계춤의 특징을 비교하였다. 또한 민간춤의 특징과 의례춤의 특징을 각기 고찰하였으며, 민속춤의 하위분류인 민간춤, 예인춤, 의례춤의 양식적 특징을 비교표로 정립하였다. 끝으로정병호와 이병옥이 정리한 한국 전통춤의 원형적 요소가 되는 신체부위별 춤사위의 양식적 특징을 살펴본 결과, 손가락춤은 없고 주로 추는 부위는 손목춤, 손바닥춤, 팔춤, 어깨춤이다. 그리하여 손가락춤, 목춤, 고개춤 등 말초부위는 발달하지 않았다. 또한 발디딤새는 비정비팔이 중심이며, 걸음걸이는 굴신인 디딤새→돋음새→오금새, 디딤새→뜀새의 원리로 걷는다. 그밖에 특징은 수족상응춤, 3박자의 호흡춤과 엇박춤을 들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the types of traditional dance and compare the formal characteristics of each genre to examine the original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dance. The classification method of Byung Ho Jung was applied to classify the traditional dance, but its problems were improved to reestablish it as the classification method of Byung Ho Jung and Byung Ok Lee. Its characteristics are as follows: ① The generalized classification into two genres (royal dance and folk dance) was accepted and Byung Ho Jung`s four-tier classification in the upper tier was accepted to resolve the problems. Therefore, royal dance was classified into banquet dance and ritual dance, while folk dance was classified into ceremonial dance, commoner dance, and artistic dance. ② A classification method was established to classify all categories of traditional dance into four tiers to present it as a chart. In particular, artistic dance was classified into Gibang Dance, Jaein Dance (entertainer), and Shindang Dance (shaman). ③ Various methods of classification would be needed, but an integrated classification method was established in terms of functional, professional, social, and artistic concepts. Then, the formal characteristics of the dance were examined and compared based on the method of classification of traditional dance. In particular, the formal characteristics of royal dance and folk dance were compared and the formal characteristics of artistic dance were examined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Gibang Dance, Jaein Dance, and Shindang Dance. Also, the characteristics of folk dance and ritual dance were examined and the formal characteristics of commoner dance, artistic dance, and ceremonial dance were compared in a chart. Finally, the formal characteristics of the dance of each body part that becomes the archetypical elements of Korean traditional dance organized by Byung Ho Jung and Byung Ok Lee include wrist dance, palm dance, arm dance, and shoulder dance, while the peripheral parts of fingers, neck, and head were not developed. The foot position is Bijeongbipal and the steps follow the principle of Didimsae→Dodeumsae→Ogeumsae and Didimsae→ Dduimsae. Other characteristics include hand-foot coordination dance, 3-beat breathing dance, and off-beat danc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소리춤의 범주와 형식적 특성 연구-정병호, 이보형의 <노래춤> 재음미를 중심으로-

        이병 한국민요학회 2015 한국민요학 Vol.45 No.-

        The study reanalyzed the research contents of 『Song Dance』 of Jeong Byeongho and Lee Bohyeong based on literatures and reconsidered based on various research results. In this study dance at the sound of the areas and categories of the classification system it has been newly organized as traditional dance. Ganggangsullae and Wolwolicheongcheong have been classified as Play singing dance(놀소리춤, 遊戲謠舞), such as the singing dance category in the narrow sense. However, It is classified as play singing dance such as Ganggangsulrae and Wolwolicheongcheong, and labor singing dance(일소리춤, 勞動謠舞) such as Gimmaegisorichum and Hoidajisorichum. Representative types of Jindo Ganggangsullae have been derived from mating dance men and women dance together, not from the original women dancing Throughout the Joseon Dynasty crazy to influence the separation of men and women, the historical castle as Imjin War turned addition, women become the dance. The category and format of Singing Dance are classified as follows. The most key concept is to make performance of folk song genre and dance genre complexly. It is a group song and singing dance instead of single singing or dancing. It is to dance while singing a folk song and folk dance with regional characteristics. In terms of gender, the main stream is women’s singing dance, but there are men’s singing dance and men and women’s singing dance. Women’s singing dance is played at moon night in a spacious place without direct relation to labor at the river side during daytime. But, men’s singing dance is played at the place related to labor (paddy field, mountain and bank on the paddy field). In terms of category, Nolsorichum includes Ganggangsulrae, Wolwoli- choengcheong, Notdaribalgi, Dondongnari, Gaetgasorichum, Jigemokbalchum, Chodongsorichum. And, labor sound dance is classified into farming of singing dance and funeral singing dance. In terms of the formation of dance, it includes round, spiral, single (linear), intersection (cross) and opposition (opposition dance) and other free styles. The theory of its origin varies such as agricultural ritual, play, military purpose, and love affair, but all have complicated aspects. Singing dance of agricultural people is Dapjichum reflecting women, moon night, rich harvest and land oriented dance idea, and also shows defensive circle dance and spiral dance. In terms of age, there are adult singing dance, infant and children singing dance. But, there is no labor singing dance for infant and children singing dance. Even for labor singing dance, it needs to be studied in separately growth and education purpose from singing dance for adult fellowship and love. 본 연구는 정병호, 이보형의 『노래춤』 연구성과를 재검토하여 소리춤의 분류와 범위 등 범주를 설정하고, 춤 형식에서 대형 변화의 의미를 고찰하고, 기원에 대한 근원적인 춤 성격을 규명하여 전반적인 개념과 의미를 정립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그리하여 전통춤의 분류체계에서 소리춤의 영역과 범주가 새롭게 정리되었다. 지금까지 강강술래와 돈돌나리, 지게목발춤과 같은 놀소리춤(遊戲謠舞)만을 협의의 소리춤 범주로 분류하는 방식이 지배적이었지만, 이번 연구에서 소리춤의 범위를 넓혀 김매기소리춤과 회다지소리춤 같은 일소리춤(勞動謠舞)을 포함하여 광의의 소리춤으로 분류하였다. 따라서 소리춤을 일소리춤과 놀소리춤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광의 소리춤의 하위분류에서도 일소리춤은 또다시 농경소리춤과 의례소리춤으로 하위분류할 수 있었다. 그리하여 전통춤의 분류체계에서 소리춤의 영역분류는 ‘전통춤>민속춤>민간춤>소리춤>놀소리춤, 일소리춤’으로 하위분류됨을 알 수 있었다. 소리춤의 대표종류인 진도 강강술래는 원래부터 여성춤이 아니라 원초적으로 남녀 간의 짝짓기춤, 놀이춤 등에서 비롯되었지만 조선시대를 거치면서 남녀유별사상이 영향을 미치고 임진왜란 같은 역사성이 덧붙여져 여성춤으로 전승되었다. 그러나 전남 신안군 등 여타의 지역에서는 아직도 원형적 요소들이 잔존해온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소리춤은 근원적으로 여성춤과 달춤과 풍요춤은 유감주술적 공통성을 지니며, 농경민족의 소리춤은 도약춤보다는 답지춤의 성격을 지니고, 대형에서는 공격보다는 방어적 성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지금까지 정병호, 이보형의 조사보고서 내용을 재분석하고, 여러 연구 성과를 토대로 분석한 소리춤에 대한 범주와 형식에 관한 내용을 종합해보면 다음과 같다. 소리춤은 말 그대로 민요장르와 무용장르를 복합적으로 연행하는 것이 기본 개념으로, 민요는 다함께 부르거나 선창자가 메기는 소리를 하면 춤꾼들이 다 같이 후렴구로 받는 소리를 하는 연행구조를 이루고 있다. 또한 홀로 노래 부르고 춤을 추는 개인기의 춤이 아니라 다 같이 소리하고 춤을 추는 집단성을 지니고 있으며, 향토민요를 부르면서 춤을 추는 것으로 지역적 토리 특성이 잘 나타나고 있다. 소리춤의 분류에서는 성별의 주류는 여성소리춤이지만 남성소리춤도 있고 남녀소리춤도 있다. 여성소리춤은 일과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넓은 공터에서 달밤에 추는 것과 대낮에 갯가에서 추는 춤이 있으나, 남성소리춤은 일과 관련이 있는 장소(논, 산, 논둑)에서 추는 것이 특징으로 나타났다. 유형 분류로는 놀소리춤(遊戲謠舞)과 일소리춤(勞動謠舞)이 있는데, 놀소리춤에는 강강술래류, 월월이청청류, 놋다리밟기류, 돈돌나리류, 갯가소리춤류, 지게목발춤류, 초동(草童)소리춤류 등이 있고, 일소리춤은 농경소리춤류와 장례소리춤류로 분류되었다. 춤대형은 원형, 나선무형, 단선무형(일자형), 교차형(십자형), 대립형(대향무), 기타 자유형 등으로 나타났으며, 기원설은 고대농경의례설, 유희설, 군사목적설, 짝짓기설 등 다양하지만 모두가 복합적 양상을 띠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 KCI등재

        이웃과 소통하기 위한 새로운 선교패러다임의 모색: 선포중심의 독백적 선교에서 경청중심의 대화적 선교로 전환

        이병 한국선교신학회 2019 선교신학 Vol.54 No.-

        이 글은 이웃과 소통하기 위한 새로운 선교패러다임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 교회 안에서 현재 주도적인 패러다임은 선포중심의 독백적 패러다임이다. 이 패러다임에서 한국 교회는 세상과의 관계 속에서 화자중심의 일방적 소통을 해왔다. 따라서 교회가 이웃과의 소통을 더 잘하기 위해서는 대화적인 패러다임을 필요로 한다. 삼위일체 하나님께서 본질적으로 대화적이시기에, 하나님의 선교도 대화적이며 따라서 교회의 선교도 대화적이어야 한다. 하지만 그동안 우리가 일방적으로 말하는 방식으로 선교해 왔기에, 새로운 패러다임에서는 교회가 먼저 말하는 방식이 아니라 이웃의 소리를 경청하는 데서부터 이웃과의 대화가 시작되어야 한다. 이것이 바로 경청중심의 대화적 선교패러다임이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new paradigm for the Korean church to better communicate with its neighbors. The proclamation-centered monological paradigm has been dominant within the Korean Church. This paradigm has led the church to be involved in one-way communication. In this sense, the church needs a dialogical paradigm for better communication with its neighbors. The triune God is in His essence dialogical, so God’s mission is to be in dialogue. In this light, the church should participate in God’s mission in the same dialogical way. Since the speaker-centered and one-way communication style of mission has been regarded as the primary paradigm of the Korean church, what it first has to do is listen to its neighborhood from a new dialogical paradigm of miss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