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YOLO 인공지능 플랫폼을 이용한 이상행동 감시 시스템

        이상(Sang-Rak Lee),손병수(Byeong-Su Son),박준호(Jun-Ho Park),최병윤(Byeong-Yoon Choi)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 한국정보통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25 No.1

        본 논문에서는 YOLO 인공 지능 플랫폼을 이용하는 이상행동 감시 시스템을 구현하였으며, YOLO 시스템의 one-shot 감지 시스템 사용으로 기존 감시 시스템에 비해 우수한 응답 특성을 갖는다. YOLO 인공 플랫폼은 폭행, 절도, 방화와 같은 이상행동들로 구성된 이미지 세트로 학습되었다. 이상행동 감시 시스템은 서버와 클라이언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용화될 경우 각종 범죄 문제를 풀기 위해 스마트시티에 적용이 가능하다. In this paper, abnormal behavior monitoring system using YOLO AI platform was implemented and had superior response characteristic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onitoring system using two-shot detection by using one-shot detection of YOLO system. The YOLO platform was trained using image dataset composed of abnormal behaviors such as assault, theft, and arson. The abnormal behavior monitoring system consists of client and server and can be applicable to smart cities to solve various crime problems if it is commercialized.

      • SCOPUSKCI등재

        중증 주산기 가사 환아에서 시행한 초기 뇌파 검사의 임상적 의의

        이종욱,최원정,김천수,이상,김준식,Lee, Jong Uk,Choi, Won Joung,Kim, Chun Soo,Lee, Sang Lak,Kim, Jun Sik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3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6 No.8

        목 적 : 주산기 가사 환아는 뇌손상 정도에 따라 다양한 임상경과와 예후를 나타낸다. 이에 초기 뇌파의 소견이 저산소성 뇌증 환아의 임상경과와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99년 7월부터 2002년 6월까지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 소아과 신생아 중환자실에 1분 Apgar 점수 3점이하의 중증 주산기 가사소견으로 입원했던 만삭아를 생후 3일 이내에 시행한 초기 뇌파검사 소견으로 미세 변화군(정상, 국소성 극파 혹은 서파)과 전반적 이상군(다형성 극파, 돌발-억제파(burst-suppression), 전반적 저전위파)으로 나누어서 각 군간 입원시 혈액 검사소견(암모니아, 요산, 젖산, pH), 임상소견(입원기간, 산전 모성 위험인자 유무, 경련유무 및 지속기간, 기계적 환기 필요여부, 경구수유 시작시기), 예후(사망 혹은 발달장애 유무) 등을 비교하여 통계적 분석을 하였다. 결 과 : 총 25명 중 미세 변화군은 15명, 전반적 이상군은 10명이었으며 양군 모두 외부 출생아가 70% 이상으로 많았다. 두 군간 성별, 평균 재태 기간, 출생 체중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미세 변화군에 비해 전반적 이상군에서 산전 모성 위험인자 내재(20.0% vs 60.0%), 평균 경련 지속기간(1.5일 vs 5.5일), 기계적 환기가 필요한 경우(20.0% vs 60.0%) 및 경구수유 시작시기(3.2일 vs 9.9일)가 의미있게 늦었으나 경련 동반율(66.7% vs 100.0%)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사망 혹은 발달장애를 동반한 나쁜 예후로의 진행은 미세 변화군 중 13.3%에 비해 전반적 이상군 중 60.0%로 의의있게 많았다(P<0.05). 결 론 : 주산기 가사에 노출된 환아들의 초기 뇌파검사 소견에서 다형성 극파나 돌발-억제파, 전반적 저전위파 등의 전반적 이상이 있는 경우 나쁜 임상 경과와 예후를 보여서, 주산기 가사 환아들의 예후를 예견하는데 지표로 이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Purpose : Perinatal asphyxia occurring in newborn is one of the major causes of acute mortality and chronic neurological disability in survivors. We have studied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electroencephalography(EEG) findings and clinical course and neurologic outcome in severe asphyxiated neonates. Methods : Between the period of July 1999 and June 2002, 25 neonates who were diagnosed with severe perinatal asphyxia(1-minute Apgar score of ${\leq}3$ and initial pH is less than 7.2) at NICU in Dongsan Medical Center were enrolled. An EEG was recorded and analyzed within three days of life and divided into two groups - group 1(normal or focal change on EEG) and group 2(generalized abnormal EEG). Between the two groups, clinical courses and neurologic outcomes were compared. Results : Fifteen infants(60%) were group 1 and ten infants(40%) were group 2(polyspikes, burst-suppression, generalized low voltage). Associated maternal disease, days of hospitalization, need for ventilator support, delay of oral feeding and convulsion duration are significantly higher and longer in group 2. Also, poor neurologic outcome(expire, developmental dela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 2(60%) than group 1(13.3%). Conclusion : Thus, the early neonatal EEG in asphyxiated newborn can be a predictable diagnostic tool in assessment of neurologic outcome.

      • KCI등재후보

        열성경련의 지속시간과 경련 횟수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한 연구

        홍승아(Seung Ah Hong),김성훈(Sung Hoon Kim),이상(Sang Lak Lee),김준식(Joon Sik Kim) 대한소아신경학회 2002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10 No.1

        목적:근래에는 열성경련과 저나트륨혈증의 연관성에 관한 많은 연구와 성인에서 오래 지속되는 비열성경련에서 말초혈액의 백혈구가 증가되는 것이 보고되어, 열성경련에서 경련 지속시간 및 경련횟수와 말초혈액의 백혈구 증가증 및 저나트륨혈증의 연관성을 연구함으로써 말초혈액의 백혈수 증가와 저나트륨혈증이 복합열성경련을 예측 인자가 될 수 있는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법:1999년 4월부터 2001년 3월까지 열성경련으로 동산의료원 소아과에 입원하였던 223명을 대상으로 경련 지속시간 15분 미만과 15분 이상군, 하루 1회의 경련과 2회 이상의 경련을 가진 군, 초발경련과 누적 경련 횟수가 2회 이상이었던 군으로 나누어 내원 당시의 체온, 말초혈액 백혈구수, 혈소판수, 혈청 나트륨과 뇌척수액 소견을 t-test, Chi-square test로 분석하였다. 결과: 1)전체 대상 환아 263명 중 남아가 137명(61%), 여아가 86명(39%)을 차지했으며, 계절적 분포는 겨울에 83명(37.2%)으로 다른 계절보다 많았다. 2)경련 지속시간을 15분과 30분을 기준으로 나누어 혈청 나트륨치와 말초혈액의 백혈구수치를 비교했을 때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3)하루동안 열성경련이 1회 발생군과 2회이상 발생군 그리고 단독 발생군과 다발 발생군을 비교했을 때 혈청 나트륨치와 말초혈액의 백혈구수치를 비교했을 때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4)열성경련의 초발연령을 생후 9개월을 기준으로 나누어 비교했을 떄 뇌척수액의 단백은 9개월 미만군은 76.3 mmg/dL이고 9개월이상군은 28 mmg/dL로 9개월 미만군에서 의미있게 증가되었다(P<0.003). 5)경련 형태를 전신성인 경우와 국소성인 경우, 그리고 단순 열성경련군과 복합 열성경련군을 비교 했을 때 혈청 나트륨치와 말초혈액 백혈구수치의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에서 성인의 장기간의 발작이 말초 백혈구 수의 증가와 연관이 된다는 보고와는 달리, 경련 지속시간에 따른 말초 백혈구 수뿐만 아니라 혈청 나트륨의 변화도 관찰할 수 없었으며, 말초혈액 백혈구 수와 혈청 나트륨이 복합열성경련을 예측하는 인자가 될 수 없었고, 말초 백혈구 수는 열성경련의 원인질환을 밝히는데에만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We studied the correlation of duration and frequency of febrile convulsion with peripheral leukocytosis and hyponatremia and identified whether peripheral leukocytosis and hyponatremia to be prognostic factors. METHODS: Two hundred sixty three children who admitted to Pediatric Department of Dongsan Medical Center for febrile convulsion from April, 1999 to March, 2001 were studied. We grouped patients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convulsion, daily frequency and total frequency. Body temperature on admission, leukocytes count, platelet count, serum Na level and CSF findings were analysed among the groups. RESULTS: Febrile convulsions occurred more ofthe in males(61%) than females(31%) and most frequently occured in winter(37.2%). There were no meaningful differences in serum sodium concentration and peripheral WBC count among groups according to seizure duration. There were no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groups according to seizure frequency. The protein concentrations of CSF were high in children who developed seizures before 9 months of age(P<0.003). There were no meaningful differences among groups according to seizure types. CONCLUSION: When we compared each group, we could not find any significant statistical correlation. We concluded that peripheral leukocytosis and serum Na level are not predicting factors but they are helpful to find etiology of fever.

      • KCI등재
      • 都市生活環境 地標와 施設水準에 關한 硏究 : 大邱直轄市의 健康性을 中心으로

        李相洛 대구보건대학 1987 대구보건대학 論文集 Vol.10 No.-

        There are big difference between developed countries and underdeveloped countries in urbanization. Moreover, from the municipal point of view, urban problems have raised in urbanizing process. In Korea, the distinctive features and problems in urbanizing process should be characterized by limping, sudden changes, stagnancy, and inequality of urban communities. During the past decade, the demand of municipal administration has been increased year by year by civilization, a sudden increase in population, a sudden urbanization, an increase in national income, and an evaluation in the standard of living. However, municipal administration shows lack of enthusiasm against the urban problems. As the result, urban problems, such as housing, city water, sewage, transportation, pollution, and so on have brought the urbanization into social problems. In case of Taegu city, it shows that the index of facilities concerning health keeping is much lower level in envirormental facilities for urban life comparing Taegu's facilities with domestic and foreign facilities. The phenomenon is much higher in large city thank small or medium city. The Index of health keeping shows in terms of the number of population per a doctor and a registered nurse. According to a survey, the index of health keeping is 1,500 person per a doctor, 1,582 person per a registered nurse, and the number of the bed is around 165 beds per a 100,000 person. Also the rate of city water supply is 93% and the quantity of water supply is a 270 liter per capita in a day. While the supplying rate for sewage facilities is 55.6% and the collecting rate of garbage is approximately 100% and the quantity of discharged garbage is 1.67 ㎏s per capita in a day which is gradually increased year by year. In brief, it is said that above indexes shown at higher value in large cities, while small cities have lower index value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신생아 범발성혈관내응고증에 대한 Gabexate mesilate(FOY )의 효과

        이상,강진무 啓明大學校 醫科大學 1992 계명의대학술지 Vol.11 No.3

        Gabexate mesilate(FOY) is a serine protease inhibitor which has a inhibitory effect on the coagulation cascade in the absence of antithrombin Ⅲ and it has been used for the treatment of DIC. To evaluate the effect of Gabexate mesilate for the treatment of DIC, 43 cases of neonatal DIC who were admitted to NICU of Pediatric department, Dong San Hospital during the period from January 1990 to June 1992 were involved in this study. The diagnosis of DIC was made by Shirahata's criteria. Among 43 cases, 12 were treated with FOY(FOY group), 21 were with FFP(FFP group), and 10 were with vitamin K(Vit K group). Vit K group was used as control. Laboratory findings including platelet, PT, APTT, fibrinogen before and after therapy, and the survival rate of each group were compared. Age, gestational weeks, birth weight, and pretreatment laboratory findings had similar distribution in each group. Pre-existed diseases were prematurity(51%), pneumonia(23%) , idiopathic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21%), intracranial hemorrhage(21%), congenital heart disease(21%), sepsis(16%,), perinatal asphyxia(16%), necrotizing enterocolitis(14%) , and intrauterine growth retardation (9%), and obstetric complications were existed in 65% of the cases. They has relatively even distribution in each group. Following therapy for 7 days, platelet, PT, APTT, and fibrinogen level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FOY and FFP groups than in Vit K group, and the survival rate of each group were 50% in FOY, 38% in FFF and 10% in Vit K group. Therapy with Gabexate mesilate showed improving effect in the treatment of neonatal DlC than with FFP or vitamin 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