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韓國語 破裂音 體系의 言語 類型論的 考察

        이진호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0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8 No.2

        The fact that the Korean plosive consonant forms a three-way opposition between plain plosive, aspirated plosive, and laryngealized plosive has been frequently mentioned as one of the typ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However, this is not the result of empirical studies based on large-scale language data, but one of the surface comparisons with several well-known languages. So there is room for reconsideration in the objectivity and reliability of previous argument. In this paper, I compared and analyzed the plosive inventories of 4,356 languages, a very large-scale language data, and then examined the typological aspects of Korean plosive system. In aspects of quantity such as the number(9) and ratio(47.4%) of plosives, three places of articulation, and three-way opposition, the plosive system in Korean did not deviate significantly from the average of all languages. On the other hand, the qualitative profile is completely different. It is not easy to find a same plosive system with Korean which there is no opposition by [±voiced], one of the most universal in world´s languages, and consist of three voiceless plosives(plain, aspirated, and laryngealized one) that is in contrastive proportionally in three places of articulation. Through thi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plosive system of Korean is quantitatively universal, but qualitatively specific. 이진호, 2020, 한국어 파열음 체계의 언어 유형론적 고찰, 어문연구, 186 : 5~29 한국어의 파열음 체계가 평음, 유기음, 경음의 삼항 대립을 이룬다는 사실은 한국어의 유형론적 특징의 하나로 이전부터 널리 언급되어 왔다. 그러나 이것은 대규모 언어 자료에 기반한 실증적 연구의 결과가 아니고 잘 알려진 몇몇 언어와의 표면적 비교 결과이기 때문에 재검토의 여지가 존재한다. 이 글에서는 4,356개라는 대규모 언어의 파열음 체계를 비교 분석한 후 이에 근거하여 한국어 파열음이 어떠한 양상을 보이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파열음의 수나 비율, 조음 위치의 수, 대립항의 수 등과 같은 양적인 측면에서는 한국어의 파열음 체계가 전체 언어의 평균치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 반면 삼항 대립의 음운론적 성격, 유무성 대립의 부재, 비례 대립의 성립 등과 같은 질적 측면에서는 동일한 유형을 찾기 어려울 만큼 독특한 모습이었다. 이를 통해 한국어 파열음 체계는 양적으로는 보편성을 보이지만 질적으로는 상당한 특수성을 보인다고 결론 지을 수 있다.

      • SCOPUSKCI등재

        DSMC(Direct Simulation Monte Carlo)방법을 이용한 마이크로관 내에서의 2 상유동에 관한 연구

        이진호,유동훈,이태홍,Lee, Jin-Ho,Ryu, Dong-Hun,Lee, Tae-Hong 대한기계학회 2003 大韓機械學會論文集B Vol.27 No.12

        In contrast to the high demand for MEMS devices, microflow analysis is not feasible even for single-phase flow with conventional Navier-Stokes equation because of non-continuum effect when characteristic dimension is comparable with local mean free path. DSMC is one of particle based DNS(Direct Numerical Simulation) methods that uses no continuum assumption. In this paper, gas flow in microchannel is studied using DSMC. Interfacial shear and flow characteristics are observed and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gas flow that is in contact with liquid case and solid wall case. The simulation is limited to the case of equilibrium steady state and evaporation/condensation coefficient is assumed to be the same and unity. System temperature remains constant and the interfacial shear appears to be small compared to the result with solid wall. This is because particles evaporated and reflected from the liquid surface form high density layer near the interface with liquid flow.

      • KCI등재

        기하 비선형과 항력 효과를 고려한 해상풍력발전기의 지진 응답해석

        이진호,배경태,진병무,김재관 한국지진공학회 2013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Vol.17 No.6

        In this study, the capability of an existing analysis method for the fluid-structure-soil interaction of an offshore wind turbine is expanded to account for the geometric nonlinearity and sea water drag force. The geometric stiffness is derived to take care of the large displacement due to the deformation of the tower structure and the rotation of the footing foundation utilizing linearized stability analysis theory. Linearizing the term in Morison’s equation concerning the drag force, its effects are considered. The developed analysis method is applied to the earthquake response analysis of a 5 MW offshore wind turbine. Parameters which can influence dynamic behaviors of the system are identified and their significance are examined.

      • SCOPUSKCI등재

        환원된 Ni/Y - Zeolite 촉매에서 니켈 금속의 분포가 일산화탄소 수소화 반응에 미치는 영향

        이진호,임선기,이동근,최선엽 한국화학공학회 1989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 Vol.27 No.4

        Ni/Y-Zeolite 촉매를 수소분위기하에서 여러 조건에서 환원시켜 니켈 금속 입자의 분포를 조절하고, 이에 따른 일산화탄소 수소화 반응의 활성 및 선택성 변화를 관찰하였다. TPR/TPO, TEM, XRD 및 FMR 관찰에 의하면 환원된 Ni/Y-Zeolite 촉매에서 니켈 금속은 이중 분산 분포를 나타내었다. 즉, Zeolite의 세공 내에는 고도로 분산된 니켈 cluster가 존재하였고, 반면에 Zeolite의 외부표면에는 주로 큰 니켈 입자가 존재하였다. 일산화탄소 수소화 반응은 1기압, 270℃ H₂/CO의 비가 3인 상태에서 작동하는 미분형 반응기에서 수행되어 졌다. 니켈 금속 입자의 분포는 반응활성 및 탄화수소 생성물의 분포에 크게 영향을 주었다. 고도로 분산된 니켈 cluster의 분율이 증가할수록 반응활성은 감소하였으나, 분자량이 큰 불포화 탄화수소의 생성이 두드러지게 증가하였다. 특히 모든 니켈 금속이 고도로 분산된 상태로 Zeolite 세공 내에 존재하게 될 때, C₁과 C₄ 탄화수소가 주로 생성되는 현상이 관찰되었고, 이는 촉매 내에 존재할 것으로 예상되는 Ni^+이온에서 1차로 생성된 에틸렌이 중합반응에 의해 부텐으로 전환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The influence of nickel metal distribution on the properties of Ni/Y-zeolite catalysts for CO hydrogenation was investigated. The studies using TPR/TPO, TEM, X-ray line broadening and FMR have shown the existence of a bidispersion of nickel metal particles; i.e., small particles were restricted inside the zeolite pores, and large particles were formed outside the zeolite crystal. CO hydrogenation reaction was performed in a differential reactor operating at atmospheric pressure, 270℃ and H₂/CO ratio of 3. Nickel metal distribution affected the activity and hydrocarbon product distribution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fraction of nickel metal inside the zeolite pores the activity continued to decrease, while the production of the long chain and olefinic hydrocarbons was enhanced significantly. Especially when all the nickel metals were restricted within the pores of zeolite, a bimodal hydrocarbon product distributions for C₁ and C₄ were observed. This was ascribed to the dimerization of the primarily formed ethene to butene on the active species of Ni^+ cations.

      • KCI등재
      • KCI등재

        초전도 유도 반발식 부상특성을 고려한 캡슐트레인 동특성 해석 모델 구축 및 주행 특성 분석

        이진호,임정열,유원희,이관섭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7

        A magnetically levitating capsule train, which runs inside the sub-vacuum tube, can reach ultra-fast speeds by dramatically reducing the aerodynamic drag and friction. The capsule train uses the superconductor electrodynamic suspension (SC-EDS) method for levitation. The SC-EDS method has advantages, such as a large levitation gap and free of gap control, which could reduce the infra-construction cost. On the other hand, disadvantages, such as the large variation of the levitation-guidance gap and small damping characteristics in levitation-guidance force, could degrade the running stability and ride comfort of the capsule train. In this study, a dynamic analytical model of a capsule train based on the SC-EDS was developed to analyze the running dynamic characteristics. First, as important factors in the capsule train dynamics, the levitation and guidance stiffness in the SC-EDS system were derived, which depend non-linearly on the velocity and gap variation. A 3D dynamic analysis model for capsule trains was developed based on the derived stiffness. Through the developed model, the effects of the different running speeds on the ride comfort were analyzed. The effects of a disturbance from infrastructure, such as the curve radius, tube sag, and connection joint difference, on the running stability of the capsule train, were also analyzed. 아진공 튜브 안을 부상한 상태로 주행하는 캡슐트레인은 공기저항력 및 마찰력을 획기적으로 줄임으로써 초고속 주행이 가능하다. 캡슐트레인에서 부상방식으로 사용되는 초전도 유도 반발식 부상은 부상 공극이 커서 인프라 건설비용이 저렴하고 별도의 부상제어가 필요 없는 장점이 있지만, 부상·안내 공극의 변화가 크고 부상 및 안내력에 댐핑 특성이 작아 주행 안정성 및 승차감을 악화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전도 유도 반발식 부상방식에 기반한 캡슐트레인의 동특성 해석 모델을 구축하고 이를 활용하여 캡슐트레인의 주행 특성을 분석하였다. 먼저 초전도 유도 반발식 부상에 있어서 동특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속도 및 공극 변화에 따라 비선형적인 특성을 보이는 부상 및 안내 강성을 도출하였고, 이러한 강성이 반영된 캡슐트레인의 3D 동특성 해석 모델을 구축하였다. 구축된 모델을 이용하여 캡슐트레인의 속도별 주행 특성이 승차감에 미치는 영향과 곡선 주행, 튜브 처짐 및 튜브 연결부 단차 등과 같은 주행 환경이 차량의 동특성 및 주행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 단열 및 등온수평 경계조건을 갖는 직각 밀폐용기내 공기의 자연대류 열전달

        이진호,김무현,모정하 대한기계학회 1990 대한기계학회논문집 Vol.14 No.1

        본 연구에서는 종횡비(aspect ratio` A=H/L)가 1 이하인 직각밀폐용기내 수평 경계면이 자연대류열전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단열조건인 경우와 등온조건 인 경우 { $T_{H}$.simeq. $T_{T}$> $T_{C}$.simeq. $T_{B}$, 따라서 온도차의 비, .DELTA. $T_{V/}$ .DELTA. $T_{H}$=( $T_{T}$- $T_{B}$)/( $T_{H}$- $T_{C}$).simeq.1} Mach-Zehnder간섭계 및 수치해석 을 통해 온도장 및 각 면에서의 열전달특성의 차이를 자세히 구명하였다. 특히 등온 수평면조건인 경우 상부수평면온도가 하부수평면온도보다 높을 때 ( $T_{T}$> $T_{B}$) 직각용기내는 수직방향으로 안정된 온도구배가 형성되어, 양단온도차(.DELTA. $T_{H}$= $T_{H}$- $T_{C}$)에 의해 기본적으로 존재하는 자연대류흐름을 억제하게 된다. 이때 자연대류흐름의 억제정도를 나타내는 주요 물리적 변수로서 온도차의 비, .DELTA. $T_{V/}$ .DELTA. $T_{H}$가 있다. 이러한 물리적 현상은, 기본적으로 존재하는 유체내 자연대류효 과를 억제함으로써 중력장하에서 양질의 결정을 얻고자 하는 결정성장(growth of cry- stal)등에 관계된다. 본 연구는 실험유체가 공기이고 .DELTA. $T_{V/}$.DELTA. $T_{H}$=1인 경우 를 택하여 일반적인 단열조건의 경우와 열전달특성의 차이를 비교한 것이다.전달특성의 차이를 비교한 것이다.다.전달특성의 차이를 비교한 것이다. Natural convection heat transfer in rectangular air enclosure was studied interferometrically and numerically for the use of adiabatic and constant temperature horizontal boundary conditions. In the isothermal horizontal boundary case with the temperature difference ratio, .DELTA. $T_{v/}$.DELTA. $T_{H}$ .simeq. 1 temperature distribution in the enclosure is strongly stratified and the average Nusselt Number is higher than that of adiabatic horizontal boundary case.ase.

      • KCI등재SCISCIESCOPUS

        전자선 직접묘사에 의한 Deep Submicron NMOSFET 제작 및 특성

        이진호,김천수,이형섭,전영진,김대용,Lee, Jin-Ho,Kim, Cheon-Soo,Lee, Heyung-Sub,Jeon, Young-Jin,Kim, Dae-Yong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992 전자통신 Vol.14 No.1

        전자선 직접묘사 (E-beam direct writing lithography) 방법을 이용하여 $0.2\mum$ 과 $0.3\mum$ 의 게이트길이를 가지는 NMOS 트랜지스터를 제작하였다. 게이트만 전자선 직접묘사 방법으로 정의하고 나머지는 optical stepper를 이용하는 Mix & Match 방식을 사용하였다. 게이트산화막의 두께는 최소 6nm까지 성장시켰으며, 트랜지스터구조로서는 lightly-doped drain(LDD) 구조를 채택하였다. 짧은 채널효과 및 punch through를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채널에 깊이 붕소이온을 주입하는 방법과 well을 고농도로 도핑하는 방법 및 소스와 드레인에 $p^-$halo를 이온주입하는 enhanced lightly-doped drain(ELDD)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제작후 성능을 각각 비교하였다. 제작된 $0.2\mum$의 게이트길이를 가지는 소자에서는 문턱전압과 subthreshold기울기는 각각 0.69V 및 88mV/dec. 이었으며, Vds=3.3V에서 측정한 포화 transconductance와 포화 드레인전류는 각각 200mS/mm, 0.6mA/$\mum$이었다. $0.3\mum$소자에서는 문턱전압과 subthreshold 기울기는 각각 0.72V 및 82mV/dec. 이었으며, Vds=3.3V에서 측정한 포화 transconductance는 184mS/mm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전원전압이 3.3V일 때 실제 ULSI에 적용가능함을 알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