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해안 냉조풍지대의 방풍망에 의한 수도의 풍해경감방법

        李承弼,李光錫,崔大雄,孫三坤,金七龍 韓國作物學會 1987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32 No.2

        동해안 냉조풍지대의 풍해상습지에 대한 방풍망설치방법과 설치시기에 의한 풍해 경감 효과를 구명하고자 1983년부터 1985년까지 3개년간 경북영덕지방에서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동해안 냉조풍지대의 1954년부터 1985년까지 32년 동안 강풍 발생빈도는 8월 10일부터 9월 10일 사이에 높아 이 지역의 수도 안전출수한계기는 8월 10일 이전 안전하다고 생각된다. 2. 이 지대에 주로 풍해를 유발시키는 바람은 태백산맥을 넘어오면서 휀(Fohn) 현상에 의한 고온건조한 편서풍과 해양에서 내륙으로 부는 한냉과습한 냉조풍이었으며 도작기간중 발생빈도가 각각 25 %였다. 3. 방풍망 설치에 따른 1차 효과는 감풍효과였으며 방풍망이 설치된 지점으로부터 1m에서는 23.9%, 10m에서는 35.8%, 20m에서는 26.9% 감풍효과가 있었으며 그 효과는 설치된 방풍망 높이의 10배 거리까지 있었다. 4. 방풍망 설치에 따른 2차 효과는 기온, 지온, 수온의 상승효과였으며 무방풍구에 비해 기온은 최고 0.7℃ , 최저 0.4℃ , 평균 0.1℃ 상승되었으며 수온은 최고 0.3℃ , 최저 0.3℃ 상승되었고 지온도 0.3℃ 상승효과가 있었다. 5. 방풍망 설치에 따른 3차 효과는 생육촉진 감수경감, 품질향상의 효과가 있었으며 무방풍구에 비해 출수기가 2~5일 단축되었고 간장, 주당수수, 수당영화수, 임실율의 증가로 20~28% 증수효과가 있었으며 완전중의 비율도 높았다. 6. 벼알의 변색정도가 심할수록 등숙율과 정조 1,000 입중이 현저하게 떨어졌으며 그 감소정도와 부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7. 방풍망 설치방법별로는 한냉과습한 냉조풍과 고온건조한 편서풍을 모두 방풍할 수 있는 종합방풍시설이 가장 효과가 컸으며 방풍망 설치시기별로는 수잉기에 설치하는 것이 가장 효과가 컸다.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conducted to find the effect of wind-break net on reducing cold wind damage in the eastern coastal cold wind damaged area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rice critical safe heading date was up to Aug. 10 in the eastern coastal area, which the frequency of gale Aug. 10 to Sep. 10 is high. The frequencies of westries and cold wind from sea were 25%, respectively, in this area. The effects of wind-break net on reducing wind verocity were 26.9, 34,6% with raising air temperature of 0.4-0.7~circC and water temperature of 0.3-0.5~circC . The effect of wind-break net was up to 10 time's distance of wind-break net's height from wind-break net. The installation of wind-break inhanced to rice growth, so showed the heading date earlier by 2-5days and increased culm length, no.of panicles per hill and no. of spiklets per panicle. The yield decrease in this area was due to sterilization, poor ripening and light 1,000 grain weight. The yields showed 20-28% increase by installation of wind-break net. The effect of wind-break net was most in the installation plot with wind-break net against cold wind from sea and westries installed in the panicle formation stage.

      • KCI등재

        중.산간지대에서 참당귀의 화성억제 연구

        李承弼,趙知衡,閔基君,權泰龍,崔章洙,朴魯權,崔富述 韓國作物學會 1995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40 No.1

        중·산간지대에 재배되는 참당귀의 화성억제에 의한 추대율 감소를 위하여 1992년 2월부터 1994년 11월까지 경북농림진흥원 북부시험장에서 육묘지대, 육묘지간 및 유기물 시용에 따른 화성 및 품질을 비교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육묘지대에 따른 추대율은 표고가 높을수록 현저히 낮았고, 아울러 지하부 생육 및 수량이 200, 400m인 지대보다 양호하여 참당귀의 육묘적지는 적어도 표고 600m 이상이 적당하다고 적당된다. 2. 중·산간 지대에서는 육묘기간이 짧아질수록 추대율이 현저하게 낮아서 수량은 증수되었지만, extract 및 decursin 함량은 육묘기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여 육묘기간과 품질면에서는 반대되는 경향이었다. 3. 유기물 자원별에 따른 추대반응은 단비 시용구보다 유기물 시용구에서 추대율이 낮았으며, 특히 볏짚퇴비에서 가장 낮았고 수량 및 품질반응은 관행재배보다 유기물 시용구에서 양호하였지만 유기물 자원간에는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loral inhibition of An-gelica gigas NAKAI in the hilly altitude located in the Northern Gyeongbuk Province from Feb. 1992 to Nov. 1994.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 As the cultivated areas are high, rate of bolting was significantly decreased, having high yield, good growth, and medicinal quality. It is considered that the optimal cultivating area was at least above 600m altitude. In the hilly altitude, the more shorten nursery period was, the more decreased rate of bolting was, it results in decreased yield, having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tents such as extracts and decursin. In bolting response from temperature treatment of the seedlings, treatment of high temperatur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floral induction, but rate of establishment was decreased by decayed root. Bolting rate at different organic resources has more reduced in single fertilization than that of in organic application, but among organic resources, compost of rice straw has the lowest bolting rate. As a result, yield and medicinal qualities at various organic resources were increased in application of organic resources which was no con-siderable tendency among organic resources.

      • KCI등재

        콤바인 수확답에서 벼 이형주 발생양상

        李承弼,金相慶,尹榮錫,李光錫,崔大雄 韓國作物學會 1991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36 No.4

        종자순도 유지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코자 콤바인 수확시의 탈립종실이 익년 본답재배양식별 출현정도 및 생육특성을 정상재배벼와 비교검토 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콤바인 수확시 품종별 탈립정도는 삼강벼가 49.5kg/10a로서 낙동벼의 27.8kg/10a보다 현저히 많았으나 탈립종자의 월동후 발아율은 오히려 낙동벼가 훨씬 높았다. 2. 이형주출현율 및 종자혼입율은 재배양식간에는 직파재배가 이앙재배보다, 그리고 품종별로는 일반형품종이 통일형품종보다 높은 경향이였다. 3. 이형주의 생육은 공시품종 모두 천립종을 제외한 간장, 주당수수, 수당입수 및 등숙율등 대부분의 형질들이 정상재배벼에 비하여 저하하는 경향이 었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hattered grain by combine harvesting at the previous year on rice plant emergence at different planting methods and plant characteristics, The results are follows : Combine harvesting greatly influence on shattered grain of Samgangbyeo as Tongil variety (49.5kg/10a) compared to that of Nagdongbyeo as Japonica variety(27.8kg/10a), while Nagdong-byeo showed higher germination rate than Samgangbyeo, whether transplanted and direct seeded. Emergence of volunteer and seed mixture were lower in transplanted than in direct seeded. In variety test. Japonica variety showed higher emergence of volunteer rice and seed mixture than Tongil variety. Generally,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yield components were observed with different varieties by the volunteer rice. But the volunteer rice caused by combine harvesting decreased culm length, panicle length, spikelet number, panicle number and ripening ratio. except l000-grain weights.

      • KCI등재

        수도 풍해경감을 위한 방풍강 강목의 효과

        李承弼,金相慶,李光錫,崔大雄,金七龍 韓國作物學會 1990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35 No.4

        동해안 랭조풍지대의 풍해 대표지역인 경북 영덕지방에서 1986년부터 1989년가지 4개년간 방풍강의 강목에 다른 풍해 경감효과와 농가포장 설치효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1. 동해안 랭조풍지대의 1979년부터 1989년까지 11년간 태풍에 의한 백수 피해의 발생빈도는 8월 10일부터 9월 10일 사이에 높아 이 지역의 수도 안전출수한계기는 8월 10일 이전이 안전하다고 생각된다. 2. 이 지대는 태풍 통과시 증발계수가 250이상으로 높아 백수피해 위험도가 높으며 풍해를 유발시키는 바람의 종류는 태백산맥을 넘어오면서 휀(Fohn) 현상에 의한 고온건조한 편서풍과 해양에서 내륙으로부터 한랭과습한 랭조풍이었으며 도작기간중 발생빈도는 각각 25, 20%였다. 3. 방풍강 설치에 의한 풍속 감속효과는 방풍강의 강목이 좁을수록 컸으며, 방풍강이 설치된 지점으로부터 1m 거리에서는 23%, 10m 거리에서는 34%, 20m 거리에서는 28%였으며 그 효과는 설치된 방풍강 높이의 10배까지 있었다. 4. 방풍강 설치에 의한 기상개선효과는 무방풍구에 비해 방풍강의 강목이 좁을수록 컸으며 기온은 최고 0.8℃ , 최저 0.7℃ , 평균 0.6℃ 상승되었고 수온은 최고 0.5℃ , 최저 0.6℃ , 평균 0.5℃ 상승되었으며 지온도 0.4℃ 상승되었다. 5. 방풍강에 의한 생육개선효과는 무방풍구에 비하여 방풍강의 강목이 좁을수록 컸으며 출수촉진, 개체군 생장속도 및 광이용율 증진, 간장신장, 주당수수, 수당영화수, 임실율, 천립중 등이 증가하여 방풍강의 강목(0.5 0.5cm)에 따른 증수효과는 10%, 농가포장 설치효과는 15% 증수되었다. 6. 답면수온이 낮은 동해안 랭조풍지대에서는 주당묘수를 늘리는 것이 수수 확보에 유리하여 13% 증수효과가 있었으며 그 효과는 무방풍구에서 더욱 현저하였다. 7. 방풍강 설치에 의한 풍속 경감으로 동화기관의 고엽방지효과로 완전미의 비율이 높아 미질개선의 효과가 있었으며 벼알의 변색정도가 감소되었고 변색정도가 심할수록 증숙율과 천립중이 떨어졌으며 그 정도와 부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태풍 발생빈도가 높은 동해안 랭조풍지대에서는 품종과 이앙기를 조절하여 풍해를 회피하거나 방풍림이나 방풍강을 설치하여 풍해를 경감시키는 것이 수량 생산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reducing effect of wind injury was investigated using several wind-break nets in Youngdeok province where cold-wind damage is often occurred during rice growing season. The white-head damage of rice have been often occurred by typhoon during the period between August 15 to September 10 in the cold wind area of the eastern coastal during the last 11 years (1979-1989). This may suggest that the critical period for heading will be by August 15 in the regions. High evaporation coefficient, more than 250 due to typhoon passage over the regions resulted high injury of white head. Generally, the wind injury have been caused by warm and dry westerlies through Fohn apperance in Taebaeg mountains and by cool-humid wind which blows from coast to inland.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the two types of typhoons were 25, 20%, respectively during rice cultivation. The instalation of wind-break net significantly reduced the wind blowing speed, depending on the net mesher with the higher effect in dence net. The distances between the net and cropping area also affect the wind speed: 23% reduction at 1m distance. 34% at 10m and 28% at 20m, respectively. The reducing effect was also observed even at 10 times height of the wind-break net. The instalation of wind-break net gave several effects on climate factor, showing that temperature increased by 0.8~circC (maximum), 0.7~circC (minimum), 0.6~circC (average) : water temperatures increased by 0.5~circC (maximum), 0.6~circC (minimum), 0.5~circC (average) : soil temperature increased 0.4~circC . The earlier heading and increasing growth rate, use of light, culm length, panicle number per hill, spikelet number per panicle, fertility and 1,000 grain weight were observed in the fields with the wind-break nets resulting in 10-15% increase in rice yield using 0.5~times 0.5cm nets. The increasing seedlings per hill gave higher grain yield by 13% in the cold wind damage regions of eastern coastals. and the wind-break was more significant in the field without the wind-break net. Wind injury of rice plant in the cold wind regions of eastern coastals in korea could be reduced by selection of tolerant varieties to wind injury, adjustment of transplanting time, and establishment of wind-break ne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