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장류용 강력국균에 관한 연구 3

        이계호,장건형 한국미생물학회 1965 미생물학회지 Vol.3 No.2

        The enzyme-producing potentials of industrially important strains of Aspergillus spp. were studied. Irradiation of three original isolates of Aspergillus oryzae to ultra-violet rays resulted in the production of mutants which differed from the parent riboflavin and vitamin $B_{12}$ in culture media. 1. Irradition three strains of Aspergillus oryzae to ultraviolet light produced mutants and two strains of them were selected for soy sauce brewing. 2. The two strains are the physiological mutants of Aspergillus oryzae. Both were found to have superior enzyme activity to their relatives. 3. Aspergillus oryzae UV-induced mutant 172-722 and 569-713 were more powerful than others in the production of riboflavin and vitamin $B_{12}$. The enzyme activity of these strain were high and decreased only slightly even in 20 percent solution of NaCl. 4. Aspergillus oryzae UV-induced mutant 172-722 had more powerful protease producibility in wheat bran media than in modified Czapek's solution. On the contrary, Aspergillus oryzae UV-induced mutant 569-713 had more powerful producibility of saccharogenic and dextrinogenic amylase in modified Czapek's solution than in mold bran. 5. Aspergillus oryzae UV-induced mutant 172-722 formed the spore rapidly and Aspergillus oryzae UV-induced mutant 569-713 did ordinarily. 6. It is found from the results that Aspergillus oryzae UV-induced mutant 172-722 is valuable material for the manufacture of soy sauce because of its high protease activity in 20 percent solution of NaCl. Aspergillus oryzae UV-induced mutant 569-713 is suitable for soy bean mash and for fermented red pepper sauce for its high saccharogenic and dextrinogenic amylase activity in 20 percent solution of sodium chloride.

      • SCIEKCI등재

        청국장에 관한 연구(Ⅰ) : 청국장 제조과정에 있어서 콩단백질의 변화에 대하여 On the changes of soy - bean protein in manufacturing Chung - Kook - Jang

        이계호,이효지,정문교 한국농화학회 1971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Appl Biol Chem) Vol.14 No.3

        As a series on the soy-bean protein and their related substances 9 samples were collected from 9 places such as straws (Rice) to obtain bacterial strains which produce protease. From these samples total of 23 strains were isolated by the use of dilution pour plate method. For all isolated strains primary screening of productivity of protease was performed and useful straines with regard to protease productivities were identified. Optimum conditions for enzyme action of protease from isolates D_9, F_(20) strains were pH 7.5 and 40℃. Chung-Kook-Jang is one of the characteristic foods in Korea made from soy-bean by fermentation. The chief bacterium is Bacillus subtilis and the chief change which takes place in soy-bean during fermentation is degradation of protein. Three kinds of Chung-Kook-Jang were prepared using three different strains of Bacillus natto, D_9 and F_(20) from isolated. Water soluble-N, TCA soluble-N, amino-N and peptide-N were measured about the steamed soybean, Chung-Kook-Jang prepared with three strains of bacteria. Water soluble-N decreased very largely in steamed soybean, but in Chung-Kook-Jang it increased to 85% of raw soy-bean.

      • SCIEKCI등재

        Avicelase 생산성 Trichoderma sp . HK47 의 분리 동정 및 그 효소 특성

        이계호,박헌국 한국농화학회 1991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Appl Biol Chem) Vol.34 No.2

        결정성 cellulose를 분해할 수 있는 효소를 생산하는 미생물을 얻기 위하여 토양과 갈색으로 부식된 목재 부위로부터 screening test를 행하였다. Avicel 분해능이 우수한 8종의 균주를 분리하였으며, 그 중에서 avicel 분해능이 가장 우수한 HK47을 선정하여 형태학적 배양학적 특성을 확인함으로써 Trichoderma sp. HK47임을 동정하였다. 분리 선정 균주 Trichoderma sp. HK47에 대하여 avicel 분해효소 생산을 위한 배양 최적 조건을 조사하였다. 배지는 탄소원으로서 carboxymethylcellulose 1.5%, 질소원으로서 NaNO₃ 0.75%, KH₂PO₄, 0.5%, MgSO₄·7H₂O 0.1%, Tween 80 0.05%(v/v), 무기염류는 첨가치 않는 것이 최적이었으며, 배양조건으로서는 pH 6.0, 30℃에서 정치 배양하는 것이 최적이었다. 이 경우에 avicel 분해 효소의 생산량은 0.028U/ml이었다. Avicel을 분해하는 조효소의 특성을 조사한 결과 avicel분해 효소는 pH 5.0, 60℃에서 최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pH 5∼6, 20℃∼40℃까지에서 pH 안정성 및 열안정성을 보여 주었다.

      • SCIEKCI등재

        생전분 분해성 Rhizopus . sp cy - 7 을 이용한 전통 약주 제조

        이계호,성찬용 한국농화학회 1991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Appl Biol Chem) Vol.34 No.4

        무증자 알콜 발효를 전통 약주 제조에 응용하면 증자 에너지 절감, 고농도 사입 가능, 독특한 맛을 지닌 약주를 제조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누룩으로부터 생전분 분해능이 우수한 균주를 분리하여 Rhizopus. sp cy-7이라 동정하였다. 이 균주의 효소 특성은 optimum pH는 5였고, alcohol 18%에서도 60%의 역가를 유지하였으며, glucoamylase activity는 360 RSU였다. 생성된 유기산은 대부분 lactic acid였고 알콜발효능이 있있다. 이 균주를 이용 koji를 제조하여 무증자 쌀로부터 30℃, 4일만에 15.9%의 알콜을 얻을 수 있었으며, 이 균주가 생산하는 유기산 lactic acid에 의해 발효액의 pH는 4 정도로 유지되었으며 이것에 의해 오염 균주의 증식을 저해할 수 있었다.

      • Xanthomonas malvacearum 돌연변이주(突然變異株)의 Heteropolysaccharide 생산성(生産性)에 관(關)하여

        이계호,김미선,박찬영,Lee, Ke-Ho,Kim, Mi-Sun,Park, Chan-Yung 한국응용생명화학회 1987 한국농화학회지 Vol.30 No.1

        Xanthan gum의 생산력(生産力)이 있는 Xanthomonas SNUF-560 균주(菌株)에서 자외선(紫外線) 조사방법(照射方法)으로 생산능(生産能)이 우수(優秀)한 변이주(變異株)를 선택(選擇)해서 동결건조법으로 보존(保存)했으며 PDA배지(培地)에서 2주(週)마다 이식(移植)하여 생산실험(生産實驗)에 사용(使用)하였다. 최적발효배지(最適醱酵培地)의 검토(檢討)에서 탄소원(炭素源)으로 sucrose 40g/l, 질소원(窒素源)으로 glutamic acid 10mM, 유기산(有機酸)으로 succinic acid 10g/l, $PO_4\;^{-3}\;65mM$일때 각각 좋은 결과(結果)를 얻었으며, 최종적(最終的)으로 배지(培地) 1과 배지(培地) 2에서 각각 1,050cp(12g/l), 900cp(10.5g/l)를 얻었으며 조성(組成)은 다음과 같다. 배지(培地) 1 = sucrose 40g/l, glutamate 10mM, $PO_4\;^{-3}\;65mM(KH_2PO_4\;12.65g/l)$, citrate 2g/l, $MgSO_4{\cdot}7H_2O\;0.2g/l$, $H_3BO_3\;0.006g/l$, ZnO 0.006g/l $FeCl_2{\cdot}6H_2O\;0.0024g/l$ $CaCO_3\;0.02g/l$ 배지(培地) 2 : sucrose 40g/l, $(NH_4)_2SO_4\;2g/l\;PO_4\;^{-3}\;65mM\;(KH_2PO_4\;12.65g/l)$ succinate 10g/l, $MgSO_4{\cdot}7H_2O\;0.02g/l$ $H_3BO_3\;0.006g/l$ $FeCl_2{\cdot}6H_2O\;0.0024g/l$ $CaCO_3\;0.02g/l$. The mutant with high productivity, X. malvacearum SNUF 560-6, was acquired from the X. malvacearum SNUF 560 with low productivity by UV-light irradiation. It was preserved is lyophilized stock culture and it was transferred to PDA slant to maintain viability fortnightly. Fermentations were started by retransfering to MY agar slant from PDA stok culture. The experiments for optimal xanthan gum production were studied in a chemically defined medium. Of the carbon and nitrogen sources tested, 0.4% sucrose medium and 10mM glutamic acid medium yielded the highest xanthan gun production respectively. The addition of 10g/l succinic acid stimulated xanthan gum production. Also 65mM $PO_4\;^{-3}\;(12.6g/l\;KH_2PO_4)$ was effective on xanthan gum production. Finally, medium 1 and medium 2 which have high xanthan gum production potencies were achieved in this stud. The components of medium 1 and medium 2 were as follows: Medium 1 : sucrose 40g/l glutamate 10mM $PO_4\;^{-3}\;54mM\;(KH_2PO_4\;12.65g/l)$ Citrate 2g/l $MgSO_4{\cdot}7H_2O\;0.2g/l$ $H_3BO_3\;0.005/l$ ZnO 0.006/l $FeCl_2{\cdot}6H_2O\;0.0024g/l$ $CaCO_3\;0.02g/l$ Medium 2 : $Sucrose\;40g/l\;(NH_4)_2SO_4\;2g/l$ $PO_4\;^{-3}\;65mM\;(KH_2PO_4\;12.65g/l)$ Succinate 10g/l $MgSO_4{\cdot}7H_2O\;0.02g/l$ $H_3BO_3\;0.06g/l$ ZnO 0.006g/l $FeCl_2{\cdot}6H_2O\;0.0024g/l$ $CaCO_3\;0.02g/l$.

      • KCI등재

        척추성형술시 골 시멘트의 추간판 유출을 예측할 수 있는 자기공명영상소견

        이계호,유동수,김유미,이영석 대한영상의학회 2007 대한영상의학회지 Vol.56 No.4

        Purpose: To evaluate the relation between pre-operative MR findings and intradiscal bone cement leakage. Materials and Methods: Pre-operative MR and vertebroplasty were performed in 188 vertebral bodies, 376 superior and inferior cortical endplates and intervertebral discs of 126 patients. We analyzed the relation between endplate cortical injury and intradiscal linear low signal intensity lesions in the pre-operative MR images and measured intradiscal bone cement leakage on post-operative CT and fluoroscopy. Results: Intradiscal bone cement leakage was found in 11.4% (43/376) of the cases. The incidence of endplate cortical injury in T1, T2 weighted MR images were 52.1% and 38.8%, respectively; the incidence of intradiscal linear low signal intensity lesions in T1, T2 weighted images were 11.2% and 24.2%, respectively. In relation with pre-operative MR findings and intradiscal bone cement leakage, the sensitivities of end plate cortical injury in T1 and T2 weighted images and intradiscal low signal intensity lesions in T1 and T2 weighted images were 100%, 95.3%, 39.5%, 86.5%, the specificities were 54.1%, 68.5%, 92.5%, 83.9%, the positive predictive values were 21.9%, 28.1%, 40.5%, 40.7%, the negative predictive values were 100%, 99.1%, 92.2%, 97.9%, and the accuracy were 59.3%, 71.5%, 86.4%, 84.0%. The incidence of intradiscal bone cement leakag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hen endplate cortical injury and intradiscal linear low signal intensity lesions were observed (p <0.001). Conclusion: Endplate cortical injury and intradiscal linear low signal intensity observed in pre-operative MR are useful findings in predicting intradiscal bone cement leakage. 목적: 척추성형술 전 자기공명영상에서 관찰되는 척추체 종판 피질골 손상 및 추간판 내 선상 저신호강도 병변과 시술 시 골시멘트 추간판 유출의 관련성을 알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척추성형술을 시행 받은 환자 중 시술 전 자기공명영상을 시행한 총 126명 188개 척추체의 상, 하측 종판 피질골 및 추간판 376개를 대상으로 하였다. 시술 전 자기공명영상에서 종판 피질골 손상 및 추간판 내 선상 저신호강도 병변과 시술 후 투시촬영과 전산화 단층촬영에서 골시멘트 유출의 관련성을 조사하였다. 결과: 골시멘트의 유출은 11.4%(43/376)였으며, 시상면 T1및 T2강조영상에서 종판 피질골 손상은52.1%, 38.8%, 추간판 내 선상 저신호강도 병변은 11.2%, 24.2%였다. 자기공명영상에서 종판 피질골 손상 및 추간판 선상 저신호강도 병변과 골시멘트 추간판 유출의 관계에서 민감도는 100%, 95.3%, 39.5%, 86.5%, 특이도는 54.1%, 68.5%, 92.5%, 83.9%, 양성예측도는 21.9%, 28.1%, 40.5%, 40.7%, 음성예측도는 100%, 99.1%, 92.2%, 97.9%, 정확도는 59.3%, 71.5%, 86.4%, 84.0%이었다. 종판 피질골 손상 및 추간판 선상 저신호강도 병변이 관찰된 경우 유의하게 추간판 유출이 증가하였다( p < 0.001). 결론: 척추성형술 전 자기공명영상에서의 종판 피질골 손상과 추간판 선상 저신호강도 병변은 골시멘트 추간판 유출을 미리 예측할 수 있는 유용한 소견으로 생각된다.

      • SCIEKCI등재

        Saccharomyces diastaticus 의 glucoamylase gene 이 cloning 된 Saccharomyces cervidise tans formant 의 특성

        이계호,이윤복 한국농화학회 1991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Appl Biol Chem) Vol.34 No.2

        전분으로부터 효과적으로 ethanol을 생산할 수 있는 새로운 균주를 개발하기 위하여 Saccharomyces diastaticus의 glucoamylase gene YEp 13을 cloning 운반체로 하여 Saccharomyces cerevisiae에 형질 전환하였다. 그 transformant의 특성을 조사함으로써 plasmld DNA가 chromosomal DNA에 integration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Transformant가 생산하는 glucoamylase와 Saccharomyces diastaticus의 glucoamylase는 최적 pH 5.0과 최적 온도 50℃로서 그 특성이 모 균주와 비슷한 것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형질 전환 균주 세포 YES 13의 glucoamylase 생산 최적 조건을 조사하였다. 탄소원으로는 soluble starch 1%, 질소원으로는 yeast extract 0.4%에서 가장 효과적이었다. FeSO₄, CuSO₄ 등의 무기 염류가 10^(-4)M에서 효소 생산성이 두드러졌고, 반면에 HgCl₂는 세포 생장과 효소 생산성에 모두 좋지 않은결과이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glucoamylase 생산 최적 온도와 초기 pH는 각각 30℃와 5.0이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