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그림지도 학습을 위한 멀티미디어 코스웨어의 개발

        황홍섭(Hong Seop Hwang),장서순(Seo Soon Jang) 한국지역지리학회 2002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8 No.1

        본 논문은 초등학교 사회과 3학년 그림지도 학습과 관련하여 기존의 CAI관련 교육매체들이 단순히 그림지도관련지식을 나열하는 방식에서 탈피하여 그래픽, 애니메이션, 사운드, 동화상 등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자료를 상호 연계한 코스웨어와의 활발한 상호 작용을 통해 스스로 그림지도와 관련된 지식을 구성해 나갈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개발된 코스웨어는 3학년 사회과 그림지도 영역의 이해를 보다 쉽게 할 뿐 아니라 그림지도의 구성요소와 그림지도를 백지도 상에 그리는 방법, 지도를 활용하는 방법의 안내까지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개별학습용 수준별 심화·보충학습용으로도 활용할 수 있게 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multimedia courseware which can make studying picture map interesting in a more concrete and three-dimensional situation by using multimedia materials such as graphics, animation, and moving images, which breaks from the past teaching methods for picture map. The multimedia courseware used in this research can help learners understand the concept on picture map in a much easier way, and study wherever and whenever they want to. In addition, students can pass through the levels up according to their levels through the process of students` constructing the knowledge by themselves and individualized materials which can enhance their desire to learn and make the individualized learning possible.

      • KCI등재

        공공데이터에 기반한 초등학교 안전지도의 개발 및 활용 방안 탐색

        황홍섭(Hwang, Hong Seop),박지수(Park, Ji Su)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6 사회과교육 Vol.5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지금까지 개발된 초등학교 안전지도에 대한 비판적 차원의 분석, 검토를 통하여 공공데이터에 기반한 실효성, 객관성, 즉시성이 있는 초등학교 안전지도를 개발하고, 그것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첫째, 기존 안전지도는 실효성, 객관성, 즉시성을 제대로 반영할 수 없었지만, 공공데이터 기반 안전지도는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시각화함으로써 초등학교 학생들의 일상 생활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게 하였다. 둘째, 공공데이터 기반 안전지도의 개발은 실제 초등학교 수업자료, 웹 및 모바일 앱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제시하였다. 또한 개발한 안전지도는 현행 지역 및 학교교육을 반영할 수 있도록 정규수업과 창의적 체험활동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향후 공공데이터에 기반한 안전지도가 공공데이터를 공개하는 기관과 지속적으로 연계하여 지원될 수 있도록 체계를 갖추어야 하며, 아울러 Open API 플랫폼을 개발하여 구성원들이 참여하여 만드는 안전지도지원체계도 마련해야 할 것이다. 기존 안전지도는 지도학습관련 내용을 기반으로 안전지도를 개발하여 활용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지도관련 필수학습요소를 간과함으로써 사회과와 독립적으로 개발되어, 향후 지도 및 교육관련 전문가의 참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ffective elementary school safety map based on public data through an analytical and critical review of the elementary school safety guidance developed so far and find ways to utilize i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xisting safety maps could not accurately reflect effectiveness, objectivity, and immediacy. This is a problem since the public data-based safety map was designed to visualize various kinds of data, thereby enabling the safe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ir daily lives. Second, it was suggested that the development of public data-based safety maps be utilized in various places such as elementary school class materials, the Internet, and smart phone apps. In addition, the developed safety map can be used for regular classes and creative activities since it reflects current local situations and school curricula. In the future, the public data-based safety map should be structured so that it is available to the public and its organizations. In addition, the Open API platform should be developed so that members can participate in the safety map support system. Plus, the existing safety map should be developed and utilized based on the contents of guidance learning. The existing safety map is developed without the assistance of the social studies department and as a result, essential learning elements related to the guidance are overlooked. Therefore,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for experts to participate in the Safety map’s development.

      • KCI등재

        초등 사회과 디지털 교과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황홍섭(Hong-Seop Hwang),조현식(Hyun-Sik Cho)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4 사회과교육 Vol.53 No.3

        본 연구는 초등 디지털 교과서 연구학교에 보급되고 있는 2009개정 3∼4학년 사회과 디지털 교과서의 현장적용에 따른 문제점을 검토하여, 그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다시 말해 연구학교 사회과 디지털 교과서를 현장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교사들에게 설문 조사 및 심층 면담을 통한 문제점, 수업관찰 및 분석을 통한 문제점 등을 검토한 후 그에 따른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사회과 디지털 교과서는 교사와 학생, 학생들 간의 상호작용과 수업에 변화를 주기가 쉽지 않았다. 특히 원활한 상호작용을 위한 커뮤니티 및 소셜 네트워크 등의 기능을 가진 위두랑 서비스의 개선이 시급한 것을 나타났다. 그리고 사회교과의 구성 특성상 다양한 멀티미디어 요소를 탑재하되 학습의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학습주제와 적합성, 치밀성, 정교성, 해상도 등을 개선하여 학생과 교사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특히 3∼4학년의 경우 지역화 차원을 감안한 멀티미디어 자료의 안내 및 제공이 필요하다. 평가에 있어서 형성평가가 누적되어 학생들의 평가 결과가 포트폴리오 형식으로 관리될 수 있도록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현재 디지털 교과서의 용량이 너무 커서 사용상의 불편한 점을 개선하기 위해 전체적인 용량을 줄일 수 있도록 스트리밍 방식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또한 다양한 스마트기기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다. 그리고 사회과 디지털 교과서와 연계한 다양한 App자료들을 교사와 학생들에게 안내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연수프로그램들이 마련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tried to review the problems in accordance with the field application of social studies digital textbooks which have been supplied into the elementary research schools and suggest the improvements of the problems. In other words, the improvements were suggested after the review of the questionnaires to teachers, problems through in-depth research, the problems through classroom observation and analysis in the process of the field application of social studies digital textbook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social studies digital textbooks are not easy to change the school lessons and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Especially, it is urgent to improve the services of Widurang with the capabilities of community and social networks. And the digital textbooks should give practical help to students and teachers through the improvements of suitability, precision, sophistication, etc. as regards of learning topics in order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through loading a variety of multimedia elements.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need to be managed to portfolio form through accumulation of the formative evaluation and the evaluation function should be improved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 streaming type to reduce the overall capacity to improve inconvenience of use due to the large capacity of the current digital textbooks. It needs to be used in a variety of smart devices as well. And found that training programs need to be developed to guide teachers and students in a variety of digital textbooks and social studies in conjunction App ID and you can use it. This study shows that the training programs which can guide various App items in connection with social studies digital textbooks to teachers and students need to be developed.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도시 상징의 분석

        황홍섭(Hong Seop Hwang) 한국지역지리학회 1997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3 No.2

        21C는 문화 예술의 시대가 될 것임을 예고하고 있다. 따라서 전통적으로 지역을 연구해 온 지리학은 지역 문화에 대한 심층적 연구를 필요로 하게 되었다. 지역 문화를 밝힐 수 있는 중요한 것 중의 하나가 지역의 상징이다. 오늘날 지구 도시의 출현과 더불어 특히 도시 문화에 대한 연구는 시대적 요청이 되고 있다. 도시 문화를 도시의 상징 즉 한국 각 도시가 제정하고 있는 상징 노래(市歌), 상징새(市鳥), 상징꽃(市花), 상징 나무(市木)를 통해 분석하여 도시 상징의 공간 환경을 밝혀 보고자 한다. 한국 도시의 상징 노래를 분석해 보면 노래가사 속에는 공간 환경 요소를 포함하고 있는데, 그 중 지형 주로 산과 강의 명칭 그리고 해당 지역의 지명은 거의 모든 노래 가사 속에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공간 환경 요소들은 특정 도시의 정체성을 나타내 주며, 그 시민들의 통합성과 일체감을 불러일으키는 상징적 공간으로 볼 수 있다. 특히, 산 및 강과 관련된 지명은 국토의 70%가 산지지형인 우리나라에서는 풍수의 기본 요소로서 산 및 물과 관련된 상징적 공간으로 볼 수 있다. 지명 또한 그 지역의 이미지를 잘 나타내는 상징적 공간이 된다. 한국 도시의 상징물 즉 상징새, 상징 나무, 상징꽃 분석을 통해 한국 도시의 상징물은 중복 제정이 많다. 특히 상위 계층의 상징물이 하위 계층에서 중복 제정되었다는 점이다. 이러한 상징물들은 우리 민족의 삶을 통해 내려온 상징의 공간 환경으로 볼 수 있으나, 해당 도시의 기후, 토양 등 공간 환경적 특성과 상관없이 중복 제정된 점과 정체성이 없는 외래종이 많은 점은 시대적으로 상징물을 재검토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가장 지방적인 것이 가장 지구적인 것이 되어야 할 시대에 우리의 기후, 토양, 문화적 특성에 맞는 도시의 상징물을 정할 것이 요망된다. Twenty-first century will be in the era of culture and art as postmodernism progresses. Therefore, geography which is traditionally concerned with regional study needs to deeply study the culture of region. Regional symbols are clue to identify regional culture which is environments of symbolic space. Especially the study of urban culture come to the needs of times with occurring global city, urban symbols make clear urban culture and urban identity. The aim of this paper is to analyze urban symbols, that is urban songs, urban birds, urban trees, urban flowers to study urban culture in korean cities, urban symbols make clear urban spatial environment which is natural and human, and then, urban symbols make clear urban identity. The analytical results of lyrics of urban songs in the 76 cities of korea include names of mountain, river, sea and place, the names of mountain and river make clear urban identities which is natural and human characteristics, it is environment of symbolic space which brings unity, one body. Especially it is environment of symbolic space which comprise funs-soo(風水) aspects, place names well represent symbolic space. The analytical results of symbolic things, that is urban birds, urban trees, urban flowers in the 78 cities of korea indicate they are gain and gain established, they are also our environments of symbolic space which is curtual settlings of our life, but they are imported not native species but foreign species which have not environment of symbolic space. The results of this paper implicate urban symbols should review, because urban symbols fit to our natural and human environments of symbolic.

      • KCI등재

        지도 토픽 빅데이터 분석과 2009 개정 초등사회과 교과서 지도 활용의 비교분석

        황홍섭(Hong-Seop Hwang),박지수(Ji-Su Park)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6 사회과교육 Vol.5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3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우리나라 사람들의 지도 토픽 빅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지도의 활용 목적이 무엇인지를 찾는 것이다. 둘째, 지도 토픽 빅데이터 검색에서 찾아낸 요인 중 지명과 다른 요인들 간에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지도검색 관련 정보의 공간적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공간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시각화도구로서 워드 클라우드 분석, 단계구분도 분석, 네트워크 분석이 실시되었다. 셋째, 지도 토픽 빅데이터 분석 결과와 2009 개정 초등사회과 교과서 지도 활용 분석결과를 빈도 분석 및 단계구분도로 시각화하여 비교하는 것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도 토픽 빅데이터의 검색 목적은 크게 4가지 즉 지명, 독도법, 지도종류, 인문 및 자연지리의 범주로 나타났다. 둘째, 국내의 사람들이 지도 활용에 선호하는 지명은 수도권, 제주도, 강원도 순으로 나타나 수도권을 제외하고, 거주하는 인구수와 비례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독도법 및 지도 종류는 지도활용 시 지명을 선택하는 데 영향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전자지도가 일반지도, 종이지도 보다 높은 비율로 활용되는 것으로 나타나 디지털 시대의 특성을 반영하고 있다. 다섯째, 지도 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기준으로 2009 개정 초등사회과 교과서 지도 자료의 활용을 비교분석한 결과, 교과서의 지도 자료는 현실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o find the purpose of using the map through analyzing the Topic of Map Big Data. Second, to determin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searching the map information,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lace name and other factors. The Word Cloud analysis, Choropleth Map analysis, Network analysis were mainly performed as visualization tools for understanding the spatial characteristics. Lastly, to compare the Topic of Map Big Data and the current 2009 Revised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by analyzing and visualiz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purpose of the search the Topic of Map Big Data is to be the place name, the reading map, the type of map, the human and physical geography. Second, the place names that Koreans prefer, were the metropolitan area, Jeju-do, Gangwon-do. Those 3 place names were not proportional to the resident population except the metropolitan area. Third, the reading maps and the type of maps are showed as a low influence on selecting the place name. Fourth, the ratio of the electronic map display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ratio of the paper map. It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gital age. Lastly, the 2009 Revised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were not offering good maps for reflecting a spatial reality in the selection of instructional materials.

      • KCI등재

        사회과교육에 있어서 빅데이터의 활용방안

        황홍섭(Hong-Seop Hwang)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6 사회과교육 Vol.5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과 교육에 있어서 빅데이터의 활용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먼저, 빅데이터와 관련된 개념, 처리 기술 및 기법을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빅데이터를 활용하기 위한 전제로서 빅데이터 인프라 구축방안을 검토한 후 그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빅데이터 인프라 구축방안으로서 2가지 즉 첫째, 교육빅데이터 인프라구축과 교육관리분석 시스템 구축, 둘째, 학습분석시스템을 통한 거꾸로 교실 수업 모델 을 제시하였다. 빅데이터 활용방안으로서 3가지 첫째, 사회과 빅데이터 인프라 구축을 통한 체계적인 사회과 교육과정 개발과 내용선정, 둘째,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사회과 교수내용지식(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구성의 적합성 검토, 셋째, 웹기반 및 웹GIS기반 빅데이터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미래 사회과 수업에서 테크놀로지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빅데이터 교육자 양성을 위한 강좌 신설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ways to build big data Infrastructure and utilize big data in social studies. To do this, first check the concept of big data, analytical skills. Next, present how to build big data infrastructure and utilize big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re are two ways to build big data Infrastructure. First, build the educational big data infrastructure, management and analysis system in education. Second, present the flipped classroom model through the learning analysis system. And there are three ways to utilize big data. First, to develop and select systematic social studies curricula and content by building big data Infrastructure in social studies. Second, to reconstruct classes by examining the Conformity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construction through analysing big data. Third, to present elaboration of PCK by actively combining pedagogical content and method knowledge while utilizing web-based and web-GIS-based big data analysis techniques. In addition, this study proposes a new training course to create big data educators who will utilize this technology in future social studies classes.

      • KCI등재

        지역지리 학습에 있어서 음악작품의 활용

        황홍섭(Hong Seop Hwang) 한국지역지리학회 1995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1 No.1

        본 연구는 지구화 시대에 지역지리가 중요하게 등장한 시점에서 지역지리 학습시 음악작품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음을 밝히는 것이 주 목적이다. 이를 위해 수업에서의 음악작품 활용방법에 대한 연구 경향과 의의를 살펴보고 지리적 기본개념에 의해 음악작품을 분석하고 교수방법으로서 실제수업모형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a brief review of trends in existing geographical research on music and to analyze music by the 5 themes of geography and to explore a variety of classroom techniques which examine song lyrics for their geographic content. The results of this paper are summarized as followed : Firstly, the trends in geographical research on music can be classified into five areas, the first is on spatial diffusion in music, the second on spatial diffusion in music, the third on regional division in music, the fourth on regional characteristics in music, the fifth on pedagogical tools in the teaching of geography. Secondly, music holds numerous possibilities for regional geographical study. The lyrics of music are littered with geographical term through which song writers impart image of culture, the distinct geographical nature of music lyrics gives rise to many geographical question, also, music lyrics gives place its special character. The results of analyses by the 5 themes of geography indicate that music are useful to learning of regional geography. The application of music to learning regional geography attracts much attentions. In the respect of importance of learning new regional geography, and in the respect of adapting globalization have to be focused on this.

      • KCI등재

        국가이미지를 활용한 지역 학습 방안

        황홍섭(Hwang Hong Seop),김정화(Kim Jung Hwa) 교육종합연구원 2006 교육종합연구 Vol.4 No.1

        초등 사회과 지리영역의 중요한 학습 대상은 지역이다. 제7차 교육과정에서 지역학습의 범위는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지역의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즉 3학년에서는 우리 고장의 지역을, 4학년에서는 시, 도의 지역을, 5학년에서는 우리나라의 지역을, 6학년에서는 세계의 여러 국가들의 지역을 학습하게 하고 있다. 지역학습의 핵심은 해당 지역의 지역성을 알고 나아가 그 지역을 사랑하는 마음을 갖게 하는데 있다. 지역학습을 할 때 교사가 정보를 일방적으로 나열하는 방식으로 접근할 경우 학생들은 많은 정보를 암기해야 하는 것으로 생각하여 학습능률이 저하되고 흥미를 잃게 된다. 따라서 지역 학습 시 학습자들의 관심, 흥미, 떠오르는 이미지, 알아보고 싶은 것 등을 감안하여 수업을 할 때 사회과 학습 효과뿐만 아니라 학습자 중심의 수업을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상기 내용을 감안하여 초등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세계 국가에 대한 이미지를 파악하고 국가 이미지 형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검토ㆍ분석하여 학습자 중심의 지역학습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특히 학습자 중심의 지역학습은 교과서의 내용을 나열하고 백과사전적으로 암기하는 전통적 방식에서 벗어나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선험적 지식과 관심, 흥미 등을 최대한 반영할 수 있는 인지갈등수업 모형을 적용할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학습모형을 통해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기존의 지식에다 토론과정을 통해 지역성을 탐색하게 하였다. 지역이미지를 활용한 학습모형을 적용한 결과 전통적인 학습방법으로 수업한 집단보다 인지적 측면에서 더 높은 성취도를 나타냈다. A region is a important concept among geography realms in social studies. In 7th curriculum, the social studies textbook deals with regional characteristics within a village in the third grade, within a city and province in the forth grade, within a nation in the fifth grade, and within a world in the sixth grade. It is important for students to learn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then love its area. In case of studying a region, if teachers instruct its information directly, student will be lose one’s interest, because students consider as memorizing simple information. Therefore, the effective learning of region has to consider learner-centered interest and image, and add to schema and cognition etc.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find strategy of region learning through the application of national images considering student s schema and images According to results of research, it is proved that strategy of region learning through the application of national images takes effective.

      • KCI등재

        빅데이터 기반 사회과 교수·학습 모형의 현장 수업 적용 사례 연구

        황홍섭(Hwang, Hong-Seop)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21 사회과교육 Vol.60 No.1

        본 연구는 2년 연속과제의 일환으로 1차년도에서 개발한 빅데이터 기반 사회과 교수·학습 모형을 2차년도에서 초등 사회과 현장 수업에 적용하고, 그 결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1차년도에 개발한 모형을 현장 수업에 적용하기에 전에 첨단정보통신기술을 적용하기 위한 수업환경과 빅데이터에 대한 이해라는 차원에서 첫째, 컴퓨터의 인식에 대한 이해, 둘째, 빅데이터의 분석, 표현 및 예측에 대한 이해, 셋째, 빅데이터가 어떻게 학습하는 지에 대한 이해, 넷째, 빅데이터의 사회적 영향에 대한 이해라는 4가지 빅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수업을 재구성하였다. 4가지 빅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재구성한 사회과 빅데이터 교수·학습 모형을 예비 현장수업에 적용해 보고, 그 수업의 성과를 검증하였다. 예비 수업 적용 결과, 학생들은 컴퓨터의 인식, 빅데이터의 분석, 표현 및 예측, 빅데이터가 어떻게 학습하는지에 대한 이해에 있어서 학습성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빅데이터가 주는 사회적 영향에 대한 이해까지 확장성을 갖지 못하였다. 예비 현장적용 수업을 감안하여 빅데이터에 대한 이해와 활용을 위해 중학년 규모에서는 웹기반 빅데이터 사회과 교수·학습 모형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였고, 고학년에서는 빅데이터기반 교수·학습모형의 고차적 및 원활한 적용을 위해 인공지능 기반 챗봇을 개발하여 수업의 보조 콘텐츠로 활용하였으며, 수업적용 성과는 평가도구를 개발하여 각각 학습태도와 학업성취도를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에 따르면 본 연구의 웹기반 빅데이터, 인공지능기반 챗봇 콘텐츠는 사회과에 대한 학생들의 학습태도 및 학업성취도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습자들은 학습주제를 교과서에 제한받지 않고 다양한 관점에서 참여를 통해 집단지성을 발휘하면서 소통을 통한 문제해결능력을 함양함으로써 학습자의 역량을 강화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빅데이터기반 사회과 교수·학습 모형의 적용은 시대적 요구사항을 사회과 교육과정 안으로 끌어들여 실효성, 즉시성, 현장성을 통해 학습자의 역랑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특히 인공지능 기반 챗봇에서 제공하는 마이크로콘텐츠는 사회과 교수·학습 모형을 통한 학습에 있어서 효과적인 보조도구로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pply and verify the development of a big data-based social studies teaching and learning model in the first year as part of a continuous task to actual school classes in the second year. In this study, preliminary and main investigations were carried out in order to set the existing model suitable for class. Students were given the recognition, expression and reasoning, learning, and social influence of computers corresponding to four big ideas. The class was reorganized based on it. In the preliminary survey, based on such a proposed big idea, actual students verified the effectiveness in class applying a social studies’ teaching and learning model using big data. According to results of the survey, students were found to be effective in computer perception, expression, reasoning, and learning. However, they did not have extensibility to understand the social impact of computers. Accordingly, in this study, the model was applied and the class was subsidized with content such as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chatbot. Learning attitude and academic achievement were then verified through questionnaires and evaluation papers, respectively. According to verification results, models and contents presented in this study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in improving students’ learning attitude and academic achievement in social studies. As a result, the appropriate use of big data can present demands of the time as a social studies’ teaching and learning model. Content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chatbots can be expected to play a role as an effective auxiliary tool in learning through the social studies’ teaching and learning mod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