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완 대체 통신을 위한 문장생성 방법

        황인정,민홍기 한국정보처리학회 2005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공학 Vol.12 No.3

        This study is sentence generation for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The object of sentence generation is to use in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which is designed for those who are nonspeaking disorders. AAC generates human voice with using a sentence which is made up by the users. In order to construct a sentence, lexical information was adapted for a concept of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The lexical informations consist of noun types which can be connected to verbs, auxiliary words, conjugation of verbs and verb types. A system was made using lexical information and the usefulness of the sentence generation was measured by the system. The system constructed has functions of generation and saving right sentences, searching and inputting vocabularies. 본 연구는 보완 대체 통신을 위한 문장생성에 관한 것이다. 문장생성의 목적은 언어생활이 불편한 사람들을 위한 보완 대체 통신에 사용하기 위해서이다. 보완 대체 통신은 사용자가 원하는 문장을 만들어 음성으로 출력해주는 시스템이다. 문장을 생성하기 위해서 어휘 정보를 보완 대체 통신의 개념에 맞도록 변형하여 도입하였고, 어휘정보는 동사에 연결될 수 있는 명사와 조사로 이루어져 있다. 어휘정보를 이용하여 시스템을 구현하였고, 구현된 시스템으로 문장생성의 효용을 측정하였다. 구축된 시스템은 올바른 문장의 생성과 저장, 검색, 어휘입력의 기능을 갖는다.

      • KCI등재

        보완 대체 통신을 위한 문장생성 방법

        황인정,민홍기,Hwang Ein-Jeong,Min Hong-Ki 한국정보처리학회 2005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Vol.12 No.3

        본 연구는 보완 대체 통신을 위한 문장생성에 관한 것이다. 문장생성의 목적은 언어생활이 불편한 사람들을 위한 보완 대체 통신에 사용하기 위해서이다. 보완 대체 통신은 사용자가 원하는 문장을 만들어 음성으로 출력해주는 시스템이다. 문장을 생성하기 위해서 어휘 정보를 보완대체 통신의 개념에 맞도록 변형하여 도입하였고, 어휘정보는 동사에 연결될 수 있는 명사와 조사로 이루어져 있다. 어휘정보를 이용하여 시스템을 구현하였고, 구현된 시스템으로 문장생성의 효용을 측정하였다. 구축된 시스템은 올바른 문장의 생성과 저장, 검색, 어휘입력의 기능을 갖는다. This study is sentence generation for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The object of sentence generation is to use in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which is designed for those who are nonspeaking disorders. AAC generates human voice with using a sentence which is made up by the users. In order to construct a sentence, lexical information was adapted for a concept of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The lexical informations consist of noun types which can be connected to verbs, auxiliary words, conjugation of verbs and verb types. The system was made using lexical information and the usefulness of the sentence generation was measured by the system. The system constructed has functions of generation and saving right sentences, searching and inputting vocabularies.

      • KCI등재후보

        어휘정보를 이용한 문장작성에 관한 연구

        황인정,민홍기 한국융합신호처리학회 2004 융합신호처리학회 논문지 (JISPS) Vol.5 No.3

        본 연구는 언어 장애를 가진 사용자의 언어생활을 돕기 위한 문장작성 방식을 제안한 것이다. 제안한 문장작성 방법은 통신보조기기에 적용할 수 있도록 시스템으로 구현해 보았다. 통신보조기기는 개인 휴대장치로서 필요한 문장을 작성하여 출력하는 기기이다. 언어장애인들의 대표적인 의사표현 수단인 수화는 일반인들과의 의사소통에는 불편하기 때문에 다른 표현 방법이 필요하다. 자모를 모두 입력하여 문장을 작성하는 방식은 키의 수가 많기 때문에 대화할 때 시간이 많이 소용되는 불편한 방식이다. 그러므로 언어장애인을 위한 문장 작성의 가장 중요한 목적은 적절한 장소와 상황에 맞는 단어가 배열된 통신보조기기를 이용하여 적은 키의 수로 문장을 작성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문장 작성을 구현하기 위한 어휘정보는 사용자 영역을 정하고, 그 영역에 맞는 단어와 문장을 수집하고, 수집된 어휘의 특징을 추출하여 구축되었다. 그리고 제안한 문장 작성 방식의 효용을 측정하기 위해 시스템을 이용하여 문장 작성을 위한 키의 수와 키보드 입력에 의한 자모수를 비교하였다. This study suggests a sentence generating method to help those who have language impediment with their communication. The method suggested in this study was constructed into a system in order to be applied to AAC system. AAC system is a personal portable device that generates sentences. Those who have language impediment need another communication method, causes inconvenience when used in a conversation with those who don't have the same trouble. The method of inputting both consonants and vowels can be inconvenient and time consuming for a conversational communication because of the number of the key strokes. The lexical information for the sentence generating of this study defines the user's domain, collects the adequate words and sentences, and extracts and classifi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llected words. The comparison between the number of key strokes for sentence generating using the system and that of inputting consonants and vowels using a keyboard was made in order to evaluate the usefulness the sentence generating meth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