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성 조제암의 역사 복원 시고

        황인규 한국정토학회 2021 정토학연구 Vol.36 No.-

        본고는 민통선 내에 위치하였던 고성 조제암의 역사를 복원하고자 한 연구이다. 조제암은 본사인 건봉사와 남북 분단 이후 민통선 지대에 위치 하여 관심을 별로 갖지 못하였다. 본사인 건봉사는 일제강점기 31본산의 큰 사찰로 사명 유정의 진신사리 봉안과 더불어 현대에 들어와 주목을 받 아 복원되었으나 조제암은 그리 주목을 받지 못하였다. 조제암의 역사는 일제강점기 만해 한용운과 건봉사 주지 대련 덕문이 『건봉사지』를 편찬하면서 간략한 연혁이 정리되었다. 그 가운데 진표와 나 옹, 세조 관련 금강산과 관동 일대의 제기록을 통해 조제암의 근세이전의 역사를 입증하고자 하였지만 사실로 인정될 개연성이 높다. 조선후기 이후 조제암의 역사는 제 읍지류와 불교 지리지류, 그리고 『혼원집』의 중건기에 의해 간략하나마 대략적인 역사를 조망할 수 있으며, 특히 청허 휴정의 문 손인 극암 사성과 문도(문손)들이 조제암에 주석하였다는 사실을 알 수 있 다. 그 외에 몇 건에 지나지 않지만 유자들의 문집류에 단편적인 관련 기 록들로 조제암의 당시 일면 사세를 엿볼 수 있다. 근대인 일제 강점기 사 찰령하에 총독부 관보에 조제암의 주지 인가 관련 기록으로 조제암의 주 지를 맡은 고승들의 정보를 알 수 있다. 사찰령에 의하면 본사의 주지가 조제암의 주지를 겸무하였으며, 건봉사 주지로 인가 받은 후 조제암 주지 가 선정되었던 듯하다. 총독부 관보에 조제암의 전각 규모와 토지 및 임야 의 정보가 기록되어 있어서 당시 조제암의 간략한 사세를 엿볼 수 있다. 조제암은 해방 후 건재하다가 6.25전쟁으로 폐사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조제암의 역사가 복원되고 금강산 길이 열리어 강원남북도와 남북한이 하 나가 되는 날이 오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This paper is a study to restore the history of Goseong Jojeam Temple Hermitage, which was located within the Civilian Control Line. Jojeam Temple Hermitage was located in the civilian control line area after the division of Geonbongsa Temple, the headquarters, and the north-south division, so it was not very knowing. Geonbongsa Temple, the headquarters, is a large temple at the headquarters of Japanese colonial era 31, and was restored in modern times along with the enshrinement of Jinsinsari Temple in Monk Samyeong-Yujeong, but Jojeam Temple Hermitage did not receive much attention. As for the history of Jojeam Temple Hermitage, it can be said that Japanese colonial era Manhae Han Yong-woon and Daeryeon-Deokmun compiled Geonbongsaji and organized a brief history. It is difficult to trust at this time because the history of crude cancer organized by it is very later data. Therefore, this paper attempted to prove the history of Jojeam Temple's modern history through records of Geumgangsan Mountain and Gwandong area related to Monk Jinpyo, Monk Naong, and King Sejo. After the late Joseon Dynasty, the history of Jojeam Temple Hermitage can be seen briefly by the Eupji(Geography), Buddhist geography, and the reconstruction period of Honwonjip(collection of literary works), and in particular, it can be seen that Monk Geukam-Saseong and disciples of Monk Cheong-Heo were present at Jojeam Temple Hermitage. There are only a few other cases, but the records related to the literature and collection of citron provide a glimpse of Jojoam Temple's situation at the time. Modern Japanese occupation, the Governor-General in the official gazette Jojeam Temple not of the relevant records to a note of the Jojeam Temple a prelate who can know their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temple decree, the chief monk of the headquarters served as the chief monk.

      • KCI등재

        고려 후기 조선 초 화엄종계와 고승

        황인규 한국불교학회 2016 韓國佛敎學 Vol.77 No.-

        This paper examines the history of the Huayan School lineage and its high priests from the late Goryeo dynasty to the early Joseon dynasty. During the early period of the Goryeo military regime, the Huayan school was oppressed by the ruling authorities, however a few sects of the Huayan school received protection. Some sects of the Huayan school including Sujeongsa-gyeolsa of the Yuga order (the Beopsang order) at Mt. Jiri and Banryongsa-gyeolsa, were supported by a priest named Yoil who was from the first order of the Huayan school during the early period of Goryeo military regime. It was during this time that Hwaeomyul Gangseup-gyeolsa and Goseong Suamsa-gyeolsa were developed. The remarkable fact is that during the time of the Goryeo military regime, the leadership of the Huayan school trend was changed from Yoil at Heungwang-sa temple and Gakhun at Yeongtong-sa temple, to a direct dharma descendant of the Uicheon (1055~1101); ineage, Sugi and Cheongi at Gaetae-sa temple of the Gyunyeo (923~973). During the Yuan intervention period, the Cheontai school of the Baekryeon lineage and Gaji Mountain Seon School became prominent institutions in the Buddhist world. Heungwang-sa temple and other provincial temples of the Huayan school also received some ministration. Especially, in the late period of the Yuan intervention period, Chewon and his disciples developed the faith of saving sentient beings, which occurred around Haein-sa temple where they were leading the Huayan school. Shindon and Cheonhee were influenced by these teachings and emerged from their practice to serve in society. Cheonhee was selected to become a 316 한국불교학 77 distinguished national teacher and served as the leading dharma teacher of Gongbuseon that Seon master Naong Hyegeun emphasiz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Huayan school. Uun received an appointment from the King as Jesaenggun and became the abbot of Beopwang-sa temple at Gaegyeong and Buin-sa temple in Daegu where Cheonhee resided. Gyeongnam, a disciple of Cheonhee, participated in the general assembly that established Daejanggak of Shinreuk-sa temple in which representatives of the Buddhist world were present, and later became the abbot of Haein-sa temple followed by Chewon, Ikseung, Shinchong. Gyeongnam would work around the regions of Haein-sa temple. In the early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Uichim, a disciple of Uun, Doseungtong Seol’o and Doseungtong Un’o led the Huayan school. Especially, Uichim would become a representative of the Huayan school in the early period and also a representative of the two leading Buddhist schools, the Jogye Order and Huayan school of the Buddhist world with the priest Cheonbong Manwoo of the Jogye order. 본고는 고려 후기 조선 초 화엄종계 및 고승들의 흐름과 그 의의를 살펴보고자 한 연구이다. 화엄종은 무신정권 초에도 무신정권의 탄압을 받았지만 일부의 화엄종은 보호를 받았다. 일부의 선각적인 화엄종은 유가종(법상종)의지리산 수정사 결사시 후원하였으며, 무신집권 초 화엄종 최초의 결사 승통寥一에 의한 반룡사 결사와, 이어 화엄률 강습 결사와 고성 수암사 결사가 전개되었다. 무신집권기에 이르러 의천 직계의 법손인 흥왕사 寥ー과 영통사 覺 訓 등에서 균여의 계통인 개태사의 守其와 天其 등으로 주도권이 바뀌었다. 원 간섭기 불교계는 백련사계 천태종과 선종계 가지산문이 주도하는 가운데 화엄종계의 개경 흥왕사와 지방 사찰도 부각되었다. 특히 원 간섭기 후반體元과 그의 문도가 해인사 일대에서 현세구원 신앙을 전개하였으며, 이러한영향을 받은 신돈과 천희 등이 부상하였다. 특히 천희는 국사로 책봉되었으며, 나옹 혜근이 주맹하였던 공부선에 증명법사로 참여하였다. 우운은 濟生君 이라는 책봉호를 받으며, 천희가 주석하였던 대구 부인사와 개경 법왕사 주지로 재임하였다. 천희의 문도인 경남은 신륵사에서 개최된 전국 불교대표 모임에 참여하였다. 조선 초에 이르러 우운의 문도 의침과 도승통 설오, 도승통 운오가 화엄종을 주도하였다. 설오는 조계종의 무학 자초와 더불어 이성계와 친밀했으며, 석왕사와 흥덕사의 주지직에 재임하였다. 의침은 도승통으로서 영통사와 법왕사에 주석하였으며, 화엄종을 대표하면서 조계종승 천봉 만우와 더불어 불교계를 대표하였다. 결국 조선 초 의침이 화엄종계의 국사와 같은 존재였다면설오는 왕사와 같은 지위에 있었던 듯하다.

      • KCI등재후보

        高麗史의 佛敎關係資料 8

        황인규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10 동국사학 Vol.49 No.-

        高麗史의 硏究는 정사류『高麗史』나『高麗史節要』가 절대적이나 성리학자의 요교적 사관에 의해 찬술되었기 때문에 유의해야 할 점이 적지 않다. 그 대표적인 것이 바로 고려시대가 皇?國을 指向 했던 시대였음에도 불구하고 諸侯國의 역사서 체제 항목인 世家를 성정하였다는 것이다. 그리고 고려시대의 실제와는 달리 儒敎史觀에 의해 편찬되었다는 사실이다. 『高麗史』의 편찬항목에서 불교 釋老傅 또는 帝釋傅 등이 싣지 않은 것이 그러한 것을 단적으로 대변해주고 있다. 특히 고려시대 정신계의 스승이라고 할 國師와 王師에 대한 기독도 매우 제한적으로 실려 있을 뿐이다.

      • KCI등재

        仁王山寺와 無學大師

        황인규 한국선학회 2009 한국선학 Vol.22 No.-

        본고는 서울 內四山 가운데 하나인 인왕산의 역사와 산내의 사찰들에 대하여 살펴본 연구이다. 仁王山은 漢陽을 진호하는 內四山 가운데 하나로 조선왕조가 개창된 후 한양이 국도로 부각되면서 부터이다. 그 이전에는 西山(右白虎) 또는 歧峯으로 불리었지만 한양정도직후에 仁王寺가 창건되면서 인왕산이라고 불렸다. 仁王이란 말은 불교의 金剛力士라는 뜻이다. 한양이 국도로 선정된 후 右白虎에 머물고 말았으나 무학자초를 계승하였다고 생각되는 광해군대 고승 性智도 王氣가 있는 땅이라고 하여 중요시하였다. 무학자초는 한양의 案山이자 랜드마크인 木覓山 神祠인 國祀堂에 모셔져 백성들의 추앙을 받았다. 일제강점기에 이르러 목멱신사가 무학자초가 중요시 하였던 인왕산에 이전되었다.인왕산에는 여러 사찰들이 창건되었을 것이나 현재 확인되는 사찰은 몇몇 사찰에 지나지 않는다. 산 정상의 福世庵과 그 밑의 仁王寺· 金剛窟· 尼社(尼舍)· 羅漢堂· 內願堂 등의 사찰이 있었음이 확인되지만 연산군대에 이르러 대부분 철거되었다. 인왕산의 사찰 가운데 특히 주목되는 사찰은 인왕사와 내원당이다. 아마도 왕사 무학자초의 문도로 추정되는 祖生이 內願堂 監主와 仁王寺 住持를 겸직하면서 스승 무학에 이어 한양건설에 참여하였고 당대 왕실원찰인 興天社 주지를 역임하였다. 그리고 인왕산에는 내원당이 창건되어 한 때 왕실불교의 보루가 되었고 尼社(尼舍)가 건립되어 도성내 淨業院과 더불어 등 왕실여성의 불교중심도량이었다. This paper observes the history of Mt. Inwang, one of four mountains surrounding Hanyang(漢陽), and buddhist temples built in it. Mt. Inwang is one of four mountains that people believed defended Hyanyang. Since establishment of Chosun dynasty, Hanyang became known as the capital of Chosun. Hanyang was also known as Seosan(西山) or Gibong(歧峰) well before Chosun dynasty, but it got its name since Chosun moved its capital to Seoul and built Inwang-Temple in it. Inwang(仁王) means Kumkang- yeksa(金剛力士) in buddhist.Since Hangyang was selected as capital, it was only remained as a branch of a mountain range(右白虎). Great monk Seongji(性智) who is considered as a heir of Moohak(無學) also considered seriously Hanyang as a land that has a strength to make a king. Moohak was held in high esteem by the people after enshrined in Guksadang(國祀堂) which is a Sinsa(神祠; a shine) of Mt. Mokmyuk(木覓山) that is a landmark and as a opposite mountain of Mt. Inwang.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Sinsa(神祠; a shine) of Mt. Mokmyuk was moved to Mt. Inwang where was very significant to to Moohak.Perhaps many temples were built in Mt. Inwang during Chosun dynasty, but only few could survived because of the policy that pay respect to Confucianism and suppress Buddhism. It could be verified that Bokseam(福世庵) in the peak of mountain and Inwang-Temple, Kumkanggul(金剛窟), Buddhist nun’s temple(尼舍), Nahandang(羅漢堂) and Naewondang(內願堂) etc. were remained but most of that was demolished under the rule of Yeonsangun(燕山君).Among of the buddhist temples in Mt. Inwang, Inwang-Temple and Naewondang especially pay one's attention. Josaeng(祖生) who was considered as a disciple of Moohak, a buddhistic teacher of king, had positions as the head priest of Naewondang and Inwang-Temple. And also he participated in the construction of Hanyang, the capital of Chosun dynasty, along with Moohak and was consecutively occupied the chief monk of a Buddhist temple, Heongcheonsa(興天社) that was buddhist temple for the royal family.Naewondang(內願堂) in Mt. Inwang became a center of Buddhism of royal family. And Buddhist nun's temple(尼舍) and Jeongupwon(淨業院) that was placed in the palace also became a center of temples for buddhist women.

      • KCI등재후보

        懶翁慧勤의 불교계 行蹟과 遺物ㆍ遺蹟 - 諸 紀錄 및 자료의 검토 試攷 -

        황인규 대각사상연구원 2008 大覺思想 Vol.11 No.-

        본 논문은 나옹의 불교계 행적과 유물․유적에 대하여 살펴본 연구이 다. 나옹은 목은 이색과 같은 고향인 영덕에서 태어나 고려말 뿐만 아니 라 한국문화사에 있어서 거목이 되었다. 이 두 인물은 당대 뿐만 아니라 현재까지 정신문화의 주류인 불교와 성리학계를 대표하는 위상을 지니고 있다. 나옹의 행적 가운데 그 동안 잘 못 이해한 부분을 지적했고 나옹의 문 도인 무학과 지천의 비문에 나타나는 사실을 추가하였다. 그리고 나옹은 신륵사에서 입적한 것이 아니라 유생들에 의해 주살을 당한 순교승이었 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나옹은 석가의 후신이라고 존경받았던 스승 지공의 뜻을 받들어 회암사를 중창하여 인도의 날란다사처럼 불교계의 메카로 삼으려 했다가 실패에 그치고 말았던 살아 있는 부처였다. 때문 에 그러한 그를 추모하는 물결은 전국적으로 행하여져 명산대찰에 남아 있고 특히 1383년 묘향산 안심사에서 절정을 이루었다. 그의 문도인 무 학이 나옹의 뜻을 받들어 추모행사를 전개하였는데 회암사에 그의 스승 지공과 제자 무학의 부도와 비가 세워지게 되면서 원나라 법원사에 맺어 진 세 고승의 인연의 결실을 맺게 된다. 그리하여 나옹의 유물과 유적은 전국의 명산대찰에 남아 있게 된다. 나옹의 위상은 태고의 그것보다 매 우 컸고 실제로 나옹은 지공과 더불어 생불이나 석가의 화신으로 추앙될 정도였다. 이러한 나옹의 위상은 조선왕조의 건국 후에도 지속되어 조선 전기 불교계는 나옹의 문도들이 주도하게 되었다. 또한 고려말 이후 지 금까지 불교계에서는 나옹의 스승 지공과 제자 무학이 가장 영험이 큰 증명법사로서 존경을 받고 있다. This dissertation tried to observe the buddhism activity of the buddhist monk Naong(懶翁) whom rolls up was the research which tried to observe about the remains and the ruins which relate with him. The buddhist monk Naong and Confucianism scholar Mokeun(牧隱) were borned from same hometown, there were very became the person which was important until now from the late Koryo dynasty. For instance, these two people represented Buddhism and Confucianism in korean culture. In life of Naong, I am observed the fact which is incorrect and added the fact which is recorded in epitaph of disciple's Muhak (無學) and Jicheon(智泉). And he was the martyrdom monk where dying from Shinluk-temple(神勒寺). He was followed the teaching of the buddhist monk Jigong(指空) who was respected with disciples buddhist monk Muhak(無學). They were constructed Hoeam-temple(檜巖寺) in order to make center of the buddhism like Nālandā of buddhism university. But it ended with the failure. The people for him cherished memory with national. to 1383 the people cherished memory for him from the Myohyang-san(妙香山) relief company most plentifully. Muhak of his disciples was followed the teaching of the teacher in Hoeam-temple. Does so and remains the remains and the ruins of Naong until now plentifully in the buddhist temple of the country. Phase of Naong to be continued the buddhism and was made to lead and the disciples of Naong until now from Choseon dynasty. He were had high regard for high esteem until now from buddhism with teacher buddhist monk Jigong and his disciple's Muhak in korean buddhism.

      • KCI등재

        목우자 지눌의 선풍과 고려후기 조선초 불교계의 고승들 - 수선사계 고승들의 사법관계와 그 선풍을 중심으로

        황인규 보조사상연구원 2003 보조사상 Vol.19 No.-

        This study aims to trace activities of seon(or zen) monks the religious asociations ; Sooseonsa(修禪社 結社) in the latter period of Koryo Dynasty and the early Choseon Dynasty. In consequence, Master Pojo Chinul opened a new schools of thouht in the Seon-Jong the most decisive point of his revival of Sean was the fanned of the Sama'dhi(meditation) and Prajna'(wisdom) Comunity. He formed a system of the gates (approaches)known as Pojo-seon so very meaningful. After Master Chinul Pojo-seon continued to be popular and supported by sixteen Kuksa(National Preceptor 國師) such Sakulsanmoon(사굴山門)'s masters ; Chingak Hyeshim(眞覺慧諶)ㆍCheonjin Monyeo(淸眞蒙如)ㆍChinmyeong Honwan(眞明混元)ㆍ Wongam Choongji(圓鑑沖止)ㆍHyegam Manhang(惠鑑萬恒)ㆍGakgin Pokgoo(覺眞復丘). The popularity of Pojo-sean has continued right up until the present day. After the latter part of Koryo Dynasty Pojo-sean continuned the main sreams centered around different masters. They were Gajisanmoon(迦智山門)’s masters : Pogak Iryeon(普覺一然)ㆍPogam Hongoo(寶鑑混丘,), Even though they were related to Pojo-seon, tried to spread tradition Sean. For instance, Seonwonsa(禪源社) temple was the second temple of Suseonsa(修禪社 or Songgwangsa temple). It was a significant temple that was appointed the resident head preist of Suseonsa(修禪社) Temple. And It was recepted Meng-Shan Te -I(蒙山德異)'s thought of seon that was formed Kan hua seon (看話禪) in the Korean Buddhism, who was Manhang(萬恒)ㆍSeolbong Chonggam(雪峯沖鑑). Meng-Shan Te -I(蒙山德異)'s thought of Zen(禪) exerted an influence in the development of the ideas of the tree Masters. During the reign of King Kongmin in the latter period, they were three main master: Master Taego Powoo(太古普愚)ㆍMaster Naong Hyeguen(懶翁惠勤)ㆍMaster Paekwoon Kyeonghan(白澐景閑). Their disciples was appointed the resident head preist of Suseonsa(修禪社) Temple such Mohak Jacho(無學自超)ㆍGobong Pyepjang(高峯法藏) ; Naong's disciples. Also were Hwanam Honsoo(幻庵混修)ㆍNamjeon Poomok(南田夫目) ㆍSeokGyng(釋宏)ㆍShang Chong(尙聰) ; Powoo's disciples. They leaded to Buddhism in the latter period of Koryo Dynasty andthe early Choseon Dynasty.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慶順公主와 敬惠公主의 생애와 비구니 출가

        황인규 역사와 교육학회 (구 동국대학교 역사교과서연구소) 2010 역사와 교육 Vol.11 No.-

        본 논문은 조선의 공주인 태조의 딸 경순공주와 문종의 딸 경혜공주의 비구니 출가를 다룬 연구이다. 왕후가 비구니로 출가한 사례는 단종의 비정순왕후 송씨가 유일하다. 하지만 정순왕후는 폐비되어 출가하였기 때문에 조선의 왕후가 비구니로 출가한 경우는 없다고 하겠다. 이전의 시기인 고려시대에도 없었고 고대의 시기에 법흥왕과 진흥왕의 왕비가 비구니로 출가하였다. 공주가 비구니로 출가한 인물은 조선시대 이전의 시기에는 없었다. 조선시대에 태조의 딸 경순공주와 문종의 딸 경혜공주가 비구니로 출가하여 한국 역사상 공주가 출가한 유일한 사례이기 때문에 여러모로 주목된다. 경순공주와 경혜공주가 비구니로 출가하게 된 것은 정변으로 부군을 잃고 출가한 것이었지만, 근본적으로는 고대나 고려시대이래의 불교신행의 발로였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두 공주의 비구니로 출가한 배경과 그 의미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두 공주의 비구니 출가는 실록에 나타나고 있지만 거의 주목을 받지 못하였으므로, 이러한 비구니 출가사실을 중요하게 간주하였고 공주의 가계와 생애 및 비구니 출가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This paper is to explore Buddhist belief in the early Joseon Dynasty by examining the document that describes the women of a royal family, especially a princess born of king’s concubine, who became Buddhist nuns. Princess Gyeongsun, daughter of King Taejo and Princess Gyeonghye, daughter of King Munjong became Buddhist nuns after they lost their husbands to political upheaval. They became Buddhist nuns who were only Buddhist in Korea history. They was lost the husband in political change and became Buddhist nuns. In fact, It was because of Buddhist belief. and so this paper aims to explore Women in the Royal Family Tree and life, entering the Buddhist priesthood and Buddhist actvities.

      • KCI등재

        Mechanisms of tumor-induced T cell immune suppression and therapeutics to counter those effects

        황인규,Nguyet Nguyen 대한약학회 2015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Vol.38 No.8

        The theory of tumor immune surveillance states that the host immune system has means to recognize transformed cells and kills them to prevent growth and spreading of those cells. Nevertheless, cancer cells often survive and outgrowtoformatumormassandmetastasizetoothertissues or organs. During the stage of immune evasion of tumor, various changes takes place both in the tumor cells and the tumor microenvironment to divert the anti-tumor immune responses by T cells and natural killer cells. Advances in the basic science in tumor immunology have led to development of many creative strategies to overcome the immune suppression imposed during tumor progression, a few of which have been approvedfor the treatment ofcancerpatientsinthe clinic. In the first part of this review, mechanisms of tumorinduced T cell immune suppression resulting in immune evasion of tumors will be discussed. In the second part, emerging methods to harness the immune responses against tumors will be introduc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