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대인외상경험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발달자산의 매개효과

        김훈희 ( Hunhee Kim ),황영신 ( Youngshin Hwang ),손경란 ( Gyeongran Son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대인외상경험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발달자산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대학교 1학년부터 4학년 학생들 516명의 설문조사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정규분포, 상관관계 및 구조방정식 모형을 검증하였다. 매개효과의 유의성 검증은 펜텀변수에 의한 부스트래핑으로 이루어졌다. 첫째, 대학생들의 대인외상경험과 대학생활적응에서 외적 발달자산과 내적 발달자산은 완전매개효과가 있었다. 외적 발달자산과 내적 발달자산이 개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완전매개모형(1)이 외적발달자산이 내적 발달자산을 통해 이중매개하는 완전매개모형(2) 보다 적합하였다. 둘째, 대인외상경험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발달자산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는 대인외상경험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칠 수 있는 부정적 영향을 발달자산이 완충작용을 할 수 있음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대인외상경험이 있는 대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을 돕기 위해 발달자산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함을 시사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mediating effect of developmental assets on the relation between interpersonal traumatic experience and adjustment to college life. Questionnaire data from 516 college student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normal distribution, correlation,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significance test of the mediation effect was made by bootstrapping by the phantom variable. First, external assets and internal assets were complete mediation effect in interpersonal trauma experience and college life adjustment of college students. The complete mediation model (1) is more appropriate than the complete mediation model (2) in which the external assets and the internal assets individually mediate through the internal assets. Second, the mediation effects of developmental asse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trauma experience and college life adjustment. This indicates that developmental assets can buffer the adverse impact of interpersonal trauma experience on college adjust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ment and apply the developmental assets increase program to help college students with interpersonal trauma experience adapt to college adjustment.

      • SSCI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신명사도의 학습심리적 함의: 인간정보처리론적 관점을 중심으로

        사재명(제1저자) ( Jae Myung Sa ),황영신 ( Young Shin Hwang )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15 남명학연구 Vol.45 No.-

        이 연구는 남명의 신명사도에 나타난 인간 마음의 특징과 그 작용에 대한 관점을 인간정보처리론적 학습심리 관점에서 학습심리적 함의를 고찰하는 것이 목적이다. 우선, 신명사도의 의미와 인간정보처리론과 정보처리모형을 살펴본 다음, 신명사도의 학습심리적 요소와 정보처리모형을 상호 비교해 볼 것이다. 그럼으로써 신명사도가 지니는 학습심리적 함의를 인간정보처리론에 기초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신명사도는 외부의 자극에 대한 마음의 작용을 통해서 실천적으로 나타나는 행동을 표현하는 그림이다. 구조적으로는 원곽, 원곽내, 그리고 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신체적으로 눈·귀·입, 두뇌 및 마음, 몸으로 구성되어 있고, 기능적으로는 정보수집, 인지과정, 몸의 행동으로 작용한다. 또한 신명사도는 인간정보처리론적 학습심리의 관점을 내포하고 있으며, 이러한 관점을 밝혀냄으로써 본 연구는 서구의 학습심리 이론보다도 무려 400여년이나 앞서 교육에 활용되었다는 점을 구명했다는 측면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신명사도를 인간정보처리론적 관점에서 고찰해 볼 때, 드러낼 수 있는 학습심리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의 내적 인지과정을 이해할 수 있는 학습심리모델을 제시하였다는 점, 둘째 인간의 학습과정에 있어서 효과적인 학습방략을 제시해 주었다는 점, 그리고 셋째 학습자를 능동적인 정보처리자로 간주하였다는 점을 들 수 있다. As for this study, it is a purpose to derive a learning psychological connotation at the point of view of the human being information processing idea in ShinMyeongSaDo. ShinMyeongSaDo(神明舍圖)is a picture expressing the practical action of the body through the action of the heart for the outside stimulation. It is structural and is constituted in Fence out(垣郭外), Inside the fence(垣郭內), and Lower(下段). This is composed of eyes ear mouth, a brain and a heart, the body physically, and It is functional for information collection, cognitive process, acts by the action of the body. At the point called the learning psychology theory that ShinMyeongSaDo preceded it than a human being information processing theory of Europe as for about 400 rest of life, and inflected for education of the study is important. The learning psychological connotation of ShinMyeongSaDo is like the next. First, ShinMyeongSaDo shows the learning psychology model. Second, ShinMyeongSaDo show a clear concept for learning strategy. and Third, ShinMyeongSaDo consider a learner in people of active information processing.

      • 理解點檢方略이 敎材回想에 미치는 效果

        文善模,黃永信 경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1994 현대교육연구 Vol.6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mprehension monitoring strategy on text recall. The hypotheses to be tested were as follows: (1)There will b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ecall scores of the idea units between types of comprehension monitoring strategy(main idea. detail idea. control). (2) There will b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ecall scores of the idea units between levels of verbal ability (high vs low). (3) There will be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in recall scores of the idea units between types of comprehension monitoring strategy and levels of verbal ability. (4) There will be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in recall scores of the idea units between types of comprehension monitoring strategy and levels of idea unit(high vs low). Subjects of this study 84 female high school students selected randomly on the basis of levels of verbal ability. And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experimental conditions. The stimulus material was expository text about Islram. It was consisted of three paragraphs and about 220 words. Each of the three paragraphs in text focused on a separate aspect of the main topic. The first paragraph dealt with the social class. the second with the economy, and the third with civilization. The middle paragraph was modified to contain inconsistent information at main idea or detail idea. To test the hypotheses. 3(types of comprehension monitoring strategy : main idea. detail idea. control) × 2(levels of verbal ability : high vs low) × (2)(levels of idea unit : high vs low) ANOVA was applied for recall scores of the idea units.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re was a significant main effect of types of comprehension monitoring strategy on recall scores of the idea units. Main idea comprehension monitoring strategy and detail idea comprehension monitoring strategy had more facilitative effect than control condition. (2) There was a significant main effect of levels of verbal ability on recall scores of the idea units. That is. higher verbal ability condition had more facilitative effect than lower verbal ability condition. (3) There was no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types of comprehension monitoring strategy and levels of verbal ability on recall scores of idea units. (4)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types of comprehension monitoring strategy and levels of idea units on recall scores of the idea uni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