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우리나라 임산물 수출 현황 및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황병재 ( Byeong Jae Hwang ),최수임 ( Soo Im Choi ) 한국산림경제학회 2021 산림경제연구 Vol.28 No.2

        우리나라 임산물 수출 현황 및 정책 분석을 통해 임산물 수출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였다. 첫째, 최근 한류에 익숙한 동남아, 중동, 유럽 등 신흥 수출대상국 소비계층 중심으로 K-POP, 예능프로그램, 드리마 등 한류 문화콘텐츠 수출을 통해 우리나라 단기임산물에 대한 간접 홍보 강화가 필요하다. 둘째, 수출물량의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확보 및 수출대상 국가의 안전성 기준에 적합한 단기임산물 관리를 위해서 수출특화단지를 중심으로 안정적인 생산체계 및 계약재배 참여 농가 확대, 그리고 수출시장의 검역 대응체계 구축을 통해 수출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 셋째, 향후 단기임산물 수출 물류비 지원중단에 대비한 정책대안을 개발하고 수출대상국의 다양한 비관세 장벽에도 철저히 대응해야 한다. This study derived a strategy to stimulate the export of Korean forest products through the analysis on the export status of and policy for Korean forest products. First,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indirect promotion of non-timber forest products in Korea by exporting Korean cultural contents, such as K-POP, variety show programs, and dramas, centered on the consumer groups in emerging export destinations, such as Southeast Asia, the Middle East, and Europe, who are familiar with the Korean Wave. Second, it is necessary to secure continuous and stable export volume, expand stable production systems and the number of farms participating in contract cultivation centered on export-specialized complexes to manage non-timber forest products that are suitable for the safety standards of the export destinations, and strengthen export competitiveness by establishing a quarantine response system in export markets. Third, it is necessary to develop policy alternatives for the cessation of support for logistics costs for export of non-timber forest products in the future and thoroughly cope with various non-tariff barriers in export destinations.

      • KCI등재

        우리나라 임업노동력 육성정책에 관한 연구

        황병재 ( Byeong Jae Hwang ),김현 ( Hyun Kim ),강학모 ( Hag Mo Kang ),최수임 ( Soo Im Choi ) 한국산림경제학회 2022 산림경제연구 Vol.29 No.2

        본 연구는 우리나라 임업노동력 육성정책을 파악하기 위해 산림기본계획과 산림청의 주요 산림시책을 분석하였다. 산림기본계획에서의 임업노동력 육성은 제2차 산림기본계획까지는 산림조합의 기계작업단 설치 및 임업기계훈련원 설치 등 임업노동력 확보 정책이 추진되었다. 제4차 산림기본계획에서는 임업기계 및 작업시스템 개발을 통한 효율적인 산림작업 기반을 마련하였으며, 제5차 산림기본계획에서는 전문성을 갖춘 임업기능인 양성 확대, 제6차 산림기본계획에서는 산림사업 육성 및 확대를 통한 새로운 일자리 창출 등이 추진되었다. 산림청의 주요 산림시책을 유형별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①임업노동 부문은 안정적 노동력 확보 및 확대를 위한 제도 정비, ②교육훈련 부문은 현장 맞춤형 기능인력양성을 위한 훈련 기반 정비와 기술향상 교육, ③후생복지 부문은 교육훈련보조비 지원과 사기진작을 통한 임업기능인 지위향상, ④임업기계 부문은 우리나라 맞춤형 임업기계 개발과 작업시스템 보완을 통한 기술력 향상 정책 등이 추진되었다. This study analyzed basic forest plan and key forest policies of Korea Forest Service to assess the policy to promote forestry labor forces of Korea. Regarding promoting of forestry labor under the basic forest plan, policy for securing of forestry labor force including installation of mechanical work group and forestry machine training institute of the forestry cooperative was implemented up to the 2<sup>nd</sup> basic forest plan. In the 4<sup>th</sup> basic forest plan, foundation for efficient forestry works was established through development of forestry machines and work system while the 5<sup>th</sup> basic forest plan pursued expansion of promoting of forestry technicians equipped with expertise in their relevant areas and the 6<sup>th</sup> basic forest plan strove to create new job opportunities through nurturing and expansion of forestry projects. As the results of analysis of the key forest policies of Korea Forest Service by categorizing them in accordance with their types, policies for ① organization of system for securing and expansion of stable labor force for the forestry labor aspect, ② organization of training foundation and education for improvement of skills aimed at cultivation of technical and skilled manpower customized for the work sites for the education and training aspect, ③ improvement of the status of forestry technicians through provision of subsidies for education and training, and boosting of morale for the welfare aspect, and ④ improvement of technical capabilities through development of forestry machines customized to Korea and supplementation of work system for the forestry machine aspect, etc. were pursu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