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문화원형기반 창작아카이브의 특성과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황동열,윤미화 한국무용기록학회 2007 무용역사기록학 Vol.13 No.-

        문화원형 소재는 민족 정체성을 표현하고 전통 문화자원을 디지털콘텐츠로 새롭게 재구성한다는 점에서, 경제적 가치와 문화적 가치를 모두 내포하고 있는 중요한 연구라 할 수 있다. 문화콘텐츠의 경쟁력 창출을 위해서는 문화원형이 전략적으로 발굴되고 개발될 필요가 있으며, 특정한 창작소재의 일환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문화원형 디지털콘텐츠 개발사업의 성과를 바탕으로 문화원형 창작소재 개발 및 활용 방안에 대하여 성찰하고, 경쟁력 창출을 위한 문화원형기반 창작아카이브의 역할 모델을 정립, 새로운 패러다임을 구축하는 방향을 점검하는데 그 목표가 있다. 연구 결과, 문화원형기반 창작아카이브는 이미 개발된 문화콘텐츠와 타 기관이 개발한 유사 콘텐츠를 분류체계에 의거 재분류, 체계화하고, 이를 토대로 신규 개발함으로써 창작소재의 활성화를 가져올 수 있으며, 나아가 콘텐츠의 스토리텔링(storytelling) 전환 및 문화원형의 활용과 OSMU(One Source Multi Use) 등의 확장된 기능을 통하여 공공재적 기능과 산업재적 기능의 두 축으로 활용되어 콘텐츠의 활용을 다양화하고 효율성을 제고할 것으로 보인다. 문화원형을 기반으로 한 창작아카이브의 궁극적 목표는 이러한 새로운 시스템 구축을 통한 자율적인 재생산 기반을 조성하여, 창작소재 활용을 극대화하고 선진화하는 것이며, 창작아카이브의 구축 및 운영은 글로벌 문화콘텐츠 선도국가 구현이라는 국가적 목표를 충족시켜주는 가장 확실한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To seek the elements of our cultural archetype, in the view of an expression of Korean identity and new reconstruction of traditional cultural resources into digital contents, could be very meaningful culturally and economically. To gain competitive cultural contents, it is necessarily required to discover cultural archetype strategically, and which should be also understood as a means to create certain items. In that sense, based on the existing performance that cultural archetype-digital contents development business has achieved, this study discusses mainly how to develop and use cultural archetype materials for creation and deals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role model of cultural archetype-based creation archive to have competitive edge and various measures to build a new paradigm as well. From several researches, cultural archetype-based creation archive could be obtained through re-classifying and systematizing the already-developed cultural contents and similar ones developed by other institutions. Moreover, we could expect that the application of contents would be more diversified along with its enhanced efficiency through contents' conversion into storytelling, cultural archetype application and the extend functions of OSMU(One Source Multi Use), which all will be used as two pillars of both public good function and industrial one. The ultimate purpose of creation archive based on cultural archetype is to lay a foundation for an autonomous re-production basis through such new system building-up, and maximize and advance the use of elements for creation. And it is predicted that building and operating creation archive will be undoubtedly the surest alternative to the realization of the government's ambitious hope of becoming a global leader with rich cultural content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예술마케팅분야 연구동향에 관한 계량서지학적 분석

        황동열,황은교 한국문화산업학회 2011 문화산업연구 Vol.11 No.2

        The role of marketing in the area of art has multilateral influence upon all the areas and its academic system expands to a variety of areas, but interdisciplinary studies on the area of art marketing are far insufficient for the present. Under the situation that the area of art marketing develops and forms its unique study areas and theories as a science,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academic activities, carried out so far, seems to be very important in predicting its scientific status and developmental direction in the future. In this study, the trend of study on the area of art marketing was examined via bibliometric analysis and the changing phenomena of studies was traced by classifying the contents of studies carried out so far by years. For this, the conception and characteristic of art marketing was examined. And based on study findings, the developmental course of art marketing was looked into by its genres and patterns, together with art marketing's relationship with marketing mix factors and marketing pattern-oriented developmental trends were examined, thus presenting suggestions.

      • KCI등재

        박물관운영분야 학술연구 동향에 관한 계량서지학적 분석

        황동열,홍성보 한국박물관학회 2011 博物館學報 Vol.- No.20

        박물관은 사회와 공공의 문화 증진을 위한 비영리기관(Nonprofit Organization)으 로 현대사회에서는 박물관의 전통적인 기능인 수집 ? 보존 ? 계승 기능뿐만 아니라 교 육 ? 전시 ? 연구 기능도 중요시 한다. 지식기반사회가 도래함에 따라 박물관은 사회 ? 문화적으로 급속한 기능과 역할의 변화를 형성하고 있고, 사회가 박물관에게 요구하 는 역할의 변화로 현대사회의 박물관은 정체성 성립과 운영의 경쟁력 수립을 위한 여러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박물관 운영 관련 석?박사 학위논문 의 서명을 계량서지학적으로 분석한 후 박물관의 자료 주제별 분류, 설립주체, 법적 등록요건, 사회적 기능, 구성요소, 기능과 역할 등 박물관운영 관련 연구의 지적구 조분석을 실시하여 박물관의 효율적 운영 및 기능 정립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국내 문화콘텐츠의 웹 접근성 평가

        황동열,Hwang, Dong-Ryul 한국비블리아학회 2007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18 No.2

        Cultural contents should provide all the people web services to ensure accessibility without any obstacles as a core resource of nation including a code linking people and people beyond time and space. This study achieved that automated measure including 11 checkpoints and manual analysis including 11 criteria and 26 checkpoints of three areas in selected five web sites such as Culture Portal. Art Road, Korean Patterns, MFM, and e-Museum supported by Ministry of Culture & Tourism. As a result, web accessibility level of cultural contents analyzed it staying at the beginning level. This study Provided the directions in order to improve accessibility of cultural contents through showing real cases to practice for improving web accessibility.

      • KCI등재후보

        문화원형의 디지털콘텐츠 개발 모형에 관한 연구

        황동열 한국비블리아학회 2003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14 No.1

        우리 문화원형의 디지털콘텐츠화를 위한 조작적 개념 정의와 디지털기술의 발전에 따른 문화콘텐츠의 디지털화 필요성을 고찰하였다. 아울러 문화원형과 디지털콘텐츠기술을 접목하여 우리 문화에 담겨진 원초적 아이디어와 이미지를 원형으로 한 문화원형 디지털콘텐츠 개발을 위한 프로세스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문화원형콘텐츠의 요소 추출과 문화원형콘텐츠의 가치사슬 점검을 통하여 문화원형 디지털콘텐츠화 개발 모형을 도출하였다. This studied conceptional definition of digital contents and necessity of cultural contents by digital technology in progress. In addition, development process of cultural archetype digital contents based on ultimate idea and imagnation in our culture, refered from cultural archetype and digital content technology was offered by the study. Through abstraction of cultural archetype contents factor, this study deduced development model of digital contents extracted by value chain of cultural archetype contents.

      • KCI등재

        U-도서관/박물관의 기능변화 및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황동열 한국문헌정보학회 2007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1 No.4

        A ubiquitous refers to the integration of the existing documentation, cyber space, and high-tech digital technology into a wireless terminal through ubiquitous computing and network technology. With the ubiquitous environment, a library and museum can extend its roles and functions all the more, and expectedly results in internal and external great chang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nged forms and contents of a ubiquitous-library/museum. Specially, We wished to forecast change that occur in museum user service and government official management side. 유비쿼터스는 기존의 도큐멘테이션과 사이버공간 그리고 첨단 디지털 기술이 유비쿼터스 컴퓨팅과 네트워크 환경에서 무선 단말기와 결합한 형태를 말한다. 이러한 유비쿼터스 환경은 도서관과 박물관의 기능과 역할을 더욱 확장시켜, 정보의 생산과 정보제공방식에 상당한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측된다. 이 연구는 유비쿼터스 컴퓨팅과 네트워크 기술을 활용하여 변화되는 도서관과 박물관의 현상을 다각도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특히 정보 이용자에 대한 서비스 및 관리경영 측면에서 발생하는 변화를 예측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후보

        박물관․미술관의 미술정보표준화체계 연구

        황동열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2009 조형디자인연구 Vol.12 No.4

        Works of art and craft are nonlinguistic representations in nature. The purpose of analysis of art information is to produce organized information of subjects through iconological interpretation and bibliographical tools that connect art works and linguistic system. It is also an object of such analysis to confirm information about when, where, by whom, how and why the work is produced. The major objective of art information system is to provide relevant information on cultural and environmental legacies and to optimize the control and the utilization of collections. This study analyzes cases of information system building and current status of art thesaurus in foreign countries, which is essential to build information system in museums and galleries. I diagnose domestic status of art information based on the analysi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