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발달지체아에서 Denver II의 유용성에 대한 연구

        전민철(Min-Cheol Jeon),김영훈(Young-Hoon Kim),정승연(Seung-Yun Chung),이인구(In-Goo Lee),김종완(Jong-Wan Kim),황경태(Kung-Tai Whang) 대한소아신경학회 1997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5 No.1

        목적: 덴버발달선별검사(DDST)는 1967년 발표되고 한국에서는 1987년 한국판 DDST가 만들어져 사용되었고 1992년에는 덴버 II가 발표되어 더 개선되고 표준화되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일률적으로 적용하기 어렵다는 점이 지적되어 왔다. 본 연구는 정기검진아 및 발달지체아들에게 덴버 II가 이들을 평가하는데 유용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대상은 1993년 3월부터 1996년 8월까지 약 3년 6개월간 발달지체를 주소로 강남성모병원 소아발달 클리닉을 방문한 244명으로 운동발달지체주소군(I군), 언어발달지 체주소군(II군) 및 기타군(III군)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덴버 II는 한글로 번역하여 사용하였고 검사자는 훈련된 동일인으로 하였으며 각 군에 덴버 II를 검사하여 이들의 민감도와 특이도를 비교하였다. 결과: 1) 덴버 II로 검사한 소아는 총 244명이었는데 남녀비는 2.4:1로 남아가 많았으며 검사시 평균연령은 25.1개월이었다. I군은 68명이었고, 남녀비는 1.6:1, 평균연령은 11.8개월이었으며, II군은 84명, 남녀비는 4.6:1, 평균연령은 35.6개월이었고, III군은 92명으로 남녀비 13:1 평균연령은 25.4개월이었다. 2) 덴버 II를 검사한 결과 비정상, 정상, 의심의 분포를 보면 I군은 각각 76%, 13%, 10%, II군은 76%, 10%, 14%, III군은 38%, 53%, 9%이었다. 3) 덴버 II를 시행한 소아 중 신경학적 이상이 있었던 환아는 I군 75%, II군 74%, III군 39%이었으며 질환은 I군은 뇌성마비, 중추성 근긴장저하증, 영아연축, 근병증 등의 순이었고 II군은 정신지체, 발달성 언어장애, 간질, 뇌성마비 등의 순이었으며, III군은 정신지체, 간질, 뇌성마비 등의 순이었다. 4) 덴버 II의 민감도와 특이도는 I군 각 각 0.88과 0.41, II군 0.90과 0.27, II군 0.81과 0.77이며, 전체적으로 0.87과 0.59이었다. 결론: 덴버 II는 발달지체를 주소로 내원한 소아에게 있어서 민감도에 비하여 특이도가 낮았으며 특히 언어지체 주소군에서는 위양성률이 높아 발달지체아의 발달선별검사로서 유용성이 부족하였다. 따라서 덴버 II는 발달지체아를 주소로 내원한 우리나라 소아에게 그대로 적용하기는 어렵고 우리나라 소아에게 적합한 발달선별검사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Purpose : Developmental screening tests are in widespread use, but few reliable and valid tests are available. One of the oldest and best known developmental screening test was recently restandardized and revised as Denver II. Because the Denver II was published without evidence of its accuracy in developmental screening, we evaluate its accuracy in chi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to see whether it can be used on Korean children. Methods : The Denver II was translated and was administered to 244 children attending the child development clinic in Kangnam St. Mary’s Hospital to evaluated motor delay(Group I, n=68), language delay(Group II, n=84) or other problem(Group III, n92) Results: 1) The ratio of male to female and the mean age of the subject were 2.4:1 and 25.1 months overall, 1.6:1 and 11.8 months in Group I, 4.6:1 and 35.6 months in Group II, and 1.3:1 and 25.4 months in Group III 2) The distribution of results(abnormal, normal and questionable) were 76%, 13% and 10% in Group I, 76%, 10% and 14% in Group II, and 38%, 53% and 9% in Group III. 3) The neurologic problems were determined 75%(cerebral palsy, central hypotonia, infantile spasm, myopathy etc.) in Group I, 74%(mental retardation, developmental language disorder, epilepsy, cerebral palsy etc.) Group II and 39%(mental retardation, epilepsy, cerebral palsy etc.) in Group III. 4) The sensitivity and the specificity of Denver II were 0.88 and 0.41 in Group I, 0.90 and 0.27 in Group II, 0.81 and 0.77 in Group III, and 0.85 and 0.59 overall. Conclusion : Although the Denver II in identifying children at risk for developmental delay has a excellent sensitivity, it has a poor specificity, especially in identifying children at risk for language delay.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Denver fail to reliably identify children in need of developmental delay evaluation. So the Denver II should be standardized and modified to be used on Korea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