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조선시대 강릉지역 연변봉수의 위치 비정

        홍영호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2020 군사 Vol.- No.114

        There were some signal-fire stations were on the seaside in the East Coastal area during the Joseon Dynasty, and they are called coastal signal-fire stations. There were 6 coastal signal-fire stations in region of Gangneung according to records. These are the list the names of these signal-fire stations from south to north, such are Eodalsan Bongsoo, Ogeubsan Bongsoo, Haeryeongsan Bongsoo, Sodongsan Bongsoo, Sahwasan Bongsoo and Jumunsan Bongsoo. However, excluding Eodalsan Bongsoo, there has been a controversy over the locations of 5 of these signal-fire stations. So through this paper, the author attempted to locate the places of these 5 signal-fire stations, and find out their common characteristics. To this end, the author critically analyzed bibliographic data, investigated the sites of the signal-fire stations, and determined the controversial locations of the coastal signal-fire stations.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determine the locations of the coastal signal-fire stations in Gangneung. That is, these coastal signal-fire stations were located in the promontories on the seashore or in the mountains off the coast, and most of them were at a visible distance from adjacent signal-fire stations. Also, the fact that some of the frontline guard posts of the Goryeo Dynasty, ‘Soo (戍),’ used the same names and their locations confirmed that they were used as the sites of signal-fire stations during the Joseon Dynasty. This paper confirmed the location of the coastal signal-fire stations in Gangneung, and thus determined the locations of coastal signal-fire stations in the Yeongdong area. 조선시대 동해안에는 바닷가에 봉수가 있었는데, 이를 연변봉수라 칭한다. 강릉지역에도 연변봉수가 있는데, 기록에 의하면 6개가 분포하고 있었다. 이들 봉수의 각 명칭을 남쪽에서부터 북쪽으로 열거하면 어달산봉수, 오근산봉수, 해령산봉수, 소동산봉수, 사화산봉수, 주문산봉수이다. 그런데 이들 봉수는 어달산봉수를 제외하고 나머지 5곳은 그 위치와 입지가 혼란스럽고 논란이 있다. 그리하여 필자는 이 글을 통해서 이들 5곳의 봉수지의 위치를 찾아 비정하고, 그 입지의 공통점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필자는 문헌자료를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봉수지 현장을 조사한 후 논란이 있던 연변봉수지의 위치를 비정하였다. 그 결과 강릉지역 연변봉수지의 위치와 입지를 밝힐 수 있었다. 즉 이들 연변봉수는 바닷가의 곶이나 바닷가의 산에 입지하였고, 거의 대부분 연결되는 봉수와 서로 보이는 거리에 분포한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고려시대의 전방초소인 ‘수(戍)’가 조선시대의 봉수지로 활용되었다는 것을 서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는 곳이 있다는 점과 그 위치와 입지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이 글을 통해 강릉지역의 연변봉수의 위치와 입지를 규명함으로써 영동지방의 연변봉수는 사실상 그 위치와 입지가 모두 확인된 셈이다.

      • SCOPUSKCI등재
      • 6~7세기 고고자료로 본 동해안과 울릉도

        홍영호 한국이사부학회 2010 이사부와 동해 Vol.1 No.-

        이 글은 신라의 江原道 東海岸 및 鬱陵島 진출을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短脚高杯段階로부터 통일신라 초기까지의 유물.유적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우선, 필자는 황남동 109호 3.4곽을 4세기 후반~말기, 황남대총 남분을 5세기 3/4분기 訥祗王의 무덤으로 보는 입장에서 고 고학적 물질자료를 해석하였다. 그 결과 강원도 동해안의 강릉은 이미 황남동 109호 3.4곽 단계부터 신라의 문화가 나타나며 , 威勢品으로 보나 고분군의 규모로 보나 강릉이 최고의 거점지역이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부산 복천동 집단을 강릉 으로 徙民시켰고, 이들의 후예들을 異斯夫의 울릉도 정벌에 활용하였을 가능성도 제기해 보았다. 이후에도 강릉을 비롯한 강원도 동해안 지역은 지속적으로 경주와 連動하여 橫口式.橫穴式 무덤이 조성되며, 遺物相도 동일한 양상을 보여준다. 반면, 울릉도는 육지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특이한 고분이 조성되어 상당히 오랜 기간 동안 지속되고 있다. 울릉도의 고분은 追加葬이라는 횡구식 아이디어를 받아들였으며, 처음에는 屍身을 안치하였지만, 점차 佛敎의 영향으로 火葬을 하고 藏骨容 器를 埋納하는 방식으로 추가장을 하면서 많은 고분이 조영될 필요성이 없어졌다고 생각된다. 그런데 이러한 울릉도식 고분 은 6세기 중후반 이후에 갑자기 나타나고 있다. 발굴 자료가 거의 없어 단정할 수 없지만, 그 이전의 선행 묘제가 없는 까닭 에 외부로부터의 徙民도 생각해 볼 수 있고, 울릉도 土着人들이 횡구식 묘제를 받아들여 변형시켰다고도 볼 수 있으나 자료 의 증가와 검토가 필요하다. 울릉도는 이사부의 정벌 이후 銅冠으로 상징되듯 완전히 新羅化 되었고, 원거리에 위치한 섬이 라는 특성상 간접지배를 받았다고 보인다. 고고학적 자료로 보건대, 울릉도 고분이 외형상 독특하고, 동일한 고분형식이 지 속적으로 유지되며, 횡혈식석실분으로의 변화를 나타내는 예가 없는 점 등에서 알 수 있다. 한편 울릉도와 강원도 동해안에서 6세기 중.후반~7세기에 보이는 고고학적 물질자료들은 뚜렷한 차별성이 보이지 않는다. 이것은 이 시기의 물질문화가 신라의 전체 영역에서 동시에 유행하는 齊一性의 결과로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Shilla's advance to the East Coast of Gangwon-do and Ulleungdo. To this end, the author examined the artifacts and remains from the period of the pottery with a short stand to the early years of Unified Shilla. First of all, the author analyzed archeological material data from the viewpoint that dates Coffins No. 3 and 4 in Tomb No. 109 in Hwangnam-dong to the third quarter or end of the 4th century, and sees the southern tomb of Hwangnamdaechong as the tomb of King Nulji of the third quarter of the 5th century. The result showed that the culture of Shilla already appeared in Gangneung in the East Coast of Gangwon-do from the period in which Coffins No. 3 and 4 in Tomb No. 109 in Hwangnam-dong was built, and that Gangneung was the best foothold in view of prestige goods and the size of tombs. The author also presented the possibility that the group of people from Bokcheon-dong, Busan was migrated to Gangneung, and their descendents were utilized during Yisabu's conquest of Ulleungdo. Afterwards, 'front open stone chamber tombs' and 'walk in stone chamber tombs' continued to be built in the East Coast area of Gangwon-do, including Gangneung as well as in Gyeongju, and the artifacts of this area are similar to those of Gyeongju. On the other hand, unique tombs, unseen in the mainland, continued to be built in Ulleungdo for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The tombs of Ulleungdo adopted the idea based on the 'front open stone chamber' featuring additional burial. At first, they enshrined corpses, but as cremation became more prevalent due to the influence of Buddhism, cremation potteries were buried and additional burial was gradually introduced, there was no need to build many tombs. However, these Ulleungdo-style tombs suddenly appeared in the middle and second half of the 6th century. As there is hardly any archeological finding, it is impossible to draw any conclusion, but since there is no preceding tomb burial system, migration from outside is a possibility, and it is also likely that the indigenous people of Ulleungdo adopted the tomb burial system based on the 'front open stone chamber' and modified it, but more data and careful consideration will be needed. After Ulleungdo was conquered by Yisabu, it became completely part of Shilla as symbolized by the bronze crown, and as it is a remote island, it seemed to be indirectly ruled. Based on archeological data, the tombs of Ulleungdo are apparently unique, and the same tomb style was maintained continuously, and there is no example that shows the process of change to 'walk in stone chamber tombs.'From the mid and upper part of the 6th century to the 7th century, Archaeological data is not distinct between the East Coast of Gangwon-do and Ulleungdo. Because, it is estimated that Shilla culture spread out simultaneously with her's whole territory.

      • KCI등재

        생활 및 실험실 안전관리에 대한 대학생의 인지도 조사

        홍영호 한국화재소방학회 2014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2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wareness survey on the life and laboratory safety of the college students. For the research, data was collected from 442 students of health, engineering, fire fighting and food & cook department. Research tools were used SPSS win 19.0,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asused. Comparing the life safety consciousness with laboratory safety consciousness, showed life safety awareness andsafety laboratory has recognized the similaritie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χ2= 296.456, p < 0.001). Results ofawareness survey to safety management, the safety awareness are difference with the type of respondents major subjects. This order was Food & Cook > Fire fighting > Health > Engineering department.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일상생활 및 실험실 안전관리에 대한 의식조사를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보건계열, 공학계열, 식품조리계열, 그리고 소방계열 대학생 44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조사결과는 SPSSwin 19.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등의 통계처리를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질문의 신뢰도는 Cronbach’α = 0.756~0.835이다. 조사결과에 의하면 Pearson’s χ2= 296.456, p < 0.001으로 일반생활안전에 대한 인식과 실험실안전에 관한 인식은유사성을 지니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안전관리에 대한 인식조사결과 전공의 유형에 따라 인식의 차이를 보여 식품조리계열 > 소방계열 >보건계열 >공학계열의 순으로 안전에 대한 인식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 Pt 전극을 사용한 SnO₂(Ca)/Pt 후막소자의 탄화수소계가스에 대한 감응특성

        홍영호,김태훈,이인희,이덕동 경북대학교 센서기술연구소 1994 센서技術學術大會論文集 Vol.5 No.1

        High sensitive SnO_(2) based thick film hydrocarbon gas sensor were fabricated using fine particle tin oxide powder which were Ca and Pt doped. For gas detection Pt and Au electrode were used. Where Pt and Au electrode were deposited by using r.f. sputtering and thermal evaporation respectively. Then the electrical and sensing characteristics of SnO_(2)(Ca)/Pt thick film were investigated. As Ca and Pt addition, the crystal growth of SnO_(2) was suppressed during calcining and sintering, and the sensitivity of SnO_(2)(Ca)/Pt thick film to gas was enhanced. Also any difference in the sensing properties has to be attributed to the electrode.

      • KCI등재
      • 경량기포콘크리트를 이용한 폐수처리

        홍영호,조석형,안태광,전용진 호서대학교 반도체제조장비국산화연구센터 2000 학술대회 자료집 Vol.2000 No.1

        본 연구는 폐수처리공정에서 경량기포콘크리트를 이용하여 폐수중에 존재하는 음이온계면 활성제와 총인 그리고 총질소성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경량기포콘크리트는 폐수 처리공정에서 반응기에 충진하여 사용하였으며, 이때 사용된 폐수는 인공폐수(음이온계면활성제 : 10∼31 mg/L, 총인 : 66∼73 mg/L 그리고 총질소 : 56∼163 mg/L)를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경량기포콘크리트를 사용하여 폐수를 처리한 결과 음이온계면활성제의 85∼90 %, 총인성분의 92 %, 그리고 총질소 성분의 90 % 정도가 제거 되었다.

      • 결정성장 억제재를 첨가한 SnO$_{2}$ 미세입자의 메탄가스 감지효과

        홍영호,강봉휘,이덕동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1996 電氣電子材料學會誌 Vol.9 No.1

        A coprecipitation method was used for preparing Ca and Pt doped $SnO_2$ fine powder. Components of the powder were investigated by XPS and SIMS. Crystallite size and specific surface area were investigated by TEM, XRD, and BET analysis. $SnO_2$(Ca)/Pt based thick film devices were prepared by a screen printing technique for methane gas detection. Then sensing characteristics of the devices were investigated. As Ca and Pt added, the crystal growth of $SnO_2$ was suppressed during calcining and sintering, and the sensitivity of $SnO_2$(Ca)/Pt thick film to methane gas was enhanced. For the Pt doped $SnO_2$ fine particle, the thick film device shows sensitivity of about 83% to 2000 ppm methane gas at an operating temperature of >$400^{\circ}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