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젊은 장병들에게 복음과 사랑을 전합시다

        홍순석 두란노 2004 목회와 신학 Vol.- No.184

        2004년 세계기독군인대회'가 지난 9월 14~18일까지 150여개국에서 모인 2,000명의 군인대표들이 함께한 가운데 오산리 최자실기념금식기도원과 순복음 수련원에서 열렸다. 이 행사를 주관한 세계기독군인연합회(Association of Military Christian Fellowships, AMCF)의 회장인 이필섭 장로는 이번 행사가 그리스도 안에서 기독군인들이 하나 됨을 체험하고 복음을 전하는 것이 우리들의 사명임을 절실히 깨닫는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합참의장 출신인 이 장로는 특별히 한국의 군 복음화에 비전이 있다고 말한다. 그는 이것을 가리켜 '비전 2020' 운동이라고 부른다. "한국의 미래를 짊어지고 있는 많은 젊은이들이 군대에 들어올 수 밖에 없습니다. 우리나라와 같은 긴장상황에서는 특히 주말에도 군대에 있어야 합니다. 이런 조건에서 우리 군에 있는 독특한 상황이 군종 목사 제도입니다. 이런 것들을 볼 때 한국군은 복음화하기에 매우 좋은 토양이라고 생각합니다."

      • 무분별한 '영성'의 사용을 경계합시다 : 남서울교회 설립 30주년 기념 심포지엄

        홍순석 두란노 2005 목회와 신학 Vol.- No.194

        심포지엄의 주된 관심은 ‘영성이란 무엇인가’로 집중되었는데 송인규 교수는 우리 영성의 현주소를 먼저 이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이어 발제로 나선 김정우 교수는 교회 건물 꼭대기에 달린 ‘십자가 위에 달린 피뢰침’의 예를 들어 과연 십자가의 초월성과 피뢰침의 자연성 사이의 갈등을 어떻게 조화시킬 것인가가 영성의 문제임을 제시하며 성경적 영성이 무엇인지를 설명했다.이어 이문장 교수가 한국적 영상을,이승구 교수가 영성의 개념 자체의 문제점을 설명했으며 마지막으로 정근두 목사가 적용적 차원에서 영성과 설교에 대해 발제 함으로써 심포지엄을 마무리 지었다.이번 심포지엄은 최근 한국 교회에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영성 신학에 대해 다시금 생각하게 하고 영성의 바른 사용에 대해 나름대로 대답을 마련한 기회를 제공했다.이 같은 자리를 통해 한국교회가 성경이 말하는 바른 영성의 열매 맺기를 기대한다.

      • 삶이 묻어나는 복음을 전합시다 : 청년전도설교포럼

        홍순석 두란노 2004 목회와 신학 Vol.- No.185

        기독교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의 확대는 전도의 어려움으로 직결된다. 이 같은 현실에서 청년들에게 어떻게 전도 설교를 통해 회심에 이르게 할 것인지 진지하게 토론해 보는 자리가 마련되었다.

      • 抱川郡 玉屛洞의 巖刻文에 대하여

        홍순석 강남대학교 1994 論文集 Vol.25 No.1

        강남대 학술조사단의 조사 결과, 抱川郡의 玉屛洞 巖刻文은 <자료3>을 제외하곤 모두 1588년(선조 21)에 제작된 것이다. 지금으로부터 405년이란 오랜 세월이 지났음에도 완연한 원형 그대로 보존되어 있다는 점이 여간 다행스럽지 않다. 그러나 네 차례의 조사에서도 문헌에 기록된 자료를 아직 발굴하지 못한 것이 있다. 李鍾弼씨에 의하면 물밑에 잠겨 있다는 「蒼玉屛」 세 글자도 아직 접하지 못하였고「思菴集」의 여러 글 가운데 소개된 「白鶴臺」「鳴玉灘」 등도 확인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행정적인 지원 아래 본격적인 탐사가 시급히 요구된다. 특히 「窪尊」과 같이 물가에 접한 암각문은 언젠가는 물에 휩쓸려 사라질 위기에 접해 있다. 시급히 보존 대책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이 암각문의 사료적 가치로 보아, 그 보존 대책의 일환으로 문화재 지정도 절실히 요구된다. 끝으로, 필자의 현장조사시 적극적으로 도움을 제공해주신 崔宗圭(포천문화원장), 李鉉文(용연서원장), 李鍾塤(옥병서원 총무)씨와 강남대 조사반원 변준연·정혜원·신병선 등에게 감사의 뜻을 표한다.

      • 위대한 21세기'의 부흥을 고대하며

        홍순석 두란노 2005 목회와 신학 Vol.- No.193

        해마다 장로회신학대학교에서 개최하는 ‘국제학술대회’가 올해로 제5회를 맞아 평양부흥 운동과 관련해 “20세기 개신교 신앙 부흥과 평양대각성운동”이라는 주제로 지난 5월 25, 26일 이틀 동안 진행되었다. 평양부흥운동 100주년을 맞는 2007년을 준비하는 장신대 국제학술대회는 당시 부흥 운동이 국내뿐 아니라 세계 여러 나라에서 연이어 일어나 점을 주목해 부흥 운동 전반에 걸쳐 신학적 되새김질을 해 보는 자리였다.

      • 한국교회의 미래는 참된 부흥의 회복에 달려 있습니다. : 총신대신대원 교회사 박용규 교수와 「한국기독교회사」(1)

        홍순석 두란노 2004 목회와 신학 Vol.- No.185

        평양대부흥회운동을 오해하는 부분도 있으나 무엇보다 분명한 것은 부흥의 핵심이 영적 대각성이라는 것입니다. 그리고 대각성운동의 핵심은 회개입니다. 회개라는 것은 성령의 역사 없이는 일어날 수 없어요. 또 회개의 역사는 말씀과 더불어 역사합니다. 그러니까 1970년대의 교회 성장을 추구하는 대중 전도운동과는 달랐던 것입니다. 개인의 회개가 사역으로 이어지고 그리고 난 다음 민족의식이 일깨워지고 민족을 잠에서 깨우는 일로 이어집니다. 이런 부흥운동으로 일제 36년 동안 우리 민족이 소망을 잃지 않고 한국을 지탱할 수 있지 않았습니까? 저는 이 시대에도 교회가 세상의 유일한 희망이고 보루라고 생각합니다. 그런 뜻에서 다시 영적 각성운동이 일어나야 하는데 요즘 많은 교회가 자정능력을 상실했습니다. 저는 한국교회 지도자들로부터 먼저 이 깊은 잠에서 깨어나는 영적 각성운동의 은혜를 체험해야 된다고 생각해요. 이런 면에서 볼 때 평양대부흥운동같은 영적인 각성운동이 시급하다고 봐요. 그러므로 한국교회는 이런 평양대부흥운동의 본질을 이해하고 사회적 책임을 가지면서 한국 사회를 말씀으로 섬기는 사역을 감당해야 하리라 봅니다. 감사합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