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상악 유중절치 재근관 치료에서 차아염소산나트륨의 합병증에 대한 증례 보고

        홍소이,김진우,김지연,마연주,안병덕,Hong, So-Yi,Kim, Jin-Woo,Kim, Ji-Youn,Mah, Yon-Joo,Ahn, Byung-Duk 대한소아치과학회 2012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9 No.2

        차아염소산나트륨은 근관 세척 시 널리 쓰이는 약제이다. 근관계의 멸균에는 효과적이나, 부작용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많지 않으며 특히 유치에서 근관세척제로 사용 시 부작용에 대한 보고는 거의 없었다. 본 증례는 차아염소산나트륨이 유치의 치근단을 통과하였을 때 심각한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만 4세 여아가 치과의원에서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이용한 상악 유중절치의 재근관 치료 중 급격한 안면 부종과 통증으로 본원 응급실로 의뢰되었다. 전신적 스테로이드제, 항히스타민제, 항생제 및 진통제를 투여하고, 해당 치아는 2차 감염 예방을 위해 발거하였다. 2일 후 부종이 감소하기 시작하였다. 차아염소산나트륨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 검사 결과 음성을 나타내었다. 유치의 근관 세척 시에는 차아염소산나트륨이 치주조직으로 압출되지 않도록 철저히 주의해야 하며, 부작용이 일어날 경우 통증 및 부종 완화와 약물 치료가 필요하다. The sodium hypochlorite is widely used in endodontic treatment. While it is effective solution for disinfection of root canal system, complications during canal irrigation are rarely reported, especially in primary teeth. This report demonstrates that sodium hypochlorite extruding through the root apex might cause severe complications. A 4-year-old female patient was referred from local dental clinic to the emergency room for the management of sudden facial swelling and pain during re-endodontic treatment of the maxillary primary central incisor using sodium hypochlorite. The patient was given systemic steroids, antihistamines, antibiotics and analgesics and the maxillary primary central incisor was extracted to prevent secondary infection. Swelling began to subside after 2 days. A negative result was obtained from skin patch test with sodium hypochlorite. Thorough care must be taken in primary teeth to prevent the inadvertent injection of sodium hypochlorite to periapical tissues during root canal irrigation. When adverse reaction occurs, proper management such as analgesia, cold compression and adequate medication should be done.

      • KCI등재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을 이용한 한국인 소아의 하악공 위치에 대한 연구

        홍소이,정서영,마연주,정영정,안병덕 大韓小兒齒科學會 2011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8 No.4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osition of the mandibular foramen in panoramic radiographs of Korean children to provide information for successful inferior alveolar nerve block anesthesia. 240 panoramic radiographs of 7 to 15-year-old boys and girls were analyzed.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4 groups in boys and girls according to their age.; 7-8, 9-10, 11-12 and 13-15 years old. The shortest distances from the center of the mandibular foramen to the anterior border of ramus, to the posterior border of ramus, to the antegonial notch and to the mandibular notch and the perpendicular distances from the center of the mandibular foramen to the occlusal plane were measure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Although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mandibular foramen in the ramus of mandible tended to move anteriorly for both genders with age, the vertical position did not correlate with age. 2) The mandibular foramen moved upward in relation to the occlusal plane with age, and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ge(p<0.05). 3) The mandibular foramina of boys, when compared to those of girls, were located more superiorly in relation to the occlusal plane and more superiorly and posteriorly in the ramus of mandible. 본 연구는 소아에서의 성공적인 하치조신경 전달 마취를 위한 정보를 얻기 위해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에서 한국인 소아의 하악공 위치를 분석하였다. 총 240명의 7-15세의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을 수집하여, 연령에 따라 7-8세, 9-10세, 11-12세, 13-15세의 하위 그룹으 로 나누었으며 각 그룹은 남녀 각 30명씩을 포함하였다. 좌우측의 하악공으로부터 하악절흔, 악각전절흔, 하악지 전연, 하악 지 후연까지의 최단거리와 교합평면까지의 수직거리를 측정하였으며, 하악공으로부터 하악절흔과 악각전절흔의 거리의 비와 하악공으로부터 하악지 전연과 하악지 후연의 비를 계산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하악공의 하악지 내 상대적 위치는 남녀 모두에서 연령 증가에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관찰되나, 수직적인 위치 는 연령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2) 하악공의 교합평면과의 상대적인 위치는 연령 증가에 따라 교합평면 하방에서 상방으로 이동하였으며, 연령과 높은 상 관관계를 나타내었다(p<0.05). 3) 여자보다 남자에서 하악공이 교합평면을 기준으로 더 상방에, 하악지 내 전후방 및 수직적으로는 하악지의 후상방에 위 치하여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p<0.05).

      • KCI등재

        Rett syndrome 환자의 증례보고

        공은경,홍소이,마연주,안병덕,정영정 大韓小兒齒科學會 2011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8 No.1

        레트 증후군은 X-염색체 연관 신경발달 장애로 주로 여아에서 발병하며 특히 언어 표현, 손의 사용 발달의 퇴행 및 심각한 지적 장애를 동반한다. 구강내 증상은 경련, 구강 위생 불량, 보행 장애, 구강 습관과 관련이 있고, 특히 이갈이가 가장 흔한 증상이다. 본 증례에서 레트 증후군 환아는 치아우식증을 주소로 내원하여 전신마취 하에 치료를 받았으며, 손의 상동증(stereotypic hand movement), 이갈이, 손가락 빨기 등의 전형적인 증상을 보였다. Rett syndrome is a X-linked genetic neurological disorder characterized by developmental regression, particularly in relation to expressive language and use of the hands, together with profound mental retardation, that almost exclusively affects females. Oral manifestations of the disease are commonly associated with the clinical conditions such as convulsion activity, difficulties for oral hygiene behavior, walking problems and oral/digitalmanual habits. Bruxism is the most frequently observed oral habit in patients with Rett syndrome. Two cases with the Rett syndrome were reported. Both patients had the typical manifestations like stereotypic hand movement, bruxism and digit-hand sucking. Caries control for the patients was perfomed under general anesthesia.

      • KCI등재

        미성숙 영구 전치의 외상 후 MTA를 이용한 치근단 형성술 : 후향적 연구

        정서영,안병덕,홍소이,공은경,마연주,정영정 大韓小兒齒科學會 2011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8 No.1

        미성숙 영구 전치에서 MTA를 이용한 치근단 형성술의 예후를 평가하기 위해, 영구 전치의 외상으로 MTA를 이용한 치근 단 형성술을 받은 환자 중 최소 3개월 이상의 경과 관찰이 시행된 환자 49명, 치아 64개의 의무기록과 방사선 사진을 검토하 였다. 환자 정보, 치아 및 치주조직 외상 위치와 유형, 치료 전 치근단 병소 유무, 임상 증상 유무, MTA 충전 상태, 치근단 형 성술 이후 치근단 병소 치유 및 치근단 경조직 장벽 형성 여부를 조사하고, 임상적, 방사선학적 성공을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64개의 미성숙 영구전치에 시행된 MTA를 이용한 1-visit 치근단 형성술은 89.1%의 임상적 성공률과 73.4%의 방사 선학적 성공률을 보였다. 2. 상악 치아와 하악 치아에 행해진 MTA를 이용한 1-visit 치근단 형성술 비교시 상악에서 유의하게 더 높은 성공률을 보 였다. 3. 치아 외상 및 치주조직 외상 유형에 따른 성공률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 MTA의 적절한 충전 여부는 성공률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outcome of MTA apexification in young permanent anterior teeth. Among the patients with the traumatized permanent incisors which were treated with MTA apexification, the dental records and radiographs were examined only for the patient who had follow-up examination at least 3 months after the treatment. Forty nine patients with 64 teeth were included in this study. Demographic information, location and type of teeth and periodontal injury, pre-treatment periapical lesion, clinical symptoms, status of MTA filling, healing of apical lesion and apical barrier formation after treatment were investigated. The outcome based on clinical and radiographic criteria were assess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Of 64 immature permanent incisors with MTA apexification, the clinical and radiographic success rates were 89.1% and 73.4%, respectively. 2. The maxillary incisor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uccess rates than the mandibular incisors. 3.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uccess rates among the teeth with different types of teeth and periodontal injury. 4. The status of MTA filling did not influence the clinical and radiographic succ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