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고령자 TV 동반 시청(Co-viewing) 컴패니언봇에 대한 사용자 인식 조사 및 인터랙션 디자인 요인 탐구

        윤정미(Jungmi Yoon),박중신(Joongsin Park),황우호(Yuhao Huang),김보리(Bori R. Kim),김건하(Geon Ha Kim),홍세준(Se-Joon Hong),김진우(Jin Woo Kim) 한국HCI학회 2019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2

        사회가 고령화됨에 따라 사회적 연결망이 줄어들고, 건강상의 이유로 주로 혼자 TV 를 시청하는 고령자가 늘어나고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배경에 기반하여, 고령자들과 TV 를 함께 시청해 줄 수 있는, `TV 동반시청 컴패니언봇`에 대한 고령자의 인식과 디자인 요소를 탐색하는 것을 목표로, Wizard of Oz 방법을 적용하여 탐색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총 23 명의 고령자를 대상으로 실제 가정환경 내에서 컴패니언봇 프로토타입과 함께 TV 를 동반 시청한 후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인터뷰 분석 결과, 고령자는 컴패니언봇을 손주, 친구, 비밀을 털어놓을 수 있는 사물, 애완동물, 기계 등으로 인식하였다. 고령자들로 하여금 컴패니언십을 느끼게 하는 주요 요인으로 정서적 안정감과 사회적 존재감이 도출되었다. 정서적 안정감을 느끼게 하는 주요 디자인 요소로는 맞장구가 있었다. 사회적 존재로 느끼게 하는 디자인 요소는 고령자의 봇에 대한 관계 인식을 바탕으로 한 대화 인터랙션에 기반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고령자를 대상으로 한 TV 동반 시청 컴패니언봇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 손주보 : 고령자 치매예방 인지강화 훈련을 위한 대화형 에이전트 개발

        박중신(Joongsin Park),윤정미(Jungmi Yoon),황우호(Yuhao Huang),강윤영(Younyoung Kang),고현정(Hyunjeong Ko),김보리(Bori R. Kim),홍세준(Se-Joon Hong),김건하(Geon Ha Kim),김진우(Jin Woo Kim) 한국HCI학회 2019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2

        본 연구는 급속도로 고령화 되고있는 국내 상황에서 사회적 문제로 급부상 하고있는 치매에 대응하기 위한 IT 기반의 접근방법으로 인지강화훈련을 제공하는 대화형 에이전트 개발을 목표로 한다. 시스템 개발의 과정에서 고령자용 대화형 에이전트가 가져야할 대화적 요소를 도출하기 위해 WoZ 기반의 탐색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13 명의 고령자의 집을 방문하여 대화형 에이전트와 고령자가 1 시간 가량 대화할 때 나타나는 현상들을 분석하여 디자인 요소들을 도출했다. 도출된 디자인 요소를 바탕으로 메신저 기반의 챗봇 형태인 "손주보" 를 개발하였으며 ‘관계설정을 위한 어린 아이같은 대화’, ‘선제 발화를 통한 주도적 대화’, ‘충분한 onboarding 을 통한 기능제시’, ‘치매예방 훈련이라는 분명한 목표 제시’, ‘맞장구와 관심 표현’, ‘메시지 버튼 기반의 발화유도’의 6 가지 대화적 전략이 적용되었다.

      • 알츠가드: 경도인지장애 치료를 위한 대화형 디지털 테라퓨틱스

        강윤영(Younyoung Kang),조현진(Hyunjin cho),김보리(Bori R. Kim),김주혜(Ju Hye Kimg),윤정혜(Jung HaeYoun),이준영(Jun-Young Lee),홍세준(Se-Joon Hong),김건하(Geon Ha Kim),김진우(Jin Woo Kim) 한국HCI학회 2020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0 No.2

        본 연구는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는 있는 치매를 예방하기 위한 접근방법으로 알츠가드(Alzguard)를 제안하고자 한다. 알츠가드는 치매의 전단계인 경도인지장애를 치료하여 치매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카카오톡 플랫폼 기반 대화형 디지털 테라퓨틱스이다. 디지털 테라퓨틱스는 디지털 매체를 통해 질병 관리가 가능한 치료제를 말하는데, 비대면 관리와, 개인화된 치료가 가능한 접근방법이다. 이를 통해 경도인지장애 치료를 위한 요소인 훈련 몰입, 다각적 접근, 개인화된 훈련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알츠가드는 이러한 요소를 중점으로 에이전트 ‘새미’와의 대화, 5 개 영역의 인지강화 훈련, 건강정보와 소셜 기능을 제공하며 이를 통해 경도인지장애를 치료하고 더 나아가 치매를 예방하고자 한다.

      • KCI우수등재

        사용자 만족과 감정적 애착의 이론적 통합 모형에 관한 실증적 연구

        이인성(In Seong Lee),이기호(Ki Ho Lee),최지웅(Gi Woong Choi),양승화(Seung Hwa Yang),임성택(Seong Taek Lim),전석원(Seok Won Jeon),김진우(Jin Woo Kim),홍세준(Se Joon Hong) 한국경영학회 2008 經營學硏究 Vol.37 No.5

        Recently, studies on user experience have become popular within the field of new product development, marketing, and information systems. Most of these studies on user experience hypothesize that user satisfaction is enhanced when users have good experience with a certain device or a system and that enhanced user satisfaction can explain and predict user loyalty effectively. However, since user experience is a broad concept which comprises both the cognitive and the affective elements, whether existing theoretical models of user satisfaction can accurately reflect user experience is questionable. Moreover, it is also not clear whether user satisfaction can effectively explain user loyalty. For example, user`s cognitive appraisal plays a major role in building up user satisfaction with the product; this means that user satisfaction model only focuses on the cognitive aspect of user experience. Thus, the existing theoretical models focusing on user satisfaction cannot reflect the emotional aspect of user experience. Moreover, user satisfaction can be developed even with only a short period of usage; therefore, user satisfaction cannot fully explain the whole aspect of user experience which is developed through the long-term interaction with the product. Moreover, since users who are only satisfied with the product can always move on when there is a better alternative, there is a limitation of maintaining and promoting user loyalty by merely enhancing user satisfac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such existing theoretical models of user satisfaction by including a new concept known as emotional attachment in order to complement theoretical and practical limitations of the current user satisfaction model. Emotional attachment is an emotional bond between a person and the specific object; this research hypothesizes that the concept of emotional attachment could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theoretical model focusing on user satisfaction. Such hypothesis i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which argue that emotional attachment is formed based on the affective experience through the long-term interaction with a certain object and that the person with emotional attachment toward the object is less likely to be influenced by the existence of more attractive alternatives. In this study, a new theoretical model of emotional attachment based on the perspective of user experience was develop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was theoretically expanded the user experience model by integrating the emotional attachment and the user satisfaction model. Surve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empirically validate the theoretically integrated model with users of four digital products (cell phone, MP3 player, TV, and refrigerator). The survey results indicate that our integrated model does indeed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user experience and user Loyalty more faithfully than the existing models. This paper ends with certain limitations as well as implications of the study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