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신분열병환자에 있어서 식후에 관찰되는 비정형 항정신병약물과 관련된 음식 갈망 회로 : 기능적 자기공명영상 연구

        정범석(Bum Seok Jeong),이창화(Chang Hwa Lee),홍성균(Sung Kyoon Hong),최지욱(Jee Wook Choi),김지웅(Ji-Woong Kim),이선우(Sun Woo Lee)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2006 생물치료정신의학 Vol.12 No.2

        목적 : 음식을 충분히 섭취한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 관련 음식 갈망 뇌 구조물 탐색. 방법 : 배고픔을 배제한 음식에 대한 갈망만의 뇌회로를 탐색하기 위해 음식을 충분히 섭취한 상태에서 음식물과 무생물 사진을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을 복용 중인 정신분열병 집단 및 정상 대조 집단에게 수동적으로 보여주면서 기능적 뇌영상을 촬영하였다. 자극 파라다임은 24초짜리 세 블록으로 구성된 음식물 혹은 무생물 사진들로 구성된 블록 디자인을 사용하였다. 집단 별음식 갈망 관련 뇌 회로, 두 집단 간 음식 갈망 관련 뇌 활성도 차이, 뇌 활성도와 임상 변인과의 상관관계를 SPM2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식후에 촬영한 기능적 자기공명 영상 연구 결과 정신분열병 집단이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을 복용함에도 불구하고 음식물 자극 및 음식 갈망 관련 회로의 활성도가 상대적으로 저조하였다. 시상 및 시상 하부의 활성도는 현재 약물의 복용 기간과 유의미한 역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 체중 혹은 음식 갈망을 증가시킨다고 알려진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을 복용하더라도 음식을 충분히 섭취할 경우 음식 갈망 관련 뇌 활성도가 정상 대조 집단에 비해 증가하지 않으며, 항정신병 약물 관련 체중 증가 혹은 입맛 당김 현상이 지속적으로 약물을 복용에 따라 감소하게 되는 현상이 시상하부의 활성의 점차적 감소와 관련 있음을 시사한다. Objectives:To explore the neural correlates of antipsychotics related food craving in schizophrenic patients Methods:A T2<SUP>*</SUP>-weighted echoplanar imaging sequences obtained were used to collect 120 BOLD images during the passive seeing of food paradigm after meal. The food paradigm was consisted of three blocks of food pictures and three blocks of pictures of natural thing in both ten healthy volunteers and schizophrenic patients having second generation antipsychotics. The imaging data were investigated to find differences in the food cue and craving related network between healthy volunteers and schizophrenic patients after meal. The relationship between food cue or craving related neural activity and clinical variable was explored. Activation maps were acquired by means of the random effect model using SPM2. Results:Less extensive food cue and craving related regions were activated in schizophrenic patients having second generation antipsychotics after meal. Neural activities of both hypothalamus and thalamus were correlated with the prescribed duration of current antipsychotics. Conclusions:This study demonstrated that schizophrenic patients' brain is less respond to food cue after meal even though they are having second generation antipsychotics. The decrease of hypothalamic activity could explain the plateau phenomenon or decrease of both food craving and body weight according to persistent second generation antipsychotic med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