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애인 스포츠 지도자의 비언어적 의사소통과 운동몰입 및 운동만족의 관계

        홍석만,김경지 한국스포츠학회 2020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8 No.3

        이 연구는 장애인 스포츠 지도자의 비언어적 행동과 장애인 스포츠 선수의 운동몰입 및 운동만족 간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국에 있는 장애인 스포츠 선수 106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처리는 통계 프로그램 SPSS 22.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AMOS 18.0을 활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장애인 스포츠 지도자의 비언어적 의사소통은 운동몰입에 부분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 째, 장애인 스포츠 지도자의 비언어적 의사소통은 운동만족에 부분적으로 정적,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장애인 스포츠 선수의 운동몰입은 운동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non-verbal behaviors of para sports instructors and exercise immersion and satisfaction of sports players with disabilities. To achieve this research goal, data were collected from 106 sports players with disabilities nationwide. As for data process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SPSS 22.0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AMOS 18.0. The following results were drawn from conducting these analyses. First, it was found that behavioral immersion of sports players with disabilities is positively influenced only by ‘expression of embarrassment upon negative communication,’ a higher level factor of non-verbal communication of parasports instructors. Second, it was found that satisfaction for exercise content of sports players with disabilities is positively influenced by ‘expression of embarrassment upon negative communication’ and is negatively influenced by ‘formation of unfavorable impression upon negative communication’ among the higher level factors of non-verbal communication of parasports instructors. It was also found that satisfaction for exercise content of sport players with disabilities is positively influenced by ‘positive contact upon positive communication’ and is negatively influenced by ‘formation of unfavorable impression upon negative communication’ and ‘non-accepting attitude upon negative communication’ among higher level factors of non-verbal communication of parasports instructors. Third, it was found that behavioral immersion, a sub-factor of exercise immersion of sports players with disabilities, have positive influence on all sub-factors of their exercise satisfaction.

      • KCI등재

        휠체어육상선수의 저항성트레이닝이 상지근력의 밸런스와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홍석만,김민창 한국스포츠학회 2019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7 No.4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corporate resistance training programs into an athlete's workout routine to improve balance of upper extremity strength, and to determine the impact on athletic performance. The subject is J, a South Korean wheelchair racer (Classification: T52, Injury Level: C6). The goal of the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resistance training programs on athletic performance. The racer completed two different physical training programs, three times a week over the course of 12 weeks to improve muscular strength and muscular endurance. To measure the balance of his muscle, two isokinetic measurements were taken before and after physical training using a Cybex tool (Human Norm, CSMI, USA). Data collected were based on measurements from the shoulder (60゜/sec, 240゜/sec) and elbow joint (60゜/sec). To measure the athletic performance, the athlete completed a 100m standing start time trial. Data collected from the shoulder measurement showed differences between the left and right muscle balance during 60゜/sec. Data from the elbow joint showed similar results to the shoulder measurements at 60゜/sec. The shoulder and elbow joint measurements both improved relative to weight in 240゜/sec, but data examining muscular balance yield no marked changes at the completion of the program. In examining the elbow joint measurement at 60゜/sec results show a decrease in the extension of the muscle; however, measurements taken from both shoulders increased slightly. At the conclusion of the resistance training program, data reveal a change in the balance of muscle extension, however, data from the elbow joint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beginning of the athletic training program. Before beginning the athletic training program, the athlete ran an 19.13 second 100m with a standing start. At the conclusion of the athletic training program, the athlete ran an 18.60 second 100m with a standing start. The time improved by 0.53 seconds since beginning the athletic training program. 본 연구는 휠체어육상선수의 저항성트레이닝이 상지근력의 밸런스와 경기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휠체어육상선수로 활동하고 있는 J선수(등급분류 : T52, 손상부위 : C6) 단일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저항성트레이닝을 통해 상지근력 밸런스와 경기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J선수에게 12주(주3회)간 근력과 근지구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두 가지의 저항성트레이닝 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 상지근력 밸런스를 알아보기 위한 측정은 트레이닝 전・후 두 번의 등속성 측정을 견관절(60゜/sec, 240゜/sec)과 주관절(60゜/sec)로 나누어 2회 측정 하였으며, 측정장비는 Cybex(Humac Norm, CSMi, USA)로 측정하였다. 경기력 측정은 100미터 기록으로 측정하였다. 견관절의 경우 60゜/sec에서 체중당 신근력은 좌우의 근력 밸런스 차이가 줄었으며, 굴근력은 동일한 차이를 보였다. 240゜/sec에서도 체중당 신・굴근력은 향상되었지만, 근력 밸런스 차이는 모두 프로그램 사전・사후 모두 동일하게 나타났다. 주관절의 경우 60゜/sec에서 트레이닝 프로그램 적용 전 보다 오른팔의 신근력이 다소 떨어졌지만 굴근력은 양쪽 모두 증가하였으며, 근력 밸런스의 차이는 신근력은 트레이닝 프로그램 전보다 차이를 나타내고 있으며 굴근력은 동일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100미터 기록은 트레이닝 프로그램 사전(19초13)・사후(18초60) 측정한 결과 0.53초 빠른 기록을 보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